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조회를 할 때 findByTeam vs team.getMembers() 차이
둘의 차이가 뭔가여?? Character character = characterRepository.findByUserId(userPrincipal.getId()).orElseThrow(CharacterNotFoundException::new); List<Quest> quests = character.getQuests(); 현재 프로젝트 중인데 이 강의를 들으면서 느낀점은qeustRepository.findByCharacter(character)를 하는 경우와 character.getQuests의 차이가 궁금합니다.어떤게 더 좋은방식이구각자의 장단점이 있을까요? https://www.inflearn.com/community/questions/66107/member%EC%99%80-order%EA%B0%84%EC%9D%98-%EC%96%91%EB%B0%A9%ED%96%A5-%EA%B4%80%EB%A0%A8-%EC%A7%88%EB%AC%B8%EC%9E%85%EB%8B%88%EB%8B%A4 추가로 이거랑 질문이 관련이 있는걸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pql 사용할 때 flush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jpql 구문이 실행될 때 flush가 자동으로 호출 된다고 하셨는데 당연히 flush로 쓰기 지연 SQL 저장소에 있는 쿼리들을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고 commit 한 후 jpql 구문이 실행되는거겠죠?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H2 데이터베이스 member 테이블 생성이 안 돼요
테스트 코드는 오류 없이 초록불이 뜨는데 DB 내 테이블 생성이 안 됩니다. 강사님의 다른 강의와, 응용 프로젝트를 만들어 볼 땐 잘 됐어서 자주 묻는 질문들을 참고해도 어느 곳이 문제인지 잘 모르겠네요ㅠㅠ.. 일단 올려두고 계속 방법을 찾아보겠습니다! package jpabook.jpashop; import org.assertj.core.api.Assertions; import org.junit.Test; import org.junit.runner.RunWith;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annotation.Rollback;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Runner;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import static org.junit.Assert.*; @RunWith(SpringRunner.class) @SpringBootTest public class MemberRepositoryTest { @Autowired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Test @Transactional @Rollback(false) public void testMember() throws Exception{ //given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Username("memberA"); //when //ctrl+alt+v 변수 뽑기 Long saveId = memberRepository.save(member); Member findMember = memberRepository.find(saveId); //then Assertions.assertThat(findMember.getId()).isEqualTo(member.getId()); Assertions.assertThat(findMember.getUsername()).isEqualTo(member.getUsername()); Assertions.assertThat(findMember).isEqualTo(member); //JPA 엔티티 동일성 보장 } }spring: application: name: jpashop #port번호 설정 server: port: 8050 #DB datasource: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 username: sa password: driver-class-name: org.h2.Driver #JPA jpa: hibernate: ddl-auto: create properties: hibernate: show_sql: true format_sql: true logging: level: org.hibernate.SQL: debug org.hibernate.orm.jdbc.bind: trace
-
해결됨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데이터 일관성유지를 어떻게 하면서 테스트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인강 너무 잘 들었습니다. 궁금한 게 몇 가지 있어 질문드리게 되었습니다.현재 H2 데이터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 주셨는데요. 개발 환경의 DB 서버를 My-sql DB로 생성하고 테스트 코드를 구현하게 되면, 다른 개발자로 인해 DB의 데이터가 인입되면서 테스트 코드의 일관성이 깨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었습니다. 그렇다고 H2 데이터로 로컬환경을 붙이려고 하니 Mysql과 H2의 엔티티의 컬럼 선언이 다른경우가 존재해서 JPA의 자체 auto-ddl: create가 안먹히는 경우가 발생이되었습니다. [요약]개발 환경을 MY-SQL DB로 구현하면 같이 개발하면서 데이터가 인입되면서 테스트 코드의 일관성이 깨짐그렇다고 H2 DB로 진행하려고 하니, 엔티티의 칼럼 설정하는 것이 달라서 스프링 부트가 실행되지 않음Service Layer에서 일관성 있게 테스트 환경을 설정하려면 H2와 Mysql을 같이 돌릴 수 있게 프로젝트를 변경해 줘야 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입문자를 위한 Spring Boot with Kotlin - 나만의 포트폴리오 사이트 만들기
질문있습니다!
여기서 experience를 모델에서 못찾아서??experience.startYearMonth 등 인식이 안되는것 같습니다.cannot resolve라고 뜹니다. 혹시 제가 컨트롤러라든지 DTO라든지 잘못적고 놓쳤나보다 하고 봤는데 왜 안되는지 못찾겠습니다. 한번 확인 가능할까요?컨트롤러서비스DTO 데이터 초기화 이렇게 타임리프 적용이 안될 떄는 어떻게 찾는게 좋은 방법일까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세션 8장 마무리 후 product 에서 상품 이미지 깨짐 현상
안녕하세요 8장 까지 마무리 하고 product 이미지 가 출력되지 않는 현상을 봤습니다. 확실한건 이미지 링크는 header에 Authorization에 bearer token이 없어서 출력되지 않는거 같아요..일단 shouldNotFilter에 if(path.startsWith("/api/products/view")) { return true;}해서 보이게 했긴해지만 결국에는 링크도 토큰 인증 처리해야겠죠?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MemberService 관련 질문드립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안녕하세요!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v2 버전의 경우 Controller에서 request를 받아서 Member 로 변환 후 service에 넘겨주셨는데 memberService.join(member)memberService.join(request) 처럼 request를 바로 넘기기고 서비스에서 엔티티로 변환시켜도 상관 없을까요?보통 실무에서는 어떤식으로 진행되는지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query method 질문
query method 질문합니다!Member find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NameAndAgeGreaterThan("kim",20);에서findByNameAndAgeGreaterThan 이라는 부분이 어떻게 구현 되어 있는지 볼 수 있을까요?어느 파일을 타고 들어가야 볼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타임리프 사용 관련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타임리프 렌더링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현재 스프링부트랑 타임리프 버전이 3.3.2입니다.html에서 사용하면 아래와 같이 렌더링이 안되어 있는 거 같습니다.버전에 문제일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쿼리 발생 수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GetMapping("/api/v1/simple-orders") public List<Order> ordersV1() { // List<Order> allByString = orderRepository.findAllByString(new OrderSearch()); //order를 전부 끌고옴 => 2개 for (Order order : allByString) { order.getMember().getName(); order.getDelivery().getAddress(); } return allByString; }제가 생각하는 건 List<Order> allByString = orderRepository.findAllByString(new OrderSearch());이 코드로 쿼리 1개가 발생하고 결과 값이 2개니깐for문으로order.getMember().getName(); 이 쿼리가 2번 발생order.getDelivery().getAddress(); 이 쿼리가 2번 발생해서 총 5번 쿼리가 발생해야 된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하지만 로그를 보니깐 쿼리는 총 6번 발생하고제가 생각했던 거와는 다르게 member와 delivery에 대한 쿼리가 1번씩만 발생하고selecto1_0.order_id,o1_0.delivery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fromorders o1_0whereo1_0.delivery_id=?이 쿼리만 2번 발생이 되더라고요그리고 order_item도 조회가 되는 걸 확인을 했습니다.로그 쿼리 수는 총 6개였습니다.전체 쿼리 로그입니다.전체 쿼리입니다. 2024-08-15T18:49:21.937+09:00 DEBUG 20740 --- [nio-8080-exec-5] org.hibernate.SQL : select o1_0.order_id, o1_0.delivery_id, o1_0.member_id, o1_0.order_date, o1_0.status from orders o1_0 join member m1_0 on m1_0.member_id=o1_0.member_id fetch first ? rows only 2024-08-15T18:49:21.940+09:00 INFO 20740 --- [nio-8080-exec-5] p6spy : #1723715361940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7|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 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y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join member m1_0 on m1_0.member_id=o1_0.member_id fetch first ? rows only 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y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join member m1_0 on m1_0.member_id=o1_0.member_id fetch first 1000 rows only; 2024-08-15T18:49:21.942+09:00 DEBUG 20740 --- [nio-8080-exec-5] org.hibernate.SQL : select m1_0.member_id, m1_0.city, m1_0.street, m1_0.zipcode, m1_0.name from member m1_0 where m1_0.member_id 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4-08-15T18:49:21.943+09:00 INFO 20740 --- [nio-8080-exec-5] p6spy : #1723715361943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7|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 select m1_0.member_id,m1_0.city,m1_0.street,m1_0.zipcode,m1_0.name from member m1_0 where m1_0.member_id in (?,?,?,?,?,?,?,?,?,?,?,?,?,?,?,?,?,?,?,?,?,?,?,?,?,?,?,?,?,?,?,?,?,?,?,?,?,?,?,?,?,?,?,?,?,?,?,?,?,?,?,?,?,?,?,?,?,?,?,?,?,?,?,?,?,?,?,?,?,?,?,?,?,?,?,?,?,?,?,?,?,?,?,?,?,?,?,?,?,?,?,?,?,?,?,?,?,?,?,?) select m1_0.member_id,m1_0.city,m1_0.street,m1_0.zipcode,m1_0.name from member m1_0 where m1_0.member_id in (1,2,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 2024-08-15T18:49:21.945+09:00 DEBUG 20740 --- [nio-8080-exec-5] org.hibernate.SQL : select d1_0.delivery_id, d1_0.city, d1_0.street, d1_0.zipcode, d1_0.status from delivery d1_0 where d1_0.delivery_id 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4-08-15T18:49:21.947+09:00 INFO 20740 --- [nio-8080-exec-5] p6spy : #1723715361947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7|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 select d1_0.delivery_id,d1_0.city,d1_0.street,d1_0.zipcode,d1_0.status from delivery d1_0 where d1_0.delivery_id in (?,?,?,?,?,?,?,?,?,?,?,?,?,?,?,?,?,?,?,?,?,?,?,?,?,?,?,?,?,?,?,?,?,?,?,?,?,?,?,?,?,?,?,?,?,?,?,?,?,?,?,?,?,?,?,?,?,?,?,?,?,?,?,?,?,?,?,?,?,?,?,?,?,?,?,?,?,?,?,?,?,?,?,?,?,?,?,?,?,?,?,?,?,?,?,?,?,?,?,?) select d1_0.delivery_id,d1_0.city,d1_0.street,d1_0.zipcode,d1_0.status from delivery d1_0 where d1_0.delivery_id in (1,2,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 2024-08-15T18:49:21.948+09:00 DEBUG 20740 --- [nio-8080-exec-5] org.hibernate.SQL : select o1_0.order_id, o1_0.delivery_id, o1_0.member_id, o1_0.order_date, 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 2024-08-15T18:49:21.949+09:00 INFO 20740 --- [nio-8080-exec-5] p6spy : #1723715361949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7|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 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y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 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y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1; 2024-08-15T18:49:21.950+09:00 DEBUG 20740 --- [nio-8080-exec-5] org.hibernate.SQL : select o1_0.order_id, o1_0.delivery_id, o1_0.member_id, o1_0.order_date, 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 2024-08-15T18:49:21.951+09:00 INFO 20740 --- [nio-8080-exec-5] p6spy : #1723715361951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7|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 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y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 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y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2; 2024-08-15T18:49:21.954+09:00 DEBUG 20740 --- [nio-8080-exec-5] org.hibernate.SQL : select oi1_0.order_id, oi1_0.order_item_id, oi1_0.count, oi1_0.item_id, oi1_0.order_price from order_item oi1_0 where oi1_0.order_id 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4-08-15T18:49:21.956+09:00 INFO 20740 --- [nio-8080-exec-5] p6spy : #1723715361956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7|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 select oi1_0.order_id,oi1_0.order_item_id,oi1_0.count,oi1_0.item_id,oi1_0.order_price from order_item oi1_0 where oi1_0.order_id in (?,?,?,?,?,?,?,?,?,?,?,?,?,?,?,?,?,?,?,?,?,?,?,?,?,?,?,?,?,?,?,?,?,?,?,?,?,?,?,?,?,?,?,?,?,?,?,?,?,?,?,?,?,?,?,?,?,?,?,?,?,?,?,?,?,?,?,?,?,?,?,?,?,?,?,?,?,?,?,?,?,?,?,?,?,?,?,?,?,?,?,?,?,?,?,?,?,?,?,?) select oi1_0.order_id,oi1_0.order_item_id,oi1_0.count,oi1_0.item_id,oi1_0.order_price from order_item oi1_0 where oi1_0.order_id in (1,2,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NULL); 왜 orders o1_0 가 2번 조회가 되고 왜 order_item이 조회가 되는지 이해가 잘 안갑니다.제가 생각했던 거와는 너무 달라서 질문드립니다ㅠㅠ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프로젝트 실행 시, ClassNotFoundException: lombok.Setter 에러 발생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엔티티 클래스 작성 후 프로젝트 실행 시 아래와 같은 에러 메세지가 출력됩니다.lombok 설정은 아래와 같이 설정된 것을 확인했고, 엔티티 클래스 작성 전에 테스트에서 잘 실행되었습니다.세팅 관련 설정도 아래와 같이 확인했습니다. @Getter, @Setter도 잘 인식하는데, lombok 클래스를 발견할 수 없다는 에러가 계속 발생하는데, 뭐가 문제일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내부 트랜잭션 커밋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내부 트랜잭션을 커밋 하지 않고 바로 외부 트랜잭션을 커밋 해도 문제는 없는건가요?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26강 update method 에러 발생합니다
선생님이 해주신것과 똑같이 코드를 작성했는데 도서관리에서 사용자 이름을 수정하려고 하니 updateUser에서 optional 관련 에러가 발생합니다. Hibernate: select user0_.id as id1_0_0_, user0_.age as age2_0_0_, user0_.name as name3_0_0_ from user user0_ where user0_.id=?2024-08-14 18:42:17.084 ERROR 37216 --- [nio-8080-exec-6] o.a.c.c.C.[.[.[/].[dispatcherServlet] : Servlet.service() for servlet [dispatcherServlet] in context with path [] threw exception [Request processing failed; nested exception is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with root cause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null at java.base/java.util.Optional.orElseThrow(Optional.java:403) ~[na:na] at com.group.libraryapp.service.user.UserServiceV2.updateUser(UserServiceV2.java:34) ~[main/:na] at com.group.libraryapp.controller.user.UserController.updateUser(UserController.java:32) ~[main/:na]db도 한번 삭제 후 다시 실행했는데 같은 에러가 발생하네요.. 이유와 해결방법이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구현 클래스마다 테이블 전략과 @MappedSuperCalss 차이점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구현 클래스마다 테이블 전략과 @MappedSuperCalss가 내부적으로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 지 궁금합니다. 둘이 비슷한 것 같은데 전자는 사용하면 안 되고, 후자는 사용해도 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전자의 경우 강의에 충분히 나와있지만 후자는 사용하라고 하셨으니 그게 헷갈려서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fetch join 관련 질문드립니다.
to one 관계는 여러개를 사용해도 상관없고 to many 관계는 한개만 사용해야 된다고 하셨는데 질문이 생겨서 글을 써봅니당 테이블 A가 있다고 할때, A테이블이 B,C,D 테이블과는 to one 관계이고 E 테이블과는 to many 관계인 경우에 A 테이블에서 B,C,D,E 테이블을 전부 fetch join해도 문제가 없는건가요? ( B,C,D,E 테이블은 A에만 연관관계가 있고 B,C,D,E 끼리의 관계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여러개의 테이블을 join하는 경우 to many관계가 한개 , 나머지 테이블은 to one관계이면 모두 fetch join해도 되는건지 알고싶습니다.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도애체 어디에서 오류가 난건지 모르겠습니다.
다음과 같이 코드를 했는데 24강까지 애플리케이션에서 잘 삭제되고, 잘 저장되었는데 25강이후 코드는 실행되는데 '나이'가 입력을 해도 00세로 나오고, 목록에서 삭제하려고하면 '서버내부 오류입니다'라고 뜹니다.아래 질문에서 쉬운거는 편집된게 있다고 하는데배우는단계에 있는 사람으로써는 그렇게 편집되면 많이 당황스럽네요...ㅜㅜㅜㅜㅜ어디서 틀렸나요?ㅜㅜUserResponsepackage com.group.libraryapp.dto.user.response; import com.group.libraryapp.domain.user.User; public class UserResponse {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eger age; public UserResponse(long id, String name, Integer age) { this.id = id;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public UserResponse(User user) { this.id = user.getId(); this.name = user.getName(); } public UserResponse(long id, User user) { this.id = id; this.name = user.getName(); this.age = user.getAge(); }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Integer getAge() { return age; } }Userpackage com.group.libraryapp.domain.user; import javax.persistence.*; @Entity public class User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 null; @Column(nullable = false, length = 20, name = "name")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eger age; protected User() { } public User(String name, Integer age) { if (name == null || name.isBlank())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String.format("잘못된 name(%s)이 들어왔습니다.",name));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Integer getAge() { return age; } //User class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update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UserRepositorypackage com.group.libraryapp.domain.user; impor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JpaRepository; public interface Us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User, Long> { User findByName(String name); } UserControllerpackage com.group.libraryapp.controller.user; import com.group.libraryapp.dto.user.request.UserCreateRequest; import com.group.libraryapp.dto.user.request.UserUpdateRequest; import com.group.libraryapp.dto.user.response.UserResponse; import com.group.libraryapp.service.user.UserServiceV2;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 import java.util.List; @RestController public class UserController { private final UserServiceV2 userServiceV2; public UserController(UserServiceV2 UserServiceV2) { this.userServiceV2 = UserServiceV2; } @PostMapping("/user") public void saveUser(@RequestBody UserCreateRequest request) { userServiceV2.saveUser(request); } @GetMapping("/user") public List<UserResponse> getUsers() { return userServiceV2.getUsers(); } @PutMapping("/user") public void updateUser (@RequestBody UserUpdateRequest request) { userServiceV2.updateUser(request); } @DeleteMapping("/user") public void deldteUser (@RequestParam String name) { userServiceV2.deleteUser(name); } } UserServiceV2package com.group.libraryapp.service.user; import com.group.libraryapp.domain.user.User; import com.group.libraryapp.domain.user.UserRepository; import com.group.libraryapp.dto.user.request.UserCreateRequest; import com.group.libraryapp.dto.user.request.UserUpdateRequest; import com.group.libraryapp.dto.user.response.UserResponse;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Service;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stream.Collectors; @Service public class UserServiceV2 { private final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public UserServiceV2(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 this.userRepository = userRepository; } public void saveUser(UserCreateRequest request) { User u = userRepository.save(new User(request.getName(), request.getAge())); //System.out.println(u.getId()); } public List<UserResponse> getUsers() { return userRepository.findAll().stream() .map(UserResponse::new) .collect(Collectors.toList()); } public void updateUser(UserUpdateRequest request) { User user = userRepository.findById(request.getId()) .orElseThrow(IllegalArgumentException::new); user.updateName((request.getName())); userRepository.save(user); } public void deleteUser(String name) { User user = userRepository.findByName(name); if (user == null)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 } userRepository.delete(user); } } UserCreateRequestpackage com.group.libraryapp.dto.user.request; public class UserCreateRequest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eger age;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Integer getAge() { return age; } }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벌크 연산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더티 체킹으로 발생한 update 문과 벌크 연산으로 발생한 update의 흐름이 궁금합니다. 기존에 setName() 이런식으로 엔티티의 속성을 수정하면 커밋시 플러시가 발생해서 최종적으로 더티체킹이 발생해 JPA가 알아서 update 쿼리를 날리고 벌크 연산 같은 경우에는 더티 체킹과 아무 상관없이 바로 update 쿼리를 날린다. 라고 이해를 했는데 맞게 이해한건지 궁금합니다.벌크 연산 같은 경우에는 바로 update 쿼리를 D에 보내는 방식이므로 영속성 컨텍스트에 있는 값에는 아무 영향을 끼치지 않나요?복수의 데이터를 변경하거나 삭제할때 벌크 연산을 사용하면 좋아보이는데요 복수의 복수 데이터는 어떻게 처리하는지 궁금합니다. 예를들어 게시글에 댓글이 여러개 달리는 구조고 게시글 하나 삭제 시 게시글에 달린 댓글들도 삭제되는 상황이라고 가정 하겠습니다. 이때 하나의 게시글을 삭제하면 벌크 연산을 사용하여 쉽게 댓글을 삭제하면 되지만 여러개의 게시글을 삭제할때는 어떻게 처리하면 좋을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Querydsl
QuerydslApplicationTests 오류가 자꾸 납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 이 부분 테스트할 때 자꾸 오류가 나네요...이 사진은 설정 파일인데 이걸 properties로 하던지, yml로 하던지 똑같이 오류가 납니다...근데 이상하게 아래 사진처럼 주석을 치면 오류가 안나더라고요..?주석치면 되는 문제가 안생기는 사실은 처음에 세팅할 땐 테스트에 문제가 없었는데, yml생성하고 실행시키니까 오류가 나서 알았습니다. 아래는 오류 문구입니다.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on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entityManagerFactory' defined in class path resource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orm/jpa/HibernateJpaConfiguration.class]: [PersistenceUnit: default] Unable to build Hibernate SessionFactory; nested exception is org.hibernate.MappingException: Could not instantiate id generator [entity-name=study.querydsl.entity.Hello]Caused by: jakarta.persistence.PersistenceException: [PersistenceUnit: default] Unable to build Hibernate SessionFactory; nested exception is org.hibernate.MappingException: Could not instantiate id generator [entity-name=study.querydsl.entity.Hello]Caused by: org.hibernate.MappingException: Could not instantiate id generator [entity-name=study.querydsl.entity.Hello]Caused by: org.hibernate.HibernateException: Could not fetch the SequenceInformation from the databaseCaused by: org.h2.jdbc.JdbcSQLSyntaxErrorException: Column "start_value" not found [42122-224]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Result.hasErrors()로 처리를 해도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Result.hasErrors()로 처리를 해도 등록페이지에 아무것도 안적고 제출누르면 회원 이름은 필수입니다가 떠야 하는데 안뜹니다 왜 그런걸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강의 9분 20초쯤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일대다는 페치 조인 사용시 데이터 뻥튀기가 발생한다. 그래서 여기에 페이징을 사용하면 안된다. 라고 얘기해주시고 9분 20초쯤에 이미지를 예시로 설명해주시면서 여기서 페이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1만 가져와 해서 첫번째 row만 조회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해서 사용하면 안된다 라고 설명해주셨는데요페이징 자체가 DB에서 데이터를 가져올때 필터링을 하기위해 사용하는거 아닌가요? 그래서 이미지에서 당연히 첫번째 row만 조회 되겠지 생각하고 페이징을 사용한다고 생각해서 잘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