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기간별 조회가 안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막히는 부분에서 부분별로 강의를 들으면서 하는데, 개념 잡기에는 좋은데.. 실무에서 변형하면서 사용하려니 막히는 부분이 생기네요.. ㅡ.ㅜ; 우선 주문 데이타를 기가별로 조회를 하려고 하는데, 안되고 있습니다.구글링과 스택쪽을 찾아봐도 딱히 잡히는것도 없고.. gpt가 알려준대로 해도 안되네요.. db는 postgreSQL로 최신버전이며.. 구성은 nest.js + prisma + swagger + graphQL로 구성되어 있으며, 버전은 최신버전으로 현재 구성된 상태입니다.// schema.prisma model Order { .... order_date DateTime? } // orders.controller.ts async getOrdersByDateRange( @Query('start_date') start_date: string, @Query('end_date') end_date: string, ): Promise<Order[]> { const startDate = new Date(start_date); const endDate = new Date(end_date); if (isNaN(startDate.getTime()) || isNaN(endDate.getTime())) { throw new BadRequestException('날짜 형식이 잘못되었습니다.'); } return this.ordersService.getOrdersByDateRange(startDate, endDate); } // orders.service.ts async getOrdersByDateRange( start_date: Date, end_date: Date, ): Promise<Order[]> { const orders = await this.prisma.order.findMany({ where: { order_date: { gte: new Date(start_date.setHours(0, 0, 0, 0)), // 시작일 00:00:00 lte: new Date(end_date.setHours(23, 59, 59, 999)), // 종료일 23:59:59.999 // gte: start_date, // 이것도 안됨 // lte: end_date, // 이것도 안됨 }, //order_date: Between(start_date, end_date), }, }); if (!orders || orders.length === 0) { throw new NotFoundException( `기간 내에 주문 데이터가 없습니다.`, ); } 디비쪽 데이타를 이와 같습니다. 입력 값은 start_date : 2024-05-01end_date : 2024-06-05이렇게 전달해서 조회하는데, 아무런 데이타를 못 가져오고 있습니다.request url : http://localhost:3000/orders/dateRange?start_date=2024-05-01&end_date=2024-06-05response body:{ "message": "Order with ID dateRange not found.", "error": "Not Found", "statusCode": 404 }이처럼 출력되고 있습니다.아무리 해 봐도 안되어서 질문 드립니다.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ㅜ.ㅜ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선생님 그러면 만약에 도커로 백엔드 실행하지말고 구냥..
만약 도커로 백엔드 실행하기싫고,내 로컬에서 백엔드 실행한다고하면 mongoose .connect("mongodb://my-database:27017/mydocker") .then(() => { console.log("DB 연결 성공"); }) .catch((err) => console.log("DB 연결 실패", err));connect부분을 로컬호스트:27017로만 변경하면 되는거는 알겠는데..너무 번거로운거같은데 혹시 .env에 설정하는 방식같은게 없을까요? 예를들면 프로덕션, 개발모드에 따라서env를 바꿀수있잖아유그런것처럼 도커컨테이너 환경 혹은 그냥 로컬에서 백엔드 실행했을때환경 이런걸 구분할수있는 방법은없나유?
-
해결됨비전공자를 위한 진짜 입문 올인원 개발 부트캠프
강의제공자의 답변을 원합니다 AI 답변만 있고 더이상 직접 답변을 안해주시네요?
AI 답변이 어느정도 편리할 수 있단 건 인정하지만, 질문 답변도 강의서비스에 포함된 것인데 어느 순간부터 강의제공자님의 직접답변은 달리지 않고 AI 답변만 달리네요. 그것만으로 전혀 충분하지 않은데 말이죠그리고 AI 답변은 기존 데이터가 없으면 답변을 못해줍니다. 강의제공자로부터 피드백을 받을 수 있을 것을 기대하고 강의를 수강하는데 이렇게 질문답변 조차 제대로 해결이 되지 않고 있는 것은 문제라고 봅니다.몇년 동안 강의를 걸어놓으 실 거면, 그리고 여러 API를 사용하실 거면 적어도 일년에 한번은 UI나 기능에 변화나 업데이트 가 있는지 확인하고 강의에 반영해주셔야 할 것 같은데 아직도 2022년 버전을 그대로 강의에 걸어두셔서 현재 UI와 완전달라 강의 진행이 제대로 안되고 있습니다.이게 정말 제대로 되고 있는게 맞나요? 무료 강의도 아니고 돈내고 듣는 강의에서 기본적인 내용 업데이트 및 강의에 포함된 질문 답변조차 제대로 진행 되지 않는다는 건 매우 실망 스럽습니다.강의 제공자님의 빠른 직접 답변과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시나브로 자바스크립트
번들러를 꼭 사용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저는 리액트 컴포넌트 라이브러리를 도전해보고 있습니다. 대부분은 Rollup, Microbundle 등의 번들러를 활용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조사해보니 굳이 번들러 없이도 컴포넌트 라이브러리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tsc 컴파일을 통해 TypeScript 환경과 JavaScript 환경 둘 다 지원하는 라이브러리를 만들었고, 샘플 프로젝트에서 설치해본 결과 잘 작동합니다.이런 상황에서 번들러가 왜 필요한지 잘 모르겠습니다.번들러의 역할에 대해서는 알고 있습니다. 폴리필을 제공하기도 하고, 하나의 자바스크립트 파일로 만들어서 네트워크 요청 횟수를 줄여주기도 하지요.하지만, 이 번들러를 컴포넌트 라이브러리에 꼭 사용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만든 이 컴포넌트 라이브러리를 배포하고, 한 샘플 프로젝트에서 이 라이브러리를 npm install 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Vite를 번들러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결국 배포할 때 번들링을 하게 될 텐데, 그러면 컴포넌트 라이브러리도 자동으로 함께 번들링에 포함되지 않나요? 어차피 프로젝트에서 번들링 될 건데, 미리 번들링할 필요가 있을까요?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defaultProps 사용이 이제 불가해진다고 경고문이 왔습니다
내용을 찾아보니 defaultProps에 대한 지원은 향후 주요 릴리스의 함수 구성 요소에서 제거될 예정이고, 대신 JavaScript 기본 매개변수를 사용하세요. 라고 나와있는데defaultProps 를 사용하지 않으면 기본값은 어떻게 설정해야 할까요??
-
미해결mongoDB 기초부터 실무까지(feat. Node.js)
Schemaless 특성을 재생시 검은화면이 나와요
Schemaless 특성을 재생시 검은화면이 나와요 새로고침해도 같은 현상이 나오네요 ㅠ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map을 이용한 EmotionItem 렌더링 질문
강의 14:00 쯤에 작성하신 map 함수를 이용한 EmotionItem 렌더링 파트에 질문이 있습니다. 강의에서는 아래처럼 작성하셨는데emotionList.map((item) => { <EmotionItem key={item.emotionId} {...item} /> });저는 map 내부 콜백함수에서 return 을 붙이지 않으면 화면에 렌더링 되지 않더라구요. 특별히 다른 이유가 있을까요?
-
미해결처음 만난 리액트(React)
jsx 코드 작성 후 터미널 연결
jsx 코드 사용 후 터미널 연결하기를 하면 아래와 같은 오류가 뜹니다.폴더 이름은 맞게 입력했는데 왜 이런 오류가 생기는지 모르겠습니다.ㅠ
-
미해결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코딩테스트 대비)
중복해서 1로 돌아가는 내용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1번과 2번 노드는 양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 생각으로는 배제하신 1 > 2 > 1 > 3 > 4 > 5나 1 > 2 > 1 > 4 > 5 도 모든 경로의 가지 수 중 하나가 아닌가 싶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를 위한 진짜 입문 올인원 개발 부트캠프
Postman UI가 또 바뀌어서 Mockserver 를 찾을 수가 없습니다
제목 그대로 입니다.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 해주신게 벌써 2년전인데, 강의를 계속 걸어놓으시려면 적어도 매년 단위로UI 상태에 맞게 해당 부분만이라도 강의를 업데이트 해주셔야 할 것 같습니다.Mock server 부분 도저히 찾지못해 시간만 보내고 진척이 없습니다. 대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미해결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프런트엔드 테스트 - 1부. 테스트 기초: 단위・통합 테스트
이 작업 영역에서 아직 발견된 테스트가 없습니다.
다른 분들도 겪은 문제인데 0.2.42 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 하려고해도 지원하지 않는 버전이라고 나오네요. npm run test 는 잘 실행되는거 같습니다. 혹시 해당 이슈 해결방법 알 수 있을까요 .. 아니면 그냥 npm run test 로 진행해도 상관없을까요
-
미해결
react useState 실행순서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import React,{useState} from 'react'; function Exptest (){ const [number, setNumber] = useState('A'); const checkNumber =() =>{ alert("첫번째 "+number); setNumber(function (prevnumber){ alert(prevnumber+"/3번/"+number); setNumber((prevnumber)=>{ alert(prevnumber+"/4번/"+number); return prevnumber+'B'; }); return prevnumber+'C'; }); alert("두번째"+number); }; return ( <> <button onClick = {checkNumber}> {number} </button> </> ); }; export default Exptest; /* 이런식으로 안쓰는건 알지만 실행순서에 대해서 공부하다 이것저것 해보다가 이해가 안가서 질문드립니다. 질문1. 처음 버튼 클릭 시 number='A' -> number = 'AC' 이렇게 업데이트된다. 그리고 두번 째 실행 시 결과는 number = 'ACCB' 가 되는데 왜 처음엔 B를 추가하지 않나요? 질문2. alert 메세지가 뜨는 순서를 보면 처음 버튼 클릭 시 첫번째 A -> A/3번/A -> A/4번/A -> 두번째 A 그리고 두번 째 버튼 클릭 부터는 첫번째 AC -> 두번째 AC -> AC/3번/AC -> ACC/4번/AC 이렇게 메세지가 뜨는데 왜 순서가 달라지나요? */
-
미해결김일한의 리액트(React) 개발자를 위한 실습을 통한 입문 과정
클래스 설명시 음성 OFF
클래스 설명시 음성 OFF 되어 있네요.
-
미해결애플 웹사이트 인터랙션 클론!
스크롤할 때 캔버스로 하신 이유가 있으신가요? 그냥 성능 떄문에 캔버스로 하신건가요?
스크롤할 때 캔버스로 하신 이유가 있으신가요? 그냥 성능 떄문에 캔버스로 하신건가요?
-
해결됨[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TypeORM-Column annotation 강의 중 UserModel typing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UserModel 엔티티 작성할 때, 아래와 같이 타입을 엉뚱하게 적어도 컬럼 값의 타입이 제대로 들어가는 문제로 질문드립니다.https://orkhan.gitbook.io/typeorm/docs/entities#primary-columns해당 Docs를 보니 어노테이션에 타입이 정해져 있어 그런거 같은데, 아래 코드가 타입 오류가 안나는게 맞는건가요? @PrimaryGeneratedColumn() id: string; @Column() @Generated('uuid') additionalId: number;
-
미해결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프런트엔드 테스트 - 1부. 테스트 기초: 단위・통합 테스트
vitest 실행시 테스트 실행에서 출력을 기록하지 않았습니다
결과가 저렇게나오는데 yarn test 실행하면 로그가 정상적으로 출력됩니다 이유가뭘까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영상 보고 응용 프로젝트 하는 중에 라우터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이번학기에 갑자기 웹 개발을 하게 되어 부랴부랴 프론트 강의 챙겨보는중인데 정말 도움이 많이 돼 우선 감사의 말씀 먼저 드립니다. ㅜㅜ 다름이 아니라 제가 본 영상 강의를 보고 학교 과제를 수행하다가 (투두 리스트를 참고하여 만들었습니다. 참고로 과제는 이슈관리 시스템입니다.) 이러한 메인 화면을 구현하였는데, 각 프로젝트 이름을 누르면 그 프로젝트의 상세 페이지로 연결 시키고 싶은데, 라우터 기능을 사용하여 링크는 제대로 바뀌는데 화면 전환이 되지 않습니다. ㅜㅜ 코드를 여러번 봐도 무엇이 문제인지 감이 안 잡혀 질문 드리게 되었습니다. 코드 첨부 하겠습니다. ! import "./App.css"; import { Routes, Route, Link, useNavigate } from "react-router-dom"; import { useRef, useState } from "react"; import Header from "./components/Header"; import List from "./components/List"; import ProjectDetail from "./pages/ProjectDetail"; //임시데이터 const mokdata = [ { p_id: 0, p_name: "회원가입 프로젝트", date: new Date().getTime(), }, { p_id: 1, p_name: "온라인 테트리스 게임 프로젝트", date: new Date().getTime(), }, { p_id: 2, p_name: "윷놀이 프로젝트", date: new Date().getTime(), }, { p_id: 3, p_name: "온라인 채팅 앱 개발 프로젝트", date: new Date().getTime(), }, { p_id: 4, p_name: "회원 관리 시스템 프로젝트", date: new Date().getTime(), }, { p_id: 5, p_name: "이슈 관리 시스템 프로젝트", date: new Date().getTime(), }, ]; function App() { const [projects, setProjects] = useState(mokdata); const onDelete = (targetId) => { //배열에서 targetId와 일치하는 id를 갖는 요소만 삭제한 새로운 배열 setProjects(projects.filter((project) => project.p_id !== targetId)); }; return ( <> <div className="App"> <Header /> <List projects={projects} onDelete={onDelete} /> </div> <Routes> <Route path="/ProjectDetail:p_id" element={<ProjectDetail projects={projects} />} /> </Routes> </> ); } export default App; 위는 App.jsx 코드 이고 아래는 ProjectDetail 코드 입니다. !import { useParams } from "react-router-dom"; const ProjectDetail = ({ projects }) => { const { p_id } = useParams(); const project = projects.find((project) => project.p_id === parseInt(p_id)); return ( <div> <h1>프로젝트 상세내용</h1> <h2>{project.p_name}</h2> </div> ); }; export default ProjectDetail;
-
미해결비전공자를 위한 진짜 입문 올인원 개발 부트캠프
콜백함수 작성해주신 부분이 이해가 잘 안갑니다
콜백함수에서 이해가 잘 안가는 부분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여기에서 맨처음 callbackFunc 이라는 함수에서는 파라미터를 name으로 받았고 그 파라미터를 콘솔에 출력하는게 기능이었는데요그걸 sayHello(callback) 도 아니고 sayHello(callbackFunc) 으로 실행했는데도 왜 결과물이 hello 로 나오는지 도무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그렇다고sayHello 함수 정의당시에 callback 이라는 파라미터에 callbackFunc이 연결되도록 해둔 것도 아닌데 말이죠...어떤 흐름으로 이렇게 되는지 너무 궁금합니다. 한단계씩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쿼리문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comments module을 진행하고 있습니다.pgadmin에서 SELECT *FROM users_model aINNER JOIN comments_model bON a.id = b.authorId위의 쿼리로 테이블을 조회해보려고 했는데 ERROR: column b.authorid does not exist LINE 4: ON a.id = b.authorId ^ HINT: Perhaps you meant to reference the column "b.authorId". SQL state: 42703 Character: 74 이런 오류가 나옵니다 혹시 어떻게 해야 코멘츠 테이블과 유저 테이블을 조인해서 조회해볼 수 있을까요?? 그리고 pgadmin이 시간이 좀 지나면 자꾸 연결이 끊기는지 쿼리를 날려도 아무 응답이 없는데 혹시 연결을 refresh해주는 방법이 있을까요? 매번 쿼리창을 새로 열기가 너무 불편하네요
-
미해결처음 만난 리액트(React)
이벤트 실행순서에 대해 질문드려요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useState} from 'react'; function ConfirmButton2 (){ const [isConfirmed,setIsconfirmed] = useState(false); const handleConfirm = ()=>{ setIsconfirmed((prevIsConfirmed) => !prevIsConfirmed); // setIsconfirmed(!isConfirmed); }; const [number, setNumber] = useState(0); const checkNumber =() =>{ alert("첫번째 "+number); // 0 setNumber((prevnumber)=>{ alert(prevnumber+"//"+number); // 0 0 return prevnumber+10; }); setNumber((prevnumber)=>{ alert(prevnumber+"//"+number); // 10 0 return prevnumber+10; }); alert("두번째"+number); // 0 }; return ( <> <button onClick = {handleConfirm} > {isConfirmed ? "확인됨2" : "확인하기2"} </button> <button onClick = {checkNumber}> {number} </button> </> ); }; export default ConfirmButton2; 이렇게 해서 실행을 하고 숫자 버튼을 클릭하면 첫번째 alert -> set함수 alert -> 두번째 alert -> 두번째 set함수 alert 이 순서로 나오는데, alert -> set 함수 alert -> 두번째 set함수 alert -> 두번째 alert 이 순서가 아닌 이유를 모르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