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리뉴얼] 맛집 지도앱 만들기 (React Native & NestJS)
iOS세팅 및 pod install오류
https://www.inflearn.com/community/questions/1500441/ios오류-pod-install오류 여기서 질문을 드렸던 학생입니다! 그때 강사님께 답변을 받고 시도해 보았으나 동일한 혹은 비슷한 오류들로 인해 여전히 ios설정을 하지 못하고있습니다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ㅠㅠ arch -x86_64 pod install --repo-update는 인텔 맥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라해서 pod install --repo-update를 사용하였습니다. (m4 pro칩 맥북입니다.)하지만 동일하게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ㅠㅠpod install이 실행되지않아 xcworkspace 파일이 생기질 않아 그 이후로는 따라 진행을 하지 못했습니다. 저기 오류에 나와있는대로sha256 값도 오류 내용대로 바꿔보았고 동일하게 진행이 되지 않았습니다pod update 나 캐시 삭제 등 해볼수있는걸 다. 진행해 봣으나 계속 동일한 곳에서 동일한 에러만 발생하여 너무 막막합니다.해결방법이 없을까요?..아 그리고 그냥 만들어본 리엑트 네이티브 최신버전 파일에서는 ios빌드가 그냥 되긴했었습니다.하지만 강의 프로젝트는 이미 0.72.6버전으로 만들어 진행을 하고있고강의를 보며 졸업작품을 만들고있는 다른 프로그램 또한 동일한 0.72.6버전으로 만들고있어 해결이 되면 진짜 너무너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실전! Redis 활용
Streams 삭제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동현님강의 잘 듣구 있습니다~!! Streams 자료구조를 설명할 때 append-only log 에 consumer groups 과 같은 기능을 더한 자료구조라고 설명해주셨는데요.append-only log 는 데이터를 오직 추가(append)만 할 수 있는 자료구조라고 추가로 설명해주셨습니다! 그런데 xdel 같은 명령어로 이벤트를 삭제할 수 있다고 설명해주셨는데요.오직 추가만 할 수 있는 자료구조 라고 인식했는데, 갑자기 삭제 명령어가 있어서 헷갈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Rookiss University] UE5 Lyra 클론 코딩 (Haker)
Fragment에 대한 질문
Weapon Equip#2 까지 보고 돌아와서 질문 드립니다.흐름을 보면 QuickBarComponent에서 Fragment의 정보를 읽고 아이템을 장착하는 과정을 진행하는데 그러면 Fragment는 아이템의 컴포넌트보다는 인터페이스에 좀 더 가까운 것 같은데 제가 잘못 이해한건가요?만약 새로운 Fragment를 추가한다면 QuickBarComponent에서 새로운 Fragment를 처리하기 위한 함수를 계속 해서 늘려나가야 되는 건가요?일단 제가 이해한 내용은 InventoryItemFragment는 아이템의 종류를 정의한 것 뿐이고 QuickBarComponent에서 이 Fragment의 종류에 따라 "아이템을 사용한다." 라는 동작을 처리한다. 라는 과정으로 이해했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사이드 이펙트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MemberRepository에서 return member.getId();사이드 이펙트로 멤버를 저장하는 메서드이기 때문에 리턴값은 안 만들어도 되고다만, 나중에 멤버 조회할 때 ID 정도 있으면 간단하게 조회할 수 있기 때문에 리턴값 설정해둔 것으로 이해하면 될까요?
-
미해결PySide6 파이썬 GUI
붙혀넣기는 좀..
이 강의를 계속 봐도 되는 건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npm run build 중 에러발생
id와 같이 사용하지 않는 객체를 생성했을 경우 빌드가 진행되지 않습니다. 정환쌤 같은경우 빌드를 하실때 저렇게 //를 하지 않아도 잘 빌드가 가능한데, 저는 에러가 발생하네요.제가 설정과정을 놓친걸까요?
-
해결됨실전! Redis 활용
ZSet 다이어그램 질문
안녕하세요~!zadd를 통해서 TeamC 의 score는 50으로 저장한 것 같은데, 다이어그램은 100으로 되어 있어서 질문 남깁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이강의만 보고 구현은 가능할까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혹시 이강의를 보고 게시판하나 만들까하는데 MyBatis대신JPA를 써볼까 합니다...너무 방대한 걸 알지만 혹시 이 한시간짜리 섹션강의를 보고 간단한 게시판정도는 해볼 수 있을까요?저는 취준을 시작한 비전공자입니다.
-
미해결[NarP Series] MVC 프레임워크는 내 손에 [나프1탄]
WEB-INF 파일 관련 53강 에러발생
안녕하세요, 강의 진행 중 53강에서 WEB-INF 폴더로 member폴더를 이동했는데도 계속 404 에러가 발생해서 질문 남깁니다.이전까지는 결과가 잘 실행되었는데 이 부분이 문제입니다.혹시나 해서 이클립스 껐다가 다시 실행, 서버 클린, 서버 다시 실행, MYSQL 다시 실행, 프로젝트 클린, 웹브라우저 캐시 비우고 강력새로고침도 해봤고... 콘솔로 결과값도 찍어봤는데 경로도 나옵니다ㅠㅠ 어디를 놓친 것인지 모르겠네요.관련 이미지를 첨부드립니다. .
-
미해결테스트 with Jest: 제로초에게 제대로 배우기
안녕하세요 제로초님
강의하신 내용에 대해 혹시 블로그에 정리해서 글을 작성해도 상관없을까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chool_check 프로젝트 시뮬레이터 실행 에러
chool_check 프로젝트에서 안드로이드, ios 시뮬레이터가 실행이 안되네요ㅜ 정말 열심히 만지다 보면 ios 애뮬레이터는 가끔 작동이 되는데, 안드로이드 시뮬레이터는 한번도 작동에 성공한 적이 없네요. 강의내용, 구글링, 챗gpt 다 활용하면서 3일을 썼는데도 googlemapsflutter, geolocator 플러그인을 넣으면서 시뮬레이터를 실행하려하면 계속 에러가 나서 여기서 한 3일을 쓰고, 진도를 못나가고 있습니다ㅜ 혹시 원격 조종해주실 수 있을까요ㅜㅜ 정말 이것저것 많이 만져보고, 프로젝트도 한 3,4번 갈아치우면서 시도해도 해결이 안되네요ㅜ
-
미해결[개념반]배워서 바로 쓰는 SQL 쿼리
쿼리 실습링크
안녕하세요~쿼리 실습링크 노트에 있다고 하셨는데 안보여서요~ 어디서 볼 수 있을까요~ :0
-
해결됨파이썬 주식 매매 봇으로 주식시장 자동사냥하기
4.2.1 매매 시그널 정의 파일 다운로드 경로 문의
4.2.1 매매 시그널 정의삼성전자 실습데이터 파일 어디서 다운로드 할 수 있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IOException 예외 처리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안녕하세요,IOException 예외 처리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영상과 교안을 보다보니 어떤 메소드에서는 IOException을 던지고, 어떤 메소드에서는 try-catch문을 이용해서 처리하는데, 기준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예외는 항상 처리해야하는 것이 아닌가? 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코드를 보니 또 그런건 아닌 것 같아서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클래스 다중상속 모호성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클래스는 메서드가 구현되어 있고, 이름이 같은 메서드가 있을 경우 어떤 메서드를 실행해야할지 모호해서 다중상속이 안 된다고 하셨는데, 인터페이스 다중구현을 설명해주실 때 약간의 의문점이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 인터페이스 다중구현에서는 만약 InterfaceB b = new Child()라고 하면 b가 InterfaceB를 가리키고 있기에 InterfaceB의 methodCommon()을 만나서 이 메서드는 오버라이딩 됐네! 하고 Child의 methodCommon()으로 내려가는 거잖아요. 그런데 그럼 클래스에서도 ClassB b = new Child()라고 하면 b가 ClassB를 가리키고 있기에 ClassB의 methodCommon()을 선택하면 되는거 아닌가요?? 이런 경우 왜 모호해지는지 잘 모르겠습니다!!!단지 상속이 부모의 기능을 물려받는 것이기에 부모의 기능을 가져올 때 어떤 부모의 기능을 가져와야할지 모호해져서 단일상속이 원칙이 되는건지, 만약 위와같은 자식 클래스에서 오버라이딩 하는 경우에는 모호성이 안 일어나는건지 궁금합니다. 여러 가지 개념이 나오다보니 많이 헷갈리네요. ㅜㅜㅜ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최근(어제) 질문이 사라졌습니다.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어제 제가 올린 질문이 이곳에 노출이 안 되었고, 24년 11월 29일이 마지막 질문으로 11월 29일 이후 질문이 노출 되지 않았습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response의 위치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안녕하세요현재 프로젝트에서는 service쪽에서 response로 변환을 해주고 있어서, response 객체의 위치가 service쪽에 있는데 response 변환을 controller 쪽에서 해주고 response의 위치도 controller쪽으로 옮기는 것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service에서는 domain과 관련된 것들만 있는 게 좋지 않나? ( domain entity와 jpa entity를 구분하지 않고 있기는 하지만요.. ) 라는 생각이 있고, response는 api의 응답이라서 아무래도 controller쪽에 있는 게 좋을 것 같다고 생각을 해서 여쭤보게 됐습니다.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Streaming을 사용하지 않아도 미리 정적인 컴포넌트들을 서버에서 응답을 받습니다
loading.tsx나 Suspense를 사용했을 때, Next의 Streaming이 동작하여 병렬적으로 미리 준비된 컴포넌트는 사용자의 브라우저에서 먼저 보이게 되고, fetch가 완료된 이후에 서버에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로 보내줘서 사용자가 보이는걸로 알고 있습니다.하지만, 개발자 도구 Network 탭을 확인해본결과 새로고침을 하였을 때, loading.tsx나 Suspense를 사용을 모두 빼고서 prefetchQuery와 HydrationBoundary, useQuery만을 사용했을 시 Streaming 동작 방식처럼 fetch문 실행이 완료되기 전에 미리 NavMenu나 글자 같이 정적인 요소들이 fetch가 끝나기 전에 이미 브라우저에 도착해있는걸 확인하였습니다.하지만, 딱 한가지 다른 점은 후자 같은 경우는 정적인 컴포넌트가 브라우저에 도착했음에도 화면에 보이질 않고, 전자 같은 경우는 로딩창이나 다른 정적인 요소들은 이미 화면에 미리 보입니다.그렇다면, Next 15 공식문서에 있는 fetch 실행이 끝날때까지 HTML 파일을 서버 사이드에서 렌더링 하는 것이 Blocking 된다는 논리가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https://nextjs.org/docs/app/building-your-application/routing/loading-ui-and-streaming)위의 코드는 /home의 추천탭을 기준으로 확인하였습니다.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Configuration과 @Transactional
안녕하세요 항상 강의를 잘 보고 있습니다.@Configuration과 @Transactional 둘 다 상속을 이용한 proxy기법(CGLIB, AOP)을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하였습니다.만약 저가 MemberService라는 class에 @Service, @Transactional를 부여한 후 ComponentScan을 하면 MemberService의 프록시 객체가 빈으로써 생성되어 스프링 컨테이너에 반환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궁금한 것은 @Configuration과 @Transactional 이 둘이 각각 프록시를 생성하는 것인지 혹은 하나만 생성하는 것인지가 궁금합니다.두 번째로 궁금한 것은 프록시는 싱글톤으로 관리가 될 텐데, 프록시가 아닌 target이 가르키는 실제 객체 MemberService는 매 request마다 객체가 새로 생성되어지는 것인지 혹은 최초로 서버가 로드할 때 한 번만 생성이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제 생각에는 @Configuration으로 인하여 후자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repostory 테스트 코드 작성 이유 관련 질문
제가 테스트 코드 작성이 처음이라 잘 이해하지 못한 것 같은데요repository에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given에서 Product를 삽입하는 과정은 DB의 product에 레코드를 삽입하는 과정으로 대체해서 수행할 수 있을 것 같아서요. DB를 통해 확인하지 않고 리포지토리에 대해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혹시 수동 검증 시 콘솔에서 확인하는 것과 동일하게 직접 사람이 테스트 과정에 개입해야 해서 그러한 것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