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서버개발자 과제전형 완벽가이드 - 1편
import 오류?
처음 세팅을 강사님처럼 naver-client 모듈을 생성하고 하지는 않았긴 했는데 이게 이유가 될 수 있나요? external에서 테스트할 때는 동일하게 common 쪽 import 하고 사용했을 때 테스트가 정상적으로 동작을 해서 뭐가 원인인지 모르겠습니다.C:\Users\82108\Desktop\PARK_BH\library-search\search-api\src\main\java\com\library\controller\BookController.java:3: error: cannot find symbolimport com.library.NaverBookResponse; ^ symbol: class NaverBookResponse location: package com.library
-
미해결서버개발자 과제전형 완벽가이드 - 1편
JSON 역직렬화
강사님과 똑같은 상황인 기본 생성자가 없는 상태인데 저는 왜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상속과 그에 따른 메모리 구조 질문
[질문 내용](05:30 참고)privateValue, defaultValue는 접근제어자에 의해 Child에서 접근이 불가능한 것까진 알겠습니다. 두 멤버도 상속이 되긴 하는건가요? 그리고 Child가 Parent를 상속하는 것으로 설정하면, Child 인스턴스를 생성했을 때 내부에 printValue, defaultValue 두 멤버가 생기긴 하는데 접근을 못 하는건가요, 아니면 애초에 두 멤버는 인스턴스 안에 안 생기는건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call메소드에서 멤버에 접근하는 방식을 이해 못 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05:30부터)publicValue와 protectedValue에는 어떻게 접근한건가요?: publicValue, protectedValue는 타 클래스인 Parent의 멤버변수이고, 그것에 접근하려면 Parent의 인스턴스를 생성한 다음(인스턴스 변수는 'p'라 하겠습니다) 'p.'을 앞에 적어야 접근이 가능한 것 아닌가요? 즉 저는 p.publicValue같은 식으로 불러야 하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여기서는 어떻게 'p.'없이 접근을 한건지 궁금합니다 ㅠ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MSA 아키텍쳐 DB관게
MSA 구조에서 DB는 FK로 묶여있지 않고 다 분리된 테이블일까요?아니라면 ERD 다이어그램도 추가해 주실 수 있으실까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MSA 아키텍쳐 DB관게
MSA 구조에서 DB는 FK로 묶여있지 않고 다 분리된 테이블일까요?아니라면 ERD 다이어그램도 추가해 주실 수 있으실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정말 감사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질문은 아니고.. 생산자 소비자 문제 파트 공부하다가 정말 감사해서 글 남깁니다.이해를 위한 그림이 지금 세기도 힘들 정도로 많이 들어가있는데.. 학습자를 배려해주시는 마음이 느껴져서 정말 감사하네요..얼마나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어가있는지 가늠도 안됩니다. 정말 덕분에 편하게 공부하고 있습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생산자 소비자 문제 큐 사용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이전의 프린트 예제에서는 큐를 생성할 때 ConcurreentLinkedQueue를 사용했고, 생산자 소비자 문제에서는 ArrayDeque를 사용했는데, ConcurreentLinkedQueue를 쓰지 않아도 괜찮은건가요?이 예제는 lock을 획득한 스레드만 접근 가능해서 동시성문제를 해결한 상황이라서 그런건가요?
-
미해결나도코딩의 자바 기본편 - 풀코스 (20시간)
getter setter
modelname은 getter에 if 문을 넣고 price엔 if를 setter에 넣었는데 그 기준이 있나요?아니면 실행되고 출력하는데엔 어디에 넣든 아무 영향이 없는 걸까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CommentApiTest 중 오류가 발생합니다
섹션3 23강 댓글 최대 2 depth - CUD API 테스트 & 테스트 데이터 삽입 파트 수강 중create 테스트를 실행하는데 오류가 계속 발생합니다package kuke.board.comment.api; import kuke.board.comment.service.response.CommentResponse; import lombok.AllArgsConstructor; import lombok.Getter;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web.client.RestClient; public class CommentApiTest { RestClient restClient = RestClient.create("http://localhost:9001"); @Test void create() { CommentResponse response1 = createComment(new CommentCreateRequest(1L, "my comment1", null, 1L)); CommentResponse response2 = createComment(new CommentCreateRequest(1L, "my comment2", response1.getCommentId(), 1L)); CommentResponse response3 = createComment(new CommentCreateRequest(1L, "my comment3", response1.getCommentId(), 1L)); System.out.println("commentId=%s".formatted(response1.getCommentId())); System.out.println("\tcommentId=%s".formatted(response2.getCommentId())); System.out.println("\tcommentId=%s".formatted(response3.getCommentId())); // commentId=123694721668214784 // commentId=123694721986981888 // commentId=123694722045702144 } CommentResponse createComment(CommentCreateRequest request) { return restClient.post() .uri("/v1/comments") .body(request) .retrieve() .body(CommentResponse.class); } @Getter @AllArgsConstructor public static class CommentCreateRequest { private Long articleId; private String content; private Long parentCommentId; private Long writerId; } } 코드는 강사님 코드를 복붙을 해 봤는데도 아래의 오류가 지속적으로 발생합니다500 Internal Server Error: "{"timestamp":"2025-08-24T11:27:31.828+00:00","status":500,"error":"Internal Server Error","path":"/v1/comments"}"org.springframework.web.client.HttpServerErrorException$InternalServerError: 500 Internal Server Error: "{"timestamp":"2025-08-24T11:27:31.828+00:00","status":500,"error":"Internal Server Error","path":"/v1/comments"}"at org.springframework.web.client.HttpServerErrorException.create(HttpServerErrorException.java:102)at org.springframework.web.client.StatusHandler.lambdadefaultHandlerdefaultHandler3(StatusHandler.java:89)at org.springframework.web.client.StatusHandler.handle(StatusHandler.java:146)at org.springframework.web.client.DefaultRestClient$DefaultResponseSpec.applyStatusHandlers(DefaultRestClient.java:698)at org.springframework.web.client.DefaultRestClient.readWithMessageConverters(DefaultRestClient.java:200)at org.springframework.web.client.DefaultRestClient$DefaultResponseSpec.readBody(DefaultRestClient.java:685)at org.springframework.web.client.DefaultRestClient$DefaultResponseSpec.body(DefaultRestClient.java:631)at kuke.board.comment.api.CommentApiTest.createComment(CommentApiTest.java:32)at kuke.board.comment.api.CommentApiTest.create(CommentApiTest.java:14)at java.base/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80)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96)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96) DB를 봤을 때 parent_comment_id 가 NOT NULL이라 안 되나 싶다가도강사님은 pdf의create table comment (comment_id bigint not null primary key,content varchar(3000) not null,article_id bigint not null,parent_comment_id bigint not null,writer_id bigint not null,deleted bool not null,created_at datetime not null);sql문과 똑같이 만들었던걸 생각하면 아닌 거 같기도 하고 뭐가 문제인지 감이 안 옵니다 @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CommentService { private final Snowflake snowflake = new Snowflake(); private final CommentRepository commentRepository; @Transactional public CommentResponse create(CommentCreateRequest request) { Comment parent = findParent(request); Comment comment = commentRepository.save( Comment.create( snowflake.nextId(), request.getContent(), parent == null ? null : parent.getCommentId(), request.getArticleId(), request.getWriterId() ) ); return CommentResponse.from(comment); } private Comment findParent(CommentCreateRequest request) { Long parentCommentId = request.getParentCommentId(); if ( parentCommentId == null) { return null; } return commentRepository.findById(parentCommentId) .filter(not(Comment::getDeleted)) .filter(Comment::isRoot) .orElseThrow(); } public CommentResponse read(Long commentId) { return CommentResponse.from( commentRepository.findById(commentId).orElseThrow() ); } @Transactional public void delete(Long commentId) { commentRepository.findById(commentId) .filter(not(Comment::getDeleted)) .ifPresent(comment -> { if (hasChildren(comment)) { comment.delete(); } else { delete(comment); } }); } private boolean hasChildren(Comment comment) { return commentRepository.countBy(comment.getArticleId(), comment.getCommentId(), 2L) == 2; } private void delete(Comment comment) { commentRepository.delete(comment); if (!comment.isRoot()) { commentRepository.findById(comment.getParentCommentId()) .filter(Comment::getDeleted) .filter(not(this::hasChildren)) .ifPresent(this::delete); } } }서비스의 경우에도 딱히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했고 혹시나 싶어 복붙을 해도 마찬가지의 오류가 발생합니다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38강 editConfiguration에 active profiles 가 없어요
위와 같이 active profiles가 없는데 어떻게 하면 될까요?
-
해결됨6주 완성! 백엔드 이력서 차별화 전략 4가지 - 똑같은 이력서 속에서 돋보이는 법
로컬 모니터링 구축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Actuator, 프로메테우스, Grafana를 통해 운영 서버 모니터링 대시보드를 구축하려고 합니다. (CloudWatch는 일정 용량 이후 비용이 부과되는 문제로 Prometheus를 선택했습니다.)근데 운영 서버에서 Actuator와 프로메테우스 서버를 띄우면 외부에서도 Actuator 가 제공하는 메트릭 정보뿐만 아니라, 프로메테우스가 수집한 정보를 9090 포트 번호를 통해 접근 가능하다고 생각하였습니다.처음에는 Actuator의 정보를 ADMIN 권한을 가진 관리자만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하였지만, Prometheus 서버에서 접근이 불가능한 문제가 생겼습니다.Prometheus와 Grafana를 통해 모니터링을 구축할 때, 데이터에 대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이 뭐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어플리케이션 , 도메인 계층질문
안녕하세요 토비님어플리케이션 계층의 port는 도메인과 외부의 연결을 위해 필요 하다고 알고 있는데jpa나 마이바티스 같은 기술 또한 도메인 외부의 내용이기에 인프라 계층으로 들어간다고 알고 있습니다그런데 의존성 역전을 위한 레파지토리 인터페이스를 어플리케이션 계층에 만들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서 도메인에 관련된 내용을 너무 깊게 관여하는 것 같아서 질문 드립니다어플리케이션과 도메인의 경계를 어디까지로 보는게 좋을까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gradle source sets가 없을때
안녕하세요 8강 강의에서 멀티모듈 구조 만드실때 각 서비스에 디렉토리를 추가하는 과정에서 new -> directory 클릭했을 때 강사님은 경로명 입력하는 칸 밑에 gradle source sets가 떠서 쉽게 src와 test디렉토리 등을 추가하셨는데 저는 뜨지 않습니다.. 왜 그런걸까요??
-
미해결Java/Spring 주니어 개발자를 위한 오답노트
Repository 인터페이스 위치
class Controller, class Service, Interface Repository, class RepositoryImpl, Interface JpaRepository의 그림에서 Interface Repository 가 Persistence 가 아닌 Business 계층으로 분리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JAVA 성능 튜닝과 트러블 슈팅
4-3부터 4-5강까지 소리가 안 나오는 것 같습니다.
강의 자막은 잘 나오는데 소리가 안 나오는 것 같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멀티 모듈 아키텍처로 구현하는 은행 서버 핵심 기능 [ Kotlin & Spring ]
모듈 간 의존성 관리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 수강중에 의존성 추가에 대해서 의문이 들어 질문드립니다. 제가 26강까지 듣고 올리는 질문이라 후속 강의에서 리팩토링 되는 것이라면 넘어가주세요! 멀티모듈 프로젝트에서는 각 모듈이 각자의 의존성을 갖고 관리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는데요. 현재 강의에서는 아래 의존성들이 여러 모듈에 흩어져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의존성 관리 포인트가 늘어나 단점이 생길 것 같은데요. 하나의 모듈에서 각자의 역할과 책임에 맞게 의존성을 관리하는 것에 대해 강사님의 생각이 궁금합니다!spring data jpabank-domainbank-eventresilience4jbank-corebank-api만약 위의 의존성들이 각자의 모듈에서 관리된다면 다른 모듈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특정 기능들을 wrapping해서 제공해주는 방법이 맞을까요? 아니면 혹시 더 좋은 방법이 있을지 궁금합니다.spring data jpabank-domain에서 save(), 혹은 findById()를 다른 모듈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인자만 받는 메소드를 제공한다면 bank-event에선 id값 혹은 entity형식의 객체(필요시 model or dto 추가)만 넘겨 처리할 수 있으니 spring-data-jpa 의존성을 끊을 수 있을 것 같아서요.
-
해결됨6주 완성! 백엔드 이력서 차별화 전략 4가지 - 똑같은 이력서 속에서 돋보이는 법
질문 있습니다
1. 현재 학습 진도몇 챕터/몇 강을 수강 중이신가요? 2-10 여기까지 이해하신 내용은 무엇인가요? 2. 어려움을 겪는 부분어느 부분에서 막히셨나요?코드의 어떤 로직이 이해가 안 되시나요?어떤 개념이 헷갈리시나요? 3. 시도해보신 내용문제 해결을 위해 어떤 시도를 해보셨나요?에러가 발생했다면 어떤 에러인가요?현재 작성하신 코드를 공유해주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이전 강의에서 로컬이 아니라, 리소스가 제한된 클라우드 환경에서 성능 테스트를 하는 것이 좋다고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인텔리제이에서 제공하는 Profile이 기능은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따로 사용할 수가 없지 않나요?? 해당 기능을 어떻게 클라우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 성능 측정을 위해 사용할 수 있을까요? 이렇게 구체적으로 알려주시면, 더 정확하고 도움이 되는 답변을 드릴 수 있습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record class @Transactional 사용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토비님 회원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테스트 (2) -25:19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record 에 @Transactional을 사용하면 실행에는 문제가 없으나 인텔리제이에서 Classes annotated with '@Transactional' could be implicitly subclassed and must not be final 이와같은 경고 메세지를 주는데 무시하고 지나가도 되는건지요?
-
해결됨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39. 문서와 코드 다듬기 updateInfo 테스트 질문 있습니다.
토비님 안녕하세요. 39. 문서와 코드 다듬기 강의의 updateInfo 테스트 부분 질문이 있습니다. 강의 28:30 부근에서 updateInfoFail()에 코멘트를 달게 되는데 성공케이스에 대한 코드는 updateInfo() 부분으로 옮기는 것도 좋아보이는데 토비님 생각이 궁금합니다. updateInfoFail()의 마지막에 member가 member2의 프로필 주소와 중복되는 테스트가 있으므로, member2의 프로필 주소를 설정해주는 코드가 필요하지만, 하나만 있어도 괜찮지 않을까 생각합니다.그래서 나머지 성공에 대한 코드는 updateInfo() 메소드로 옮겨 "상세 정보 수정이 가능한 경우"들을 나열하는게 좋다고 생각했습니다. 똑같은 준비작업이 반복되다보니 한 번 세팅해놓고 여러 케이스를 다 검증해보는 것이 낫다고 하셨는데, 현재 테스트 클래스 메소드가 성공/실패로 나뉘어져있어 성공하는 부분은 다른 메소드로 이동하는게 좋아보인다 생각했습니다. 아래 코드에서 성공 케이스와 실패 케이스로 나누어보았습니다.코드updateInfo()@Test void updateInfo() { Member member = registerMember(); Long memberId = member.getId(); memberRegister.activate(memberId); entityManager.flush(); entityManager.clear(); var updateRequest = createMemberInfoUpdateRequest(); member = memberRegister.updateInfo(memberId, updateRequest); assertThat(member.getDetail().getProfile().address()).isEqualTo(updateRequest.profileAddress()); // 기존 프로필 주소로 계속 변경 요청 가능 memberRegister.updateInfo(memberId, updateRequest); // 다른 프로필 주소로 변경 가능 memberRegister.updateInfo(memberId, createMemberInfoUpdateRequest("omg123")); // 프로필 주소 제거 가능 memberRegister.updateInfo(memberId, createMemberInfoUpdateRequest("")); } updateInfoFail()@Test void updateInfoFail() { Member member = registerMember(); Long memberId = member.getId(); memberRegister.activate(memberId); member = memberRegister.updateInfo(memberId, createMemberInfoUpdateRequest()); Member anotherMember = registerMember("another@email.com"); Long anotherMemberId = anotherMember.getId(); memberRegister.activate(anotherMemberId); entityManager.flush(); entityManager.clear(); // anotherMember가 member와 프로필 주소 중복 MemberInfoUpdateRequest duplicateProfileUpdateRequest = createMemberInfoUpdateRequest(member.getDetail().getProfile().address()); assertThatThrownBy(() -> { memberRegister.updateInfo(anotherMemberId, duplicateProfileUpdateRequest); }).isInstanceOf(DuplicateProfileException.class); // member와 중복되지 않는 프로필 주소로는 변경 가능 MemberInfoUpdateRequest updateRequest = createMemberInfoUpdateRequest("profile123"); memberRegister.updateInfo(anotherMemberId, updateRequest); // member가 anotherMember와 프로필 주소 중복 assertThatThrownBy(() -> { memberRegister.updateInfo(memberId, updateRequest); }).isInstanceOf(DuplicateProfileException.class); } 좋은 강의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