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jdk 버전 질문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21버전을 선택하면 오라클 오픈 jdk 가 없어서 자료에서 알려주신 것처럼 해당 버전을 선택했는데 jdk 가 맞지 않다고 나오는거 같아요.오라클 오픈 jdk 22 버전을 사용하면 아무 문제가 없이 잘 되고 있습니다. 다운받은 코드 파일도 잘열리고 위에 사진 처럼 jdk 가 맞지 않다는 에러도 없습니다.오라클 오픈 jdk 22 버전을 사용해도 무방할까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빈 생명주기 콜백
안녕하세요 2회차 복습 중인데 빈 생명주기 콜백에서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을 드립니다.강의에서 영한님께서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뜨기전에 미리 연결하는 작업을 한다고 하셨습니다.아직 데이터베이스에 관한 사전지식이 부족해서 그런지 모르겠습니다만,,,애초에 그냥 객체를 생성할 때 생성자에 url을 넣으면 안되는 건가요..? public class NetworkClient{ private String url; public NetworkClient() { System.out.println("생성자 호출, url = " + url); connect(); call("초기화 연결 메시지"); } public void setUrl(String url) { this.url = url;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정적 중첩클래스내 private 필드변수를 외부 클래스에서 접근가능한 이유가있나요?
package nested.nested.ex2; public class Network { private int age; public void sendMessage(String text) { NetworkMessage netWorMessage = new NetworkMessage(text); netWorMessage.print(); netWorMessage.content = "abc"; } private static class NetworkMessage { private String content; public NetworkMessage(String content) { this.content = content; } public void print() { System.out.println(content); } } }위 로직에서netWorMessage.content = "abc"; 부분이 제 예상으론 컴파일 에러가 나야하는데 신기하게도 정상 수행됐습니다.정적중첩클래스 NetworkMessage 내부에 private으로 선언한 content를 바깥클래스인 Network의 sendMessage() 메서드 에서 어떻게 직접 접근 할수있는지 모르겠습니다 ㅎㅎ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오류가 계속 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저 오류가 해결이 안됩니다. 멤버 서비스에 어노테이션을 한시간 넘게 계속 확인했고 패키지 위치도 잘 정리 되어있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강의자료 안열림
중급 강의자료만 이렇게 열리는 이유가 뭘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강의자료 안열림
왜 강의 소스코드가 인텔리제이에서 안열리죠??? 중급만 안열리네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request scope 예제 - Core Application
//web 라이브러리 추가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Build.gradle에 web 라이브러리를 추가하고 빌드를 해서External library에 web관련 라이브러리가 위의 사진과 같이 생성된것을 확인 할 수 있었어요. 그런데 아래 core application을 실행 했을 때 컴파일(?) 되지 않고 아래에 첨부한 사진처럼 로딩 표시만 뜨고있어요. 몇 분에서 몇 시간 까지 기다려 보았지만 컴파일 되지 않았습니다. 디버그 로그의 일부도 제일 아래에 첨부했습니다. 어떤것이 문제 일까요..?package hello.core;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SpringBootApplication;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Core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CoreApplication.class, args); } }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상속받지 않은 클래스 객체 생성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예외 처리가 필요한 이유1 - 시작 강의 7분대에NetworkServiceV0 클래스에서 sendMessage 메서드 안에 NetworkClinetV0 클래스 객체를 생성하는데 지금까지 배운 내용으로는 상속을 받지 않고서 저렇게 타 클래스의 객체를 생성하는 건 처음 봐서요! 그래서 찾아봤더니 이게 의존성 주입(DI)이라는데 제가 알맞게 이해한 것인지, 또한 이 기법에 대해서 추가적인 설명을 여쭤보고 싶습니다! 이전에 배운 내용인데 제가 모르고 있는 것은 아닌 거죠?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for반복문을 임의로 바꿔 봤는데 오류가 나는 이유를 모르겠어요
안녕하세요실전 자바 기본편 섹션3 기본형과 참조형 문제와 풀이부분에서for (int i = 0; i < orders.length; i++) { System.out.println((i + 1) + "번째 주문 정보를 입력하세요."); System.out.println("상품명: "); String productName = scanner.nextLine(); System.out.println("가격: "); int price = scanner.nextInt(); System.out.println("수량: "); int quantity = scanner.nextInt(); scanner.nextLine(); orders[i] = createOrder(productName, price, quantity); }for 반복문을for(ProductOrder order : orders) { System.out.println("상품명을 입력하세요: "); String productName = scanner.nextLine(); System.out.println("가격을 입력하세요: "); int price = scanner.nextInt(); System.out.println("갯수를 입력하세요: "); int quantity = scanner.nextInt(); scanner.nextLine(); order = createOrder(productName, price, quantity); }이렇게 고쳤봤더니 createOrder 메소드에서 order변수값이 null이라면서 오류가 나는데요..혹시 order변수에 null값이 들어가면서 오류가 나는 이유가 뭔지 알수있을까요?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스프링컨테이너에 두개의 클래스를 등록한 이유?
스프링 컨테이너에 여러개의 클래스를 빈으로 등록할려고 할때다음 아래 처럼 AutoAppConfig.class,DiscountService.class 1. 갯수 2개 명시안해도 여러개 씩 쉼표로 이어붙이면 되는건가요? 아니면 map이라서 두개 주입해준건가요?그리고 왜 두개의 클래스를 등록한건가요? AutoAppConfig에는 DiscountService가 없어서 그런건가요? 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utoAppConfig.class,DiscountService.class);//왜 autoAppConfig를 땡겨오는지 모르겟음/ 컴포넌트 스캔을 하면서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Scanner 문자열 (한글)
Scanner 함수 예제풀이중 문자열로 입력을 받게해야하는데한글은 입력이 안됩니다 뭐가 문제일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부모쓰레드 개념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중, 모든 쓰레드는 직접적으로 만들 수 없고메인쓰레드에 의해서 생성이 된다고 하셨던 부분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을 남깁니다. 자바 말고 스프링의 경우에도 1개의 메인쓰레드가 N개의 요청에 따른 스레드를 생성해주는 구조일까요? 요청당 1개의 스레드를 차지하는데 이 경우에는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자바 예외처리 할때 쓴 주석질문이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자바 예외 처리 하면서 본 주석이 궁금해 져서 질문을 남깁니다.영한님이 throws을 보여주려고, 마우스에 callThrow() 된 것을 보고 (사진 참조)다른것은 어떻게 될까 해서그래서 다른 것도 마우스에 되보니, 사진처럼 되엇습니다.보니까 초록색 주석이 이런 역할을 하더라고요.그래서 궁금해진 점이 초록색 주석 처럼,이런 식의 주석이 또 있나요?그리고 영상을 보니까 단축키를 안쓰고, 타이핑을 하던데, 혹 단축키 같은 게 있을까요?추가1 : 너무 유용해 보여서요.추가2 : 글이 좀 너무 이상해서(도둑놈 심보..여서) 수정 하였 습니다.답변 부탁 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56강에 대한 질문입니다(BoundedMain).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package thread.bounded; import static util.MyLogger.log; public class ProducerTask implements Runnable { private BoundedQueue queue; private String request; public ProducerTask(BoundedQueue queue, String request) { this.queue = queue; this.request = request; } @Override public void run() { log("[생산 시도] " + request + " -> " + queue); log("[생산 완료] " + request + " -> " + queue); } }package thread.bounded; import static util.MyLogger.log; public class ConsumerTask implements Runnable { private BoundedQueue queue; public ConsumerTask(BoundedQueue queue) { this.queue = queue; } @Override public void run() { log("[소비 시도] ? <- " + queue); String data = queue.take(); log("[소비 완료] " + data + " <- " + queue); } }package thread.bounded; public interface BoundedQueue { void put(String data); String take(); }package thread.bounded;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import static util.MyLogger.log; import static util.ThreadUtils.sleep; public class Bounded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1. BoundedQueue 선택 BoundedQueue queue = new BoundedQueueV1(2); // 2. 생산자, 소비자 실행 순서 선택, 반드시 하나만 선택! producerFirst(queue); // 생산자 먼저 실행 //consumerFirst(queue); // 소비자 먼저 실행 } private static void producerFirst(BoundedQueue queue) { log("== [생산자 먼저 실행] 시작, " + queue.getClass().getSimpleName() + " =="); List<Thread> threads = new ArrayList<>(); startProducer(queue, threads); printAllState(queue, threads); startConsumer(queue, threads); printAllState(queue, threads); log("== [생산자 먼저 실행] 종료, " + queue.getClass().getSimpleName() + " =="); } private static void consumerFirst(BoundedQueue queue) { log("== [소비자 먼저 실행] 시작, " + queue.getClass().getSimpleName() + " =="); List<Thread> threads = new ArrayList<>(); startConsumer(queue, threads); printAllState(queue, threads); startProducer(queue, threads); printAllState(queue, threads); log("== [소비자 먼저 실행] 종료, " + queue.getClass().getSimpleName() + " =="); } private static void startProducer(BoundedQueue queue, List<Thread> threads) { System.out.println(); log("생산자 시작"); for (int i = 1; i <= 3; i++) { Thread producer = new Thread(new ProducerTask(queue, "data" + i), "producer" + i); threads.add(producer); producer.start(); sleep(100); } } private static void startConsumer(BoundedQueue queue, List<Thread> threads) { System.out.println(); log("소비자 시작"); for (int i = 1; i <= 3; i++) { Thread consumer = new Thread(new ConsumerTask(queue), "consumer" + i); threads.add(consumer); consumer.start(); sleep(100); } } private static void printAllState(BoundedQueue queue, List<Thread> threads) { System.out.println(); log("현재 상태 출력, 큐 데이터: " + queue); for (Thread thread : threads) { log(thread.getName() + ": " + thread.getState()); } } }package thread.bounded; import java.util.ArrayDeque; import java.util.Queue; import static util.MyLogger.log; public class BoundedQueueV1 implements BoundedQueue { private final Queue<String> queue = new ArrayDeque<>(); private final int max; public BoundedQueueV1(int max) { this.max = max; } @Override public synchronized void put(String data) { if (queue.size() == max) { log("[put] 큐가 가득 참, 버림: " + data); return; } queue.offer(data); } @Override public synchronized String take() { if (queue.isEmpty()) { return null; } return queue.poll(); } @Override public String toString() { return queue.toString(); } }C:\Users\lgh80\.jdks\temurin-21.0.4\bin\java.exe --enable-preview "-javaagent:C:\Program Files\JetBrains\IntelliJ IDEA 2024.1.4\lib\idea_rt.jar=52674:C:\Program Files\JetBrains\IntelliJ IDEA 2024.1.4\bin" -Dfile.encoding=UTF-8 -Dsun.stdout.encoding=UTF-8 -Dsun.stderr.encoding=UTF-8 -classpath C:\java-adv1\out\production\java-adv1 thread.bounded.BoundedMain09:38:16.411 [ main] == [생산자 먼저 실행] 시작, BoundedQueueV1 ==09:38:16.413 [ main] 생산자 시작09:38:16.424 [producer1] [생산 시도] data1 -> []09:38:16.425 [producer1] [생산 완료] data1 -> []09:38:16.531 [producer2] [생산 시도] data2 -> []09:38:16.532 [producer2] [생산 완료] data2 -> []09:38:16.642 [producer3] [생산 시도] data3 -> []09:38:16.642 [producer3] [생산 완료] data3 -> []09:38:16.752 [ main] 현재 상태 출력, 큐 데이터: []09:38:16.754 [ main] producer1: TERMINATED09:38:16.754 [ main] producer2: TERMINATED09:38:16.754 [ main] producer3: TERMINATED09:38:16.755 [ main] 소비자 시작09:38:16.757 [consumer1] [소비 시도] ? <- []09:38:16.757 [consumer1] [소비 완료] null <- []09:38:16.864 [consumer2] [소비 시도] ? <- []09:38:16.865 [consumer2] [소비 완료] null <- []09:38:16.974 [consumer3] [소비 시도] ? <- []09:38:16.975 [consumer3] [소비 완료] null <- []09:38:17.085 [ main] 현재 상태 출력, 큐 데이터: []09:38:17.085 [ main] producer1: TERMINATED09:38:17.086 [ main] producer2: TERMINATED09:38:17.086 [ main] producer3: TERMINATED09:38:17.086 [ main] consumer1: TERMINATED09:38:17.087 [ main] consumer2: TERMINATED09:38:17.087 [ main] consumer3: TERMINATED09:38:17.087 [ main] == [생산자 먼저 실행] 종료, BoundedQueueV1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0이런 식으로 출력이 뜨는데 강의 내용에 나와있는 로그 창이랑 많이 달라서 강의 코드랑도 비교해봤는데 어디에서 문제가 있는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의존관계 주입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 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영한님 강의를 잘 듣고 있습니다.의존관계 주입 설명해주실때 문득 궁금점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의존관계 주입은 추상적인 것을 의존하게 하고,나중에 실제 구체적인것을 넣어주는 부분인데이는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List(Array, Linked)의 경우라고 한다면 처음에는 한가지 기능만 수행하다가, 필요에 의해서 다른 기능을 만들었고 이걸 공통화가 가능하다면 인터페이스로 만들어주는 작업을 진행하면 되는 걸까요? 실무에서 인터페이스는 처음부터 설계를 잡고 들어가는 경우가 많은지, 혹은 필요에 의해 중간에 만드는 경우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중간에 필요하긴한데 기능이 다 같진 않은 경우에는 어떻게 하는지도 궁금하네요ㅠ
-
해결됨나도코딩의 자바 기본편 - 풀코스 (20시간)
Catch 안에서 쓰인 throw
안녕하세요. try { writer.close(); } catch (Exception e) { throw new RuntimeException(e); }여기에서 catch 안에 throw로 RuntimeException 을 발생 시켰는데, 이부분은 어디서 catch가 되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인터럽트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public class ThreadStopMainV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nterruptedException { Job job = new Job(); Thread thread = new Thread(job); thread.start(); Thread.sleep(4000); log("작업 중단 지시 interrupt"); thread.interrupt(); log("main 스레드 끝"); } static class Job implements Runnable { @Override public void run() { while (true) { try { log("스레드 실행"); Thread.sleep(2000);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log("예외 발생"); break; } } log("작업 끝"); } } }위 코드의 실행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궁금한 부분은 로그에서 작업 중단 지시 interrupt 이후에 대해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작업 중단 지시 interrupt 를 로그로 찍고 thread.interrupt();를 호출 했습니다. 그러면 생선한 스레드에 interrupt 신호를 보내고 Thread.sleep(2000); 부분에서 예외가 발생해 catch 문으로 빠지는것도 이해했습니다. 하지만 catch 문으로 빠지기전 log("스레드 실행"); 가 실행되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최종 결과는 아래와 같이 catch 로 빠지기전에 스레드 실행이 한번 더 찍혀야 하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23:08:15.622 [ Thread-0] 스레드 실행23:08:17.629 [ Thread-0] 스레드 실행23:08:19.613 [ main] 작업 중단 지시 interrupt23:08:19.613 [ Thread-0] 스레드 실행23:08:19.614 [ main] main 스레드 끝23:08:19.614 [ Thread-0] 예외 발생23:08:19.616 [ Thread-0] 작업 끝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자바 16부터는 instanceof 사용법에 질문이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자바 16부터는 instanceof 를 사용하면서 동시에 변수를 선언할 수 있다고 하셨는데 그럼 if(parent instanceof Child child){child.childMethod()} 여기서 child.childMethod() 는 어떻게 작동이되는건가요? Child child 를 선언하긴했지만 instance 주소값을 대입하지않아서 작동이 되지 않는거 아닌가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자바 예외 처리3 - 체크 예외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영상 에서 try-catch문과 throws으로, 예외를 잡는 것과, 던지는 것을 보았습니다.현실적 으로는, 이 두 가지 사항이 잘 이해가 가는데,ex)들수 있는 물건 - try-catch무거운 물건을 들때 도움을 요청 - throwstry-catch : 사람의 힘이나 기계의 힘으로 충분이 해결 가능throws : 사람의 힘으로 안됨- > 기계의 힘으로도 안됨 -> 포기 코드적 으로는어떨 때에는 try-cath로 잡고,어떨 때에는 throws로 던져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혹 자바 예외 처리 실습 부분에서 이런 부분을 가르쳐 주시나요?아니라면 어떨 때 던지고, 어떨 때 던져야 하는지 가르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답변 부탁 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Qualifier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Qualifier` 로 주입할 때 @Qualifier("mainDiscountPolicy") 를 못찾으면 어떻게 될까? 그러면 mainDiscountPolicy라는 이름의 스프링 빈을 추가로 찾는다. 하지만 경험상 @Qualifier 는 @Qualifier 를 찾 는 용도로만 사용하는게 명확하고 좋다.강사님께서 올려주신 해당 문장의 의미가 같은 타입의 빈이 여러개 있을 때, @Qualifier로 같은 타입의 다른 빈을 찾게 만드는 것보다 예외를 발생시켜서 빈 주입에 대한 예외를 찍도록 하는게 좋다는 말씀이신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