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질문있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컨트롤러에서 모델에 addAttribute안해도 이미 모델에 들어가있는 경우가 있던데 이런것들고 명시적으로 model 에 넣어서 보내주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코드 깔끔하게 그냥 없애는게 좋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엔티티를 반환받을때 어디서 response용 dto로 바꿔주는게 좋나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파라미터를 받을 때는 컨트롤러에서 메서드 실행될때 이미 dto로 받는건 알겠는데 dto를 저장하기 전에 엔티티로 바꾸는건 어디서 보통 하는건가요? 컨트롤러인가요 서비스인가요? 그리고 리포지토리에서 받아온 엔티티는 어디서 response용 dto로 바꿔주는 건가요? service에서 처리하고 컨트롤러로 보내는 건가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세팅부터 안되고있네요.....
9월 01, 2024 7:00:54 오전 org.hibernate.engine.jdbc.env.internal.JdbcEnvironmentInitiator getJdbcEnvironmentUsingJdbcMetadataWARN: HHH000342: Could not obtain connection to query metadata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Cannot get a connection as the driver manager is not properly initialized at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getConnection(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java:259) at org.hibernate.engine.jdbc.env.internal.JdbcEnvironmentInitiator$ConnectionProviderJdbcConnectionAccess.obtainConnection(JdbcEnvironmentInitiator.java:428) at org.hibernate.resource.transaction.backend.jdbc.internal.JdbcIsolationDelegate.delegateWork(JdbcIsolationDelegate.java:61) at org.hibernate.engine.jdbc.env.internal.JdbcEnvironmentInitiator.getJdbcEnvironmentUsingJdbcMetadata(JdbcEnvironmentInitiator.java:276) at org.hibernate.engine.jdbc.env.internal.JdbcEnvironmentInitiator.initiateService(JdbcEnvironmentInitiator.java:107) at org.hibernate.engine.jdbc.env.internal.JdbcEnvironmentInitiator.initiateService(JdbcEnvironmentInitiator.java:68) at org.hibernate.boot.registry.internal.StandardServiceRegistryImpl.initiateService(StandardServiceRegistryImpl.java:130) 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create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63) 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initialize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38) 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get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15) at org.hibernate.engine.jdbc.internal.JdbcServicesImpl.configure(JdbcServicesImpl.java:52) at org.hibernate.boot.registry.internal.StandardServiceRegistryImpl.configureService(StandardServiceRegistryImpl.java:136) 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initialize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47) 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get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15) at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BasicConnectionCreator.convertSqlException(BasicConnectionCreator.java:132) at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DriverConnectionCreator.makeConnection(DriverConnectionCreator.java:43) at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BasicConnectionCreator.createConnection(BasicConnectionCreator.java:61) at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PooledConnections.addConnections(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java:499) at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PooledConnections.<init>(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java:372) at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PooledConnections$Builder.build(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java:550) at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buildPool(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java:102) at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configure(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java:82) at org.hibernate.boot.registry.internal.StandardServiceRegistryImpl.configureService(StandardServiceRegistryImpl.java:136) 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initialize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47) 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get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15) at org.hibernate.engine.jdbc.env.internal.JdbcEnvironmentInitiator.buildJdbcConnectionAccess(JdbcEnvironmentInitiator.java:395) at org.hibernate.engine.jdbc.env.internal.JdbcEnvironmentInitiator.getJdbcEnvironmentUsingJdbcMetadata(JdbcEnvironmentInitiator.java:262) at org.hibernate.engine.jdbc.env.internal.JdbcEnvironmentInitiator.initiateService(JdbcEnvironmentInitiator.java:107) at org.hibernate.engine.jdbc.env.internal.JdbcEnvironmentInitiator.initiateService(JdbcEnvironmentInitiator.java:68) at org.hibernate.boot.registry.internal.StandardServiceRegistryImpl.initiateService(StandardServiceRegistryImpl.java:130) 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create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63) 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initialize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38) 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get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15) at org.hibernate.boot.model.relational.Database.<init>(Database.java:45) at org.hibernate.boot.internal.InFlightMetadataCollectorImpl.getDatabase(InFlightMetadataCollectorImpl.java:223) at org.hibernate.boot.internal.InFlightMetadataCollectorImpl.<init>(InFlightMetadataCollectorImpl.java:191) at org.hibernate.boot.model.process.spi.MetadataBuildingProcess.complete(MetadataBuildingProcess.java:170) at org.hibernate.jpa.boot.internal.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metadata(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java:1432) at org.hibernate.jpa.boot.internal.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build(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java:1503) at org.hibernate.jpa.HibernatePersistenceProvider.createEntityManagerFactory(HibernatePersistenceProvider.java:55) at jakarta.persistence.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Persistence.java:80) at jakarta.persistence.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Persistence.java:55) at hellojpa.JpaMain.main(JpaMain.java:9)9월 01, 2024 7:00:54 오전 org.hibernate.engine.jdbc.dialect.internal.DialectFactoryImpl constructDialectWARN: HHH90000025: H2Dialect does not need to be specified explicitly using 'hibernate.dialect' (remove the property setting and it will be selected by default)9월 01, 2024 7:00:54 오전 org.hibernate.engine.jdbc.spi.SqlExceptionHelper logExceptionsWARN: SQL Error: 90048, SQLState: 900489월 01, 2024 7:00:54 오전 org.hibernate.engine.jdbc.spi.SqlExceptionHelper logExceptionsERROR: Unsupported database file version or invalid file header in file "C:/Users/user/test.mv.db" [90048-224]Exception in thread "main" org.hibernate.service.spi.ServiceException: Unable to create requested service [org.hibernate.engine.jdbc.env.spi.JdbcEnvironment] due to: Error calling Driver#connect [Unsupported database file version or invalid file header in file "C:/Users/user/test.mv.db" [90048-224]] [null] 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create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76) 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initialize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38) 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get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15) at org.hibernate.boot.model.relational.Database.<init>(Database.java:45) at org.hibernate.boot.internal.InFlightMetadataCollectorImpl.getDatabase(InFlightMetadataCollectorImpl.java:223) at org.hibernate.boot.internal.InFlightMetadataCollectorImpl.<init>(InFlightMetadataCollectorImpl.java:191) at org.hibernate.boot.model.process.spi.MetadataBuildingProcess.complete(MetadataBuildingProcess.java:170) at org.hibernate.jpa.boot.internal.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metadata(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java:1432) at org.hibernate.jpa.boot.internal.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build(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java:1503) at org.hibernate.jpa.HibernatePersistenceProvider.createEntityManagerFactory(HibernatePersistenceProvider.java:55) at jakarta.persistence.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Persistence.java:80) at jakarta.persistence.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Persistence.java:55) at hellojpa.JpaMain.main(JpaMain.java:9)Caused by: org.hibernate.exception.JDBCConnectionException: Error calling Driver#connect [Unsupported database file version or invalid file header in file "C:/Users/user/test.mv.db" [90048-224]] [null] at org.hibernate.exception.internal.SQLExceptionTypeDelegate.convert(SQLExceptionTypeDelegate.java:51) at org.hibernate.exception.internal.StandardSQLExceptionConverter.convert(StandardSQLExceptionConverter.java:58) at org.hibernate.engine.jdbc.spi.SqlExceptionHelper.convert(SqlExceptionHelper.java:108) at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BasicConnectionCreator.convertSqlException(BasicConnectionCreator.java:134) at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DriverConnectionCreator.makeConnection(DriverConnectionCreator.java:43) at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BasicConnectionCreator.createConnection(BasicConnectionCreator.java:61) at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PooledConnections.addConnections(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java:499) at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PooledConnections.<init>(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java:372) at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PooledConnections$Builder.build(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java:550) at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buildPool(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java:102) at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configure(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java:82) at org.hibernate.boot.registry.internal.StandardServiceRegistryImpl.configureService(StandardServiceRegistryImpl.java:136) 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initialize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47) 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get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15) at org.hibernate.engine.jdbc.env.internal.JdbcEnvironmentInitiator.buildJdbcConnectionAccess(JdbcEnvironmentInitiator.java:395) at org.hibernate.engine.jdbc.env.internal.JdbcEnvironmentInitiator.getJdbcEnvironmentUsingJdbcMetadata(JdbcEnvironmentInitiator.java:262)이런식으로 오류가뜨는데 뭐가 문제인지 모르겟네요. 세팅부터 문제가 생겼는데 해결이안돼 공부를 할수가 없어 너무 답답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컨트롤 안에 DTO
소스코드를 보면 request라 response dto를 따로 격리시키는게 아니라 컨트롤러 소스코드 내에 정의하셨는데 이건 분리하는 게 맞지 않나요...? 혹시 컨트롤러 안에 정의한 이유가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Deadlock 발생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의와 조금 다른 주제일 수 있으나 도움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하여 질문 남깁니다!!토이 프로젝트 진행중 사용자의 최근 접속시간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시킬 필요가 있어 Spring Security 인가 필터에서 현재 로그인한 유저의 최근 접속시간을 업데이트하는 쿼리를 날리도록 작성했습니다. 이 때 Deadlock이 발생하였습니다. 현재까지 제가 찾아본 바로는 DispatcherServelt 전에는 톰캣 스레드가 락을 점유하고 이후에는 IO 스레드가 락을 점유하여 그렇다는 정보를 찾을 수 있었는데요. 정확히 이해가 안가 여기에 여쭤봅니다 ㅠㅠ. 데드락이 발생하는 원인에 어떤것이 있을까요? 참고로 인가 필터에서는 jpa 리포지토리를 의존성 주입받아 사용해서 쿼리를 날렸습니다. (현재는 이 방법 자체가 데르락을 떠나 비효율적이라 판단하여 AOP로 해결한 상태입니다. 사실 이것도 효율적인 방법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spring cloud gateway 에서 eureka의 용도
강사님 강의 잘듣고 있습니다.한가지 궁금점은 유레카 서버를 별도로 올리지 않아도 api-gate-way에서 first-service, secound-service라우팅 및 필터가 가능한데 이떄 유레카의 용도가 무엇인기 궁금합니다. 유레카 서버로 부터 연결된 유레카 클라이언트 정보를 얻는다고 했는데... 유레카 서버를 off해도 routing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더라구요 .. 제가 뭔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 부분이 있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로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쿼리 파라미터를 로그로 남기면 어떤 점이 좋은 건가요??
-
해결됨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통합테스트/인수테스트/E2E 테스트의 차이점이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강사님. 저번에 상세하게 답변해주셔서 너무 감사했습니다! 말씀해주신 인수 테스트에 대해서 알아보고, RestAssured를 사용해서 테스트 적용해보았고, 테스트 무사히 성공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다만, 적용해보면서 또 여러가지 궁금점이 생겼어요. 질문은 총 5가지 입니다!1. RestAssured를 사용해서 API 테스트를 할 때 DB까지 테스트 하는 테스트를 보통 통합테스트라고 하는건가요? 그렇다면 E2E 테스트는 실무에서 보통 어떻게 수행하는지 궁금합니다. 2.통합 테스트라고 하면 모듈간의 통합을 검증하기 위함이라고 하던데, 개발 환경에서 실행되는 테스트일까요? 아니면 실제 운영환경과 동일한 환경에서 테스트를 수행해야 되는걸까요? 3. 인수테스트도 통합테스트에 속하는 개념인걸까요? 4. 통합테스트(인수테스트)에서 실패 케이스도 작성해야 하는 걸까요? 5. 다들 RestAssured, MockMvc를 사용해서 인수테스트를 하던데, 그럼 통합테스트는 어떤걸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찾아보니 @SpringBootTest가 통합 테스트는 아니라고 해서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엔티티 클래스 만들기 챕터에서 테이블 왜 두개 만들어진 건가요?
엔티티 클래스 만들기 챕터에서 테이블 왜 두개 만들어진 건가요? 엔티티 클래스 만들기 챕터 8분 36초에서 테이블이 왜 두개 만들어 졌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h2 database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계속 이런 오류가 떠요...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콘솔을 사용해서 jpashop.mv.db 파일을 만들면 IO Exception: null [90028-199]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통신해서 받는 것과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
안녕하세요.변경감지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데이터 베이스 통신해서 데이터를 가져와서 쓰는 것과 기존에 set으로 BookForm 객체 만드는 것에 대해서 여쭤보고 싶은게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 통신이 한 번 더 일어나는데 위험성이 증가하거나 하진 않나요..? 옛날에 사수한테 웬만하면 데이터베이스 통신하는 일을 줄이라고 했던 일이 기억나서 여쭤봅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MemberServiceTest db에 엔티티 추가X
package jpabook.jpashop.Service; import jpabook.jpashop.Repository.MemberRepository; import jpabook.jpashop.domain.Member;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junit.jupiter.api.extension.ExtendWith;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annotation.Rollback;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jupiter.SpringExtension;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import static org.junit.jupiter.api.Assertions.*; @ExtendWith(SpringExtension.class) @SpringBootTest @Transactional class MemberServiceTest { @Autowired MemberService memberService; @Autowired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Test @Rollback(false) public void 회원가입() throws Exception { //given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Name("kim"); //when Long savedId = memberService.join(member); //then assertEquals(member, memberRepository.findOne(savedId)); } @Test public void 중복_회원_예외() throws Exception { //given //when //then } }Member 테이블에 추가가 안되네요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JpaTransactionManager 사용할 경우 커넥션 로깅 질문
DataSourceTransactionManager의 로그에는 사용되고 있는 커넥션의 정보(ex. conn0)가 자세히 나오는데, JpaTransactionManager를 사용할 경우에는 위와 같이 몇번째 커넥션이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잘 나오지 않는 것 같습니다. JPA를 사용할 경우, 위 사진과 같이 스레드가 커넥션 풀에서 어떤 커넥션을 가져오고 반환하는지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react.js 프론트 소스 파일 부탁합니다..
웹을 구현하는데 프론트앤드가 필요한데, 프론트는 소스 코드를 제공하지 않는다는게 좀 의아합니어쨌든 프론트 소스코드 파일 react.js 부탁합니다..skii4@hanmail.net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질문드립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내용]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은 아닌데 제가 commit에서 unversioned files에 있는 것들에 그동안 했던 작업들이 너무 쌓여있는 것 같아 delete를 했더니 intellij에 그동안 작업했던 작업물(패키지는 남아있고 자바 파일들이 모두 날라갔습니다) 혹시 복구할 방법은 없겠죠..?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p6spy 적용 시 gradle 프로젝트가 빌드되지 않습니다.
java 버전17.0.9이고 springboot 버전은 3.2.10-SNAPSHOT 입니다. implementation 'com.github.gavlyukovskiy:p6spy-spring-boot-starter:1.9.0' build.gradle 파일에 로그 관련 부분 추가하니 아래와 같이 오류가 나는데 이유를 모르겠습니다.Caused by: java.lang.NoClassDefFoundError: org/apache/maven/settings/building/SettingsBuildingRequest at org.gradle.api.internal.artifacts.DependencyManagementBuildScopeServices.createMavenSettingsProvider(DependencyManagementBuildScopeServices.java:289)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0(Native Method)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NativeMethodAccessorImpl.java:77)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DelegatingMethodAccessorImpl.invoke(DelegatingMethodAccessorImpl.java:43) at org.gradle.internal.reflect.JavaMethod.invoke(JavaMethod.java:125) at org.gradle.internal.service.ReflectionBasedServiceMethod.invoke(ReflectionBasedServiceMethod.java:35) at org.gradle.internal.service.DefaultServiceRegistry$FactoryMethodService.invokeMethod(DefaultServiceRegistry.java:916)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단순 조회용 엔티티
안녕하세요!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도중 영한님 강의가 생각 나 궁금한 게 생겨 문의납깁니다. 테이블의 모든 값들을 전체 조회하며, 거의 변하지 않는 데이터를 단순 조회하는 용도로 쓸 때도 DTO를 통해 조회하는 게 좋을까요? (예시: 프로젝트 실행 시 csv파일 또는 엑셀파일을 통해 DB에 자동 저장되게 만든 도시 데이터 등을 확인하는 단순 get List, 여행•숙박 사이트에 기본으로 저장되어있는 지역 카테고리 등)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혹시 현업에서도 예외 테스트 시, Assertions.assertThrows 를 많이 사용하나요?
@Test void 상품주문_재고수량초과() throws Exception { //given Member member = createMember(); Item item = createBook("시골 JPA", 10000, 10); int orderCount = 11; //when // orderService.order(member.getId(), item.getId(), orderCount); //then Assertions.assertThrows(NotEnoughStockException.class, () -> orderService.order(member.getId(), item.getId(), orderCount),"재고 수량 부족 예외가 발생해야 한다."); }Assertions.assertThrows 사용 시 파라미터 자체에 로직을 넣어줘야 해서, JUnit4 의 expected 옵션과 다르게 테스트의 when 항목을 적지 않아도 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 같아서요. 현업에서도 이 방식을 주로 사용하시나요?(+ 추가 질문)junit 과 assertj.core 라이브러리를 함께 쓰는 경우엔 이렇게 한 쪽을 지저분하게 쓸 수 밖엔 없나요? (isEqualTo와 assertThrows를 하나의 테스트 클래스에서 같이 쓰는 경우) @Test void 주문취소() throws Exception { //given Member member = createMember(); Book item = createBook("시골 JPA", 10000, 10); int orderCount = 2; Long orderId = orderService.order(member.getId(), item.getId(), orderCount); //when orderService.cancelOrder(orderId); //then Order getOrder = orderRepository.findOne(orderId);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getOrder.getStatus()).isEqualTo(OrderStatus.CANCEL);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item.getStockQuantity()).isEqualTo(10); }
-
해결됨개발 입문을 위한 실무자가 알려주는 Spring Boot
Constants 가 맞을거 같습니다.
상수들을 모아 놓은 클래스이므로 Constants 가 맞는 이름일 거 같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강의영상 5분 7초 EAGER 패치 전략
비슷한 게시글을 봐도 이해가 잘 가지 않아서 재차 질문 드립니다제가 이해하는 상황이 맞는지 고견 부탁드립니다1. fetch = EAGER 쿼리가 두 번 실행이것이 프록시 강의영상에서 말씀하시는 (N+1) 문제인지 궁금합니다첫 번째 쿼리는em.flush(), em.clear() 실행되면 영속성 컨텍스트가 비워지고 이후 jpql 쿼리가 실행되면서 EAGER 패치 전략에 따라 Team도 함께 조회가 됩니다. 두 번째 쿼리는 영속성 컨텍스트가 비워졌고 EAGER 패치 전략으로 조회되어야 합니다. 실제 엔티티로 조회되어야 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하지만 특정 시점에서 Team이 프록시로 로드 되었고 이후 프록시가 초기화되면서 다시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하면서 발생한 쿼리로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