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Do it!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with Python
나머지 합 구하기 핵심 아이디어 문의
안녕하세요. 나머지 합 구하기 핵심 아이디어 중 첫 번째 (A+B)%C는 ((A%C) + (B%C)) % C와 같다. 는 것은 본 문제를 푸는 데에는 직접적 관련이 없는 것 같은데 어떻게 관련이 되어 있는지 궁금합니다. 문제가 연속된 부분의 합의 나머지를 구하는 것인데,(A[i+1] + ... + A[j])%M = (S[j] - S[i])%M이 되고, 나머지 연산이 linear 연산이기 때문에(S[j] - S[i])%M = 0이라면S[j]%M = S[i]%M 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서요. 이 경우에 핵심 아이디어 2번째, 3번째로도 문제 풀이가 가능한 것 같은데, 핵심 아이디어 1번째는 어떤 역할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이 되어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교안 질문 드립니다 memset()
큰돌님 안녕하세요. 오늘은 교안에 헷갈리는 부분을 들고 왔습니다. memset() 함수중에, memset은 -1, 0, 혹은 char?까지 된다는 말씀일까요 안된다는 말씀일까요?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3-F질문있습니다
http://boj.kr/38e288735ce042b08b79f4830cc93119 결국 괄호 묶기는 3숫자 중에 연산 앞으로 2개 묶나 뒤로 2개묶나를 비교해서 더 큰연산을 가져오는 방식이라 생각해서 이렇게 진행했는데 틀렷다고 나옵니다. 어떤 부분에서 논리가 틀렸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collection 디렉토리 안에 map 포함
collection 인터페이스에 map 인터페이스가 속하지 않는다고 말씀해주셨는데 디렉토리를 collection에 만드신 이유가 있을까요? 검색해보니 Map을 컬렉션이라고 보기도 하지만 자바에선 컬렉션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애매하게 나오네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강의 질문
Regular languages: deterministic and non-deterministic finite automata, regular expressions. Context-free languages: context-free grammars, push-down automata. Turing machines, the Chomsky hierarchy, and the Church-Turing thesis. Introduction to Complexity Theory and NP-Completeness. 안녕하세요 선생님. 항상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혹시나 이거를 다루어주시는 강의가 혹시 있을까요?
-
미해결파이썬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코딩테스트 대비)
5번 정다면체 - 특정 길이의 리스트 선언 질문입니다.
cnt=[0]*(x+y+3) 에서 +3을 해주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x+y가 나올 수 있는 최대값이니, cnt = [0]*(x+y)만해도 되는 것 아닌가 했는데, list index out of range 라는 오류 메세지가 뜹니다. ㅠㅠ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매개변수 명명 관련 질문입니다.
매개변수 이름을 element와 value로 구분하시는 이유가 있을까요? public interface Myset<E> { boolean add(E element); boolean remove(E value); boolean contains(E value); }
-
미해결2주만에 통과하는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2024년)
최적화 1번 문제에서 단맛과 짠맛의 곱과 합이 거꾸로 설정된것 같아요.
아무리 코드를 봐도 잘못된게 없어서 백준 사이트 확인해보니 단맛 입력인 A 끼리는 곱하고 짠맛인 B 끼리는 더해야 해당 입력에 대한 올바른 출력값 (문제에서는 1) 이 나옵니다. 그냥 recur(idx+1, dan+ingre[idx][1], zzan*ingre[idx][0], use+1) 이렇게 인덱싱만 바꿨습니다. 아니면 제가 혹시 문제를 잘못 이해한걸까요..?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2-C 질문 있습니다
http://boj.kr/6fddcaf0cc7c429f979e53823889d3bd 저는 이렇게 ret 을 0으로 두고 풀었는데요. 만약 ret을 1로 두고 푼다면 비에 전체가 잠기는 경우에는 안전영역이 0일텐데 이경우에 어긋나서 틀려야 되는거 아닌가요?예를 들면 2*2로50 5050 50의 높이로 구성된 지역에 비가 100씩 와버리게 되면 안전영역은 0개가 아닌가요? 그래서 ret은 1이 되면 안된다고 생각하는데 왜 맞게끔 채점이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교안 수정 제안 드립니다.
큰돌님 안녕하세요?해당 강의의 아래 질문과 같이 combi() 함수 구현 중 값에 의한 호출 / 참조에 의한 호출을 잘못해서 시간 초과가 발생했습니다. // 해당 질문 링크https://www.inflearn.com/course/lecture?courseSlug=10%EC%A3%BC%EC%99%84%EC%84%B1-%EC%BD%94%EB%94%A9%ED%85%8C%EC%8A%A4%ED%8A%B8-%ED%81%B0%EB%8F%8C&unitId=228311&tab=community&q=1286398&category=questionDetail 저도 combi 함수의 파라미터인 vector<int>를 값에 의한 호출로 써서 시간 초과가 났는데요, 값에 의한 호출을 사용한 이유 중 하나는 교안에 값에 의한 호출의 combi 예제가 있고 참조에 의한 호출 combi 두 가지 예제가 있어서 값에 의한 호출 예제를 사용했습니다. vector<int>의 경우 무조건(?) 참조에 의한 호출이 더 좋다면, (제가 이해한게 맞다면?)(최신 교안 150p) 교안의 아래 예시도 참조에 의한 호출로 바꾸면 어떨까요?(최신 교안 기준 165p)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DFS와 BFS에서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개념 관련 질문이어서 이렇게 따로 질문 드립니다. 양해 부탁 드립니다. 근래 DFS와 BFS를 푸는 도중에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가중치가 같을 경우, 가중치를 구하는 문제는 DFS가 아닌 BFS를 써야한다고 배워서 그런가보구나 하고 외우고 문제를 풀어나갔습니다. 그런데 문득, DFS로도 가중치를 구할 수 있지 않나 싶더라구요. 선생님께서 알려주신 DFS방식과는 별개로, BFS의 queue를 stack으로만 바꿔도 DFS방식이 되기 때문에 변형하여 가중치를 계산해봤습니다. 기존에 풀었던 2-A 백준 2178번 미로탐색을 stack으로 변형하여 가중치를 계산해봤더니 출력 값이 오답으로 나오더라구요. 근데 이게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BFS의 일반적인 풀이는 queue와 4방향 탐색을 이용하여 좌표 값 (ny, nx)를 queue에 push하며 visited배열의 값을 ++하는 방식이었는데요, 좌표 값을 앞에서부터 가져온다는 특징이 있었습니다. 반대로 queue를 stack으로 변형한다면, stack과 4방향 탐색을 이용하여 좌표 값 (ny, nx)를 queue에 push하며 visited배열의 값을 ++하는 방식이 될텐데요, 좌표 값을 뒤에서부터 가져온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차이점이 있다고 하더라도, 좌표 값의 앞부터 사용하는 것이 뒤에서부터 사용하는걸로 바뀔 뿐인데 왜 오답처리가 되는지 이해가 되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장문의 질문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3-L 질문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선생님 🙂 DFS를 이용한 완전탐색 문제인 것을 확인하였고, 덕분에 문제없이 문제를 풀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문제를 한 가지 방법이 아닌 여러 방법으로 접근해보고 있는데요, BFS를 이용한 완전탐색으로 변형을 해보려고 하는데 쉽지가 않네요;; ㅎㅎ 기존의 DFS와 BFS는 가중치만 없다면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해서 당연히 가능할거라고 생각했는데요, 이번 문제는 완전탐색까지 고려하자니 기존 방식대로는 안되는 것 같습니다. 조언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1-G 질문 드립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http://boj.kr/2fabda49b9824800982906f0ee7e106a어디가 틀린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08_01 합이 같은 부분 집합
왜 dfs로 풀어야하는지 잘 이해가 되지않습니다.집합의 일부분을 사용하고 value의 값이 가장 먼저 나오는 node를 찾으면 되는 문제로 판단하고 bfs로 제출했더니 런타임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아직 개념이해가 부족해 잘못된 접근 방식인건지 잘모르겠습니다. 관련해서 설명부탁드겠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Card 객체의 suit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이번 강의를 시청하고 enum을 제대로 공부를 안했구나 느껴서 다시 중급1편을 보고 왔는데도 Card 객체에서 suit를 생성자로 값을 주입하는걸 너무 이해가 안됩니다. enum타입은 상수라서 그냥 생성자를 이용해서 넣지않고 바로 사용하면 되는거 아닌가요? compareTo, toString에 사용하기 위해 생성자를 이용해서 주입을 하신건가요?
-
미해결파이썬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코딩테스트 대비)
이 코드가 더 효율적이죠?
앞 강의인 바둑이 승차 영상을 보며 떠올렸습니다.n,m = map(int,input().split()) data = [list(map(int,input().split())) for _ in range(n)] rst = 0 tot = sum(a for a,b in data) def dfs(num,s,t,tsum): global rst if tot - tsum + s < rst: return if t > m: return if n == num: rst = max(rst,s) else: dfs(num + 1,s + data[num][0],t+data[num][1],tsum+data[num][0]) dfs(num + 1, s, t, tsum + data[num][0]) dfs(0,0,0,0) print(rst)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8주차 개념강의 영화수집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큰돌님 8주차 개념강의 영화수집 문제에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큰돌님의 코드와 동일한 로직으로 코드를 작성했는데 자꾸만 오답으로 떠서 원인을 찾던중에 아래와 같은 원인을 발견했습니다.제 코드int t,n,m,temp; int tree[200004]; map<int,int> mp;큰돌님 코드int t, n, m, tree[200004], temp; map<int, int> mp; 단지 전역변수(tree 배열) 선언 순서만 다른데, 오답으로 채점되었습니다. (큰돌님 코드에서 전역변수 순서만 바꿔도 오답으로 채점됩니다.)전역변수 선언 순서는 로직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알고있었는데, 영향이 가는걸까요?제가 평소에도 전역변수를 선언할때, 배열은 배열끼리 분리해서 선언하는 습관이 있어서 이렇게 선언하였는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추가적으로 왜 update_idx가 100001 이어야하는지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update_idx가 100001이면 idx 100002부터 저장되는데,i가 1부터 10만까지이니까 그 다음번 인덱스인 100001부터 저장하면 안되는건가요?코드 : https://www.acmicpc.net/source/81853752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3653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치킨집이 좌표의 갯수가 입력한 m보다 적을때는 고려하지 않아도 되나요?
5 50 0 1 0 0 0 0 2 0 1 0 1 2 0 0 0 0 1 0 0 0 0 0 0 2이런 입력값을 넣었더니 값이 987654321이 나왔습니다.이런 경우는 따로 처리 해주지 않아도 되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정적 메서드 사용 시 public 여부
private 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명확히 붙여주는거같은데 public 의 경우 붙이는 경우도 있고 안 붙이는 경우도 있는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혹시 기준이 있을까요?
-
해결됨세계 대회 진출자가 알려주는 코딩테스트 A to Z (with Python)
위치를 데스크톱에 두었는데 cmd+b로 빌드를 해봐도 결과값이 안 나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고 계신 여러분!여러분의 학습을 돕기 위해 질문 안내를 드리고자 합니다. 위치를 데스크톱에 두었는데 cmd+b로 빌드를 해봐도 결과값이 안 나옵니다..!1. chatGPT를 이용해보기단순한 의문은 chatGPT를 이용해도 해답을 찾을 수 있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2. 강의의 어떤 부분에 대한 질문이고, 어떤 부분이 궁금한지 명확히 알려주세요!강의의 어느 파트에서 의문을 느끼고, 어떤 부분이 궁금한지를 명확히 제시해 주시면 답변에 도움이 됩니다!자신은 어떻게 이해했는지 또한 적어주면 좋습니다! ex) 섹션5의 '그래프 순회 (DFS & BFS) [개념]' 강의에서 DFS와 BFS 모두 그래프의 모든 노드를 탐색하는 알고리즘이라고 하셨고 시간 복잡도 또한 똑같다고 이해했습니다. 그러면 DFS와 BFS 중에서 어떤 알고리즘이 더 효율적인지 구별하는 것은 의미가 없는 것일까요? 어느 파트섹션5의 '그래프 순회 (DFS & BFS) [개념]' 강의자신은 어떻게 이해했는지DFS와 BFS 모두 그래프의 모든 노드를 탐색하는 알고리즘이라고 하셨고 시간 복잡도 또한 똑같다고 이해어떤 부분이 궁금한지 DFS와 BFS 중에서 어떤 알고리즘이 더 효율적인지 구별하는 것은 의미가 없는 것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