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자바 동시성 프로그래밍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Part.1]
강의 출시 질문 있습니다.
우선 좋은 강의 만들어 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얼마전에 스프링 MVC 관련 강의를 출시 해주셨는데요. 구입하고 한번 내용 확인해보니 앞으로 강의 출시 FLOW 를 설명 해주신 내용이 있었습니다. 동시성 파트 부분인 '리엑티브 프로그래밍' -> 'WebFlux' 강의 도 있는데요. 다음 강의 출시 할때 이 부분 부터 강의 출시 해주시는 건지 알고 싶습니다. (사실 '동시성 프로그래밍' 강의 이후 '리엑티브 프로그래밍' -> 'WebFlux' 강의를 손꼽아 기다리고 있었거든요 ㅠ,ㅠ)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try-with-resources 예제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항상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예제에서 exception을 catch로 잡았는데, 왜 굳이 그걸 또 throw로 던지나요? 예외를 잡았으니 이미 해결된 것 아닌가요? 다른 예제들은 catch로 해결된 것 같은데, 이 예제는 뭐가 달라서 굳이 또 던져야 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인터럽트, 체크예외 catch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멀티스레드와 동시성 강의-스레드 생명주기 파트에서 질문 드립니다.Thread.sleep(3000)으로 InterruptedException이 발생했고, catch로 그걸 잡았는데 왜 sleep()으로 다시 돌아가서 다음 로그가 출력되는 등 정상 흐름이 마저 진행되나요? 체크 예외가 발생하면 그걸 catch로 잡더라도 이후 코드는 마저 실행되지 않아 finally 코드가 도입된 것이 아니었나요? java-mid1에서 체크 예외가 발생해 나머지 코드가 실행되지 않아 자원 정리가 안 되었던 예제를 배웠던 것 같은데, 이 예제와 무슨 차이가 있어서 다른 결과가 나오는지 궁금합니다ㅠㅠ 2. 이 예제에서 InterruptedException이 발생해서 그걸 catch한 것까지는 이해됩니다. 그런데 왜 굳이 새 RuntimeException을 생성해서 또 던지는 건가요? InterruptedException 이외에 추가로 발생할 지도 모르는 다른 예외들도 한꺼번에 잡아서 던지려는 의도인가요(예방 차원)? 3. 예외를 어떤 경우에 잡고 어떤 경우에 던져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java-mid1 예외 처리 파트에서 예외를 못 잡으면 던지고 잡을 수 있으면 잡아야 한다고 배웠는데, 그 구체적인 기준을 잘 모르겠습니다. 그걸 배울 당시에는 '아직 기초 단계라 기본 개념만 잡고 자세한 오류 해결 과정은 나중에 나오나 보다'하고 넘겼는데, 이 예제에서도 그냥 catch(발생한 오류) 정도로 넘어가는 걸 보니 제가 뭔가 놓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냥 catch()코드를 넣으면 오류를 잡았다고 자바 상에서 처리가 되는 건가요? 그런 거면 그냥 오류를 다 catch로 잡아버리면 될 것 같은데, 굳어 던져야 하는 상황은 어떤 상황인가요...? 질문이 너무 길어졌네요. 친절한 답변에 미리 감사드립니다!!!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질문 하나 있습니다!
저번에 다음 강의 관련 글을 본 적이 있었는데요. 다음 강의는 Redis Cache Hit 관련 강의가 맞을까요? 맞다면 한 언제쯤 출시가 될까요! 다음 강의도 무척 기대되어서 그렇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OneToOne, @OneToMany만 가능한 이유
안녕하세요.강의와 강의 자료를 보는 도중, 강의 자료에 있는 고아객체 - 주의 부분에서, @OneToOne, @OneToMany만 가능한 이유에 대해서는 특별히 설명을 안해주신거 같아서요..혹시 @OneToOne, @OneToMany만 가능한 이유가 무엇인지 알 수 있을까요?감사합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17분05초 업캐스팅과 출력 순서에서
X y = new Y();여기서 태어날때 생성자가 없어서 무시해도 된다는게 생성자가 있는지 없는지 보는 기준 모르겠어요 헷갈려서 ..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이론파트 PDF파일 받는 위치 알고 싶습니다.
어디서 받을수 있나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java 업캐스팅 and 그냥 생성
단순한 java 질문인데만약 부모, 자식 class가 있고, 자식이 부모를 상속받고 생성할때 오직 업캐스팅 형태에서만 자식 생성자를 생성할 때 부모 생성자를 만들고 생성하는 건가요?아니면 업캐스팅이 아닌 일반적으로 자식 생성자를 생성할때도 부모 생성자를 불러서 생성해야 하나요?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6 - 이해와 원리
안녕하세요 PaymentConfig 질문드립니다.
13:39에 28라인에return new WebApiExRateProvider(apiTemplate());가 아니라 return new WebApiExRateProvider(apiTemplate());로 작성되야지 의도대로 코드가 작동하는 것이 아닌지 문의드립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4분 50초 경 나온 23년 2회 기출문제 관련
혹시 문제 중에 // 천원짜리 4장 출력 등의 설명까지 같이 기출이 된 부분일까요? 아님 주말코딩님께서 우리 이해하기 쉬우라고 설명을 적어주신걸까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17:29 포인터 변수와 출력관련 질문입니다
오른쪽 코드에서 s가 포인터 변수로 선언이 되었으면 값을 출력할 때 *s[0]으로 써야하지 않나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이론 pdf 다운로드 경로가 어떻게 되나요?
강의소개에 있는 pdf파일을 찾으려는데, 암만 찾아도 보이지 않습니다.인프런 아이디(이메일)에도 없는데 어디서 다운로드 가능한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이론 파트는 어떻게 공부해야되는건가요?
코드 파트는 잘 이해하고 공부 진행 했는데 이론파트 첫 강의부터 영상이 아닌 페이지라서 어떻게 공부를 해야될지 길을 잃은 느낌입니다. 이론 섹션에 들어갈때 첫 영상으로 어떻게 공부해야되는지 설명이라도 해주셨으면 좋았을 거 같습니다.. PDF랑 페이지랑 안에 내용은 또 다른 내용이라 더 혼란스럽습니다. 페이지를 가볍게 이해하고 PDF 파일을 외우라는 의도인지 아니면 둘 다 외우라는 의도인지 궁금합니다. 첫 페이지를 들어가보면 "요구사항 분석 챕터에서 중요한 부분 정리" 라고 적혀있으나 받아들이는 입장에서 중요한 부분인데 왜 PDF에는 이거에 관한 내용이 없는거지? 이 두개의 차이점은 뭐지? 라는 생각이 듭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섹션2 강의자료
안녕하세요 선생님섹션2 마지막 강의 3개(함수 선언과 호출, 연산자와 기출문제, switch-case문) 강의자료가 없는데 원래 없는건지 문의드립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이론 pdf
선생님 최근까지 시험 계속 본 사람인데요ㅜ요즘 문제가 예를 들어서, 문제 : 입력 자료에 초점을 맞춰 테스트 케이스를 만들고 검사하는 방법 설명보기 : ㄱ. Equivalence Partitioning, ㄴ. Boundary Value Analysis답 : ㄱ 이렇게 보기가 영어로 나올때가 있는데블랙박스테스트는 영어로 단어가 설명 안되어있어요ㅠ근데 지피티한테 물어봐도 영어를 모르겠어서여ㅜㅜ제가 책은 없고 선생님 자료로 수강중이라 이론 자료에 영어 단어도 부탁드립니다ㅜㅜ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이론 파트
안녕하세요 강사님이제 이론 파트로 넘어왔는데 PDF 파일이랑 수업자료 파일이랑 내용이 달라서 어떤걸 기준으로 봐야되는걸까요? 같은 내용인줄 알았는데 제목만 같고 안에 내용이 좀 달라서 질문 드립니다.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게시글 목록 최적화 전략 구현 - 테스트 에서 오류가 발생합니다
학습 관련 질문을 최대한 상세히 남겨주세요!고민 과정도 같이 나열해주셔도 좋습니다.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안녕하세요 거의 막바지에 이르러서 테스트 부분을 들으려 하고 있습니다테스트 부분에서 강의 코드와 같이 맞춰 보아도 에러가 발생하여 어떤 에러인지 감이 잘 잡히지 않아 질문드립니다.최하단에 에러 로그를 첨부합니다. 저장소의 완성 코드 파라미터대로 하면 성공하지만, 강의대로 하면 에러가 납니다이것은 저장소의 완성본 코드이고 @Test void readAllTest() { ArticleReadPageResponse response1 = articleReadRestClient.get() .uri("/v1/articles?boardId=%s&page=%s&pageSize=%s".formatted(1L, 3000L, 5)) .retrieve() .body(ArticleReadPageResponse.class); System.out.println("response1.getArticleCount() = " + response1.getArticleCount()); for (ArticleReadResponse article : response1.getArticles()) { System.out.println("article.getArticleId() = " + article.getArticleId()); } ArticleReadPageResponse response2 = articleRestClient.get() .uri("/v1/articles?boardId=%s&page=%s&pageSize=%s".formatted(1L, 3000L, 5)) .retrieve() .body(ArticleReadPageResponse.class); System.out.println("response2.getArticleCount() = " + response2.getArticleCount()); for (ArticleReadResponse article : response2.getArticles()) { System.out.println("article.getArticleId() = " + article.getArticleId()); } 이것은 에러가 발생하는 강의의 코드입니다.@Test void readAllTest(){ ArticleReadPageResponse response1 = articleReadRestClient.get() .uri("/v1/articles?boardId=%s&page=%s&pageSize=%s".formatted(1L, 1L, 5)) .retrieve() .body(ArticleReadPageResponse.class); System.out.println("response1 = " + response1); for (ArticleReadResponse article : response1.getArticles()) { System.out.println("article.getArticleId() = " + article.getArticleId()); } ArticleReadPageResponse response2 = articleRestClient.get() .uri("/v1/articles?boardId=%s&page=%s&pageSize=%s".formatted(1L, 1L, 5)) .retrieve() .body(ArticleReadPageResponse.class); System.out.println("response2 = " + response2); for (ArticleReadResponse article : response2.getArticles()) { System.out.println("article.getArticleId() = " + article.getArticleId()); } } 이것은 에러 로그입니다(본문 제한으로 부득이하게 이미지로 첨부합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객체를 만들기(생성하기) 전 및 후, new 위치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 하세요.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을 올립니다.코드를 보여주고 설명 하는게 편할것 같아서 코드를 먼저 보여드립니다.블록친 부분을 보시면왼쪽에 있는 것은, 생성자 쪽에서 new @@@을 해서, 값을 지정하는 방면,오른쪽에 있는 것은, 필드 쪽에서 new @@@ 하여서 값을 지정 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여기서 궁금증이 생깁니다.왼쪽에 있는 pathMap을 가지고 있는 것을 객체를 생성할때 하는게 아니면 그냥 필드에 넣어도 되는것이 아닌가?그리고 오른쪽에 있는 것을 생성자 안에 넣어서 선언해도 되는 것이 아닌가? 라는 생각들입니다억지 스러운거 같지만 이렇게요.그래서 여기서 궁금증인 어떤 클래스들은 필드에 new를, 어떤 클래스들은 객체에 new를 하는것 같은데,1. 두 가지의 차이점이 궁금하고, 2.아래의 사진 처럼 이렇게 바꿔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 드립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업캐스팅에서 질문
안녕하세요. 문의 드릴 게 있습니다. 14:02에서, 궁금한 게 있는데요. 저번 수업에서 업캐스팅일 때,오버라이딩 함수가 아닌데, 자식 매서드를 호출하면 에러가 발생한다고 하셨었는데요, 지금처럼 show(int x)매서드는 오버라이딩이 아니지 않나요??그럼 궁금한 부부분이단순 선언은 괜찮은건가요? 호출 시에만 문제가 되는건지 궁금합니다.지금 14:02 에서 보여지고 있는 코드가 오류가 없는 코드인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맴버변수의 하이딩..
지금classParent {publicStringname = "Parent"; } classChildextendsParent {publicStringname = "Child"; // Parent의 name 변수를 hiding함}두 변수 모두 정적 변수가 아니라 인스턴스 변수? 인데 그럼에도 업캐스팅 한 객체에서 변수를 불러올때는 선언한 타입 클래스에 있는 변수를 불러온다는 것이겠죠?재선언한 자식것을 가져오는것은 동일 형태의 매서드만 가져오는것이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