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PageResponseDTO 질문이 있습니다.
package com.example.backend.mallapi.dto; import lombok.Builder; import lombok.Data;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stream.Collectors; import java.util.stream.IntStream; @Data public class PageResponseDTO<E> { private List<E> dtoList; private List<Integer> pageNumList; private PageRequestDTO pageRequestDTO; private boolean prev, next; private int totalCount, prevPage, nextPage, totalPage, current; @Builder(builderMethodName = "withAll") public PageResponseDTO(List<E> dtoList, PageRequestDTO pageRequestDTO, long totalCount) { this.dtoList = dtoList; this.pageRequestDTO = pageRequestDTO; this.totalCount = (int)totalCount; int end = (int)(Math.ceil( pageRequestDTO.getPage() / 10.0 )) * 10; int start = end - 9; int last = (int)(Math.ceil((totalCount/(double)pageRequestDTO.getSize()))); end = end > last ? last: end; this.prev = start > 1;//1보다 크면 참 밑에 if문 실행. this.next = totalCount > end * pageRequestDTO.getSize(); this.pageNumList = IntStream.rangeClosed(start,end).boxed().collect(Collectors.toList()); // start부터 end까지 연속된 숫자 스트림(IntStream)을 생성 // rangeClosed(a, b): a부터 b까지 포함 // IntStream은 기본형 int 스트림이기 때문에, // 객체형 리스트(List<Integer>)로 변환하기 위해 .boxed()를 사용. // 스트림을 리스트로 변환하는 역할 if(prev) { this.prevPage = start -1; } if(next) { this.nextPage = end + 1; } this.totalPage = this.pageNumList.size(); this.current = pageRequestDTO.getPage(); } }위에 코드를 옆에처럼 디버깅할려면(https://www.youtube.com/watch?v=OHrLRg150As )즉 step over로 사용도 하면서 한 줄 한 줄 씩 어떻게 실행되는 지 보고 싶은데 아래와 같이 에러가 나옵니다.혹시 스프링부트를 사용하면 디버거 모드가 활성화가 안되나요? 아래 사진을 보시면 38번째 줄에 브레이크 포인트 표시 해놨고 우측 상단에 디버그 모드도 실행되어있는데 중앙에 네모박스처럼 step over 모드가 비활성화 되어있습니다. 한 줄 한줄씩 디버깅을 할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부트 시큐리티 & JWT 강의
13:23 system.out 출력문이 다르게 나옵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강의 내용처럼 userDetails : User(id=1, username=ssar, , 이렇게 뜨지 않고 아래와 같이 출력됩니다.userDetails : com.myproject.BasicBoard.entity.User@2c6c7d57 getDetails.getUser() authentication 출력문도 마찬가지입니다.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product image
안녕하세요 강의를 기반으로 작업을 하다 궁금한점이 생겨서 product - modify에서 사진을 모두 삭제하고 저장을 해두거나product - register에서 사진이 없는상태로 저장을 해두면 @Query("select p, pi from Product p left join p.imageList pi where pi.ord = 0 and p.delFlag = false ") Page<Object[]> selectList(Pageable pageable);ProductRepository에서 selectList 쿼리부분의 ord = 0인 설정만 만 호출하게 되버리는데 이때 이미지리스트 테이블에서 이미 ord가 없는 게시물은조회가 되지 않습니다..ord가 이미 없는 게시물은 delFlag가 false임에도 조회가 되지않습니다... 강의 목표는 아마도 default.jpeg 가 나와야 정상인거같은데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처음엔 서비스에서 imageStr이 없으니 imageStr을 강제로 default.jpeg로 설정해봤지만 어차피 조회되지 않아서 의미가 없었습니다.쿼리를 수정해봐야 할까요 ..??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npx tailwindcss init 가 안되네요.
강의대로 npx tailwindcss init 을 하게되면 'tailwind'은(는) 내부 또는 외부 명령,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배치 파일이 아닙니다. 라고 뜨네요. 어떻게 해결 방법이 없을까요?vscode 재시작해봐도 똑같네요.구글링 해보니, 환경변수에 nodejs 경로를 path에 추가하라고 하는데, 이미 추가되어있구요.아, node버전이 기존에 18버전이 설치되어 있어서 그건 새로 설치하지는 않았습니다.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outlet을 이용한 서브메뉴 강의에서 질문있습니다.
outlet을 이용한 서브메뉴에서 질문있습니다.main <-이 부분이 부모페이지고list add <-서브페이지면list page component<-자손페이지 인가요?강의에서 IndexPage.js에서 <Outlet/> 부분에 ListPage.js 코드가 들어가 있는 형태인거 같은데요.근데 제가 아래처럼 작동해봤을 떄 Todo List Page Component 이 부분이 안나오는데요.코드 어디가 문제인가요? 코드 복붙했는데요.아래는 IndexPage.js 코드입니다.import { Outlet } from "react-router-dom";import BasicLayout from "../../layouts/BasicLayout";const IndexPage = () => {return (<BasicLayout><div className="w-full flex m-2 p-2 "><div className="text-xl m-1 p-2 w-20 font-extrabold text-center underline">LIST</div> <div className="text-xl m-1 p-2 w-20 font-extrabold text-center underline">ADD</div></div><div className="flex flex-wrap w-full"><Outlet/></div></BasicLayout>);}export default IndexPage;아래는 ListPage.js 코드입니다.import React from 'react'export default function ListPage() {return (<div className="p-4 w-full bg-orange-200 "><div className="text-3xl font-extrabold">Todo List Page Component</div></div>)}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자꾸만 이런식으로 에러가나는데 이유점 알려주세요 ㅠㅠㅠ
살려주세요 선생님..ㅠ
-
미해결[초급] 찍어먹자! 코틀린과 Spring Security + JWT로 회원가입 만들기
로그인 후 Token 발행 시 postman 에러메시지
안녕하세요. 본 수강 열심히 잘 듣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제가 Postman으로 로그인하고나서 Token을 발행할 시에 postman에 테스트해본 결과 결과코드는 SUCCESS라고 나오고 data에도 Bearer에 토큰이 들어간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러나 메시지에는 정상완료가 아닌 에러가 발생했다고 해서 제가 아무리 코드를 확인하였지만 어디부분에서 잘못된건지 확인이 힘들었습니다. 사실은 선생님께서 보내주신 파일을 업로드안하고 강의보면서 제가 직접 코드를 타이핑쳤었는데 손코딩을해서 그런지 오타가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불가피하게 파일을 덮어씌우는게 좋을까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vite + react <MainPage/> intelij
안녕하세요 인텔리제이 사용중인데create react app으로 하게 되면 더이상 지원하지 않는다 하여 vite + react로 적용해서 프로젝트 만들어서 하고 있습니다현재 2강 React-Router 이용해서 메인 페이지 띄우는 작업중인데 오류가 발생하여 진행이 안됩니다 그리고 매번 강의 때마다 오류 수정하느라 강의가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의는 더이상 업데이트 계획이 없으실까요? 리액트 프로젝트 생성부터 막혀서 진행이 원할하게 되지않습니다 환불하고 싶은데 기간도 지나서 환불도 안되고 답답하네요 매번 이런식으로 물어보면서 수정해야 하나요?? 매뉴얼이라도 만들어주세요 정말 불편합니다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9강 kakao api로 아이디 생성 후 오류
9강 리액트 사용자 정보 수정 중에 kakao api 연동해서 그전까지 잘되는데, 디비에 카카오 사용자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로그인을 하면 디비에 member와 member_member_role_list 두 테이블 사용자가 잘 생성됩니다. 서버에는 getClaims 함수실행에서 오류가 발생하고 DTO에 정보를 못찾는다는거 같은 오류인거 같은데화면상에는 이렇게 나옵니다.새로고침 후의 상태이고그냥 localhost:3000 으로 다시 들어가서 로그인을 하면 디비에는 카카오사용자가 생성이 된 상태라 로그인이 잘됩니다.... 원인이 무엇일까요@GetMapping("/api/member/kakao") public Map<String, Object> getMemberFromKakao(String accessToken) { log.info("access Token : {}", accessToken); MemberDTO memberDTO = memberService.getKakaoMember(accessToken); Map<String, Object> claims = memberDTO.getClaims(); String jwtAccessToken = JWTUtil.generateToken(claims, 10); String jwtRefreshToken = JWTUtil.generateToken(claims, 60 * 24); claims.put("accessToken", jwtAccessToken); claims.put("refreshToken", jwtRefreshToken); return claims; }public Map<String, Object> getClaims() { Map<String, Object> dataMap = new HashMap<>(); dataMap.put("email", email); dataMap.put("pw", pw); dataMap.put("nickname", nickname); dataMap.put("social", social); dataMap.put("roleNames", roleNames); return dataMap; }import axios from "axios" import { API_SERVER_HOST } from "./todoApi" const rest_api_key = `` const redirect_uri = `http://localhost:3000/member/kakao` const auth_code_path = `https://kauth.kakao.com/oauth/authorize` const access_token_url =`https://kauth.kakao.com/oauth/token` export const getKakaoLoginLink = () => { const kakaoURL = `${auth_code_path}?client_id=${rest_api_key}&redirect_uri=${redirect_uri}&response_type=code` return kakaoURL } export const getAccessToken = async (authCode) => { const header = { headers: { "Content-Type":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 } const params = { grant_type: "authorization_code", client_id: rest_api_key, redirect_uri: redirect_uri, code: authCode } const res = await axios.post(access_token_url, params, header) const accessToken = res.data.access_token return accessToken } export const getMemberWithAccessToken = async (accessToken) => { const res = await axios.get(`${API_SERVER_HOST}/api/member/kakao?accessToken=${accessToken}`) return res.data }rest_api_key에 restkey입력되어있습니다.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DTO 설정과 서비스계층 만들기 강의에서 TodoServiceTests를 실행시켰는데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강의를 따라서 코딩하고 실행시켜 봤는데 아래와 같은 내용으로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어떤 곳이 문제가 있는 알려 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혹시 확인하고 싶으신 게 있다면 알려 주셨으면 합니다. :: Spring Boot :: (v3.4.1)2025-02-11T11:28:59.109+09:00 INFO 2836 --- [apiserver] [ Test worker] o.z.apiserver.service.TodoServiceTests : Starting TodoServiceTests using Java 21.0.5 with PID 2836 (started by zzamp in C:\Users\zzamp\Desktop\apiserver\apiserver)2025-02-11T11:28:59.110+09:00 INFO 2836 --- [apiserver] [ Test worker] o.z.apiserver.service.TodoServiceTests : No active profile set, falling back to 1 default profile: "default"2025-02-11T11:28:59.445+09:00 INFO 2836 --- [apiserver] [ Test worker] .s.d.r.c.RepositoryConfigurationDelegate : Bootstrapping Spring Data JPA repositories in DEFAULT mode.2025-02-11T11:28:59.484+09:00 INFO 2836 --- [apiserver] [ Test worker] .s.d.r.c.RepositoryConfigurationDelegate : Finished Spring Data repository scanning in 32 ms. Found 1 JPA repository interface.2025-02-11T11:28:59.760+09:00 INFO 2836 --- [apiserver] [ Test worker] o.hibernate.jpa.internal.util.LogHelper : HHH000204: Processing PersistenceUnitInfo [name: default]2025-02-11T11:28:59.801+09:00 INFO 2836 --- [apiserver] [ Test worker] org.hibernate.Version : HHH000412: Hibernate ORM core version 6.6.4.Final2025-02-11T11:28:59.824+09:00 INFO 2836 --- [apiserver] [ Test worker] o.h.c.internal.RegionFactoryInitiator : HHH000026: Second-level cache disabled2025-02-11T11:28:59.996+09:00 INFO 2836 --- [apiserver] [ Test worker] o.s.o.j.p.SpringPersistenceUnitInfo : No LoadTimeWeaver setup: ignoring JPA class transformer2025-02-11T11:29:00.015+09:00 INFO 2836 --- [apiserver] [ Test worker]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tarting...2025-02-11T11:29:00.071+09:00 INFO 2836 --- [apiserver] [ Test worker]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HikariPool-1 - Added connection org.mariadb.jdbc.Connection@72f24a842025-02-11T11:29:00.073+09:00 INFO 2836 --- [apiserver] [ Test worker]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tart completed.2025-02-11T11:29:00.107+09:00 INFO 2836 --- [apiserver] [ Test worker] org.hibernate.orm.connections.pooling : HHH10001005: Database info: Database JDBC URL [Connecting through datasource 'HikariDataSource (HikariPool-1)'] Database driver: undefined/unknown Database version: 10.11.10 Autocommit mode: undefined/unknown Isolation level: undefined/unknown Minimum pool size: undefined/unknown Maximum pool size: undefined/unknown2025-02-11T11:29:00.552+09:00 INFO 2836 --- [apiserver] [ Test worker] o.h.e.t.j.p.i.JtaPlatformInitiator : HHH000489: No JTA platform available (set 'hibernate.transaction.jta.platform' to enable JTA platform integration)2025-02-11T11:29:00.580+09:00 INFO 2836 --- [apiserver] [ Test worker] j.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 : Initialized JPA EntityManagerFactory for persistence unit 'default'2025-02-11T11:29:00.892+09:00 WARN 2836 --- [apiserver] [ Test worker] JpaBaseConfiguration$JpaWebConfiguration : spring.jpa.open-in-view is enabled by default. Therefore, database queries may be performed during view rendering. Explicitly configure spring.jpa.open-in-view to disable this warning2025-02-11T11:29:01.216+09:00 INFO 2836 --- [apiserver] [ Test worker] o.z.apiserver.service.TodoServiceTests : Started TodoServiceTests in 2.251 seconds (process running for 3.134)Mockito is currently self-attaching to enable the inline-mock-maker. This will no longer work in future releases of the JDK. Please add Mockito as an agent to your build what is described in Mockito's documentation: https://javadoc.io/doc/org.mockito/mockito-core/latest/org/mockito/Mockito.html#0.3WARNING: A Java agent has been loaded dynamically (C:\Users\zzamp\.gradle\caches\modules-2\files-2.1\net.bytebuddy\byte-buddy-agent\1.15.11\a38b16385e867f59a641330f0362ebe742788ed8\byte-buddy-agent-1.15.11.jar)WARNING: If a serviceability tool is in use, please run with -XX:+EnableDynamicAgentLoading to hide this warningWARNING: If a serviceability tool is not in use, please run with -Djdk.instrument.traceUsage for more informationWARNING: Dynamic loading of agents will be disallowed by default in a future releaseHibernate: select t1_0.tno,t1_0.complete,t1_0.content,t1_0.due_date,t1_0.title from tbl_todo t1_0 where t1_0.tno=?No value presentjava.util.NoSuchElementException: No value present at java.base/java.util.Optional.orElseThrow(Optional.java:377) at org.zerock.apiserver.service.TodoServiceImpl.get(TodoServiceImpl.java:24) at org.zerock.apiserver.service.TodoServiceTests.testGet(TodoServiceTests.java:20) at java.base/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80) 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96) 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96)Java HotSpot(TM) 64-Bit Server VM warning: Sharing is only supported for boot loader classes because bootstrap classpath has been appended> Task :testTodoServiceTests > testGet() FAILED java.util.NoSuchElementException at TodoServiceTests.java:20타깃 VM에서 연결 해제되었습니다. 주소: 'localhost:4408', 전송: '소켓'2025-02-11T11:29:32.264+09:00 INFO 2836 --- [apiserver] [ionShutdownHook] j.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 : Closing JPA EntityManagerFactory for persistence unit 'default'2025-02-11T11:29:32.265+09:00 INFO 2836 --- [apiserver] [ionShutdownHook]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hutdown initiated...2025-02-11T11:29:32.268+09:00 INFO 2836 --- [apiserver] [ionShutdownHook]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hutdown completed.> Task :test FAILED1 test completed, 1 failedFAILURE: Build failed with an exception.* What went wrong:Execution failed for task ':test'.> There were failing tests. See the report at: file:///C:/Users/zzamp/Desktop/apiserver/apiserver/build/reports/tests/test/index.html* Try:>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BUILD FAILED in 36s5 actionable tasks: 5 executed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NestJS
커스텀 파이프에서 value의 타입이 string 이 아닐때
여기서 value.toUpperCase()를 먼저 실행하고 있는데, value에 toUpperCase 메소드가 없는 타입이 온다면 어떻게 될까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NestJS
nestjs 기본 구조 설명에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기본 구조 설명을 듣던 중에 eslintrc.js라는 폴더가 있다고 하시는데 nest가 11.0.2인 버전에서는 없는 것 같아서요. 분명 이 기능을 하는 파일은 있을 텐데.. 혹시 eslint.config.mjs가 아닐까 궁금합니다.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Run | Debug 표시 자체가 안떠서, MallApplication.java 파일을 실행조차 못시키겠는데, 도움말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MallApplication.java 파일을, vsc에서 어떻게 실행시키는지 자세하게 좀 알려 주세요.
-
미해결
채팅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ㅠㅠ
... // WebSocket 연결 및 STOMP 클라이언트 설정 useEffect(() => { const token = sessionStorage.getItem("accessToken"); // 세션에서 액세스 토큰을 가져옴 const socket = new SockJS(`http://localhost:8080/ws/chat`); // WebSocket 연결 const client = Stomp.over(socket); stompClientRef.current = client; // STOMP 연결 client.connect( { Authorization: `Bearer ${token}` }, (frame) => { setConnected(true); console.log("STOMP 연결 성공", frame); // 해당 채팅방에 대한 메시지 구독 client.subscribe(`/exchange/chat.exchange/room.${roomId}`, (msg) => { const receivedMessage = JSON.parse(msg.body); if (receivedMessage.type === "PLACE") { const place = JSON.parse(receivedMessage.message); setMessages((prev) => [...prev, { type: "PLACE", place }]); } else { setMessages((prev) => [...prev, receivedMessage]); } }); }, (error) => { console.error("STOMP 연결 실패:", error); alert("STOMP 연결 실패! 서버가 실행 중인지 확인하세요."); } ); // 채팅방 목록 가져오기 fetch(`${BASE_URL}/chat/rooms`, { headers: { Authorization: `Bearer ${token}`, }, }) .then((res) => res.json()) .then((data) => setChatRooms(data)) .catch((error) => console.error("채팅방 목록 가져오기 실패:", error)); return () => { if (client.connected) client.disconnect(); }; }, [roomId]); // 메시지 보내는 기능 const sendMessage = (message, type = "TALK") => { const token = localStorage.getItem("accessToken"); stompClientRef.current?.send( `/pub/chat.message.${roomId}`, { Authorization: `Bearer ${token}` }, JSON.stringify({ sender: currentUser, message, roomId, type, timestamp: new Date().toISOString(), }) ); if (type === "TALK") setNewMessage(""); }; ...리액트는 다음과 같이 구성하고 @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Log4j2 public class ChatController implements ChatControllerDocs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CHAT_EXCHANGE_NAME = "chat.exchange"; private final static String CHAT_QUEUE_NAME = "chat.queue"; private final ChatService chatService; private final RabbitTemplate rabbitTemplate; @Override //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보낸 메시지를 메시지를 라우팅 // @MessageMapping("chat.message")로 설정하여 클라이언트로부터 /pub/chat.message 목적지로 전송된 STOMP 메시지를 처리한다. /*RabbitMQ*/ @MessageMapping("chat.message.{roomId}") /*STOMP*/ // @MessageMapping("/{roomId}") // 구독한 클라이언트에게 response를 제공할 url 정의 // @SendTo("/topic/{roomId}") public ResponseEntity<?> sendMessage( // @Payload: 메시지의 body를 정의한 객체에 매핑합니다. @Payload ChatMessageDTO message, // @DestinationVariable: 구독 및 메시징의 동적 url 변수를 설정. RestAPI의 @PathValue와 같다. @DestinationVariable int roomId) { try { ChatMessageDTO msg = chatService.sendMessage(message); log.info("Sent message: {}", msg); if (msg != null) { // RabbitMQ으로 메시지 전송 // template.convertAndSend() 메소드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RabbitMQ로 전송한다. // 메시지는 chat.exchange로 전송되며, 라우팅 키는 room. + 메시지의 방 ID로 구성된다. rabbitTemplate.convertAndSend(CHAT_EXCHANGE_NAME, "room." + roomId, message); } else { log.error("Failed to create chat message. User might not be in the chat room. User: {}, Room: {}", message.getSender(), message.getRoomId()); } return ResponseEntity.ok().body(msg); } catch (Exception e) { log.error("Error processing message: ", e); throw new ChatException(e.getMessage()); } } @Configuration @EnableRabbit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RabbitConfig { // Queue (큐): RabbitMQ에서 메시지를 저장하는 장소 private static final String CHAT_QUEUE_NAME = "chat.queue"; // Exchange (교환기): 메시지를 Queue로 라우팅(보내는) 역할 private static final String CHAT_EXCHANGE_NAME = "chat.exchange"; // Routing Key (라우팅 키): Exchange가 메시지를 어떤 Queue로 보낼지를 결정하는 데 사용 private static final String ROUTING_KEY = "room.*"; @Value("${spring.rabbitmq.host}") private String host; @Value("${spring.rabbitmq.port}") private int port; @Value("${spring.rabbitmq.username}") private String userName; @Value("${spring.rabbitmq.password}") private String password; // Queue 등록 @Bean public Queue queue() { return new Queue(CHAT_QUEUE_NAME, true); } // Exchange 등록 @Bean public TopicExchange exchange() { return new TopicExchange(CHAT_EXCHANGE_NAME); } // Exchange와 Queue바인딩 @Bean public Binding binding(Queue queue, TopicExchange exchange) { return BindingBuilder .bind(queue) .to(exchange) .with(ROUTING_KEY); } // RabbitMQ와의 메시지 통신을 담당하는 클래스 @Bean public RabbitTemplate rabbitTemplate() { RabbitTemplate rabbitTemplate = new RabbitTemplate(connectionFactory()); rabbitTemplate.setMessageConverter(jsonMessageConverter()); rabbitTemplate.setRoutingKey(ROUTING_KEY); return rabbitTemplate; } // RabbitMQ와의 연결을 관리하는 클래스 @Bean public ConnectionFactory connectionFactory() { CachingConnectionFactory factory = new CachingConnectionFactory(); factory.setHost(host); factory.setPort(port); factory.setVirtualHost("/"); factory.setUsername(userName); factory.setPassword(password); return factory; } // Queue를 구독(Subscribe)하는 걸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필요함. 당장은 없어도 됨. @Bean public SimpleRabbitListenerContainerFactory simpleRabbitListenerContainerFactory(ConnectionFactory connectionFactory, MessageConverter messageConverter) { SimpleRabbitListenerContainerFactory factory = new SimpleRabbitListenerContainerFactory(); factory.setConnectionFactory(connectionFactory); factory.setMessageConverter(messageConverter); return factory; } @Bean public RabbitMessagingTemplate rabbitMessagingTemplate(RabbitTemplate rabbitTemplate) { return new RabbitMessagingTemplate(rabbitTemplate); } // 메시지를 JSON형식으로 직렬화하고 역직렬화하는데 사용되는 변환기 // RabbitMQ 메시지를 JSON형식으로 보내고 받을 수 있음 @Bean public Jackson2JsonMessageConverter jsonMessageConverter() { //LocalDateTime serializable을 위해 ObjectMapper objectMapper = new ObjectMapper(); objectMapper.configure(SerializationFeature.WRITE_DATES_AS_TIMESTAMPS, true); objectMapper.registerModule(dateTimeModule()); Jackson2JsonMessageConverter converter = new Jackson2JsonMessageConverter(objectMapper); return converter; } @Bean public Module dateTimeModule() { return new JavaTimeModule(); } }... @Override public void registerStompEndpoints(StompEndpointRegistry registry) { registry .setErrorHandler(stompExceptionHandler) // 소켓 연결 URI다. 소켓을 연결할 때 다음과 같은 통신이 이루어짐 .addEndpoint("/ws/chat") .setAllowedOriginPatterns("http://localhost:5173") // SocketJS를 통해 연결 지원 .withSockJS(); } @Override public void configureClientInboundChannel(ChannelRegistration registration) { log.info("--------------"); log.info("동작함"); registration.interceptors(stompHandler); } @Override public void configureMessageBroker(MessageBrokerRegistry registry) { // url을 chat/room/3 -> chat.room.3으로 참조하기 위한 설정 registry.setPathMatcher(new AntPathMatcher(".")); registry.setUserDestinationPrefix("/sub"); // 클라이언트 구독 경로 // RabbitMQ 브로커 리레이 설정 registry.enableStompBrokerRelay("/exchange", "/queue", "/topic") .setRelayHost(host) .setRelayPort(61613) .setClientLogin(userName) .setSystemPasscode(password) .setSystemLogin(userName) .setSystemPasscode(password); } ... }이렇게 구성했는데 rabbitMQ는 도커 컴포즈로 구성했습니다.근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했는데Chat.jsx:31 GET http://localhost:8080/ws/chat/285/4mxcvol4/jsonp?c=_jp.apvvzrr net::ERR_ABORTED 404 (Not Found)chat:1 Refused to execute script from 'http://localhost:8080/ws/chat/285/4mxcvol4/jsonp?c=_jp.apvvzrr' because its MIME type ('') is not executable, and strict MIME type checking is enabled.이렇게 계속해서 연결이 끊깁니다 어떻게 해야하나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섹션3. 스프링부트와 API서버에서 부트 프로젝트 생성 및 확인 강의에 관한 겁니다.
해당 강의 1:51에서 갑자기 데이터베이스 익스플로러용 데이터그립 툴이 나오는데 이에 대한 설정은 어느 강의에서 확인할 수 있는 거죠? 느닷없이 나와서 혼동스럽기만 하네요. 섹션 1의 MariaDB와 부트 프로젝트생성에서도 하이디sql 툴 설정만 하셔서 데이터그립 툴은 어디에서 나온 건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moveToList 질문드려요
상품쪽 moveToList에서 page하고 size추가 안해도 useCustomMove 이쪽에const page = getNum(queryParams.get('page'), 1) const size = getNum(queryParams.get('size'), 10)이렇게 되어있어서 따로 moveToList에서page하고 size를 안넣어도 잘 이동이 되던데잘못된걸까요??
-
미해결스프링부트 시큐리티 & JWT 강의
수료증 문의
혹시, 강의 수강 완료 후 수료증 발급이 가능할까요?
-
미해결스프링부트 시큐리티 & JWT 강의
9분대에 질문이 있습니다 !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우선 강의 정말 유익하게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9분대에 질문이 있습니다.어떻게 A의 개인 키로 잠겨 있는 것을 A의 공개 키로 오픈 할 수 있나요? -> 공개 키로 잠궈놨다면 해커가 열 수 있다고 생각 하는데, 개인키로 잠군 것을 B나 해커가 어떻게 공개 키로 열람할 수 있는 것인가요 ? A -> B 로 "A:C:1억을 송금했다" 라는 메시지를 A의 개인키로 보낼때 해커가 가로채서 A의 공개키를 사용해 데이터를 열어볼 수 있다고 하셨는데, 그럼 해커가 저 데이터를 다시 변경하여 B로 이상한 메시지를 보낼 수 있나요? 2-1. 보낼 수 있게 된다면 해커가 다시 A의 개인 키로 데이터를 보내나요? 2-2. 그렇게 된다면 B는 해커한테 탈취를 당했었는지 어떻게 식별 하나요? 해커가 다시 A의 개인 키를 사용할 수 있나요 ? 질문이 좀 많아서 죄송합니다 ㅎㅎ ..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jwtUtil.js의 beforeRes에서 accessToken을 refresh 했을 경우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jwtUtil.js 의 beforeRes 함수에서 아래 코드 관련 문의사항이 있습니다. // "ERROR_ACCESS_TOKEN" => JWTCheckFilter에서 어떠한 이유에서든 오류가 발생 시 if (data && data.error === 'ERROR_ACCESS_TOKEN') { const memberCookieValue = getCookie("member"); const result = await refreshJWT(memberCookieValue.accessToken, memberCookieValue.refreshToken); console.log("refreshJWT RESULT", result); memberCookieValue.accessToken = result.accessToken; memberCookieValue.refreshToken = result.refreshToken; setCookie("member", JSON.stringify(memberCookieValue), 1); // 원래의 호출 const originalRequest = res.config; originalRequest.headers.Authorization = `Bearer ${result.accessToken}`; return await axios(originalRequest); }위 코드를 보면, accessToken (또는 refreshToken이 같이) 새로 발급된 후, setCookie 함수로 cookie에는 새롭게 갱신된 accessToken/refreshToken을 저장하고 있지만, redux store에는 갱신된 token 정보들을 업데이트 하지 않고 있는 것 같습니다. (loginSlice의 reducer를 호출하지 않고 있네요...) 혹시 redux store에도 새롭게 refresh된 token들을 저장하고 싶다면, 어느 부분에서 처리해야 할까요?감사합니다.
-
해결됨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npx create-react-app mall 에러가 납니다
호환성 문제라고 본거같아서 이것저것 google에있는거 해보고 밀고 해보고 밀고 해봤는데도 안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