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Git’ 명령어라인개발자도구 설치여부
설치 해야하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객체 생성과 메서드 호출에 대한 메모리 관점 흐름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메서드 프레임은 메서드 영역에 있는 메서드 코드를 기반으로 생성되나요?객체 생성과 메서드 호출에 대한 메모리 관점 흐름을 정리 해봤는데 맞게 정리한건지 궁금합니다. "객체 생성시 힙 영역에 객체 저장 -> 메서드 호출시 메서드 영역에 있는 호출한 메서드 코드를 찾음 -> 찾은 메서드 코드로 스택 영역에 메서드 프레임을 생성함"힙 영역에서 메서드 영역에 있는 본인의 메서드 코드를 어떻게 찾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this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객체를 생성하는 순간 힙 영역에 객체가 저장(필드값)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메서드를 호출하기 위해서는 우선 객체를 생성한 후에 메서드를 호출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궁금한 부분은 언제 메서드 프레임의 this에 값이 저장 되는지 궁금합니다. 메서드 호출 할때 힙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객체의 주소값이 this로 저장이 되는건가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main 스레드와 생성한 스레드 관계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자바 실행 시 main 스레드가 생성되고 실행이 되다가 중간에 아래와 같이 스레드를 하나 생성한다고 하겠습니다.MyRunnable runnable = new MyRunnable(); Thread thread = new Thread(runnable); thread.start();이럴 경우 생성한 스레드가 종료 상태가 될때 까지 main 스레드가 기다리는지 아니면 main 스레드는 생성한 스레드의 상태와 아무 관련없이 종료 상태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파이썬 알고리즘 트레이딩 파트1: 알고리즘 트레이딩을 위한 파이썬 데이터 분석
PairsTrading_EDA 실습 과정중 오류가 발생합니다.
실습중에 오류가 발생하여 질문드립니다.아래 이미지 캡쳐하였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변수명명규칙 - 패키지명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섹션 3, 변수명명규칙 강의에서 패키지명은 소문자를 사용한다고 하셨는데, 카멜케이스가 아닌 전체를 소문자로 사용하는 것이 맞나요? 예를 들어 org.springBoot -> org.springboot로 표기하는것이 맞나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ghuhan18님이 질문한것중 OMG님이 대답의 대한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ghuhan님의 질문 내용과 OMG님의 답변 내용을 보면서,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을 남깁니다.OMG님의 답변 내용을 보면서 그 내용 중 '코드 규모가 커지고' 라는 말이 있습니다.만약에 ghunhan님의 말처럼 지역 클래스 로 만들었는데, 어느 정도 코드 규모가 커져서 별도의 클래스 를 만들어야 한다는 상황이 생겻다면,(지역 클래스에서 그냥 일반 클래스로 전환)어느 정도 코드 큐모가 커야지? 별도의 클래스를 만들겟다는 생각이 드는지요?각각 사람들이 생각하는 코드의 규모가 있을 텐데요, 아직 저로서는 어떤 게 코드 규모가 큰지 생각을 할 수 없네요.수정 : 너무 말이 이상해서 수정을 좀 많이 하네요. 수정 하시기전 보신 분들 좀 죄송합니다. 답변 부탁 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제네릭클래스는 타입매개변수를 통해 타입을 결정하는데 이 타입을 메인에서 전달받는다면 의존성 주입과 IoC로 볼수 있나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제네릭클래스는 타입매개변수를 통해 타입을 결정하는데 이 타입을 메인에서 전달받는다면 의존성 주입과 IoC로 볼수 있나요?제가 생각하는 IoC는 한 오브젝트에서 무언가를 결정해야하는데 이것이 다른 오브젝트에 의해 결정되는 것입니다.이때 제 기준으로는 제네릭클래스는 내부적으로 타입을 결정해야하지만 이 타입이 메인과 같은 함수에 의해 타입을 전달받아 전달받은 타입으로 타입을 결정하므로 IoC에 부합한다고 생각합니다.또한 외부에서 타입을 주입받으므로 의존성 주입에도 부합하다고 생각합니다.혹시 제 생각이 틀렸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클래스 상수 선언
안녕하세요. 만약 flag 값이 1이면 데이터를 빨간색으로 표기한다 라고 가정했을때 private static final String RED = "1"; if(param.getFlag().equals(RED)){.... 빨간색 표기 로직}저는 이런식으로 상수를 선언해추후 소스를 봤을때 "1" 이라는 코드가 뭘 나타내는지 이해하기 쉽게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근데 static 변수와 같은경우 메모리에 계속 떠있다보니클래스에서 이런식으로 static 변수를 계속 선언하는것이 메모리 부족에 영향을 끼치지는 않을지? 걱정이 들기 시작했습니다. 톰캣 서버의 jvm 메모리가 1gb 라고 가정했을때메모리 걱정을 하지않고 static 변수를 선언해도 괜찮을까요? 아니면 이런 경우 그냥 static 키워드를 제거하고 private final String RED = "1"; 이렇게 사용해서 gc 의 대상이 되도록 하는게 바람직할까요?
-
미해결Readable Code: 읽기 좋은 코드를 작성하는 사고법
안녕하세요 강사님 SRP에 관한 질문입니다!
이번 강의 내용과 관련하여 JPA를 사용하여 CRUD를 구현할 때 질문입니다! JPA를 이용한 간한단 CRUD를 구현할 때,POST와 USER Entity는 서로 연관관계 매핑이 되어있습니다. Post(게시글)을 작성한다고 가정하면 PostService에는 UserRepository를 사용하여 User객체를 얻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단일 책임 원칙 위반이라고 얘기할 수 있는 건가요? 댓글을 작성한다고 가정하면, CommentService에 UserRepository, PostRepository를 사용하여 User와 Post 객체를 얻어야 합니다. 제가 생각했을 때 이러한 경우 단일 책임 원칙이 위반 되었는지가 궁금합니다.게시글 작성, 댓글 작성이라는 행위에 다른 도메인이 침투해있으니까 단위테스트 작성도 어렵고 가독성이 떨어진다고 생각하는데, 맞을까요?그럼 2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되는지 궁금합니다. 너무 얘기가 길어지면 어떤 책or글을 참고하는게 좋을지 가르쳐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강사님 이전 테스트 코드 강의도 보고 지금 강의도 보고있지만 아직 너무 어려워서 따라가기가 힘드네요 ㅠㅠ....항상 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실행 오류 도와주세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삼각형 눌러서 실행시키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뜹니다. 구글링 참고해서 세팅 바꿔보았는데도 해결이 안돼요 도와주세요 ㅠㅠ Error: LinkageError occurred while loading main class Hellooo java.lang.UnsupportedClassVersionError: Preview features are not enabled for Hellooo (class file version 66.65535). Try running with '--enable-preview'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강의 10분 20초 부분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운영제체 관점에서 보면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워드 프로그램 - 프로세스A스레드1: 문서 편집스레드2: 자동 저장스레드3: 맞춤법 검사유튜브 프로세스B스레드1: 영상 재생스레드2: 댓글강의 내용중에 위와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유튜브라는 프로세스가 실행이 되고 영상 재생을 담당하는 스레드1이 생기고 댓글을 담당하는 스레드2가 생긴다고 했을때 영상 재생은 계속해서 사용자한테 보여줘야 하므로 스레드1이 쭉 영상 재생을 담당할거 같은데 댓글 같은 경우는 스레드2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궁금합니다. 댓글을 작성할때마다 스레드2가 생성되서 해당 댓글을 담당 한다는 건지 아니면 딱 하나의 스레드2가 생성이 되고 이 스레드2가 여러 사용자들의 댓글 작성 요청에 대해 관리를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유니티 시스템 프로그래밍 Pt.1 - 상용 게임 구현을 위한 핵심 시스템 올인원 패키지
SingletonBehaviour 클래스의 where 제약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섹션 2의 SingletonBehaviour 강의 수강 중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 남깁니다.해당 클래스가 MonoBehaviour의 성격을 띄게 하기 위해서 클래스에 MonoBehaviour를 상속시키는 것 까지는 이해가 되었습니다.그러나 뒤에 다시 SingletonBehaviour<T>에 대한 제약의 필요성이 충분히 이해되지 않아 모호하게 느껴졌습니다. 앞으로 SingletonBehaviour를 상속 받을 클래스에 구현을 강제하는 것인지, 아니면 성능 상의 제가 알지 못하는 이점이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해당 SingletonBehaviour 클래스가 아니더라도, 클래스 설계에 있어 이와 같은 재귀적인 형태의 where 제약이 어떤 의미 또는 의도가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해시 충돌 구현 링크드리스트 사용이유!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사님께서 링크드 리스트를 사용하시는 이유를 설명해주셨는데 잘 이해가 안가서 질문을합니다!어레일이스트를 사용하는것보다 링크드 리스트를 사용하는 이유가.. 충돌?이 덜나서라고 하셨는데 이부분을 자세하게 설명해주실수있나요? 잘 이해가 안가네요 ㅜㅜ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String[]에서 for-each가 작동하는 이유는 뭔가요?
[섹션 11. 순회, 정렬, 전체 정리] 강의를 들으면서 학습 자료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볼 수 있었습니다. "자바는 Iter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에 대해서 향상된 for문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근데, String[]에는 Iterable 인터페이스가 구현되어 있지 않은 것 같은데 어떻게 for-each를 사용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이상한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jdk 22를 사용중입니다.증상은 위의 에러가 뜨는데 테스트 코드들은 정상적으로 초록 채크표시가 뜹니다. 이거 무슨 에러인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JDK 다운로드 버튼이 없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저는 왜 다운로드 버튼이 없고 select 버튼만 있을까요? 기존에 JDK8 이 설치되어있긴 한데 JDK8로 수업을 들어도 무관할까요?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가 왜 두번 더 호출되나요?
11:47부터 //call AppConfig.memberService //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call call AppConfig.orderService//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처럼 보인다했는데//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가 //call AppConfig.memberService후 에 두번 호출되는것처럼 보인다는건가요?//call call AppConfig.orderService호출 후 한번 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출력된것처럼 보이는거아닌가요??왜 memberService일때는 왜 레포지토리가 두번 호출되는것처럼 보이나여ㅛ?
-
해결됨진짜!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 기초부터 고급까지
keys(), entrieS() 같은 함수의 반환값이 왜 iterator인지 잘 이해가 안갑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수업노트에 올려주신 iterator와 iterable 강의까지 들었는데 잘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어 질문합니다. iterator와 iterable강의에서 'iterator 는 Collection이나 Aggregate 객체를 순횐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 이라고 보았습니다. 구현 예제까지 본 후에는 '방법을 제공한다 = 어떤 동작을 제공한다 = 함수를 제공한다' 라고 생각했습니다. (예제에서는 hasNext(), next() 함수를 제공함)그런데 [추가섹션] 배열의 순회 강의에서 배열의 keys() , values() , entires() , [Symbol.iterator]() 함수를 사용하는 걸 보면 각 함수들이 반환하는 iterator들은 함수를 제공하지 않는 걸로 보여서요.이 함수들의 반환값이 for문으로 순회 가능한(iterable한) 객체들이고, 그럼 iterable한 객체를 만들어주는 keys()같은 함수들이 곧 'iterator'인게 아닌가 싶은데 왜 함수들의 반환값이 iterator가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AutoAppConfig의 memberRepository() 반환 유형에 따른 충돌 여부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AutoAppConfig의 memberRepository() 반환 타입을 아래와 같이 인터페이스로 했을때는 충돌이 발생했습니다. 그런데@Configuration @ComponentScan( basePackages = "hello.core", excludeFilters=@ComponentScan.Filter(type= FilterType.ANNOTATION,classes=Configuration.class) ) public class AutoAppConfig { @Bean(name="memory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해당 함수의 반환 타입을 아래와 같이 실제 구현체 클래스인 MemoryMemberRepository로 하니까 test 시 충돌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빈이름이 같으면 반환타입을 인터페이스로 하든, 그 구현체로 하든 충돌이 발생해야된다고 생각했는데 왜 실제 구현체로 하면 충돌이 발생하지 않나요?@Configuration @ComponentScan( basePackages = "hello.core", excludeFilters=@ComponentScan.Filter(type= FilterType.ANNOTATION,classes=Configuration.class) ) public class AutoAppConfig { @Bean(name="memoryMemberRepository") Memory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