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UI3 업데이트] 피그마 배리어블을 활용한 디자인 시스템 구축하기
[gif첨부] 아이콘 사이즈 설정 Instant swap property
안녕하세요.피그마에서 아이콘이 있는 버튼을 만드는데 어려움이 있어 문의드립니다.내용과 함께 gif를 첨부드렸는데 같이 확인부탁드립니다. 아이콘 사이즈 : 24 / 20px버튼 사이즈 : default / X-small아이콘 : Leading(앞) / Tralling(뒤)Instant swap property를 한후, ->Leading icon , ->Trailing icon을 사용하고 싶은데요.아이콘 사이즈도 자동으로 사이즈별로 관리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아이콘 Instant swap property를 하고나면, 사이즈가 하나로만 인식을 하는지 전체 사이즈가 변경되는 현상이 있습니다.사이즈별로 연동되지 않고 전체가 같이 바뀌는 현상이 있습니다(* 아래 처럼 20px 작은아이콘 영역을 Instant swap property 하면 24px로 커지게 됩니다.사이즈에서 설정을 바꾸면 기존에 큰 사이즈도 똑같이 따라가고 있습니다.)두개의 아이콘 사이즈를 각각 다르게 설정하는 방법을 찾고있는데 혹시 좋은 방법 있으시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잘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딥러닝 기반 이미지·객체 인식: CNN에서 YOLO·DETR까지
객체 인식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선생님.강의를 열심히 듣고 있던 중, 문득 그런 궁금증이 생겼습니다.코스매틱 브랜드 중, 여성들의 '아이브로우' 같은 경우 어떻게 객체 인식을 해줄 수 있을까? 에 대한 의구심이 들었습니다.'흑갈색', '갈색' 이거를 사람 육안으로 파악해도 색상보다는 텍스트로 인식하는 것이 더 빠른데, 이런 것은 어떻게 객체 인식을 하면 되는건가요? 바코드, 텍스트 이런 것들이 주어져 있지 않고, 오로지 색상만으로 구분 할 수 있습니까? 이런 것들에 대한 인식의 정확도를 99% 까지 올릴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빛의 반사, 포장지, 동그란 형태의 케이스에 대한 예외가 떠오릅니다.
-
미해결
n8n질문
안녕하세요. n8n고수님들 계시나요? 아니 저보다 다 잘하실것같은데 제발 제 고민좀 들어주십쇼ㅠㅠㅠ n8n으로 기안서 자동화 워크플로우를 짜보고있습니다. ai노드로 기안서초안을 짜고 그 정보를 json파일로 풀어서 제가 만든 구글시트 폼에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켜주는 워크플로우 입니다. { "type": "object", "properties": { "제목": { "type": "string" }, "내용": { "type": "string" }, "구입품목": { "type": "string" }, "합계금액": { "type": "number" }, "공급업체": { "type": "string" } }, "required": ["제목", "내용", "구입품목", "합계금액", "공급업체"]} 이게 json파일 양식이고 B7:H7 제목B9:H9 내용A11:H11 구입품목A13:H13 합계금액A15:H15 공급업체이게 양식이 위치할 구글시트 좌표입니다. 그런데 구글시트에 어떤노드로 어떻게 짜야 json정보값을 원하는 위치에 넣을 수 있는지모르겠습니다.http랑 googlesheet update row and sheet로 진행하는데 잘 안되네요 ㅠㅜㅠ 글만봐도 초보인게 느껴지시죠 ㅠㅠ제발 아무 조언이라도 부탁드려요ㅠ
-
미해결[플러터플로우] 실전! 앱 출시를 위한 끝장 노하우!
커스텀액션 maybeCreateUser 오류가 납니다.
전 질문 내용 검색해 보고 해도 안되는데요..확인 좀 부탁 드립니다.
-
미해결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심화편)
반복문의 기저조건(while)/경계조건(for)을 빠르게 설정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선생님, 먼저 좋은 강의 항상 감사드린다는 말씀부터 올립니다.현재 우선순위 큐와 힙 구현부분을 수강 중인데 반복문 구현이나 반복문 탈출 조건에 대해 선생님께서는 어떻게 생각하고 결정하시는지 질문드리고자 합니다. 저의 경우 구현 부분을 수강하면서 크게 두가지 생각을 가졌습니다(우선순위 큐와 힙 구현 부분 이외 다른 트리구조도 마찬가지이지만 대표적으로). 상황 1) 우선순위 큐와 힙 insert(데이터 삽입) 구현 시 루트노드가 아니며, 마지막 삽입 위치가 부모노드의 오른쪽에 있는 경우에, 오른쪽 형제노드를 구하기 위해 while 반복문 실행한다.이때, while(currentTree.getParentTree().getParentTree() != null){ ..으로 while 반복문의 기저조건을 설정해주었는데, 반복하면서 부모노드로 올라갈때 루트노드는 형제노드가 없으므로 그 이전까지 진행하는 기저조건으로 설정한다. 상황 1 구현하면서 생긴 문제점(의문점)) 기저조건을 currentTree.getParentTree()으로 최초 설정하였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수강내용을 천천히 살펴보았을때도, 루트노드의 경우와 그 이상의 범위탐색시 불필요한 반복문이 또 다시 실행된다는 점을 이해하기까지 시간이 오래 소요되었습니다. 질문요지) 선생님께서는 이러한 기저조건 설정(while문의 경우) 혹은 경계조건 설정(for문의 경우)을 어떤 과정으로 생각하고 구현하시는지 질문드리게 되었습니다.참고로 저의 경우, 현재 수강하면서 코드로 직접 구현할때 최대한 머릿속에서 구현과정을 그려가면서 이해하기 위해 노력중입니다(실제 코딩테스트 환경에서는 종이를 사용하지 못하기에 머릿속으로 구현과정을 이해하는 습관을 장착하고 있습니다).이때 기저조건(while 반복문) 말고도 for 반복문을 사용할때 이에 대한 경계조건(<, <= 등의 사용을 고려하는 것까지)을 설정하기 위해 3~4번의 반복문을 머릿속에 생각하고 지워가면서 힘들게 구현하고 있는데, 선생님께서는 이를 어떻게 구현하고 계시는지 문득 궁금하게되어 질문드리게 되었습니다.아직 이런 알고리즘이 익숙치 않아 생긴 의문일까요? 알고리즘을 많이 살펴본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기본적인 부분부터 탄탄하게 잡고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인데, 지금 이 부분이 오래 걸리다보니 소요시간을 줄이기 위한 노하우를 여쭙고 싶습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편)
안녕하세요!! 강사님 혹시 RBAC 관련 내용도 강의에있나요..?
안녕하세요!! 강사님 혹시 RBAC 관련 내용도 다른 강의에있나요..?
-
미해결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파이썬 입문 (Inflearn Original)
print(id(m) == id(n)) --> False
저는 False 가 나옵니다.찾아보니 False가 정상이고 True는 캐싱으로 설명이 나옵니다. (256보다 큰 숫자이므로 작은 정수 캐싱 범위에 해당하지 않음)강사님 설명 부탁합니다. m = 800 n = 800 print(id(m)) print(id(n)) print(id(m) == id(n))
-
미해결RAG를 활용한 LLM Application 개발 (feat. LangChain)
벡터db 저장 문제
안녕하세요! 현재 3.6강까지 수강하였습니다.저는 llm 모델은 ollama의 exaone을 사용했고 임베딩 모델은 HuggingFaceEmbeddings 모델을 사용했습니다.Pinecone 콘솔로 들어온 데이터를 보고 있는데, 사진처럼 같은 게 2개씩 들어갔더라구요. 질문도 최대한 맞춰보려고"거주자의 종합소득이 5천만원일 때 소득세는 얼마인가요?" 라고 하였는데''제공된 문서들은 주로 다양한 유형의 소득과 관련된 조세 규정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특정 종합소득세율 테이블이나 5천만 원 소득에 대한 정확한 세액 계산 정보는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이런식으로 답변이 나왔습니다. 이것은 단지 llm모델과 임베딩 모델에서 생긴 문제인 걸까요? 여기서 어떻게 더 해야할지 모르겠어서 질문남깁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타입스크립트 입문 - 기초부터 실전까지
vscode eslint server 오류
ESLint server is starting. 2025-10-31 16:07:45.117 [info] ESLint server running in node v22.19.0 2025-10-31 16:07:45.120 [info] ESLint server is running. 2025-10-31 16:07:46.021 [info] ESLint library loaded from: /Users/ijinseob/learn-typescript/node_modules/eslint/lib/api.js 2025-10-31 16:07:46.026 [error] An unexpected error occurred: 2025-10-31 16:07:46.026 [error] Error: Could not find config file. at assertConfigurationExists (/Users/ijinseob/learn-typescript/node_modules/eslint/lib/config/config-loader.js:80:17) at LegacyConfigLoader.loadConfigArrayForFile (/Users/ijinseob/learn-typescript/node_modules/eslint/lib/config/config-loader.js:414:3) at async ESLint.lintText (/Users/ijinseob/learn-typescript/node_modules/eslint/lib/eslint/eslint.js:1123:4) at async /Users/ijinseob/.vscode/extensions/dbaeumer.vscode-eslint-3.0.16/server/out/eslintServer.js:1:189380 at async O (/Users/ijinseob/.vscode/extensions/dbaeumer.vscode-eslint-3.0.16/server/out/eslintServer.js:1:182146) at async /Users/ijinseob/.vscode/extensions/dbaeumer.vscode-eslint-3.0.16/server/out/eslintServer.js:1:29208 at async /Users/ijinseob/.vscode/extensions/dbaeumer.vscode-eslint-3.0.16/server/out/eslintServer.js:1:11102 2025-10-31 16:07:55.052 [error] An unexpected error occurred: 2025-10-31 16:07:55.053 [error] Error: Could not find config file. at assertConfigurationExists (/Users/ijinseob/learn-typescript/node_modules/eslint/lib/config/config-loader.js:80:17) at LegacyConfigLoader.loadConfigArrayForFile (/Users/ijinseob/learn-typescript/node_modules/eslint/lib/config/config-loader.js:414:3) at async ESLint.lintText (/Users/ijinseob/learn-typescript/node_modules/eslint/lib/eslint/eslint.js:1123:4) at async /Users/ijinseob/.vscode/extensions/dbaeumer.vscode-eslint-3.0.16/server/out/eslintServer.js:1:189380 at async O (/Users/ijinseob/.vscode/extensions/dbaeumer.vscode-eslint-3.0.16/server/out/eslintServer.js:1:182146) at async /Users/ijinseob/.vscode/extensions/dbaeumer.vscode-eslint-3.0.16/server/out/eslintServer.js:1:29208 at async /Users/ijinseob/.vscode/extensions/dbaeumer.vscode-eslint-3.0.16/server/out/eslintServer.js:1:11102extension 설치는 했는데 config 설정에서 계속 뭔가 안되네요ㅠ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낙관적 락을 사용할 떄 차이점
@Version만 붙여도 자동으로 낙관적 락을 적용 시켜주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근데 강의에서는 @Lock(LockModeType.OPTIMISTIC) 을 이용해서 조회 시점부터 락을 거는 이유가 있을까요?@Lock(LockModeType.OPTIMISTIC) 를 제거하고 동시성 테스트 했을 떄도 정상적으로 돌아가긴 합니다.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혹시 pk 외 별도의 id 를 부여한 이유가 있을까요 ??
안녕하세요. user, catalog, order 를 보면 엔티티에서 pk 대신 별도의 유니크키를 사용하고 있는데,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 ??이 별도의 유니크 키가 어그리거트 루트로 사용되는걸까요 ??
-
미해결버그헌팅과 시나리오 모의해킹 전문가 되기
zenmap 설치 오류
zenmap 설치 과정에서 이렇게 결과가 나오는데 어떻게 해결해야 될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ㅠ 칼리 버전은 2025.2 입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애그리거트의 repository
안녕하세요 토비님! 애그리거트를 사용할 때 질문 사항이 있습니다.예) A도메인 B도메인이 있다 A는 애그리거트 루트이고 B는 A의 부속 엔티티이다.A와 B는 일대다, 다대일의 양방향 의존성을 가진다.B는 A를 통해서만 조작될 수 있다.이 때 B를 생성하거나 업데이트 할 때 B의 repository는 어디에 존재해야 하는가?@Entity public class A { @OneToMany(mappedBy = "media", cascade = CascadeType.ALL, orphanRemoval = true) private List<B> bs = new ArrayList<>(); public void updateNumber(long n){ this.bs.stream().forEach(b -> b.update(n); } } @Entity public class B {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private A a; private long number; public void update(long n){ this.number = n; } } 이렇게 되어 있다고 할 때 변경 가능성을 생각할 때(물론 엔티티에서 이미 jpa에 기술을 사용하고 있긴하지만) B의 repository를 따로 가지는게 맞나요? 만약 따로 가진다면 B의 repository가 A repository에서 의존하여 처리 되어야 하나요?jpa에 완전 종속적으로 사용하면 B가 따로 repository를 가질 필요 없는데 순수함을 유지하지 하려 하니 이 부분에서 고민이 되네요. 아니면 이런 고민 자체가 잘못된걸까요?
-
미해결버그헌팅과 시나리오 모의해킹 전문가 되기
nmap 오류 관련 질문입니다.
이런 식으로도 결과가 나올 수 있나요? 칼리 버전은 2025.2 입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래퍼클래스 박싱 출력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자바 래퍼클래스 강의를 듣다가 궁금해서 질문 남깁니다. 래퍼클래스 생성 (=박싱)하고나서 변수를 출력을 해보면 생성자에 주었던 값이 출력되게 되는데요.래퍼 클래스는 기본형을 객체화 시킨것이라고 알고 있고, 그렇기 때문에 변수에는 객체기 때문에 참조값이 들어가야한다고 알고있는데 왜 참조값이 아닌, 객체에 들어있는 멤머 변수 값이 출력이될까요?ㅠ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서버 인프라 관련 질문 (1)
안녕하세요!항상 좋은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서버 인프라를 어떻게 설계해야할 지 판단이 잘 안서서 이렇게 질문드립니다.제가 개념이 미숙하다보니 제 생각에 대한 설명이 뭔가 중구난방할 수 있다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일단 첫번째로 생각하고 있는건 ELB, Nginx에 대한 고민입니다. 내용이 길어서 질문은 나눠서 올리려고 합니다.제 머릿 속에 있는 걸 그냥 그대로 끄집어낼게요. ELB로 EC2에 직접 접근 (Client -> ELB -> Spring Boot) ELB를 80/443 으로 열고, http에 대한 타겟그룹을 8080로 설정한 후 EC2 쪽 인바운드는 8080만 열어야 하는가?ELB는 WAS가 아니라서 Nginx처럼 리액트 빌드 결과물 (정적파일)을 서빙 못하지 않을까?그럼 S3 파트에서 배웠던 내용대로 S3 + Cloud Front 방식으로 리액트 결과물 내보내야 할까?https 설정은 Nginx 대비 이게 더 편한거같음 Nginx만 사용 (Client -> WAS (Nginx) -> Spring Boot & React)ELB 대비 https 인증이 경험 상 상당히 까다로웠음 (자동 인증사 만료 처리도 해야하고...)EC2 안에서 React까지 처리하기 좋았음이 경우는 인바운드를 80/443 열고 nginx 에서 reverse proxy ELB + Nginx 사용 (Client -> ELB -> Nginx -> Spring Boot & React)ELB는 로드밸런서 역할과 https 인증 담당용 (로드밸런싱은 추후 확장가능성 염두, https 인증은 elb가 더 쉬우니까)Nginx는 내부에서 리버스 프록시 적용https 처리는 elb가 쉬우니까 이거 쓰고, 리버스프록시와 정적 파일 서빙은 nginx에게 위임하겠다는 취지만약 이럴 경우, ELB는 80/443 열고 EC2는 80만 허용하면 되는건가? 그러면 80->443 리다이렉션하고 443은 타겟그룹 80을 향해 들어가면, EC2에서 80으로 들어온 요청을 nginx가 리버스 프록시어떤게 적절한 선택일지 고민중입니다.서버 인프라를 구성하기 위해 참조할 만한 자료로 깃헙을 찾아보니, 다른 프로젝트 아키텍처 보면 다 2번처럼 하는 것 같았습니다. 근데 실습을 했을 때 ELB가 https 인증이 너무 쉽게 되었던게 매력적이었어서 차마 2번 방식에는 손이 잘 안갑니다. 근데 1번만 하자니, 과연 1번만으로 충분할까? 라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ELB랑 Nginx를 혼합해서 쓸까라는 생각까지 이어진건데요. 3번은 저 생각대로면 각자의 편의를 챙겨가기는 하지만 좀 더 복잡한 아키텍처같은 생각도 들어요. 우선 각각의 생각에 오류가 있는지, 그리고 전문가의 식견으로 봤을 때 어떤게 더 나은 접근인지 여쭤보고싶습니다. 어려운게 있으면 항상 박재성님 강의부터 찾습니다. 늘 도움받아갑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서버 인프라 관련 질문 (2)
안녕하세요!항상 좋은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서버 인프라를 어떻게 설계해야할 지 판단이 잘 안서서 이렇게 질문드립니다.제가 개념이 미숙하다보니 제 생각에 대한 설명이 뭔가 중구난방할 수 있다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고민하고 있는건 EC2 등 모델 선정입니다. 그리고 RDS, ElastiCache 도입여부 또한 고민중입니다.제 프로젝트는 거의 싸이월드 같은 사이트를 만들어야 하는 상황입니다.알림, 조회수, 좋아요 기능, 파일 업로드, 스트리밍, 게시판, 댓글 등이 주된 기능입니다.(이때 파일 업로드는 multipart/form-data 업로드와, 동영상과 같은 대용량 파일 처리를 위한 AWS Multipart Upload 방식으로 나뉩니다.) 한번 AWS 강의에서 배운걸 다 써먹어보고 싶어서 EC2, RDS, S3, ElastiCache 도입을 상정해봤습니다. 초기 단계 모델을 먼저 결정한 후 K6 등으로 동시접속자 수 100명 200명 300명 순으로 테스트를 진행해서 스케일업을 고려중입니다. (데모 시연도 하고, 실제로 한달 간 출시도 해봐야해서요)구상중인건 다음과 같습니다. 1단계 (개발 중) ::CI/CD용 : t4g.small (EBS 있으니까 여기 안에서 Redis랑 DB, 서버 다 돌림) + S3 2단계 (개발 완료 후 배포) ::실제 운영 테스트용 :Case 1. t4g.small + S3 (CI/CD용 그대로)Case 2. t4g.small + RDS + S3 (Redis는 EC2 안) (RDS는 EC2모델과 같은 사양으로)Case 3. t4g.small + RDS + S3 + ElastiCacheCase 4. t4g.medium + RDS + S3 + ElastiCache 근데 Case 3까지만 가도 AWS 계산기 돌려보니 월 10만원이 조금 넘더라구요. RDS에서 프록시나 Insights 설정 빼고 SingleAZ로 변경한게 저 수준이었습니다. 너무 비싸더라구요. Case 4는 한 17만 7천원 나오더라구요... RDS가 많이 비싼 것 같습니다.비용이 비정상적인게 아니라면, 그대로 진행해도 전 좋습니다. 배움에 돈아끼면 안된다고 생각하거든요.근데 그게 오버스펙이나 비정상적인 설계로 비용이 많이 나오는건 별개의 문제잖아요. 그래서 결국 어떻게 서버 인프라를 구축할지에 대한 고민이 많습니다.비용이 제 기준에서는 높지만 남들 기준에선 높은게 아닐 수도 있고, 아니면 정말로 너무 높게 나온걸 수도 있어서 정상적으로 프로젝트에 맞게 아키텍처를 구축한게 맞는지, 잘못되었다면 어떻게 조정해야할지에 대한 판단이 어렵습니다. 실례가 안된다면, 지금 제가 어떤 문제가 있는지, 제 상황에선 어떤 아키텍처가 적절한지 설명부탁드려도 될까요? 이건 저 생각이 들기까지의 내용들을 정리한 노션 페이지입니다.https://hooby.notion.site/Server-Infra-Setup-28af6c063f3e80b7a8c3d653add0c068
-
미해결[신규 개정판] 이것이 진짜 크롤링이다 - 실전편 (인공지능 수익화)
원하는 값이 없을 때
안녕하세요 강의 잘 수강하고 있습니다.현재 subject, link, content, press, date를 추출하는데 만약 해당 값들 중 하나가 없다면 검증은 어떤 식으로 하시나요??제가 생각한 방법은 pydantic으로 검증하여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는데 너무 오버엔지니어링인지 강사님은 어떻게 유연하게 처리하는지 궁금합니다. 예시를 들기 위해 pydantic으로 한 코드 첨부합니다. from typing import Annotated import requests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from urllib.parse import urljoin, urlencode from datetime import datetime from pydantic import AfterValidator, BaseModel, HttpUrl, field_validator def non_empty_str(v: str) -> str: s = (v or "").strip() if not s: raise ValueError("빈 문자열입니다.") return s def valid_url(url: str) -> str: try: response = requests.get(url) # throw error if status 4xx, 5xx response.raise_for_status() return url except Exception as _: raise ValueError("유효하지 않은 URL입니다.") def valid_date(date: str) -> str: v = (date or "").strip() if not v: raise ValueError("빈 문자열입니다.") try: datetime.strptime(v, "%Y-%m-%d %H:%M:%S") return date except ValueError: raise ValueError("유효하지 않은 날짜 형식입니다.") class NewsItem(BaseModel): subject: Annotated[str, AfterValidator(non_empty_str)] detail_article_url: Annotated[str, AfterValidator(valid_url)] content: Annotated[str, AfterValidator(non_empty_str)] press: Annotated[str, AfterValidator(non_empty_str)] article_date: Annotated[str, AfterValidator(valid_date)] ROOT = "https://finance.naver.com/" PATH = "news/mainnews.naver" def get_news_page_url(page: int, date: str): base_url = urljoin(ROOT, PATH) query_string = urlencode({"date": date, "page": page}) return f"{base_url}?{query_string}" def get_detail_news_url(path): return urljoin(ROOT, path) def get_current_date(format: str ="%Y-%m-%d") -> str: now = datetime.now() return now.strftime(format) def crawl_news_per_page(soup: BeautifulSoup): result = [] news_per_page = soup.select(".block1") for article_card in news_per_page: # subject subject = article_card.select_one(".articleSubject > a").text # detail article link detail_article_url = get_detail_news_url(article_card.select_one(".articleSubject > a").get("href")) # content content_tag = article_card.select_one(".articleSummary") content = content_tag.contents[0].strip() press = content_tag.select_one(".press").text.strip() article_date = content_tag.select_one(".wdate").text.strip() new_item = NewsItem(subject=subject, detail_article_url=detail_article_url, content=content, press=press, article_date=article_date) result.append( new_item.model_dump() ) return result def crawl_all_news(page_total_count: int, date: str): result = [] for page in range(1, page_total_count + 1): request_url = get_news_page_url(page, date) response = requests.get(request_url) soup = BeautifulSoup(response.text, "html.parser") result.extend(crawl_news_per_page(soup)) # 마지막 페이지 검증 if (not soup.select_one(".pgRR")): break return result all_news = crawl_all_news(20, get_current_date()) print(all_news)
-
미해결자격취득과 실무! 한 방에 경영정보시각화(실기) 태블로
A형 1차시 작업준비 2번문제는 왜 건너뛰시나요?
난이도가 쉬워서 다루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셔서 강의에서 다루지 않는건지, 무슨 이유인지는 모르지만 시험 문제로 다루고 있는 부분을 왜 건너뛰시는지 이해가 안가네요? 다른 차시도 그렇고 편집에 문제가 있는 강의네요. 수정을 하든 왜 건너뛰셨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캐글 데이터 코랩에서 불러오기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캐글에 있는 문제들 코랩에서 풀어보려고하는데 데이터를 어떻게 불러와야하는지 모르겠어요ㅜ깃허브 URL이나 이런건 없나요? import pandas as pd import numpy as np df = pd.read_csv('../input/titanic/train.cs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