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세계 대회 진출자가 알려주는 코딩테스트 A to Z (with Python)
브루트 포스 풀이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강의 듣기 전에 먼저 문제를 풀어보고 있는데항상 브루트 포스 -> 그리디 -> DP 순으로 접근을 하셔서저도 동일한 과정으로 문제 풀이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브루트 포스 풀이를 떠올리기는 하는데 혼자 구현을 해보려고 하니 쉽지가 않더라고요.혼자 코드를 짜보긴 하는데 제출을 해도 애초에 시간 초과라 올바른 코드인지 확인할 수 없고, 브루트 포스로 시간초과나는 문제는 구글에서도 코드를 찾을 수가 없어서 제가 혼자 짠 코드가 제대로 짠 건지 확인하기가 힘들더라고요. 혹시 추후에 브루트 포스 코드도 같이 제공해주실 수 있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제네릭 하한 바운드(super)의 활용 사례
안녕하세요. 제네릭 하한 바운드(super)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상한 바운드(extends) 같은 경우에는 현재 실무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는데요.다만 하한 바운드는 실무에서 한번도 사용해본 적이 없습니다.하한 바운드는 결국 Object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기 때문에 이점이 없다고 생각하고, 보통은 상한 바운드로 해결이 되었기 때문인데요.혹시 하한 바운드에 대한 활용 사례를 간단히 설명해주실 수 있으실까 해서 질문 드립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주소값에 실제로 접근하는데 걸리는 시간??
강의 주제와 직접적인 연관은 없는거지만.. 실제 주소값으로 접근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가? 입니다 아무리 배열이 인덱스의 실제 주소값을 한번에 계산해서 찾는 구조라고는 해도 결국 그 주소까지 이동하는건 시간이 걸릴거같은데요예를들어 그게 10억 번째 인덱스라면 거기까지 순간이동 할수는 없잖아요?? 그래서 인덱스 번호에 비례해서 시간이 더 걸리긴 할거같은데..이건 너무 인간의 관점에서 생각하는거고 실제로 컴퓨터는 다르게 동작하는 걸까요?? 제가 생각해도 너무 무식한 질문이긴한데 의문을 해소하고자 질문 드립니다 ㅠㅠ ============================ 수강을 더 진행하다보니 실제 성능 설명 파트에서 메모리 접근에 대한 얘기를 해주셔서 의문이 자연스럽게 해결됐습니다 !
-
해결됨카카오 코테 6주 합격! 실전 파이썬 코딩테스트
오류
밑이 10인 log10(2)는 약 23정도 되는데 뭔가 잘못된것같습니다.
-
해결됨카카오 코테 6주 합격! 실전 파이썬 코딩테스트
재귀
안녕하세요 수강자입니다.현재 2진수로 변환할때의 재귀함수 호출부분을 듣고있습니다. 1.종료조건, 2.재귀조건 3.데이터통합 으로 심플하게 나눠서 생각하는 방법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지만 재귀함수를 할때, 스택의 개념을 설명해주지 않으셔서 뭔가 2% 개념이 부족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완전 초보자 입장에서, 코드를 한줄한줄씩 공책에 써가며 결과값이 어떻게 나오는지 확인하는 과정중에, 설명해주신 개념과 풀이법이 직관적이며 머리에 쏙쏙박히기는하는데 왜 그렇지 하는 생각이 들어서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배열의 가장 앞쪽에 요소를 추가할때 의문점
배열의 가장 앞쪽에 요소를 추가할때, 기존의 요소를 전부 한 칸씩 오른쪽으로 옮기고 나서 확보된 빈 공간에 추가해야한다는건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곰곰히 생각해봤는데 그냥 배열자체의 시작 주소값을 한칸 앞으로 당기고 거기다가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면 빅오 표기법상 O(1)? O(2)? 가 되는거 아닌가요? 예를들면 int[]의 기존 주소값이 x100이었다면 x96으로 옮기고 새로운 요소를 거기다 추가해주는거죠 주소값 자체를 명시적으로 할당하는 문법이 있는지 없는지는 모르겠지만 어쨋든 내부적으로는 그렇게 작동하도록 언어를 구현할수도 있는거아닌가요?? 그런데 당연히 이렇게는 안되니까 안하는것일텐데, 몇시간동안 생각해봐도 안되는 이유가 안떠올라서 질문드립니다 ㅠㅠ
-
해결됨세계 대회 진출자가 알려주는 코딩테스트 A to Z (with Python)
다익스트라 음수 간선
다익스트라는 음수 간선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할 수 없다 라고 하셨는데 다익스트라 개념 강의에 나온 예시 코드의 경우에는 음수 간선이 존재해도 사용할 수 있는거 아닌가요? 이미 방문한 노드(최단경로를 확정한 경우)를 다시 방문하지 않는다면 음수 간선이 존재하면 최단 경로를 구할 수 없을것 같은데 강의에 나온 예시 코드는 방문을 했더라도(최단 경로를 확정 했더라도) 다시 heap에서 꺼내어 비교하는 과정이 있으므로 음수 간선이 존재해도 가능할 것 같아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2주만에 통과하는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2024년)
유니온파인드
유니온 파인드 문제에서 최적화 후 정답이 나오지 않고 오류가 나옵니다. 유니온 함수만 최적화 했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강의 중 이중연결리스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이중연결리스트는 안다루나요?
-
미해결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기본편)
데이터 삽입, 삭제 함수 오류 범위 설정
insertAt 부분에서 오류 범위를 작성할 떄는 index > this.count라고 하신 반면에, deleteAt 부분에서는 index >= this.count라고 하신 부분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조금 더 부연 설명을 받을 수 있을까요?
-
해결됨38군데 합격 비법, 2025 코딩테스트 필수 알고리즘
키보드 질문
안녕하세요! 수업 내용 관련해서 질문은 아니고 혹시 영상에서 쓰시는 키보드 어떤 건지 알려주실 수 있나요??(소리가 너무 찰져서 궁금합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
해결됨38군데 합격 비법, 2025 코딩테스트 필수 알고리즘
2-6 LinkedList 합계 자바 풀이
1. 현재 학습 진도몇 챕터/몇 강을 수강 중이신가요? 2-6어떤 알고리즘을 학습하고 계신가요? LinkedList여기까지 이해하신 내용은 무엇인가요? 어떻게 로직이 흘러가는지 이해가 된 상태 입니다. 2. 어려움을 겪는 부분어느 부분에서 막히셨나요? 어려운 부분은 아니고 뭔가 제 풀이에 대해서 공유 해드리고 싶습니다!코드의 어떤 로직이 이해가 안 되시나요? 이해가 안되진 않는 것 같습니다!어떤 개념이 헷갈리시나요? 없습니다! 3. 시도해보신 내용문제 해결을 위해 어떤 시도를 해보셨나요? 우선 값들을 StringBuilder 로 만들어서 각각 Int로 파싱한다음 더해주는 과정을 해보았습니다.에러가 발생했다면 어떤 에러인가요? 없습니다!현재 작성하신 코드를 공유해주세요 package algorithm_practice.second_week; public class GetLinkedLiistSum_01 { // Node 클래스 정의 static class Node { int data; Node next; Node(int data) { this.data = data; this.next = null; } } // LinkedList 클래스 정의 static class LinkedList { Node head; public LinkedList(int value) { this.head = new Node(value); } public void append(int value) { Node cur = head; while (cur.next != null) { cur = cur.next; } cur.next = new Node(value); } } // 두 연결 리스트의 합을 계산하는 메서드 public static int getLinkedListSum(LinkedList list1, LinkedList list2) { StringBuilder firstNumber = new StringBuilder(); StringBuilder secondNumber = new StringBuilder(); Node cur1 = list1.head; Node cur2 = list2.head; while (cur1 != null && cur2 != null) { firstNumber.append(cur1.data); secondNumber.append(cur2.data); cur1 = cur1.next; cur2 = cur2.next; } int result = Integer.parseInt(firstNumber.toString()) + Integer.parseInt(secondNumber.toString()); return result; } // 메인 실행 테스트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LinkedList linkedList1 = new LinkedList(6); linkedList1.append(7); linkedList1.append(8); LinkedList linkedList2 = new LinkedList(3); linkedList2.append(5); linkedList2.append(4); int result = getLinkedListSum(linkedList1, linkedList2); System.out.println("두 연결 리스트의 합: " + result); // 예시: 1032 } } 파이썬 코드를 자바로 변환해서 풀어봤는데 이렇게 접근해도 좋은 풀이 일까요~? 이렇게 구체적으로 알려주시면, 더 정확하고 도움이 되는 답변을 드릴 수 있습니다! 😊
-
해결됨세계 대회 진출자가 알려주는 코딩테스트 A to Z (with Python)
종료 조건
원래 상태로 돌아오기까지 4n번의 횟수가 걸린다는 것은 이해를 했습니다. 그런데 제가 처음에 생각한 종료 조건은 둘 중 하나의 큐라도 비어있게 된다면 합을 같게 만들 수 없는 경우라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시간초과가 발생하네요.하나의 큐가 원래 상태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그 과정에서 반드시 원소가 하나도 없는 경우가 생길것이라 생각했는데 아닌건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LinkedList의 for-each 동작 방식이 궁금합니다.
본 강의 약 10분 쯤에 나오는 코드private static boolean contains(LinkedList<Integer>[] buckets, int searchValue) { int hashIndex = hashIndex(searchValue); LinkedList<Integer> bucket = buckets[hashIndex]; for (Integer integer : bucket) { if (integer == searchValue) { return true; } } return false; }이 부분에서 배열은 각 인덱스의 요소를 하나씩 꺼내는데 LinkedList는 어떤식으로 for-each문을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코딩테스트 [ ALL IN ONE ]
list1.append(list2)와 list1.append(list2[:])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안녕하세요 def solution(l,k): result = [] curr = [] def backtracking(start, curr): if len(curr) == k: result.append(curr[:]) return for i in range(start, len(l)): curr.append(i+1) backtracking(i + 1, curr) curr.pop() backtracking(0, curr) return result위의 코드에서 if len(curr) == k: 안에 result.append(curr[:]) 대신 result.append(curr)을 넣으면 result = [[], [], [], [], [], []]와 같이 값이 제대로 추가가 안 되던데 무슨 차이가 있는 건가요?main 함수에서 test1 = [] test2 = [1,2,3] test1.append(test2) print(test1) test1 = [] test1.append(test2[:]) print(test1)이와 같이 테스트를 해보면 두 프린트 결과 모두 [[1,2,3]]으로 동일하게 나오는데 위의 경우는 달라서 질문 드립니다.
-
해결됨코딩테스트 [ ALL IN ONE ]
라이브러리 사용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안녕하세요 선생님! 수업을 듣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 남깁니다. hash table 파트에서 중복없이 해야 한다면 dictionary 로 하는 것보다 set()을 써서 하는게 더 편하지 않나요? 순열, 조합 파트에서 백트래킹 대신에 from itertools import permutations, combinations를 사용해서 풀어도 되나요? 혹시 순열, 조합, 부분집합 이외에 백트래킹을 활용해야 하는 코딩테스트 문제는 추가적으로 어떤 것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실리콘밸리 엔지니어가 가르치는 파이썬 기초부터 고급까지
상속 질문
안녕하세요 상속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만약에class GrandParents: def __init__(self): self.grandmother = 80 self.grandfather = 70 class Parents(GrandParents): def __init__(self): super().__init__() self.mother = 50 self.father = 50 class Child(Parents): def __init__(self): super().__init__() child_obj = Child() print(child_obj.grandmother) print(child_obj.grandfather) 위와 같이 상속을 진행한다고 했을 때,Child 클래스로 객체를 만들어 초기화를 진행하면 GrandParents의 생성자가 딸려나오는걸 볼수가 있는데super().__init__을 사용할 때, 내(Child)가 상속받은 클래스(Parents) 내부의 메서드에서 상위 클래스(GrandParents)를 super()로 가져온다면 Child 클래스는 언제나 Parents와 GrandParents의 속성을 다 가지게 되는 것인가요??이런 식으로 상속하는 방식을 실무에서 자주 쓰기도 하는지 궁금합니다.그리고 만약에, 저 상황에서 Child 클래스가 super().__init__을 사용하면서 GrandParents의 것을 가져오지 않고 Parents의 생성자만 super()로 가지고 올 수도 있나요??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38군데 합격 비법, 2025 코딩테스트 필수 알고리즘
이 번에 처음으로 알고리즘이라는 걸 공부해보고 있는데
1주차 연습문제를 안보고 풀 정도면 혹시 어느정도 수준일까요..?ㅜㅜ 지금은 너무 어렵긴한데 계속 복습해봐야 할 것 같아서요 흑흑..실제 코테는 이정도 수준으로는 안나오겠죠... 더 어렵게 나오겠죠..?ㅜㅜ
-
해결됨카카오 코테 6주 합격! 실전 파이썬 코딩테스트
1강 연습문제&목표문제 정답지 위치
1강 연습문제&목표문제 정답지 위치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38군데 합격 비법, 2025 코딩테스트 필수 알고리즘
스택 - 탑문제
1. 현재 학습 진도3-5 스택부분 수강 2. 어려움을 겪는 부분백준 탑 문제를 강사님께서 구현해주신 코드로 풀어보고 있는데 강사님 코드를 사용하면 시간초과가 나는 것 같습니다.3. 시도해보신 내용 N = int(input()) tops = list(map(int, input().split())) def top_stack(N): result = [0] * N while tops: cur_top = tops.pop() for i in range(len(tops) - 1, -1, -1): if cur_top <= tops[i]: result[len(tops)] = i + 1 break print(' '.join(map(str,result))) top_stack(N)강사님께서 구현해주신 코드에 입력값을 사용자가 지정하게만 바꿔서 백준문제를 풀어보려고 했는데, 시간초과가 납니다. 제가 혹시 코드에 실수한 부분이 있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