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Node.js에 TypeScript 적용하기(feat. NodeBird)
Sequelize constructor.primaryKeyAttributes 오류
안녕하세요 제로초님 이전에 알려주신 Sequelize 타이핑 덕뿐에 문제 잘 해결했습니다.[0] Executing (default): SELECT `id`, `email`, `nick`, `password`, `provider`, `snsId`, `createdAt`, `updatedAt`, `de letedAt` FROM `users` AS `User` WHERE (`User`.`deletedAt` IS NULL AND `User`.`id` = 1); [0] TypeError: Cannot read properties of undefined (reading 'length') [0] at Box._initValues (C:\workspace\Dev-Mark\server\node_modules\sequelize\lib\model.js:130:49) [0] at new Model (C:\workspace\Dev-Mark\server\node_modules\sequelize\lib\model.js:116:10) [0] at new Box (C:\workspace\Dev-Mark\server\models\box.js:31:1) [0] at Box.build (C:\workspace\Dev-Mark\server\node_modules\sequelize\lib\model.js:1326:12) [0] at Box.create (C:\workspace\Dev-Mark\server\node_modules\sequelize\lib\model.js:1344:23) [0] at C:\workspace\Dev-Mark\server\controller\box.js:36:44 [0] at Generator.next (<anonymous>) [0] at C:\workspace\Dev-Mark\server\controller\box.js:8:71 [0] at new Promise (<anonymous>) [0] at __awaiter (C:\workspace\Dev-Mark\server\controller\box.js:4:12) [0] C:\workspace\Dev-Mark\server\node_modules\sequelize\lib\model.js:83 [0] for (const key of Object.keys(this.constructor._attributeManipulation)) { [0] ^ [0] [0] TypeError: Cannot convert undefined or null to object [0] at Function.keys (<anonymous>) [0] at Timeout._onTimeout (C:\workspace\Dev-Mark\server\node_modules\sequelize\lib\model.js:83:34) [0] at listOnTimeout (node:internal/timers:564:17) [0] at process.processTimers (node:internal/timers:507:7) [0] [0] Node.js v18.13.0 [1] [HPM] Error occurred while proxying request localhost:3000/api/box/ to http://localhost:5000/ [ECONNRESET] (https ://nodejs.org/api/errors.html#errors_common_system_errors) [0] npm run server exited with code 1 --> Sending SIGTERM to other processes.. [1] npm run client exited with code 1이번에는 라는 오류가 나오는데요,stackoverflow를 읽어보니 default value를 지정하라는 말도 있고 init을 하지 않았다는 말도 있는데 둘 다 제 케이스에는 해당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sequelize 공식문서에서도 읽어보았지만 문제가 뭔지 잘 모르겠습니다...Box.js (변환)"use strict"; var __createBinding = (this && this.__createBinding) || (Object.create ? (function(o, m, k, k2) { if (k2 === undefined) k2 = k; var desc = Object.getOwnPropertyDescriptor(m, k); if (!desc || ("get" in desc ? !m.__esModule : desc.writable || desc.configurable)) { desc = { enumerable: true, get: function() { return m[k]; } }; } Object.defineProperty(o, k2, desc); }) : (function(o, m, k, k2) { if (k2 === undefined) k2 = k; o[k2] = m[k]; })); var __setModuleDefault = (this && this.__setModuleDefault) || (Object.create ? (function(o, v) { Object.defineProperty(o, "default", { enumerable: true, value: v }); }) : function(o, v) { o["default"] = v; }); var __importStar = (this && this.__importStar) || function (mod) { if (mod && mod.__esModule) return mod; var result = {}; if (mod != null) for (var k in mod) if (k !== "default" && Object.prototype.hasOwnProperty.call(mod, k)) __createBinding(result, mod, k); __setModuleDefault(result, mod); return result; }; var __importDefault = (this && this.__importDefault) || function (mod) { return (mod && mod.__esModule) ? mod : { "default": mod }; }; Object.defineProperty(exports, "__esModule", { value: true }); const sequelize_1 = __importStar(require("sequelize")); const user_js_1 = __importDefault(require("./user.js")); class Box extends sequelize_1.Model { static initiate(sequelize) { Box.init({ id: { type: sequelize_1.default.INTEGER, primaryKey: true, autoIncrement: true, }, box: { type: sequelize_1.default.STRING(15), allowNull: false, }, img: { type: sequelize_1.default.STRING(200), allowNull: true, }, createdAt: sequelize_1.default.DATE, updatedAt: sequelize_1.default.DATE, }, { sequelize, timestamps: true, underscored: false, modelName: "Box", tableName: "boxs", paranoid: false, charset: "utf8mb4", collate: "utf8mb4_general_ci", }); } static associate() { Box.belongsTo(user_js_1.default); } } exports.default = Box; box.tsimport Sequelize, { CreationOptional, InferAttributes, InferCreationAttributes, Model, ForeignKey, } from "sequelize"; import User from "./user.js"; class Box extends Model<InferAttributes<Box>, InferCreationAttributes<Box>> { declare id: CreationOptional<number>; declare box: string; declare img: string; declare createdAt: CreationOptional<Date>; declare updatedAt: CreationOptional<Date>; declare UserId: ForeignKey<User["id"]>; static initiate(sequelize: Sequelize.Sequelize) { Box.init( { id: { type: Sequelize.INTEGER, primaryKey: true, autoIncrement: true, }, box: { type: Sequelize.STRING(15), allowNull: false, }, img: { type: Sequelize.STRING(200), allowNull: true, }, createdAt: Sequelize.DATE, updatedAt: Sequelize.DATE, }, { sequelize, timestamps: true, underscored: false, modelName: "Box", tableName: "boxs", paranoid: false, charset: "utf8mb4", collate: "utf8mb4_general_ci", } ); } static associate() { Box.belongsTo(User); } } export default Box; user.tsimport Sequelize, { CreationOptional, InferAttributes, InferCreationAttributes, Model, BelongsToManyAddAssociationMixin, NonAttribute, } from "sequelize"; class User extends Model<InferAttributes<User>, InferCreationAttributes<User>> { declare id: CreationOptional<number>; // 'CreationOptional' is a special type that marks the field as optional // id can be undefined during creation when using `autoIncrement` declare email: string; declare nick: string; declare password: CreationOptional<string>; declare provider: CreationOptional<string>; declare snsId: CreationOptional<string>; declare createdAt: CreationOptional<Date>; // createdAt can be undefined during creation declare updatedAt: CreationOptional<Date>; // updatedAt can be undefined during creation declare deletedAt: CreationOptional<Date>; // ... static initiate(sequelize: Sequelize.Sequelize) { User.init( { id: { type: Sequelize.INTEGER, primaryKey: true, autoIncrement: true, }, email: { type: Sequelize.STRING(40), allowNull: true, unique: true, }, nick: { type: Sequelize.STRING(15), allowNull: false, }, password: { type: Sequelize.STRING(100), allowNull: true, }, provider: { type: Sequelize.ENUM("local", "kakao", "github"), allowNull: false, defaultValue: "local", }, snsId: { type: Sequelize.STRING(30), allowNull: true, }, createdAt: Sequelize.DATE, updatedAt: Sequelize.DATE, deletedAt: Sequelize.DATE, }, { sequelize, timestamps: true, underscored: false, modelName: "User", tableName: "users", paranoid: true, charset: "utf8", collate: "utf8_general_ci", } ); } static associate() { } } export default User; index.tsimport Sequelize from 'sequelize'; import configObj from '../config/config.js'; import User from './user.js'; import Post from './post.js'; import Hashtag from './hashtag.js'; import Alarm from './alarm.js'; import Bookmark from './bookmark.js'; import Box from './Box.js'; const env = process.env.NODE_ENV as 'production' | 'test' || 'development'; const config = configObj[env]; export const sequelize = new Sequelize.Sequelize( config.database, config.username, config.password, config, ); Alarm.initiate(sequelize); Bookmark.initiate(sequelize); Box.initiate(sequelize); Hashtag.initiate(sequelize); Post.initiate(sequelize); User.initiate(sequelize); Alarm.associate(); Bookmark.associate(); Box.associate(); Hashtag.associate(); Post.associate(); User.associate();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팩토리 메서드를 정적으로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영한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전부터 궁금해 왔던 것인데요, 팩토리를 만들 때 정적으로 올리는 이유에 대해서 궁금합니다영한님이 다른 QnA에서 추천해 주신 내용들을 읽어보았으나 굳이 왜 "정적"영역으로 보내는 가에 대한 의문은 쉽게 풀리지 않습니다 ㅜㅜ일단 정적 팩토리 메서드로 보내면 생성자들에 대한 응집도가 크게 떨어지는 느낌입니다. "엘레강트 오브젝트"라는 책을 보면 생성자는 10~15개 까지도 만들고 퍼블릭 메서드를 최대한 적게 가져가라고 가이드를 주는데요, 정적 영역으로 보내면 주/부 생성자로 보낼 수 없기 때문에 그 많은 생성자들이 다 흩어지고, 생성자들 간 관계를 맺을 수 없기 때문에 유연성이 떨어지고 코드 중복이 자주 일어나는 효과가 나는 것 같습니다이는 굳이 정적 영역으로 보내지 않고 주/부 생성자로 구분하면 쉽게 해결될 일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어 질문을 드립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컬렉션 필드에서 초기화 질문이 있습니다. (arraylist 기본 사이즈 문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ArrayList는 기본 사이즈를 10으로 생성하고 이후 사이즈를 초과할 경우 2배로 늘린 후 기존의 값을 복사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약 사용자의 orders 개수가 10개 이상이라면, 이것을 지속적으로 늘리는 연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실무에서는 arraylist를 필드 초기화할 때, 이런한 것을 예상해서 넉넉한 사이즈로 초기화를 하는지, linkedlist로 초기화하여 불필요한 연산을 줄이는 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상품 등록 시 오류
Whitelabel Error PageThis application has no explicit mapping for /error, so you are seeing this as a fallback.Sun Jan 22 16:28:49 KST 2023There was an unexpected error (type=Internal Server Error, status=500).org.hibernate.hql.internal.ast.QuerySyntaxException: unexpected token: form near line 1, column 10 [select i form Item i]; nested exception is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org.hibernate.hql.internal.ast.QuerySyntaxException: unexpected token: form near line 1, column 10 [select i form Item i]org.springframework.dao.InvalidDataAccessApiUsageException: org.hibernate.hql.internal.ast.QuerySyntaxException: unexpected token: form near line 1, column 10 [select i form Item i]; nested exception is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org.hibernate.hql.internal.ast.QuerySyntaxException: unexpected token: form near line 1, column 10 [select i form Item i] 상품 등록화면에서 submit 버튼 누르면 이런 오류가 뜹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JUnit 테스트 콘솔에서 SQL문
JUnit 테스트 콘솔의 SQL문에서 1차 캐시에서 엔티티를 조작하고 있는지 아니면 데이터베이스에서 DML문을 써서 조작하고 있는지 확인을 하고 싶은데, JUnit 테스트 코드 실행후 콘솔창을 보면, SQL문은 정상적으로 나오는데, 1차 캐시에서 삭제한건지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를 시도한건진 확인이 안됩니다.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영속성 전이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수강 후 활용해서 프로젝트를 진행중인데, 영속성 전이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강의 내용처럼 Order에 있는 member에 다음과 같은 설정을 하면@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member_id") private Member memberId;object references an unsaved transient instance - save the transient instance before flushing에러가 발생합니다.그래서 다음과 같이 영속성 전이 설정을 하면 에러는 안뜨지만 같은 멤버가 두번씩 저장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cascade = CascadeType.PERSIST) @JoinColumn(name="member_id") private Member memberId;해당 Order가 Create되면서 Member테이블에 member가 저장되는데 이미 해당 멤버는 db에 저장되어있는 상황. (회원가입하면서 멤버가 저장되어있었음)ㄴ test05가 두번 저장되어있음강의 코드는 Order에 영속성 전이 코드를 넣지 않아도 되던데 해당 에러를 발생시키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Member 엔티티와 Order 엔티티 코드 입니다.@Entity @Table(name = "ORDERS") @NoArgsConstructor @Getter public class Order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Column(name = "order_id") private Long id;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member_id") private Member memberId; @Column(name = "post_id") private Long postId; @Embedded private Point price; @Column(name="order_at") private Timestamp orderAt; public static Order of(Member member, Long postId, Point price){ Order order = new Order(); order.setMember(member); order.postId = postId; order.price = price; return order; } public void setMember(Member member){ this.memberId = member; member.getOrders().add(this); }@Entity @Table(name = "member")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 @SQLDelete(sql = "UPDATE member SET deleted_at = NOW() where id = ?") @Where(clause = "deleted_at is NULL") public class Member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String memberId; private String password; @Column(name = "member_name") private String memberName; private String email; @Column(name = "role") @Enumerated(EnumType.STRING) private MemberRole role = MemberRole.USER; @OneToMany(mappedBy = "memberId") private List<Order> orders = new ArrayList<Order>(); public static Member of(String memberId, String password, String memberName, String email){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MemberId(memberId); member.setPassword(password); member.setMemberName(memberName); member.setEmail(email); return member; } public static Member of(MemberDto dto){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MemberId(dto.getMemberId()); member.setPassword(dto.getPassword()); member.setMemberName(dto.getMemberName()); member.setEmail(dto.getEmail()); member.setRole(dto.getRole()); return member; }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assertThrows()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assertThrows 메서드를 사용해 주문 취소 테스트 예를 실행하던 중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을 남깁니다.배송 완료 상황일 때는 취소가 되지 않는 예외를 적용한 것에 대해 제가 작성한 테스트인데요. 아래 코드를 통해 말씀드리겠습니다.// given Member member = createMember(); Item item = createBook("JPA", 10000, 10); int orderCount = 2; int curStock = item.getStockQuantity(); Long orderId = orderService.order(member.getId(), item.getId(), orderCount); // when // 배송 완료 상태면 취소가 안됨 Order getOrder = orderRepository.findOne(orderId); getOrder.getDelivery().setStatus(DeliveryStatus.COMP); IllegalStateException e = assertThrows(IllegalStateException.class, () -> orderService.cancelOrder(orderId)); Assertions.assertThat(e.getMessage()).isEqualTo("이미 배송완료된 상품은 취소가 불가능합니다."); // order 취소되는 경우를 가정하고 위에서 테스트했다고 쳤을 때 어떤 상태인지 보고 싶음! System.out.println(orderRepository.findOne(orderId).getStatus()); 아래와 같이 getStatus를 출력해보면 CANCLE이 아닌 ORDER라고 출력이 됩니다.getOrder.getDelivery().setStatus(DeliveryStatus.COMP); IllegalStateException e = assertThrows(IllegalStateException.class, () -> orderService.cancelOrder(orderId)); Assertions.assertThat(e.getMessage()).isEqualTo("이미 배송완료된 상품은 취소가 불가능합니다."); // order 취소되는 경우를 가정하고 위에서 테스트했다고 쳤을 때 어떤 상태인지 보고 싶음! System.out.println(orderRepository.findOne(orderId).getStatus());바로 이 부분인데요. assertThrows 내에서 orderCancle을 진행해서 테스트를 진행하는데 왜 주문의 상태가 CANCLE이 아닌 ORDER로 출력이 되는 지 알 수 있을까요?객체의 얕은 복사, 깊은 복사와 관련이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질문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복습 중 궁금한 것들이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 1. @Repository 어노테이션을 붙이면 이 클래스는 EntityManager 가 관리하는 클래스가 된다는 걸 의미하나요? 2. @Transactional(readOnly = true) 를 이용하면 영속성 컨텍스트에 관리를 받지 않게 된다고 하는데 이것이 어떤 이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3. MemberController 에서는 @Valid 를 사용했는데 ItemController 의 create 메서드에서는 왜 @Valid 를 사용하지 않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기본키 자동 증가 (GeneratedValue)
안녕하세요, 기본 키 자동 증가에 관해서 궁금한 게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기본 키 자동 증가를 @GeneratedValue만 작성해주셨는데찾아보니 @SequenceGenerator 라는 어노테이션도 있더라고요, 이 어노테이션은 굳이 사용을 안 해줘도 되는 것 인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안녕하세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 h2 DB는 서버를 실행할 때 마다 초기화가 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item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item 을 추상 클래스로 만든 이유가 뭘까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 질문 입니다.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가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 사용되는 것이 맞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Project, Client 클래스가 서로1 대 다, 다 대 1 관계라고 했을 때 Project를 등록할 때 Client가 필요하기 때문에Project 쪽에이런 식으로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를 작성해 주고 아래와 같이 Project의 createProject2 메서드를 이용하여 등록해준다고 하면 Project 쪽에서 작성해둔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를 아래와 같이 사용하는 게 맞는 사용 방법인가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는 이유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private void validateDuplicateMember(Member member) { List<Member> findMembers = memberRepository.findByName(member.getName()); if (!findMembers.isEmpty()){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이미 존재하는 회원 입니다."); } }에서 memberA가 동시에 DB에 insert 될때 validateduplicate를 통과하면 동시에 memberA가 로직을 호출하게 되면 memberA라는이름으로 두명이 가입 됩니다. 그래서 memberA에 제약을 건다구 하셨는데제약을 거는거 어떤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왜 addStock, removeStock 메서드를 사용하는 것이 왜 객체지향적인지
강의에서 setter 메소드로 재고 수량을 조절하는게 아니라 addStock 메서드, removeStock 메서드를 이용해 재고 수량을 조절하는 것이 객체지향적이라고 하셨는데 왜 이게 객체지향적인지, setter 메소드를 사용하는 것이 왜 객체지향과는 거리가 있는 것인지 자세하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Entity 내의 로직들, 생성 함수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간단한 질문이 있어서 살짝 남겨보게 되었습니다. 1. 지금까지 JPA 강의를 들으면서 - "Entity 에는 Setter 를 열어두지 말고, Getter 만 열어둔채, 초기값 Setting 에는 생성자를 사용하라. 그리고 변경에 대해서 setter 가 필요하다면 그 때 열어두고, 연관관계에 대해 수정시 setting 외의 로직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change, modify 등의 수식어를 사용해서 함수를 만들어라 ". 정도로 이해하고 있었습니다. 이 관점에서 createOrder() 함수는 설명해주신대로 그냥 Order 을 생성해주는 함수고, 초기값을 setting 해주는 함수인데, 이게 생성자와 어떤 점에서 다른지 이해가 잘 되지 못했습니다. public Order(Member member, Delivery delivery, OrderItem ... orderItems){ this.member = member; this.delivery = delivery; ... OrderItem for 문 this.status = OrderStatus.ORDER; this.orderDate = LocalDateTime.now(); }위처럼 그냥 생성만 해주는 함수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이해를 못하였습니다 ㅠㅠ2. 비즈니스 로직들을 Service 단에서 수행하지 않고, Entity Class에서 모두 짜는 이유가 잘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 ㅠ 애를 들면 cancel() 의 명령어 같은 경우, ~~ /orderItem/cancel/3 이런식으로 들어오게 된다면, Service Layer 에서 OrderItem 조회하고, Repository 를 호출하며 Order에 대한 \ 필요 로직 수행, Item에 대한 필요로직 수행을 하는것으로 생각을 했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지금 현재 강의 부분과 같은 설계는 약간 영속성 컨텍스트를 계속 관리하면서 필요 SQL들이 자연스럽게 호출되게 하는 방식인 느낌인데 이런 방향이 맞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PersistenceContext 에 대하여
안녕하세요강의 중 @PersistenceContext 에 대해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을 남기게 되었습니다.JPA 기본편 강의도 완강 후에 듣고 있는 상태인데요, 제가 이해했었던 바는, 한 영속성 컨텍스트에는 한 EntityManagerFactory 가 할당되고, 그 영컨에서 진행하는 각각의 트랜젝션들을 처리하기 위해 EMF가 각각 EntityManager를 생성하여 트랜젝션마다 할당해서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고 이해하였습니다.위에 이해한 바가 맞다면, 앱이 실행되면서 MemberRepository 가 싱글톤 컨테이너에 의해 관리되기 시작하면서, 이 때는 EntityManager 가 트랜젝션이 들어오지 않았기 때문에 할당받지 못한 상태여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save, findOne, findAll 등의 트랜젝션을 수행하기 위한 함수들이 호출될 시 EntityManager 가 생성되고 할당받는 것이 맞을까요? 즉, 싱글톤 컨테이너 안에 있는 Repository 안에 있는 EntityManager em 은 트랜젝션이 수행되기 전에는 NULL이라고 보면 될까요?제가 이해한 내용이 맞는지 궁금해서 문의글 남기게 되었습니다. 항상 도움주셔서 감사합니다 :]
-
미해결공공데이터와 Folium(Python Library)으로 만드는 제주 오름 지도 안내 서비스
geojson 좌표 문제
위 이미지는 강의에서 만드신 geojson파일이고아래 이미지는 제가 만든 geojson파일입니다.같은 방법을 사용했고 좌표계도 바꿔보고 이렇게 저렇게 시도를 해봐도좌표가 서로 다르게 나와서 안되는데 좌표를 같게 하려면 해야할까요? 내보내기 할 때 좌표계 EPSG:4326 - WGS 84로 했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gradlew clean build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jpashop % ./gradlew clean build > Task :test JpashopApplicationTests > contextLoads() FAILED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at 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java:98 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onException at 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804 Caused by: org.hibernate.service.spi.ServiceException at 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75 Caused by: org.hibernate.HibernateException at DialectFactoryImpl.java:100 MemberRepositoryTest > testMember FAILED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at 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java:98 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onException at 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804 Caused by: org.hibernate.service.spi.ServiceException at 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75 Caused by: org.hibernate.HibernateException at DialectFactoryImpl.java:100 2 tests completed, 2 failed > Task :test FAILED FAILURE: Build failed with an exception. * What went wrong:Execution failed for task ':test'.> There were failing tests. See the report at: file:///Users/king/study/jpashop/build/reports/tests/test/index.html * Try:> Run with --stacktrace option to get the stack trace.> Run with --info or --debug option to get more log output.>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 * Get more help at https://help.gradle.org BUILD FAILED in 17s task.named 전부 주석처리 해보고 밑에 useJunutPlatform이부분도 주석처리 해보고 했는데도 오류 납니다 RunWith도 지워보고 해봣는데 안됩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리액트, 파이어베이스 - 채팅 어플리케이션 만들기[2023.12 리뉴얼]
firebase 오류
Firebase: Need to provide options, when not being deployed to hosting via source. (app/no-options).registerPage에서 넘어가지 않고 이런 오류가 계속 뜨는데 아무리 찾아봐도 안 나오네요,,
-
해결됨따라하며 배우는 리액트 테스트 [2023.11 업데이트]
toHaveTextContent 에서 에러가 자꾸 나는데 아무리 찾아도 잘 모르겠습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선생님 안녕하세요!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해요오류를 잡으려고 노력해봤는데도 잘 안돼서 질문 남깁니다calculate.test.js파일의 toHaveTextContent()부분에서 모두 오류가 나고 있습니다. 선생님이 주신 소스코드와 제 코드를 모두 비교해봤는데 다 똑같더라구요. 제가 인지하지 못한 오류가 있는지 한 번 봐주실 수 있으실까요? 부탁드립니다ㅜ오류 부분calculate.test.jsimport { render, screen } from "../../../test-utils"; import userEvent from "@testing-library/user-event"; import Type from "../Type"; import OrderPage from "../OrderPage"; test("update products total when products change", async () => { render(<Type orderType="products" />); const productsTotal = screen.getByText("상품 총 가격: ", { exact: false }); expect(productsTotal).toHaveTextContent("0"); // 아메리카 여행 상품 한개 올리기 const americaInput = await screen.findByRole("spinbutton", { name: "America", }); userEvent.clear(americaInput); userEvent.type(americaInput, "1"); // 이 상품을 하나 산다는 뜻 expect(americaInput).toHaveTextContent("1000"); }); - Type.jsimport React, { useContext, useEffect, useState } from "react"; import Products from "./Products"; import axios from "axios"; import ErrorBanner from "../../components/ErrorBanner"; import Options from "./Options"; import { OrderContext } from "../../contexts/OrderContext"; const Type = ({ orderType }) => { const [items, setItems] = useState([]); const [error, setError] = useState(false); const [orderDatas, updateItemCount] = useContext(OrderContext); // OrderContext.js의 return [{ ...orderCounts, totals }, updateItemCount]; 을 구조분해 useEffect(() => { loadItems(orderType); }, [orderType]); const loadItems = async (orderType) => { try { let response = await axios.get(`http://localhost:5000/${orderType}`); setItems(response.data); } catch (error) { setError(true); } }; if (error) { return <ErrorBanner message="에러가 발생했습니다" />; } const ItemComonents = orderType === "products" ? Products : Options; const optionItems = items.map((item) => ( <ItemComonents style={{ border: "2px solid red" }} key={item.name} name={item.name} imagePath={item.imagePath} updateItemCount={(itemName, newItemCount) => updateItemCount(itemName, newItemCount, orderType) } /> )); let orderTypeKorean = orderType === "products" ? "상품" : "옵션"; return ( <div> <h2>주문종류</h2> <p>하나의 가격</p> <p> {orderTypeKorean} 총 가격: {orderDatas.totals[orderType]} </p> <div style={{ display: "flex", flexDirection: orderType === "options" && "column", // }} > {optionItems} </div> </div> ); }; export default Type; orderContext.jsimport { createContext, useState, useMemo, useEffect } from "react"; export const OrderContext = createContext(); const pricePerItem = { products: 1000, options: 500, }; function calculateSubtotal(orderType, orderCounts) { let optionCount = 0; for (const count of orderCounts[orderType].values()) { optionCount += count; } return optionCount * pricePerItem[orderType]; } export function OrderContextProvider(props) { const [orderCounts, setOrderCounts] = useState({ products: new Map(), options: new Map(), }); const [totals, setTotals] = useState({ products: 0, options: 0, total: 0, }); useEffect(() => { const productsTotal = calculateSubtotal("products", orderCounts); const optionsTotal = calculateSubtotal("options", orderCounts); const total = productsTotal + optionsTotal; setTotals({ products: productsTotal, options: optionsTotal, total, }); }, [orderCounts]); const value = useMemo(() => { function updateItemCount(itemName, newItemCount, orderType) { const newOrderCounts = { ...orderCounts }; const orderCountsMap = orderCounts[orderType]; orderCountsMap.set(itemName, parseInt(newItemCount)); setOrderCounts(newOrderCounts); } return [{ ...orderCounts, totals }, updateItemCount]; }, [orderCounts, totals]); return <OrderContext.Provider value={value} {...prop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