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한글 인코딩 설정이 안됩니다..
안녕하세요 ! IntelliJ로 라이브 코딩 따라하는데 아래처럼 한글이 깨져서요 [��ü �Ķ���� ��ȸ]-start[��ü �Ķ���� ��ȸ]-end 구글링해서 따라해봤는데 File Encoding > UTF-8 설정 완료 (Global, Project, Default 모두) idea.64.exe.vmoptions 파일 설정 -Xmx2048m -Dfile.encoding=UTF-8구성 편집에서 어떻게 encoding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프록시 호출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static class CallService{ public void external() { log.info("call external"); printTxInfo(); internal(); } @Transactional public void internal() { log.info("call internal"); printTxInfo(); } }위 코드에서 교안의 그림과 설명에서 callService.external()을 호출할 때, 트랜잭션 프록시로부터 먼저 호출된다고 되어있는데 external()메서드는 @Transactional이 적용되어 있지 않음에도 프록시로 호출되는 이유는 같은 클래스 레벨인 internal()메서드에 @Transactional이 선언되어 있어서 CallService클래스 자체가 프록시로 생성되기때문인가요?옳바르게 이해한지 확인하고싶어 질문드립니다ㅠㅠ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그래서 정확히 멀티 쓰레드라는 게 무엇인가요?
쓰레드의 개념에 대해 알겠고, 실제로는 요청마다 쓰레드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쓰레드 풀에 쓰레드를 200개 정도 생성해두고 꺼내 썼다가 반납한다는 것까지 알겠는데,그럼 멀티 쓰레드는 동시에 여러 쓰레드들이 사용되고 있는 그 상황을 의미하는 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서블릿 정의
서블릿 정의가 자바를 사용하여 웹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기술 이라고 생각하면 되나요 ?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ItemMapper 빈 오류
[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스프링부트 3.3.0 버전이라서 교재에 나온대로 mybatis-spring-boot-starter 3.0.3으로 추가했는데 다음과 같이 ItemMapper가 빈으로 등록되지 않습니다.Could not autowire. No beans of 'ItemMapper' type found.그래서 다른 분들처럼 버전 내려보기도 해봤는데 계속 오류가 뜨네요. 자주하는 질문에 나오는 프로젝트 초기화도 해봤는데 오류가 생깁니다. 한번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구글 드라이브 https://drive.google.com/file/d/1EDUWv_GFWyZqOXpXsSuGvkU_ovDC8SWA/view?usp=sharing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homeController
homeController에서 return "redirect:/items"; 를통해 itemController에 있는 items로 매핑이 된 메서드로 이동해 items뷰템플릿을 보여주는건 이해했습니다!그런데 왜 localhost:8080을 웝페이지에 띄웠을 때static에있는 index.html이 호출이 되지 않고 homeController에있는 /URL이 호출이되나요 ?requestMapping("/") 이게 기본화면과 매핑된 URL인가요 ??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CSR이 대체 뭔가요?
CSR이 잘 이해가 안갑니다..프론트가 서버에게 api를 요청하는게 CSR인건가요 ?? 프론트가 있고, 백엔드가 있고 각자 배포를 해서 웹페이지를 구축함에 있어 api로 통신을 했을때 여기서 프론트가 CSR을 했다고 보는건가요 ?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Validator에 대하여 질문
@Data @Builder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public class LoginDto { @NotBlank private String email; @NotBlank private String password; } ------------------------------------- @Component public class LoginValidator implements Validator { private final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public LoginValidator(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 this.userRepository = userRepository; } @Override public boolean supports(Class<?> clazz) { return LoginDto.class.isAssignableFrom(clazz); } @Override public void validate(Object target, Errors errors) { LoginDto loginDto = (LoginDto) target; User user = userRepository.findByEmail(loginDto.getEmail()); if (user == null) { throw new LoginFailedException("User not found"); } if (!user.getPassword().equals(loginDto.getPassword())) { throw new LoginFailedException("Invalid password"); } } }위 코드처럼 DTO 클래스에서 간단한 검증은 bean validation으로 시행하고, 복잡한 검증로직은 LoginValidator에서 관리 및 커스텀 예외를 리턴하는 방식은 안좋은 방식인가요?제가 알기로는 errors는 bindingresult처럼 복잡한 검증이 아니라 단순한 검증결과를 담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validate를 override하여 복잡한 검증 실행 및 검증 결과를 LoginFailedException(커스텀 예외)으로 반환하려고 하니 Errors를 리턴해야 한다는 강제성 때문에 혼란이 생겼습니다. 따라서 제가 궁금한 점은, 간단한 검증작업(ex. 정규식) 과 복잡한 검증작업(ex.이메일,비밀번호가 DB에 있는지 검증)은 어떻게 처리하는게 이상적인가? 입니다. 저는 각각 Bean Validation, Validator(커스텀 예외 반환)로 해보려했는데 아닌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Validator 클래스
@Data @Builder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public class LoginDto { @NotBlank private String email; @NotBlank private String password; } ------------------------------------- @Component public class LoginValidator implements Validator { private final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public LoginValidator(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 this.userRepository = userRepository; } @Override public boolean supports(Class<?> clazz) { return LoginDto.class.isAssignableFrom(clazz); } @Override public void validate(Object target, Errors errors) { LoginDto loginDto = (LoginDto) target; User user = userRepository.findByEmail(loginDto.getEmail()); if (user == null) { throw new LoginFailedException("User not found"); } if (!user.getPassword().equals(loginDto.getPassword())) { throw new LoginFailedException("Invalid password"); } } }위 코드처럼 DTO 클래스에서 간단한 검증은 bean validation으로 시행하고, 복잡한 검증로직은 LoginValidator에서 관리 및 커스텀 예외를 리턴하는 방식은 안좋은 방식인가요?제가 알기로는 errors는 bindingresult처럼 복잡한 검증이 아니라 단순한 검증결과를 담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validate를 override하여 복잡한 검증 실행 및 검증 결과를 LoginFailedException(커스텀 예외)으로 반환하려고 하니 Errors를 리턴해야 한다는 강제성 때문에 혼란이 생겼습니다. 따라서 제가 궁금한 점은, 간단한 검증작업(ex. 정규식) 과 복잡한 검증작업(ex.이메일,비밀번호가 DB에 있는지 검증)은 어떻게 처리하는게 이상적인가? 입니다. 저는 각각 Bean Validation, Validator(커스텀 예외 반환)로 해보려했는데 아닌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프로젝트 생성 시 jdbc:failed 하면서 빌드가 실패했다고 나옵니다.
> Task :prepareKotlinBuildScriptModel UP-TO-DATEFAILURE: Build failed with an exception.* What went wrong:Could not resolve all dependencies for configuration ':compileClasspath'.Failed to calculate the value of task ':compileJava' property 'javaCompiler'.Cannot find a Java installation on your machine matching this tasks requirements: {languageVersion=17, vendor=any, implementation=vendor-specific} for MAC_OS on aarch64.No locally installed toolchains match and toolchain download repositories have not been configured.* Try:> Run with --stacktrace option to get the stack trace.> Run with --info or --debug option to get more log output.>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 Get more help at https://help.gradle.org.BUILD FAILED in 504ms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ㅜㅜ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서블릿과 컨트롤러의 차이
서블릿과 컨트롤러의 차이가 뭔가요?서블릿도 url로 요청 오는 것을 받아들이고 컨트롤러도 url 요청 오는 것을 받아들이는데 서블릿과 컨트롤러의 차이를 모르겠습니다. 참고로 관련한 다른 글을 봐도 이해가 안 돼서 질문 드립니다.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섹션 5.
@Controller @RequestMapping("/springmvc/v3/members") public class SpringMemberControllerV3 { private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getInstance(); @GetMapping("/new-form") public String newForm() { return "new-form"; } @PostMapping("/save") public String save(@RequestParam("username") String username, @RequestParam("age") int age, Model model) { Member member = new Member(username, age); memberRepository.save(member); model.addAttribute("member", member); return "save-result"; } @GetMapping public String members(Model model) { List<Member> members = memberRepository.findAll(); model.addAttribute("members", members); return "members"; } } RequestMappingHandlerAdapter에서 핸들러 어댑터를 찾으려면 핸들러 어탭터를 등록해야 하는데 스프링에서 애노테이션 인식해서 저장되는 핸들러 어탭터 뭘로 등록되는 건가요?위에 코드는 그냥 핸들러로 등록되는 거고, 그럼 SpringMemberControllerV3 핸들러를 실행시켜줄 핸들러 어댑터는 자동으로 생성되는데 궁금한 건 v4에서는 process로 모든 메서드가 같아서 처리가 가능했는데 지금은 다른데 어떻게 처리가 되는 겁니까?SpringMemberControllerV3에서 메서드가 3개니까 SpringMemberControllerV3을 호출해줄 핸들러 어댑터가 각 newForm, save, members를 사용할 수 있게 3개 생성되는 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SpringMemberFormControllerV1 404 에러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http://localhost:8080/springmvc/v1/members/new-form 접속시에 404 에러가 납니다 매핑이 안되는거 같은데... 왜 일까요 ㅠㅠㅠ 도와주세욥 소스코드입니다!commit 11 기준으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https://github.com/Leejuseop/Spring_Mvc_1
-
해결됨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오타라고 봐도 될지 모르겠는데 일단 제보합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6. 로그인 처리1 - 쿠키, 세션.pdf (v20240408) '쿠키를 사용해서 로그인Id를 전달해서 ~~~' 이런 식으로 나와 있는데여기에 써진 로그인Id가 loginId랑 같은 의미라면 혹시 오타일까요?쿠키를 통해 전달하는 건 MemberRepository의 store에 저장된 id라서 memberId 혹은 id가 좀 더 명확하지 않나 싶어서 제보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섹션5. RequestMappingHandlerAdapter
@Controller @RequestMapping("/springmvc/v3/members") public class SpringMemberControllerV3 { private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getInstance(); @GetMapping("/new-form") public String newForm() { return "new-form"; } @PostMapping("/save") public String save(@RequestParam("username") String username, @RequestParam("age") int age, Model model) { Member member = new Member(username, age); memberRepository.save(member); model.addAttribute("member", member); return "save-result"; } @GetMapping public String members(Model model) { List<Member> members = memberRepository.findAll(); model.addAttribute("members", members); return "members"; } }코드를 실행하면 스프링 빈에 Controller가 붙은 SpringMemberControllerV3가 등록되고, 자동으로 맵핑도 됩니다.질문:http 요청이 오면, mapping된 핸들러를 찾습니다. 여기서 핸들러는 SpringMemberControllerV3인 건가요?핸들러가 핸들러 어댑터를 찾아야하는데 핸들러 어댑터 맵핑 할 때는 뭐가 등록이 되는 건가요?제가 이해한 건 SpringMemberControllerV3 클래스가 핸들러 어댑터로 등록이 되고, SpringMemberControllerV3 클래스 안에 있는 메서드가 핸들러로 등록이 되는 거 맞나요? 어떤게 핸들러 어댑터고 어떤 게 핸들러(컨트롤러) 인지 잘 모르겠습니다.여기서는 핸들러(컨트롤러)만 만들어놓은 거 같은데 여기서 핸들러 어댑터는 뭐로 맵핑이 되는지를 몰라서 핸들러 어댑터를 찾을 때 어떤 것과 비교를 하는 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h2-database 오류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Database "/home/ubuntu/test" not found, either pre-create it or allow remote database creation (not recommended in secure environments) [90149-224] 90149/90149 (도움말)오류가 발생합니다..구글링을 해보니test.mv.db 를 생성해주어야하더라구요..원래 맨처음에는 잘 됐는데 비번 잘못설정해서 다 삭제하고 다시 설치하였습니다. 일단 설명대로 C:\Users\user에 직접 만들어주었습니다. 하지만 같은 오류가 발생해서 원인을 모르겠습니다 ㅠㅠ.ㅠ
-
해결됨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예외처리
예외처리에 관련해 질문이 있습니다.try 구문안에서 예외가 발생하면 밑에있는 try의 남은 구문 건너뛰고 바로 catch문으로가서 잡아주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그런데 공부하다보니까 헷갈리는게 MemberRepository에 있는 save메서드로 예를 들면,con.prepareStatement(sql)부터 SQLException을 발생시키는데 어떻게 try안에 있는 것들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궁금합니다.예외가 나오는 순간 catch문으로가서 catch구문을 수행하는 것이 아닌가요 ?? @Override public Member save(Member member) { String sql = "insert into member(member_id,money) values(?,?)"; Connection con = null; PreparedStatement pstmt = null; try { con = getConnection(); pstmt = con.prepareStatement(sql); pstmt.setString(1, member.getMemberId()); pstmt.setInt(2, member.getMoney()); pstmt.executeUpdate(); //수정 return member; } catch (SQLException e) { log.error("db error", e); throw new MyDbException(e); }finally { close(con, pstmt, null); } }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Content-Type 질문
1번 text/html2번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질문:a. 둘 다 Content-Type이 html인 걸로 알고있는데 2번은 html form에 사용되는 거고, 1번도 html form에 사용되는 거 아닌가요?!b. 1번과 2번의 차이가 뭔가요?c. 1번과 2번의 post전송 방식이 어떻게 다른 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test.mv.db 파일이 생성된걸 어디에서 확인 가능한가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test.mv.db 파일이 생성된걸 어디에서 확인 가능한가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매뉴얼이 어디있나요?
매뉴얼이 어디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