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jwt활용한 로그아웃
혹시 로그아웃에 대한 구현은 어떤식으로 해야할까요? header에서 토큰을 제거하는 거 말고 어떤 방식으로 토큰을 무효화 할까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복합키 설정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항상 친절하고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복합키 생성 관련 오류가 있어 질문드립니다.@Entity() @ObjectType() export class Dibs { @ManyToOne(() => Member) @PrimaryColumn() @JoinColumn({ name: 'memberId' }) @Field(() => Member) member: Member; @ManyToOne(() => Campground) @PrimaryColumn() @JoinColumn({ name: 'campgroundId' }) @Field(() => Campground) campground: Campground; @DeleteDateColumn() deletedAt: Date; }위와 같이 member와 campground의 id를 복합키로하여 Dibs라는 테이블을 생성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Nest] 21844 - 2023. 05. 24. 오전 9:36:44 ERROR [ExceptionHandler] Data type "Member" in "Dibs.member" is not supported by "mysql" database.DataTypeNotSupportedError: Data type "Member" in "Dibs.member" is not supported by "mysql" database.그런데 해당 코드를 아래와 같이 고치면 또 정상작동하게 됩니다.@Entity() @ObjectType() export class Dibs { @ManyToOne(() => Member) @PrimaryColumn() @JoinColumn({ name: 'memberId' }) @Field(() => Member) memberId: Member; @ManyToOne(() => Campground) @PrimaryColumn() @JoinColumn({ name: 'campgroundId' }) @Field(() => Campground) campgroundId: Campground; @DeleteDateColumn() deletedAt: Date; }member -> memberId, campground -> campgroundId 라고 변수명만 바꿨을 뿐인데 정상작동하는 이유를 모르겠네요. member와 campground의 기본키가 각각 memberId와 campgroundId로 설정되어 있긴 합니다. 최종적으로 아래와 같이 구현했습니다.@Entity() @ObjectType() export class Dibs { @ManyToOne(() => Member) @PrimaryColumn() @JoinColumn({ name: 'memberId' }) @Field(() => String) memberId: string; @ManyToOne(() => Campground) @PrimaryColumn() @JoinColumn({ name: 'campgroundId' }) @Field(() => String) campgroundId: string; @DeleteDateColumn() deletedAt: Date; }위 코드도 문제없이 잘 작동합니다. 그런데 애초에 복합키를 설정하는 것이 안 좋은 것일까요? 외래키 두개로 각 레코드들이 고유하게 구분될 수 있기 때문에 따로 기본키를 설정하지 않았는데 기본키를 설정하는게 더 좋은 방법일까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프론트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을 때
section29까지 듣고 현재 제 프로젝트를 구축하고 있습니다.그런데 궁금한 것이 이제까지 수업에서는 데이터를 찾을 때 고유 id를 가지고 findOne 메서드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찾거나 find 메서드로 전체 데이터를 다 긁어오는 방식을 사용했습니다.하지만 프론트에서는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데이터만 찾고 싶은 경우가 많을텐데요.이를 위해서 해당 조건을 찾을 수 있는 query를 다 만들어주어야 하는지 아니면 find로 데이터를 모두 취합해서 들고오면 프론트에서 알아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이 맞는건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외래키 지정에 관해서
@ManyToOne(() => ProductCategory) @Field(() => ProductCategory) productCategory: ProductCategory;외래키를 위와 같이 지정해주는 경우와@ManyToOne(() => ProductCategory) @Field(() => String) productCategoryId: string;이렇게 지정해주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테이블 사이의 관계가 만들어질 때 차이는 없나요?typeORM과 graphQL 요청시 객체를 그대로 전달하느냐 아니면 string 형식의 id만 전달하느냐 정도의 차이만 있나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08-02 강의에 설치해야될 패키지가 더 생긴건가요?
강의 중간에 yarn으로 패키지 설치하는 부분이 있는데강의에 나와있는 3개의 패키지 말고 @apollo/server를 따로 설치해줘야 하는 것 같습니다.뭔가 바뀐건가요?일단은 이렇게 해서 넘어 가긴 했습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section 29 수업과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재접속시 column이 삭제되는 문제는 버전을 낮추니 해결되었습니다! 다만 app.module.ts 에서 @Module decorator 설정 중 entities: [] 부분에 glob path 설정이 안돼서 버전과 관련된 것인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glob path만 입력했을 때 entity를 읽지 못해 직접 입력해주니 해결되었습니다)( 아직 실력이 부족해 질문이 상세하지 못한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데이터 수정에 관하여
수업에서는 product 테이블을 생성할 때 연관된 테이블의 데이터도 한번에 만들 수 있도록 구현하였습니다.그렇다면 데이터 수정도 product의 mutation 요청으로 연관 테이블들의 데이터도 모두 수정할 수 있도록 구현해야 하나요?이렇게 하려니 product 업데이트를 위해 입력해야 하는 데이터가 너무 많아지고 연관된 테이블의 데이터를 수정하는 경우에 create처럼 연관된 테이블의 컬럼의 데이터를 하나하나 다시 다 지정해줘야 하는 불편함도 있습니다.이렇게 한방에 처리하는거 말고 일단 product update mutation에는 product의 본래 컬럼들만 수정할 수 있도록 처리하고 연관된 테이블의 데이터는 연관 테이블의 기본키로 해당 테이블들의 update mutation으로 처리해도 될까요? 일단은 연관된 테이블의 기본키를 product의 fetchProduct로 조회하고 찾은 키를 이용해서 연관 테이블의 데이터를 수정하는 방식입니다.어떤 구조가 올바른 방식일까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NestJS
레파지토리 버전 다운 후 포스트맨 POST 호출시 에러 도와주세요 ㅠㅠ..
안녕하세요! 아래 에러 원인 파악이 힘들어서 도움을 요청드립니다 ㅠㅠimport { EntityRepository, Repository } from 'typeorm'; import { Board } from './board.entity'; import { BoardStatus } from './board-status.enum'; import { CreateBoardDto } from './dto/creaate-board.dto'; @EntityRepository(Board) export class BoardRepository extends Repository<Board> { async createBoard(createBoardDto: CreateBoardDto): Promise<Board> { const { title, description } = createBoardDto; const board = this.create({ title, description, status: BoardStatus.PUBLIC, }); await this.save(board); return board; } } [Nest] 4284 - 2023. 05. 23. 오전 1:24:20 ERROR [ExceptionsHandler] Cannot read properties of undefined (reading 'create') TypeError: Cannot read properties of undefined (reading 'create') at BoardRepository.Repository.create (C:\nestStudy\nestjs-board-app\src\repository\Repository.ts:99:29) at BoardRepository.createBoard (C:\nestStudy\nestjs-board-app\src\boards\board.repository.ts:11:24) at BoardsService.createBoard (C:\nestStudy\nestjs-board-app\src\boards\boards.service.ts:42:33) at BoardsController.createBoard (C:\nestStudy\nestjs-board-app\src\boards\boards.controller.ts:27:31) at C:\nestStudy\nestjs-board-app\node_modules\@nestjs\core\router\router-execution-context.js:38:29 at processTicksAndRejections (node:internal/process/task_queues:95:5) at C:\nestStudy\nestjs-board-app\node_modules\@nestjs\core\router\router-execution-context.js:46:28 at C:\nestStudy\nestjs-board-app\node_modules\@nestjs\core\router\router-proxy.js:9:17 왜 자꾸 create를 읽지 못한다고 하는건가요??여기서 어디를 수정해야되는지 알려주세요 ㅠㅠ 감사합니다 ㅠㅠ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docker-compose 후 데이터 전송 시 에러에 대해서...
먼저 각 폴더의 경로입니다. 해당 코드는 몽고디비 경로입니다.야믈파일에서의 코드입니다. docker-compose up 을 하고 데이터를 전송 했을 때의 에러입니다.(바디 안에 phone의 값은 스크린샷으로 인해 지운 부분입니다.) docker-compse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데이터 전송 메세지입니다.도커화 시키기 전에 바로 내 컴퓨터에서는 잘 전송이 되어지는데 docker-compose했을 때에 에러가 발생을 합니다.위에는 docker-compose up명령어를 작동 시켰을때 나오는 메세지들인데 해당 건에서는 에러메세지라고 보일 만한 것들을 찾지 못하였습니다.처음에는 몽고디비 경로를 잘못 설정 한 것 같아서 강의를 다시 보고 야믈파일에서 써주었던 database경로로 네임 리졸류션 하여 설정을 해주었는데 에러가 발생을 하여 질문을 남깁니다. ㅠ-ㅠ혹시 제가 놓친 부분이나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가르쳐주신다면 감사드립니다 ㅠㅠ 에러를 해결해보기 위해 도전해본 방법은 3가지 였습니다.몽고디비 주소를 127.0.0.1:27017 에서 database:27017로 변경 후 도커빌드 -업기존에 실행되고 있던 몽고디비를 중지한 후 도커 컴포즈업 실행 도커 이미지 모두 삭제한 후 다시 빌드 업 실행 해결 방법을 아신다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NestJS
레퍼지토리 문제..해결하신 분 도와주세요 ㅠㅠ..
강의에서 나오는 버전이 달라서 생기는 문제로 일단 파악은 되었지만 인터넷등 댓글에 있는 방법으로 시도해봤지만, 저는 해결되지 않아서 질문글 남깁니다 ㅠㅠ 우선 제가 마지막으로 했던 방법은 BoardsModule 파일에서 forFeature([BoardRepository->Board로 변경하고@Module({ imports: [TypeOrmModule.forFeature([Board])], controllers: [BoardsController], providers: [BoardsService, BoardRepository], }) export class BoardsModule {} BoardService 파일에서 @InjecRepository(BoardRepository)를 Board entity로 변경하면 된다는 글을 보고 따라했지만,@Injectable() export class BoardsService { constructor( @InjectRepository(Board) private boardRepository: BoardRepository, ) {} 포스트맨으로 직접 실행하기전에는 서버가 잘 실행되도, 포스트맨으로 호출하면 아래와 같은 오류가 나옵니다..[Nest] 14464 - 2023. 05. 23. 오전 12:51:47 ERROR [ExceptionsHandler] this.boardRepository.createBoard is not a function TypeError: this.boardRepository.createBoard is not a function at BoardsService.createBoard (C:\nestStudy\nestjs-board-app\src\boards\boards.service.ts:42:33) at BoardsController.createBoard (C:\nestStudy\nestjs-board-app\src\boards\boards.controller.ts:27:31) at C:\nestStudy\nestjs-board-app\node_modules\@nestjs\core\router\router-execution-context.js:38:29 at processTicksAndRejections (node:internal/process/task_queues:95:5) at C:\nestStudy\nestjs-board-app\node_modules\@nestjs\core\router\router-execution-context.js:46:28 at C:\nestStudy\nestjs-board-app\node_modules\@nestjs\core\router\router-proxy.js:9:17 BoardRepository가 제대로 주입되지 않은 것 같은데 이후 해결방법을 도와주세요 ㅠㅠ 삽질을 그만 멈추고 싶습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NestJS
auth.service.ts에서 오류가 납니다
ㅇ에러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username: string; }' 형식의 인수는 'FindOneOptions<User>' 형식의 매개 변수에 할당될 수 없습니다.개체 리터럴은 알려진 속성만 지정할 수 있으며 'FindOneOptions<User>' 형식에 'username'이(가) 없습니다.ts(2345)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section 10 수업과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데이터 추가 후 서버를 종료하고 다시 실행시키면 사진처럼 id column이 사라져버립니다.이유를 모르겠습니다 ㅠ..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Duplicate entry '' for key 'product.PRIMARY' 에러
graphql로 상품등록 하고 mysql를 끄고 다시 키면 Duplicate entry '' for key 'product.PRIMARY' 에러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mysql에 있는 데이터를 삭제하고 다시 mysql를 키면 정상적으로 작동을 합니다. 데이터를 수동으로 삭제를 안하고 작동을 어떻게 시킬수 있나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section 29 update 함수 어떻게 수정하면 될까요?
감이 안잡히는데 좀 도와주세요 ㅜㅜ힌트라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async update({ productId, updateProductInput, }: IProductsServiceUpdate): Promise<Product> { const product = await this.findOne({ productId }); this.checkSoldout({ product }); const result = this.productsRepository.save({ ...product, // 수정 후 수정되지 않은 다른 결과값까지 모두 받고 싶을 때 사용 ...updateProductInput, }); return result; }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section 29 예제 코드 오류
안녕하세요. section29까지 수강을 다 진행하였는데요.예제 코드 관련 오류가 있어 질문드립니다.예제코드가 데이터베이스 처음 만든 상태에서는 괜찮은데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넣고 코드를 수정하면 아래와 같은 오류가 나옵니다.query failed: ALTER TABLE `product_saleslocation` ADD `id` varchar(36) NOT NULL PRIMARY KEY error: Error: Duplicate entry '' for key 'product_saleslocation.PRIMARY' query: ROLLBACK [Nest] 33022 - 05/21/2023, 12:47:43 PM ERROR [TypeOrmModule] Unable to connect to the database. Retrying (1)... QueryFailedError: Duplicate entry '' for key 'product_saleslocation.PRIMARY'그리고 DBeaver로 확인하면 product_saleslocation의 기본키인 "id"가 자동으로 삭제되어 있습니다. product_saleslocation의 비정상적인 데이터를 삭제해도 다른 테이블의 기본키에서도 동일한 오류가 발생합니다. 코드를 단순히 주석만 삭제하고 저장해도 프로젝트가 재실행되고 나서 저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프로젝트가 재실행될 때마다 DB에 자동적으로 뭔가 데이터 수정 작업을 하는거 같은데 아무 요청도 안 했는데 DB에 수정이 일어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Slack 클론 코딩[백엔드 with NestJS + TypeORM]
sleact 테이블 생성에 실패 하시는 분들을 위한 팁
강의 4~ 5분 즈음에 sleact 테이블을 생성하는데요아래의 에러 메시지가 나오면서 테이블 생성에 실패 하시는 분들은> a-nest@0.0.1 db:create > ts-node ./node_modules/typeorm-extension/dist/cli/index.js db:create -d ./dataSource.ts /Users/user/Documents/SideProjects/sleact/a-nest/node_modules/mysql2/lib/connection.js:161 const err = new Error( ^ Error: Can't add new command when connection is in closed state at Connection._addCommandClosedState (/Users/gim-uijung/Documents/SideProjects/sleact/a-nest/node_modules/mysql2/lib/connection.js:161:17) at Connection.end (/Users/gim-uijung/Documents/SideProjects/sleact/a-nest/node_modules/mysql2/lib/connection.js:902:26) at Query.onResult (/Users/gim-uijung/Documents/SideProjects/sleact/a-nest/node_modules/typeorm-extension/dist/database/driver/mysql.js:27:28) at Connection._notifyError (/Users/gim-uijung/Documents/SideProjects/sleact/a-nest/node_modules/mysql2/lib/connection.js:241:17) at Connection._handleFatalError (/Users/gim-uijung/Documents/SideProjects/sleact/a-nest/node_modules/mysql2/lib/connection.js:180:10) at Connection._handleNetworkError (/Users/gim-uijung/Documents/SideProjects/sleact/a-nest/node_modules/mysql2/lib/connection.js:193:10) at Socket.emit (node:events:513:28) at Socket.emit (node:domain:489:12) at emitErrorNT (node:internal/streams/destroy:151:8) at emitErrorCloseNT (node:internal/streams/destroy:116:3) {}dotenv 패키지를 설치하세요.npm i dotenvdotenv 설치하는 부분이 편집 과정중 어디선가 생략된것 같아요.아주 간단 한건데 이거 때문에 삽질을 좀 해서 혹시나 도움이 될까 싶어 올립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puppeteer 라이브러리 사용 중에 질문 드립니다.
퍼펫티어 쪽 코드인데 미니프로젝트에서 요구한 30개 이상을 크롤링 하는 부분을 완성을 해서 추가적으로 전체 메뉴를 긁어오고 싶어서 위와 같이 코드를 추가했습니다.12번째 코드부터 15번째 코드까지가 총 데이터 길이를 구하는 코드인데해당 코드에서 console.log(cnt);콘솔로 cnt를 출력해보면위와 같이 숫자 10까지 밖에 출력이 안되어서 질문 드립니다. 퍼펫티어 docs에서도이렇게 설명이 되어있어서 해당 코드라면 스타벅스 내에 있는 모든 전체상품 이미지가 크롤링 되어야 될 거 같은데스타벅스 홈페이지에서 카피를 하면 nth-child 의 값은 10까지 밖에 찍히지 않고전체 메뉴가 크롤링 되는 것이 아닌 도중에 제주 말차 메뉴까지 밖에 크롤링이 되지 않는 것이 의문이라 질문 드립니다. 혹시 해당 코드에 문제가 무엇인지 조언을 부탁 드리고 싶습니다 ㅠㅠ 전체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import puppeteer from "puppeteer"; import mongoose from "mongoose"; import { starbucks } from "../model/starbucksSchema.js"; export async function startCrawling() { const browser = await puppeteer.launch({ headless: false }); const page = await browser.newPage(); await page.setViewport({ width: 1920, height: 1080 }); await page.goto("https://www.starbucks.co.kr/menu/drink_list.do"); await page.waitForTimeout(2400); const cnt = await page.$$eval( `#container > div.content > div.product_result_wrap.product_result_wrap01 > div > dl > dd:nth-child(2) > div.product_list > dl > dd `, (data) => data.length ); console.log(cnt); for (let i = 1; i <= cnt; i++) { const second_cnt = await page.$$eval( `#container > div.content > div.product_result_wrap.product_result_wrap01 > div > dl > dd:nth-child(2) > div.product_list > dl > dd:nth-child(${i}) > ul > li`, (data) => data.length ); for (let j = 1; j <= second_cnt; j++) { const image = await page.$eval( `#container > div.content > div.product_result_wrap.product_result_wrap01 > div > dl > dd:nth-child(2) > div.product_list > dl > dd:nth-child(${i}) > ul > li:nth-child(${j}) > dl > dt > a > img`, (el) => el.src ); const name = await page.$eval( `#container > div.content > div.product_result_wrap.product_result_wrap01 > div > dl > dd:nth-child(2) > div.product_list > dl > dd:nth-child(${i}) > ul > li:nth-child(${j}) > dl > dd`, (el) => el.textContent ); console.log(`이름: ${name}, 이미지: ${image}`); const starbucks_db = await starbucks.updateOne( { name: name }, { img: image }, { upsert: true } ); } } await browser.close(); } startCrawling();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graphQL 에러 문제
안녕하세요. 그래프큐엘 관련 에러가 해결이 되지 않아 질문드립니다.아래와 같은 Member, Dibs 엔티티가 있습니다.@Entity() @ObjectType() export class Dibs { @ManyToOne(() => Member, { primary: true }) @Field(() => Member) member: Member; @ManyToOne(() => Campground, { primary: true }) @Field(() => Campground) campground: Campground; @DeleteDateColumn() deletedAt: Date; }@Entity() @ObjectType() // @InputType() export class Member { @PrimaryColumn() @Field(() => String) memberId: string; @Column({ nullable: false }) @Field(() => String) password: string; @Column({ nullable: false }) @Field(() => String) nickname: string; @Column({ nullable: false }) @Field(() => String) email: string; @Column({ nullable: false }) @Field(() => String) name: string; @Column({ nullable: false }) @Field(() => String) phoneNumber: string; }그런데 Member 클래스를 다른 엔티티 클래스에서 외래키로 지정해주면 오류가 발생합니다.코드를 보시면 Dibs 엔티티에서 Member를 @Field(() => Member) 데코레이터로 지정하여 그래프큐엘 필드로 지정해주는데 아래의 오류가 발생합니다.Error: Cannot determine a GraphQL input type ("Member") for the "member". Make sure your class is decorated with an appropriate decorator.인터넷에 찾아보니 Member 클래스에 InputType 데코레이터를 지정해주라고 돼있는데 강의 예제코드에선 특정 클래스를 다른 엔티티에서 외래키로 활용할 때 그 클래스에 ObjectType만 지정하고 InputType은 지정해주지 않아도 잘 작동하였습니다.Member클래스 뿐만 아니라 외래키로 활용되는 모든 클래스에서 오류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해당 클래스들에 InputType을 지정하면 오류가 사라지긴 하나 아래와 같은 다른 오류가 또 발생합니다.Error: Schema must contain uniquely named types but contains multiple types named "Member". 이틀 동안 여러가지 찾아보고 해결을 시도해봤지만 잘 안되네요. 도움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Slack 클론 코딩[백엔드 with NestJS + TypeORM]
객체를 저장하는 경우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혹시 디비에 객체를 저장하는 경우도 있나요? 예를들어 아래처럼 5개의 색상 키와 그 키에 해당하는 string을 값으로 가지는 객체 형태를 유저 정보에 저장하고 싶어요.// Color 객체 예시 입니다. { RED: string; BLUE: string; GREEN: string; YELLOW: string; PURPLE: string; }nest&typeorm는 처음이다보니 chatgpt의 도움을 많이 받고 있는데요. 객체는 저장이 되지 않지만 postgresql 에서는 이런 방법을 알려주긴하더라고요. export class User extends BaseEntity { @PrimaryGeneratedColumn() id: number; @Column() email: string; // 생략... @Column({ type: 'jsonb', nullable: true }) categories: { [key in Color]: string } | null; // 생략... 이 5개에서 늘어나거나 줄어들일이 없어서 테이블을 만드는게 맞는지 고민이 돼서요. 위와 같이하는건 좀 이상한 방법일까요? 이럴거면 그냥 email:string 하듯이 RED:string 이런식으로 컬럼 5개로 저장하는 방법이 나을까요?
-
해결됨타입스크립트의 모든 것
타입 단언과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강의를 다 보고 나서 의문점이 들어서 질문 드립니다.강의에서 value 값을 출력하기 위해서인터페이스를 만들고 as랑 제네릭을 활용하는 법을 알려주셨는데제 생각에는 인터페이스를 만들었으니까example의 타입으로 인터페이스를 주면 되지 않을까 했습니다.해봤더니 에러가 안 나고 출력도 잘 되더라고요저한테는 인터페이스를 타입으로 주는 것이 더 간편하게 느껴지는데object를 타입으로 주는 것이 더 실무에 적합한 방식인 건가요?어떤 차이점이 있을까요? 그리고 제네릭을 식별자 뒤에 쓰면 인수와 관련된 것 같은데식별자 앞에 제네릭을 쓰면 어떤 의미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