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정규형대해서
1정규형부터 bcnf까지 강의 잘 들었습니다.그런데.. 궁금한 것은 기본키를 자연키가 아닌 대체키로 한다고했을 때, 그때도 제1정규형부터 bcnf까지 똑같이 그 개념이 적용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설치 후 시스템 설정에서 MySQ 메뉴에서 active instance
설치 후 시스템 설정에서 MySQ 메뉴에서 active instance를 유지하고 빨간색 초록색 왔다갔다 하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외래키사용
영한님 안녕하세요. 실무에서는 외래키가 테이블간에 관계를 끈끈하게 해서 잘 사용을 하지않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강의를 보면 테이블간에 유연한 관계를 두는것이 좋은 설계라고 하시던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개념반]배워서 바로 쓰는 SQL 쿼리
실습 문제 20번) 구문 작성 오류 관련 문의사항
select country, count(*)from customersgroup by country;위의 구문을 작성했을 때는 정상적으로 작동이 되었는데, 왜 count(distinct customerID) 구문을 넣었을 때는 오류 표시가 나는 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1:N 에서의 연관 엔티티 필요성
안녕하세요! 수업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 연관 엔티티는 1:N 관계에서가 아니라 N:M 관계에서만 필요하다고 알고 있으면 될까요 ?아니면 상황에 따라서는 1:N 에서도 연관 엔티티를 필요로 하나요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Store 엔티티를 추가했을 때의 관계
안녕하세요 영한님!강의를 들으면서 쇼핑몰 요구사항을 조금 더 확대해서 직접 모델링해보고 있습니다. (Store, Delivery, ...)엔티티를 분류하고 개념적 모델링, 논리적 모델링을 진행하면서 몇 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현재 강의에서는 Order - OrderItem - Product 관계가 존재했고,만약 Store와 Product 사이에 "무엇"을 등록한다 라는 관계가 존재한다면,Order - OrderItem - Product - Store 이렇게 관계가 형성될 것 같습니다. 질문 1. Order와 Store 관계Order와 Store 사이에, "어디에서" 주문한다 라는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비즈니스 적으로 의미가 있는지에 따라 관계 여부를 결정하는게 맞을까요?) 질문 2. 만약에 관계가 존재한다고 생각하면 Order와 Store를 직접적으로 관계를 맺어주는게 좋을지, 아니면 그래프 탐색을 통해 관계를 참조하는게 좋을 지 궁금합니다.사실 Order - OrderItem - Product - Store 순으로 모두 Join 하면, 직접적인 연관관계를 맺지 않아도 원하는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데요. 만약에 Order와 Store만으로 구성된 화면이 존재하거나, Store 정보를 바탕으로 Order를 필터링 해야한다면, Order에 Store의 식별자를 가지고 있으면 편하게 조회할 수 있을 것 같더라고요.다만, 이렇게 되면 화면이나 Api에 의존적이게 모델링되는 것 같은데, 이러한 설계 방식이 괜찮은 방식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간단한 오타 제보
항상 잘 듣고 있습니다서브쿼리 pdf 문제 3번from절에 별칭 o가 빠져있네요case문 pdf 문제 4번문제 요구사항에 fashion_orders가 빠져있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pk 현대적인 설계관련해서 궁금한게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영한님 현대적인 설계는 대리키를 PK 로 두라고 하셨습니다.그 이유는 성능적인 측면으로 봤을때 자연키를 PK 로 두면 중간삽입이 자주 발생하여 페이지 단편화가 발생한다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대리키로 AUTO-INCREMENT 를 주로 사용하시던데 일자-순번을 대리키로 사용해도 되나요? 등록된 일자와 그 일자의 순서에 따른 순번으로 PK 를 따는것도 괜찮은 방법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order_date 조건에 비교 연산자 대신에 와일드카드 사용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조인 종합 실습 파트에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때,where u.address LIKE '서울%' AND o.order_date LIKE '2025-06%';으로 작성했을 때 똑같이 동작하는 것 같아서 질문합니다. 이렇게 사용했을 때는 또다른 문제가 있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다대다 엔티티 질문
수업 시간중에 속성이 있을때랑 속성이 없을때에 다대다 연결 방식이 다르다고 하셨는데, 그러면 다대다 연결이고 속성이 없으면 철저히 "연관 엔티티" 라고 말하면 안되는 건가요? 약간 말장난처럼 느껴져셔 헷갈려요ㅠㅠ ++ 질문모든 테이블은 반드시 하나의 primary key 만을 가져야하나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초보자를 위한 BigQuery(SQL) 입문
espanso 설치 완료 후 프로그램 실행 문제
espanso 설치는 분명히 되었는데 프로그램이 실행이 안됩니다ㅠㅠ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도 계속 안되고 cmd에서 path를 입력해보고 수업시간에 배우는 걸 모두 입력해도 저런 결과가 나옵니다. 해결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SW 개발자를 위한 성능 좋은 SQL 쿼리 작성법
BETWEEN과 부등호 질문
BETWEEN을 사용할 떄와부등호로 사용해서 같은 범위를 사용해서 조회할 떄성능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실무에서 MySQLWorbench 사용 여부
데이터베이스 접속 및 쿼리 실행도구로 DBeaver 를 주로 사용해왔고, 개인 학습 시에 Datagrip을 사용하곤 하는데요. 실무에서 MySQL사용 시에 MySQLWorbench 도 많이 사용하시나요? 사용한다면 어떤 장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입문 - 모든 IT인을 위한 SQL 첫걸음(SQL부터 차근차근)
primary key는 테이블 당 하나만 존재할 수 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데이터베이스 시작] - [제약 조건] 강의에서 primary key는 테이블 당 단 하나만 존재할 수 있다는 게 무슨 말일까요? a열과 b열를 한 쌍으로 함께 primary key로 지정할 수 있지 않나요? 이해가 잘 안 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외부조인 실습 1번 img오타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사님~!외부 조인 강의를 듣다가, 오타를 발견해 글을 남깁니다. 오타 위치: 3. 조인2 - 외부 조인과 기타 조인.pdf오타 페이지: 11페이지/64오타 부분: users LEFT JOIN orders의 결과 설명 이미지에서 빨간 점선 네모칸 아래 orders 영역 과 users 영역의 위치가 바뀌었습니다. 왼쪽이 users 영역이고, 오른쪽이 orders 영역인 것으로 보입니다. [마무리]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넘 재밌어용
-
해결됨SQLD 자격대비 과정
외래키 제약조건-참조동작 질문
이부분에서 노액션은 참조무결성을 위반하는 경우에 지우지 못하는거라서 만일 부모테이블에서 특정 PK값을 지우는데 자식테이블에 그 PK값이 없다면 부모테이블에서 지울수 있지 않나요? RESTRICT과 동일하게 작용하는거 아닌가 싶어서요..
-
미해결정보처리기능사 필기
최근 모의고사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 주세요. 선생님~ 마지막 강의까지 수강을 했는데요강의 말미에 5회분 모의고사 꼭 풀어보라고 말씀주셨는데혹시 어디에 있는지 여쭤봐도 될까요?(아직 챕터별 퀴즈는 안풀어봤는데 그게 모의고사일까요?)
-
미해결JPA (ORM) 개발자를 위한 고성능 SQL (High-Performance SQL)
Transactions(5) - Skip Locked 무한 인코딩 현상
무한 인코딩 되서 정상적으로 시청이 안됩니다 ㅠ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입문 - 모든 IT인을 위한 SQL 첫걸음(SQL부터 차근차근)
drop과 truncate
drop과 truncate 부분을 설명하다가 delete from과 truncate 비교를 하는데요. drop과 delete from이 같은걸까요? 초보자라서 그 차이점을 잘 모르는데 갑자기 drop 얘기하다가 그 아래에는 delete from이 니와서 이해가 잘 안됩니다.
-
해결됨BigQuery(SQL) 활용편(퍼널 분석, 리텐션 분석)
3-13 리텐션 과제 제출
3-13 리텐션 과제 제출합니다!https://www.notion.so/13-22f60e878b2580c097eaf0e1eb15d73c?source=copy_link 혼자 쿼리를 쓰다가 고객 정의를 내리고 나니 너무 어려워 AI의 도움도 받고, 여러 방법으로 좀 접근을 해봤습니다만.. 정의를 너무 어렵게 내린 것 같아 시간이 오래 걸렸네요ㅠㅠ 서비스나 업종마다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신규, 활성, 복귀, 휴면 유저에 대한 정의는 어떻게 내리고, 분석을 어떤 식으로 진행하는 건가요? 과제를 진행하긴 했으나 쿼리가 제대로 작성된 게 맞는지 분석을 올바르게 한 게 맞는지 너무 어렵군여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