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기초 탄탄! 독하게 시작하는 Java - Part 2 : OOP와 JVM
클래스 로딩 순서에 관해 질문이 있습니다.
10분 24초에 클래스를 로딩하기에 앞서서 검사, 준비, 해결과정을 거친다고 하셨는데 로딩을 한 후 링킹(검사,준비, 해결)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아닌가요? 로딩전 링킹과정 후 로딩을 하는 것인가요? 제가 잘못이해하고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기초 탄탄! 독하게 시작하는 Java - Part 2 : OOP와 JVM
메타데이터의 위치에 대한 질문입니다.
널널한 개발자님. 항상 잘 듣고 있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복습을 하던 도중 잘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인스턴스의 메타데이터라 함은 강의 내용 중 해시코드, 오브젝트 나이, 락플래그를 말하는 것 같습니다.강의 4분경에서 이런 메타데이터가 Klass word에서 참조하는 Metaspace에 저장되어 있다고 하셨습니다.그리고 강의 6분경 핫스팟 VM 객체 Lock flag슬라이드 보거나, 실제 예제를 실행시켜 나온 결과(23:35)를 보면 Markword에도 해쉬파일과 락플래그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Metaspace, Markword 둘 다 같은 인스턴스의 해시코드값(+락플래그)을 가지는 건가요? 그러면 Metaspace는 생성된 인스턴스 모두의 메타데이터를 가지는건가요? 새벽에 보느라 머리가 잘 안돌아가네요..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해결됨기초 탄탄! 독하게 시작하는 Java - Part 2 : OOP와 JVM
문자열 리터럴과 문자열 객체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강의를 듣던 도중에 의아한 부분이 있습니다. 8분 43초부터 들은 바에 의하면문자열 리터럴로 생성한 문자열은 (1) Runtime Constant Pool에 저장되고, (2) 사용되는 시점에 String Contant Pool에 복사된다.new 키워드로 생성한 문자열 객체는 String Constant Pool에 저장된다. (이 내용은 10분 28초) 위 내용을 다음 사진처럼 표현해보았습니다. 여기서 한 가지 의아한 부분이 있는데요.문자열 리터럴과 new 키워드로 생성한 문자열 객체 둘 다 String Contstant Pool에 저장된다면, 동일성 비교에서 true가 반환되지 않을까요?? 그러나 실제로는 동일성 비교를 하면 false를 반환하게 됩니다.제가 이해했던 바로는 문자열 리터럴은 String Constant Pool에 저장되고, new 키워드를 통한 문자열 객체는 Heap 영역에 저장되기 때문에 동일성 비교에서 false를 반환한다라고 생각했습니다.String s1 = "hello"; String s2 = "hello"; String s3 = new String("hello"); s1 == s2; // true s1 == s3; // false 결론적으로 제가 궁금한 부분은..new 키워드로 사용한 문자열 객체는 String Constant Pool이 아닌 단순히 JVM Heap 영역에 저장되는 것이 맞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11분 08초에 natvie 오타가 있는 것 같습니다!)
-
해결됨기초 탄탄! 독하게 시작하는 Java - Part 2 : OOP와 JVM
클래스 로더 및 로딩 과정 16:00초에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클래스 로더 및 로딩 과정 16:00초에 질문이 있는데요.링킹 준비 단계에서 "객체 인스턴스가 저장될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고 0으로 초기화"라고 되어 있는데, 제가 알기로는 클래스 수준의 정적 필드가 기본값으로 초기화로 알고 있습니다.객체 인스턴스는 객체가 생성 되었을 때 기본 값으로 초기화가 이뤄지고 생성자가 있을때 말씀처럼 초깃값이 다시 설정 되는걸로 알고 있는데요. 제가 잘못 이해 한걸까요.
-
해결됨기초 탄탄! 독하게 시작하는 Java - Part 2 : OOP와 JVM
추상 클래스와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ㅎㅎ좋은 강의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상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사용 시점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제가 처음에 생각한 내용은추상 클래스 : 부모 클래스와 자식 클래스가 공통으로 제공하는 내용(메서드)도 존재하지만, 자식클래스 별로 다른 내용을 제공할 때는 abstract 메서드를 사용하여 구현을 강제시킨다.인터페이스 : 부모와 자식 간에 공통으로 가지는 내용(메서드 내용이 동일한)이 없으므로, 상속받는 클래스가 반드시 메서드를 구현한다. 그런데 JAVA8부터 인터페이스에 default 메서드가 추가되었더군요.인터페이스에 default 메서드를 선언하면, 인터페이스를 상속받는 클래스에서 구현을 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더라구요.interface Shape { final int SIZE = 5; void render(); default int getSize() { return SIZE; } } class Rectangle implements Shape { @Override public void render() { StringBuilder buffer = new StringBuilder(); for (int i = 0; i < SIZE; i++) { for (int j = 0; j < SIZE; j++) { buffer.append("*\t"); } buffer.append("\n"); } System.out.println(buffer); }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input = sc.nextInt(); Shape shape; if (input == 0) { shape = new Rectangle(); } else { shape = new Triangle(); } shape.render(); System.out.println(shape.getSize()); } } 그렇다면 default 메서드가 추상 클래스의 일반 메서드(추상 클래스가 아닌)와 동일하게 작동하게 되는데public abstract class Shape { public static final int SIZE = 5; public abstract void render(); public int getSize() { return SIZE; } }추상 클래스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시기(?)를 어떻게 구별해야할까요? 구글링을 해보니 인터페이스에 default 메서드가 추가된 이유가 추후에 인터페이스에 새로운 메서드를 추가했을 때, 해당 인터페이스를 상속하고 있는 클래스에서 오류가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라고 하는데그 오픈소스가 엄청 유명해져서 전 세계 사람들이 다 사용하고 있는데, 인터페이스에 새로운 메소드를 만들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자칫 잘못하면 내가 만든 오픈소스를 사용한 사람들은 전부 오류가 발생하고 수정을 해야 하는 일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럴 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default 메소드다. 결론적으로 내용을 정리하게 되면추상 클래스에서 새로운 메서드를 추가해야 한다면 abstract를 추가하지 않는다.인터페이스에서 새로운 메서드를 추가해야 한다면 default 메서드를 사용한다.default 메서드가 추가 되면서 추상 클래스와 인터페이스를 언제 사용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38군데 합격 비법, 2025 코딩테스트 필수 알고리즘
1-4 알고리즘과 친해지기 강의에서 풀이 맞는지 확인 좀 부탁드려요~
위 화면은 강의 내용 일부입니다.그런데 주석에 저렇게 설명하셨는데 아래와 같이 진행되는 거 같아서 질문드립니다.3, 5, 6, 1, 2, 43 -> 3, 5, 6, 1, 2, 45 -> 3, 5, 6, 1, 2, 46 -> 3, 5, 6, 1, 2, 4,...이렇게 진행되는게 아닌건가 싶은데.. 확인 좀 부탁드려요.
-
해결됨기초 탄탄! 독하게 시작하는 Java - Part 2 : OOP와 JVM
[실습3-2] MyString에 복사 생성자 만들기에서 deepCopy( ) 메서드 리턴 타입
안녕하세요. 정말 별거 아닌 질문이지만..[실습] MyString에 복사 생성자 추가 1:50초에서 deep copy를 위한 메서드를 만들라고 하실 때 메서드의 리턴 타입을 MyString으로 하라고 하셨는데..void라고 이해해도 될까요?.. 좋은 강의 감사히 잘 보고 있습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
해결됨38군데 합격 비법, 2025 코딩테스트 필수 알고리즘
시간 복잡도가 얼마나 걸리는지 확인하는 방법
1. 현재 학습 진도1-10 듣고 있습니다 2. 어려움을 겪는 부분 이 코드에서 for index in range(len(alphabet_occurrence_array)) 는 N이 아니라 상수이기때문에 O(1)라고 말씀해주셨는데 해당 부분이 잘 이해 가지 않습니다.. for문이라도 정해진 숫자의 범위가 돌면 O(n)의 시간 복잡도가 아닌건가요? 만약 이렇게 이해하게 되면 for char in string: 코드에서 string도 배열에 크기에 정해진 숫자만큼만 돌게 되는데.. 헷갈립니다..! 단순히 변수의 for문이면 n 상수의 for문이면 1 이렇게 생각하면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기초 탄탄! 독하게 시작하는 Java - Part 2 : OOP와 JVM
보이지 않는 임시 객체 9:48초에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보이지 않는 임시 객체 9:48초에 질문이 있습니다.자바 컴파일러가 String s1 = "Java";를 String s1 = new String("Java");로 변환한다고 하셨는데 자바 컴파일러는 변환 하는것이 아닌걸로 이해하고 있어요.. String은 리터럴 방식과 객체 생성 방식이 다르게 관리되고 있는걸로 알고 있는데 혹시 제가 잘못 이해를 하고 있는건가 싶어서요.
-
해결됨38군데 합격 비법, 2025 코딩테스트 필수 알고리즘
동일 값 로직 처리
1. 현재 학습 진도1-5 알고리즘과 친해지기(2) 2. 어려움을 겪는 부분# def find_max_occurred_alphabet(string): # alphabet = [0] * 26 # for i in string: # if i.isalpha(): # alphabet[ord(i) - ord('a')] += 1 # # max = alphabet[0] # index = 0 # for i in range(len(alphabet)): # if alphabet[i] > max: # max = alphabet[i] # index = i # # return chr(index+ord('a')) 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 def find_max_occurred_alphabet(string): string = [char for char in string if char.isalpha()] counter = Counter(string) print(counter) return max(counter, key=counter.get) result = find_max_occurred_alphabet print("정답 = i 현재 풀이 값 =", result("hello my name is dingcodingco")) print("정답 = e 현재 풀이 값 =", result("we love algorithm")) print("정답 = b 현재 풀이 값 =", result("best of best youtube")) 3. 시도해보신 내용 안녕하세요. 첨부한 코드 중 주석 처리한 부분은 문제를 보고 사전에 제가 작성한 코드입니다. 결과는 예상과 동일하게 출력됩니다.그 밑에는 다른 풀이 방법을 찾다가 Counter 클래스를 사용하여 작성한 코드입니다. 본 강의에서는 카운터가 동일한 경우, 기존의 값을 변경하지 않는 방식이라 i가 출력되지만, 해당 방법을 사용하면 입력 순으로 o가 출력됩니다.이 경우 최빈값을 찾아내는 코드는 맞지만, 값이 동일한 경우에 처리하는 로직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이해하면 될까요?답변해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38군데 합격 비법, 2025 코딩테스트 필수 알고리즘
1-4 2번째풀이 관련
1. 현재 학습 진도몇 챕터/몇 강을 수강 중이신가요? 1-4 알고리즘 친해지기def find_max_num(array): max_num = 0 for i in range (len(array)): if array[i] > max_num : max_num = array[i] return max_num print("정답 = 6 / 현재 풀이 값 = ", find_max_num([3, 5, 6, 1, 2, 4])) print("정답 = 6 / 현재 풀이 값 = ", find_max_num([6, 6, 6])) print("정답 = 1888 / 현재 풀이 값 = ", find_max_num([6, 9, 2, 7, 1888])) 저는 다음과 같이 풀어봤는데 선생님께서 푸신것과 최대값을 갱신해서 구한다는점이 같았는데 gpt에게 물어보니 다음풀이는 배열의 인덱스를 순회하는 방식이고 강의 풀이는 배열의 값을 순회하는 방식이라고 하는데둘방식이 차이가 있는지? 다르다면 어떠한 경우에 값을 순회하고 ,인덱스를 순회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카카오 코테 6주 합격! 실전 파이썬 코딩테스트
대기업 코테 난이도
갑자기 든 생각입니다만..백준 기준으로 골드4 정도 되면 무난하다고 하셨는데신입 기준인가요? 경력직 기준인가요?무지몽매한 질문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해결됨카카오 코테 6주 합격! 실전 파이썬 코딩테스트
2강 사전문제
안녕하세요.2강 사전문제 2강_0.배경지식 퀴즈.ipynb에서 배경지식 퀴즈 1의 힌트 두 번째 줄에 숫자가 잘못 표기된 것 같습니다.다음과 같이 기재되어 있는데, 첫번째 거듭제곱이 1*10^2가 맞는 게 아닌지요?
-
해결됨카카오 코테 6주 합격! 실전 파이썬 코딩테스트
1강 연습문제&목표문제 - 복습 문제2
첫 번째 예시에서 출력이 [4, 16] 이 맞지 않을까요?그리고 문제에 대한 모범 답안은 따로 제공해주시는 건 없을까요?
-
미해결카카오 코테 6주 합격! 실전 파이썬 코딩테스트
bisect 활용법에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저희 강의 내용 중에서 내장모듈 bisect에 대한 설명 글에서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내림차순이라면, reverse=True 를 사용할 수 있다고 하셨는데 bisect 모듈 안에는 reverse 라는 인자가 없다고 나옵니다. 어떻게 사용해야할까요?
-
해결됨카카오 코테 6주 합격! 실전 파이썬 코딩테스트
그룹 단어 체커 - 백준 1316번 관련 문의드립니다.
N = int(input()) words = [ input() for _ in range(N) ] ans = 0 for word in words: prev = word[0] before = [] isGroup = True for i in range(len(word)): if word[i] != prev: before.append(prev) if word[i] in before: isGroup = False break if isGroup: print(word) ans += 1 print(ans이게 수업으로 제공하셨던 정답 코드인데, 오답 코드가 아닌가 해서 여쭤봅니다. prev 변수가 갱신이 되지않고 계속해서 그룹여부를 체크하는데, 이 부분이 잘못 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예를 들어 abcb라는 문자열의 경우에서도 그룹단어가 아니어야하는데 그룹단어로 검출되는 로직인 것 같습니다. 제가 그룹단어에 대해 잘못 이해한 걸까요?
-
미해결카카오 코테 6주 합격! 실전 파이썬 코딩테스트
추천문제 2667번 질문이 있습니다.
import sys sys.setrecursionlimit(10000)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rstrip()) graph = [list(map(int, input().rstrip())) for _ in range(N)] dy = [-1, 1, 0, 0] dx = [0, 0, -1, 1] visited = [ [False] * N for _ in range(N) ] distances = [] def dfs(y, x): stack = [(y, x)] distance = 1 while stack: cy, cx = stack.pop() for i in range(4): ny = cy + dy[i] nx = cx + dx[i] if 0 <= ny < N and 0 <= nx < N: if graph[ny][nx] == 1 and not visited[ny][nx]: visited[ny][nx] = True stack.append((ny, nx)) distance += dfs(ny, nx) return distance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if graph[i][j] == 1 and not visited[i][j]: distances.append(dfs(i, j) - 1) print(len(distances)) for d in sorted(distances): print(d)이렇게 제가 풀어봤는데요, 예시 입출력은 잘 나오는데 백준에 제출하면 틀렸다고 나오네요.어느 부분에서 반례가 있는 것일까요?
-
미해결카카오 코테 6주 합격! 실전 파이썬 코딩테스트
그리디 챕터 들어가며 파트 내용이 이상하네요
비선형 자료구조에 대한 내용이 나오는 것 같은데, 의도하신 것인가요...?
-
미해결카카오 코테 6주 합격! 실전 파이썬 코딩테스트
안녕하세요, 알고리즘 유형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수업을 다 듣고 알고리즘을 유형별로 점진적 과부하를 주면서 풀면 좋다고 하셨는데요.혹시 좀 우선적으로 많이 풀어보면 좋다 할 만 한 유형이 있을까요? DFS, BFS 는 워낙 빈출이라 우선적으로 풀어야 할 거 같은데 다른 것들도 그런 것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카카오 코테 6주 합격! 실전 파이썬 코딩테스트
'9-1 들어가며' 강의 소리가 없습니다.
'9-1 들어가며' 강의 소리가 없습니다. 확인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