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테스트 환경 통합하기 질문 있습니다.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테스트 환경이 다르면 스프링을 새로 띄워야 된다고 하셨는데, 여기서 테스트 환경이란게 테스트 클래스마다 의존 관계를 주입 받는 클래스가 하나라도 달라지면 스프링이 새로 뜨게 되는 건가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하위 레이어가 상위 레이어를 알고 있는 경우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위 레이어가 상위 레이어를 알고 있는 경우는 좋지 않다고 하셨는데 만약에 도메인을 순수하게 유지하고 싶어서도메인 엔티티와 jpa 엔티티를 분리하고, service와 jpaRepository에 DIP를 적용하게 되면service에서는 repository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repository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repositoryImpl에서 jpaRepository를 사용하게 될 것 같습니다.이 경우에 repositoryImpl에서는 jpa 엔티티 -> 도메인 엔티티로 변환을 하고, 도메인 엔티티를 service로 반환해주어야 할 것 같은데이렇게 되면 하위 레이어인 infrastructure(persistance) 레이어에서 상위 레이어에 있는 도메인 엔티티에 대한 의존성이 생긴다고 생각하는데 이런 경우는 상위 레이어에 의존성이 생겨도 상관 없는 경우인가요??테스트 강의와 무관한 질문을 드려서 죄송합니다 ㅠㅠ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경계값 테스트 작성 시 질문 있습니다.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안녕하세요. 경계값을 테스트할 때는 하나의 테스트 메서드 안에 모두 작성하는게 맞는건가요?상품 등록시 상품 번호의 증가로 예를 들면한 자리 -> 한 자리 ( 1 -> 2 )한 자리 -> 두 자리 ( 9 -> 10 )두 자리 -> 세 자리 ( 99 -> 100 ) 이런 식으로 작성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이렇게 경계값에 대한 모든 경우를 한 메서드에 작성하는게 맞는 것 같긴한데, 경계값이 많아지면 좀 알아보기 힘들 것 같아서 여쭤봅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비지니스 로직이 퍼시스턴스 계층에 침투하는 경우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안녕하세요 Business Layer 테스트 (1) 강의 시작 부분에서 Querydsl을 쓰거나 별도의 DAO를 사용하면서 비지니스 로직이 퍼시스턴스 계층에 침투하게 작성하는 경우가 있다고 하셨는데 좀 더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주실 수 있나요?그리고 요구사항이 복잡하여 엔티티를 가져오는 쿼리 역시 복잡해지는 경우, 이는 비즈니스 로직이 침투한 것으로 봐야할까요? 일반적인 CRUD 쿼리와 달리 특정 쿼리만 복잡하다면 추가적인 요소가 반영되었을 수도 있다 생각했고 따라서 이러한 경우를 비즈니스 로직의 개입으로 판단해야 하나 의문이 들어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테스트 with Jest: 제로초에게 제대로 배우기
안녕하세요 jest toHaveBeenCalledTimes 관련 질문드립니다.
전체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오류내용) mock 관련 toHaveBeenCalledTimes 질문드릴려는데요. toHaveBeenCalledTimes가 처음에는 기대값이 1로 맞아서 에러가 안나는데요. 두번째 테스트부터 첫번쨰 테스트에서 호출된 obj.minus 함수가 호출이 읽혀서 그런지 toHaveBeenCalledTimes의 기대값이 2가 됩니다. 세번쨰 테스트도 위에서 호출된게 있어서 그런지 기댓값이 5가 되구요 네번째 테스트도 마찬가지입니다. 원래 toHaveBeenCalledTimes 함수가 다른 테스트케이스에서 사용된 함수도 읽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Spring Rest Docs request에 List 타입이 포함된 경우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안녕하세요.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진행해온 프로젝트의 OrderController에도 Spring Rest Docs를 적용해보는 와중에 몇가지 질문이 생겼습니다!public class OrderControllerDocsTest extends RestDocsSupport { private final OrderService orderService = mock(OrderService.class); private static List<ProductResponse> productResponses; @Override protected Object initController() { return new OrderController(orderService); } @BeforeEach void init() throws Exception { ProductResponse productResponse1 = ProductResponse.builder() .id(1L) .price(1000) .sellingStatus(SELLING) .productNumber("001") .type(HANDMADE) .name("상품명1") .build(); ProductResponse productResponse2 = ProductResponse.builder() .id(2L) .price(3000) .sellingStatus(SELLING) .productNumber("002") .type(HANDMADE) .name("상품명2") .build(); productResponses = List.of(productResponse1, productResponse2); } @DisplayName("새로운 주문을 생성한다.") @Test void createOrder() throws Exception { //given LocalDateTime now = LocalDateTime.of(2025, 1, 28, 0, 50); List<String> productNumbers = List.of("001", "002"); OrderCreateRequest request = OrderCreateRequest.builder() .productNumbers(productNumbers) .build(); int totalPrice = productResponses.stream().mapToInt(ProductResponse::getPrice).sum(); OrderResponse orderResponse = OrderResponse.builder() .id(1L) .registeredDateTime(now) .products(productResponses) .totalPrice(totalPrice) .build(); given(orderService.createOrder(any(OrderCreateServiceRequest.class), any(LocalDateTime.class))) .willReturn(orderResponse); //when mockMvc.perform(post("/api/v1/orders/new") .content(mapper.writeValueAsString(request)) .contentType(MediaType.APPLICATION_JSON)) .andDo(print()) .andExpect(status().isOk()) .andDo(document("order-create", preprocessRequest(prettyPrint()), // adoc에서 json 형태를 보기 좋게 만들어줌 preprocessResponse(prettyPrint()), requestFields( fieldWithPath("productNumbers").type(JsonFieldType.ARRAY) .description("상품 리스트") ), responseFields( fieldWithPath("code").type(JsonFieldType.NUMBER) .description("코드"), fieldWithPath("status").type(JsonFieldType.STRING) .description("상태"), fieldWithPath("message").type(JsonFieldType.STRING) .description("메시지"), fieldWithPath("data").type(JsonFieldType.OBJECT) .description("응답 데이터"), fieldWithPath("data.id").type(JsonFieldType.NUMBER) .description("주문 ID"), fieldWithPath("data.totalPrice").type(JsonFieldType.NUMBER) .description("총 주문 가격"), fieldWithPath("data.registeredDateTime").type(JsonFieldType.ARRAY) // 반환타입 ARRAY ? .description("주문 시간"), fieldWithPath("data.products").type(JsonFieldType.ARRAY) .description("주문 상품 리스트"), fieldWithPath("data.products[].id").type(JsonFieldType.NUMBER) .description("주문 상품 ID"), fieldWithPath("data.products[].productNumber").type(JsonFieldType.STRING) .description("주문 상품 번호"), fieldWithPath("data.products[].type").type(JsonFieldType.STRING) .description("주문 상품 타입"), fieldWithPath("data.products[].sellingStatus").type(JsonFieldType.STRING) .description("주문 상품 상태"), fieldWithPath("data.products[].name").type(JsonFieldType.STRING) .description("주문 상품명"), fieldWithPath("data.products[].price").type(JsonFieldType.NUMBER) .description("주문 상품 가격") )) ); } }OrderService.createOrder() 메서드 반환 값 OrderResponse를 생성하기 위해선 ProductResponse 객체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경우가 강사님이 말씀하신 @BeforeEach의 적용시점인가? 라는 생각이 들어 위와 같이 작성해봤습니다. 제가 이해한 바가 맞을까요?? requestFields( fieldWithPath("productNumbers").type(JsonFieldType.ARRAY) .description("상품 리스트") ),위 코드에서 productNumbers에 있는 각 원소의 타입이 String 인것을 API 문서에 나타내고 싶어 fieldWithPath("productNumbers[]").type(JsonFieldType.STRING과 같이 작성해봤지만 타입 미스매칭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responseFields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List 순회에 성공했지만 requestFields 순회 문제는 해결하지 못했습니다.혹시 방법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Java/Spring 테스트를 추가하고 싶은 개발자들의 오답노트
JPA가 아닌 Mapper 아키텍처 기반 테스트 코드 작성
안녕하세요, 수업 강의는 JPA 기반으로 설명해 주고 계신데 만약 Mapper 아키텍처 기반도 해당 강의 repository 테스트 코드 작성한 것 기반으로 적용하면 되나요?
-
해결됨SW 역량테스트 합격하기 A형 with C++ (Advanced Algorithm)
안녕하세요 선생님 코드트리 원자충돌(2020 하반기 오전 2번)에서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원자 충돌(코드트리, 2020 하반기 오전 2번)에서 질문 있습니다.처음에 짤때 낚시왕(BOJ 17143)을 떠올리고 아래 처럼 코드를 짰는데 오답이 나옵니다.int dir=d; int dist = s%n; int sx = x; int sy = y; for(int cnt_k=0;cnt_k<dist;cnt_k++){ int nx = sx+dx[dir]; int ny = sy+dy[dir]; if(nx<0) nx=n-1; if(nx>=n) nx=0; if(ny<0) ny=n-1; if(ny>=n) ny=0; sx = nx; sy = ny; }이 부분만 선생님의 코드로 바꾸면 문제가 없어서 이 부분이 틀린 것이 확실한데 왜 오답인지 모르겠습니다 ..좋은 강의해주셔서 항상 감사드립니다 !.
-
미해결테스트 with Jest: 제로초에게 제대로 배우기
안녕하세요 제로초님
강의하신 내용에 대해 혹시 블로그에 정리해서 글을 작성해도 상관없을까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response의 위치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안녕하세요현재 프로젝트에서는 service쪽에서 response로 변환을 해주고 있어서, response 객체의 위치가 service쪽에 있는데 response 변환을 controller 쪽에서 해주고 response의 위치도 controller쪽으로 옮기는 것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service에서는 domain과 관련된 것들만 있는 게 좋지 않나? ( domain entity와 jpa entity를 구분하지 않고 있기는 하지만요.. ) 라는 생각이 있고, response는 api의 응답이라서 아무래도 controller쪽에 있는 게 좋을 것 같다고 생각을 해서 여쭤보게 됐습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repostory 테스트 코드 작성 이유 관련 질문
제가 테스트 코드 작성이 처음이라 잘 이해하지 못한 것 같은데요repository에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given에서 Product를 삽입하는 과정은 DB의 product에 레코드를 삽입하는 과정으로 대체해서 수행할 수 있을 것 같아서요. DB를 통해 확인하지 않고 리포지토리에 대해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혹시 수동 검증 시 콘솔에서 확인하는 것과 동일하게 직접 사람이 테스트 과정에 개입해야 해서 그러한 것일까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테스트 코드에서 data.sql 사용 없이 Product를 직접 생성한 이유
테스트 코드 작성 시에 data.sql을 활용하지 않으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Test 메서드 내에서 Product를 생성하는 것보다 이미 작성된 data.sql을 활용하는 것이 더 편해보이는데 Product 인스턴스를 직접 생성하신 이유가 무엇인가요?혹시 테스트마다 필요로 하는 데이터가 다르기 때문인 것일까요?
-
미해결쥬쥬와 함께 하루만에 끝내는 스프링 테스트
성적 저장 어플 만들기 강의 관련 질문
강의 17분쯤에 save메서드를 postman에서 테스트를 해보았는데 Internal Server Error가 떠서 확인해보니cannot deserialize from Object value (no delegate- or property-based Creator) 에러가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기존에@Getter @AllArgsConstructor public class SaveExamScoreRequest { private final String studentName; private final Integer korScore; private final Integer englishScore; private final Integer mathScore; }이렇게 써져있는 코드를@Getter @AllArgsConstructor @NoArgsConstructor public class SaveExamScoreRequest { private String studentName; private Integer korScore; private Integer englishScore; private Integer mathScore; }이렇게 바꾸니 정상적으로 응답을 반환함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알아보니 해당 에러는 jackson생성자가 빈 생성자가 없는 객체를 만드는 법을 모르기 때문에 뱉는 에러라고 설명되어있어서 @NoArgsConstructor어노테이션을 추가하였고 final을 지워주었습니다.근데 강사님의 코드는 잘 돌아가는데 왜 제 코드는 저런 에러가 발생하는지 모르겠습니다. 혹시 스프링 버전하고도 관련이 있나요? (저는 현재 spring boot 3.4.1 버전을 사용하고 있기는 합니다.)
-
미해결관찰가능성 엔지니어링
카디널리티(Cardinality)와 디멘션(Demension
개념관찰가능성 측면에서 "카디널리티"와 "디멘션"은 데이터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두 가지 개념입니다. 이 두 개념은 주로 데이터셋의 구성을 설명하는 방법이지만 서로 다른 관점을 제공합니다. 1. 카디널리티(Cardinality):카디널리티는 데이터 내의 특정 열 또는 속성에서 서로 다른 값의 수를 나타냅니다. 높은 카디널리티는 해당 속성이 많은 고유한 값을 가지는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유저 ID나 이메일 주소 같은 경우입니다.낮은 카디널리티는 유사한 값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로, 도시명이나 국가 코드 같은 속성일 수 있습니다.관찰가능성 측면에서 높은 카디널리티를 가진 데이터는 분석이나 시각화 시 복잡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낮은 카디널리티는 경향이나 패턴을 식별하는 데 용이할 수 있습니다.2. 디멘션(Dimension):디멘션은 데이터세트의 다양한 특징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변수 또는 속성을 의미합니다. 보통 데이터를 분석할 때 관찰의 맥락(예: 시간, 지역, 제품 등)을 설명하기 위한 축(axis)입니다.이러한 디멘션은 관찰의 범위와 깊이를 제공하며, 다차원 분석(Multidimensional analysis)에서 중요하게 사용됩니다.데이터의 디멘션 수가 증가하면 분석의 복잡성이 증가하지만, 동시에 더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이 두 가지 개념은 데이터 분석에서 종종 함께 고려됩니다. 예를 들어, 고차원 데이터(디멘션이 많음)의 경우 여러 디멘션에 걸쳐 높은 카디널리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데이터 분석 및 저장 관점에서 효율적인 접근 방식을 필요로 합니다. 데이터의 관찰 및 분석 시, 어떤 방식으로 데이터가 구조화되고 변형될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예시카디널리티와 디멘션을 좀 더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예시를 제시하겠습니다.1. 온라인 쇼핑몰 데이터베이스:카디널리티: 제품 ID 컬럼은 높은 카디널리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각 제품마다 고유한 ID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반면, 카테고리 컬럼은 낮은 카디널리티를 가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의류", "전자기기", "생활용품"과 같이 한정된 수의 카테고리만 존재할 수 있습니다.디멘션:고객 정보, 제품 정보, 주문 날짜 등의 다양한 디멘션이 존재합니다. 각각의 디멘션은 분석 시 고객 행동, 판매 패턴 등의 관점에서 데이터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2. 인구 조사 데이터:카디널리티:개인 식별 번호(예: 주민등록번호)는 매우 높은 카디널리티를 가집니다. 모든 개인이 고유한 번호를 가지기 때문입니다.성별 컬럼은 매우 낮은 카디널리티를 가질 수 있으며, 대부분 "남자" 또는 "여자"로만 분류됩니다.디멘션:연령, 성별, 직업, 거주 지역 등의 디멘션이 있습니다. 각각의 디멘션은 인구의 특정 세그먼트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3. 스마트폰 센서 데이터:카디널리티:특정 시간 동안 수집된 온도 데이터는 각 순간마다 미세하게 값이 달라질 수 있어 높은 카디널리티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반면, 위치 데이터가 "실내" 또는 "실외"로만 분류되어 저장되는 경우, 이는 낮은 카디널리티를 가질 것입니다.디멘션:가속도, 자이로스코프, 위치 데이터 등 다양한 센서 정보가 디멘션 역할을 하며, 이는 모션 분석이나 활동 인식 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이러한 예시들은 카디널리티가 데이터 안의 고유한 값의 수 또는 다양성을 어떻게 나타내는지를 보여주며, 디멘션은 분석이나 평가하고자 하는 다양한 관점이나 특징을 정의하는 변수임을 설명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헥사고날 아키텍처 질문 있습니다.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jpa와 너무 강하게 결합되어 있어 repository 인터페이스를 만든다고 하셨는데그러면 1. repository 인터페이스2. 1의 repository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repositoryimpl3. 2의 repositoryimpl에서 사용할 jparepository 이렇게 세 개나 만들어서 사용하는건가요?
-
해결됨쉬운 모바일 테스트 자동화 시작하기 : Appium Studio
로그인 버튼 클릭 안되는 이슈
안녕하세요 강사님현재 Appium studio 테스트 중 로그인 버튼이 클릭 안 되는 이슈가 있어 문의드립니다.하기의 캡처된 화면으로는 로그인 버튼이 초록을 테두리속에 있어야 정상적으로 버튼을 찾는거 같은데 현재 테두리와 버튼이 일치 하지 않습니다.이런 이슈는 모바일 해상도의 문제 인 건지 그리고 어떻게 이슈를 처리해야 하는지 문의드립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2시간으로 끝내는 프론트엔드 테스트 기본기
'toBeInTheDocument'오류 문의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수강하면서 실습을 위해 올려주신 깃헙을 클론해서 각종 라이브러리 설치 후 실행하는데 jest-dom라이브러리를 인식을 못하는 건지 계속 다음 부분에서 오류가 나서 테스트가 실패하네요 클론 후 코드 수정 등은 한 것이 없는데 무엇이 문제일까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수업 외 질문입니다. test profile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JPA 가 아니더라도 Mybatis 환경이나 등...실무에서Junit Test를 할때 test profile 환경을 따로 구성해서 하나요?원본 데이터의 훼손을 방지하고자 하는건가요?
-
미해결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프런트엔드 테스트 - 1부. 테스트 기초: 단위・통합 테스트
2부 할인쿠폰 관련
안녕하세요.제공해주신 인강으로 프론트엔드 테스트를 공부하고 있는 수강생입니다. 최근 일이 많아져 인강 듣는 시간을 할애하지 못하였지만 이번 설 연휴를 맞이하여 1편 다보고 2편까지 보려고 하는데 제가 실수로 할인 쿠폰을 발급 받았다가 사용하지 못하고 유효기간이 지나 버렸는데 재발급을 할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
미해결테스트 with Jest: 제로초에게 제대로 배우기
제로초님 강의 교안을 볼 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강의 듣다 교안도 함께 보고싶어서 문의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