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나도코딩의 자바 기본편 - 풀코스 (20시간)
intelli J 실행오류
intelli J가 잘 설치되었으나 실행이 안되는 되요.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21버전이 없어요 ㅠ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버전을 21로 설정하고 벤더를 말씀하신 오라클 오픈 JDK를 누르면 강제로 24로 버전이 바껴요 21로 되어 있는건 아예 없고 24밖에 없어요.. 어떻게 해야하나요?
-
해결됨유니티 시스템 프로그래밍 Pt.1 - 상용 게임 구현을 위한 핵심 시스템 올인원 패키지
userDataList Json으로 저장
UserDataManager.cs에모든 IUserData를 모아둔 userDataList가 존재하는데 해당 리스트를 Json으로 만들어서 파일로 저장하고 싶습니다. 이유는 모은 데이터를 한 개의 Json 파일로 관리하고 싶기 때문인데, 계속 시도 중인데 실패를 하네요... 아니면 userDataList를 Json화 시켜 저장하는 방법 말고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sleep과 yield 차이점
이 둘을 이해하는데 조금 어려워서 차이점 질문 겸 이렇게 이해하고 있는게 맞는지 또는 이해해도 되는지 질문드립니다.sleep()과 ,yield() 공통점 : 둘 다 실행되면 다른 스레드에게 실행을 양보함 sleep()과 ,yield() 차이점sleep(ms) : 실행되면 주어진 시간동안 TIMED_WATING 상태가 된다. sleep이 실행된 스레드는 실행 스케쥴링에서 아예 빠진다. 따라서 해당 시간동안 전혀 실행되지 않는다.yield() : 호출되어도 계속해서 RUNNABLE 상태를 유지한다. yield()가 호출되면 해당 스레드는 sleep과 달리 스케쥴링에 대기상태로 들어간다. 이 말은 스케쥴링에 있기 때문에 다시 곧바로 실행 될 수 있다.예를들어 1000ms를 기준으로 비교하면 sleep()을 호출한 스레드는 1초동안 아무것도 못하지만, yield를 호출한 스레드는 1초동안 다른 얼마든지 곧바로 실행 될 수도 있고 몇번이든 실행 될 수 있다.이렇게 차이점을 이해했습니다. 이게 맞는지 이렇게 이해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정적 중첩 클래스 사용 이유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중첩 클래스 또는 내부 클래스를 사용하는 이유로"중첩 클래스는 특정 클래스가 다른 하나의 클래스 안에서만 사용되거나, 둘이 아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특별한 경우에만 사용해야 한다. 외부 여러곳에서 특정 클래스를 사용한다면 중첩 클래스로 사용하면 안된다."라고 언급이 되었는데, 본질적인 질문이 있습니다.정적 중첩 클래스 같은 경우는 타 클래스에서 쓰는 경우가 별로 없고 외부클래스 내에서만 사용하는 경우에 쓴다는건데..그럼 정적의 의미가 뭔지 궁금합니다.그냥 내부클래스만 쓰면 되는거 아닌가요?내부클래스의 기능에서 인스턴스변수 접근이 제한되는 게 정적 중첩 클래스라는 생각이 들어서.. 외부에서 사용하지도 않는데 왜 정적클래스를 굳이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synchronized 사용
Client의 close()에 synchronized를 사용하는 것은 이해가 됐습니다. ReadHanlder, WriteHandler 양쪽에서 동시에 호출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면 바로 이해되는데... ReadHandler, WriteHandler의 close()에는 어떤 이유로 동기화 처리를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해당 스레드들은 Client에서만 접근되는게 아닌가요?) 그리고 모든 IO 스트림이 Client 클래스에서 관리되는데 굳이 핸들러에도 close()를 두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closed 플래그 변수 사용 이유
안녕하세요! SessionV6에서 closed 변수를 사용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어차피 close();가 몇번이건 호출되어도 예외가 발생안할텐데 체크하는 이유가 뭔지 알고싶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join 질문입니다.
thread1.join(); thread2.join();메인스레드 내에서 thread1,2를 join()을 하는데요.thread1.join()을 먼저 만났으니 메인 스레드는 thread1이 종료 될때까지 다음 코드를 실행하지 않을텐데요.여기서 메인스레드가 thread1의 결과를 기다리는 것이므로 thread1,2는 무관하게 그대로 번갈아가며 실행 되는 것이 맞나요? CPU((코어)가 1개라고 가정했을때요.그래서 메인은 thread1이 종료되고 결과를 기다릴뿐 thread1과 2의 종료 순서는 보장되지않는 것이 맞을까요?따라서 thread2가 먼저 작업을 끝낸 실행일 때도 있을 수 있겠죠? 단지 메인이 thrad1의 결과를 먼저 받으려고 기다릴뿐인거죠?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status.getCode() 대신 status.code 사용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정답 코드에서 status.getCode() 대신 status.code 사용해도 되나요?코드는 잘 돌아가는데,, 관례상 그렇게 해도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메서드의 지역변수명과 내부클래스의 멤버메서드에서의 지역변수명의 중복관련
지역 변수의 캡쳐에 대해 이해는 하였지만 한가지 이해가 되지 않아 질문 드립니다아래와 같이 localVar 를 다시 선언을 하면 print의 지역변수로서의 localVar이 되고 이전의 localVar의 접근? 값출력?이 다른 변수의 생성이 없이 가능한가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AutoAppConfig 빈 객체 관련
[질문 내용]AppConfig에서는@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return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빈 객체로 return new 된 MemberServiceImpl이담긴다고 설명하셨는데AutoAppConfig에서는 빈 객체로@Component가 붙은 클래스 타입이 담기는게 맞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조건문 문제와풀이2 평점에 따른 영화추천 풀이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조건문 문제와풀이2 에서 평점에 따른 영화추천문제와 관련된질문입니다.강의에서는 영한님께서 if문을 묶지 말라고하셨는데 아래 코드처럼 작성하면 안된다는 말인가요? 실행에는 문제가 없는거 같은데 영한님이 말씀하신 의도가 궁금합니다.package cond.ex; public class MovieRateEx_r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double rating = 8.1; if (rating >= 9) { System.out.println("'어버웃타임'을 추천합니다"); } else if (rating >= 8) { System.out.println("'어버웃타임'을 추천합니다"); System.out.println("'토이스토리'을 추천합니다"); } else if (rating >= 7) { System.out.println("'어버웃타임'을 추천합니다"); System.out.println("'토이스토리'을 추천합니다"); System.out.println("'고질라'을 추천합니다"); } } }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조건문 문제와풀이2 평점에 따른 영화추천 풀이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조건문 문제와풀이2 에서 평점에 따른 영화추천문제와 관련된질문입니다.강의에서는 영한님께서 if문을 묶지 말라고하셨는데 아래 코드처럼 작성하면 안된다는 말인가요? 실행에는 문제가 없는거 같은데 영한님이 말씀하신 의도가 궁금합니다.package cond.ex; public class MovieRateEx_r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double rating = 8.1; if (rating >= 9) { System.out.println("'어버웃타임'을 추천합니다"); } else if (rating >= 8) { System.out.println("'어버웃타임'을 추천합니다"); System.out.println("'토이스토리'을 추천합니다"); } else if (rating >= 7) { System.out.println("'어버웃타임'을 추천합니다"); System.out.println("'토이스토리'을 추천합니다"); System.out.println("'고질라'을 추천합니다"); } } }
-
해결됨유니티 시스템 프로그래밍 Pt.1 - 상용 게임 구현을 위한 핵심 시스템 올인원 패키지
Lobby 프리팹 구성 질문
안녕하세요!제공해주신 강의 도움이 많이 되고 있습니다.Lobby 씬 구조 및 디자인 패턴 (LobbyManager, LobbyUIController)강의 질문있습니다.Q. "LobbyManager, LobbyUIController를 구분하여 관리하자" 이해했습니다.궁금한 부분은 해당 cs 파일들을 프리팹화 할때, 2개의 프리팹으로 나누었는데 1개의 프리팹에 몰아서 붙이고 Lobby라는 프리팹으로 관리해도 되지않을까? 라는 생각이 났는데 2개로 나누었을때 혹시 관리적인 부분에서 이점이 있을까요?Lobby 씬 구조 및 디자인 패턴 (LobbyManager, LobbyUIController)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notify(), notifyAll()
각각 3개로 한정된 소비자, 생산자 스레드가 있습니다. 생산자가 생산자를 깨운 것 처럼 notify()로 일어난 스레드가 다시 wait() 해야하는 경우 락을 반납하고 대기 상태에 든다면 이후 다시 notify()하는 스레드가 없기 때문에 교착상태가 발생하는건가요? (새롭게 추가되는 여러 스레드가 있다면 해결될 가능성도 있으나 새롭게 추가되지 않는 한정된 상황이라면 교착상태가 발생할 수 있으니 notifyAll() 사용이 올바른 선택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타입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강의를 듣다 보니까. int형 변수를 toString 메서드로 반환하여 String으로 바뀐 값을 sout 출력으로 확인 시켜주시는대. 출력된 결과로 int형으로 출력된건지. String으로 출력된건지 알 수 있는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테스트케이스 인스턴스 확인 부분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질문 내용]강의자료 6페이지에 보면 맴버서비스임플의 인스턴스가 맴버서비스인지 확인을 하도록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셨습니다.이전에 강의내용을 보면 스프링 컨테이너에 memberService는 return new MemberServiceImpl(...)로 작성했기 때문에 맴버서비스임플의 인스턴스인 것은 이해했습니다.그런데 애초에 맴버서비스임플은 맴버서비스의 구현체니까Assertions.assertThat(memberService).isInstanceOf(MemberService.class); 위에 처럼 확인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했는데 강의내용처럼 테스트를 하신 이유가 궁금하고 제 방식이 안좋다면 왜 안좋은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BeanDefinitionStoreException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OrderServiceImpl, MemberServiceImpl 의 컴포넌트 이름을 service로 동일하게 설정하고 실행하면 스프링 컨테이너가 bean을 등록할 때 발생하는 BeanDefinitionStoreException 오류도 같이 뜨는데 강사님 로그에는 보이지 않는 것 같아서 원래 발생하는 오류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toString() 하는 이유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11번 문제에서 toString을 해주는 이유가 뭔가요?reverse()까지만 하고 출력해도 잘 나오는데 왜 그렇게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멀티스레드에서 가정
멀티스레드의 동작원리를 머릿속으로, 그림으로 그릴 때 실제 여러 쓰레드에서 특정 자원에 접근 또는 메서드 호출을 '물리적으로 동시에' 한다고 생각해도 괜찮을까요? (현대 컴퓨터의 경우 기본 CPU 코어가 멀티코어로 이루어져있어 가능하다고 하셨던게 기억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