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MemberRepository 인터페이스질문 ㅠㅠ 초보적인거라 죄송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 인터페이스에 구현된 save findById findByName findAll 이 4가지는 메서드로 정의된건가요 ...?인터페이스는 앞에 접근제어가 없이도 메서드로 정의하는게 가능한건가요 ..?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key value 값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key value에서 key값은 제가 임의로 설정해서 넘길수있는건가요??예를들어 지금 key의 이름이 data라고 되어있는데 그냥 key라고 설정하고 resourses에 있는 hello 파일에 있는 data를 key로 바꿔서 설정해도 괜찮나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커넥션 생성 시점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커넥션이 처음 생성되는 시점이 언제인지 질문드립니다..DataSourceUtils.getConnection()을 호출하는 시점에 커넥션이 처음 생성되는것인지, 아니면TransactionStatus status = transactionManager.getTransaction();을 호출하는 시점에 커넥션이 처음 생성되는것인지 질문드립니다..현재 강의에서는 DataSourceUtils.getConnection()의 경우에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가 관리하는 커넥션이 없는 경우 새로운 커넥션을 생성해서 반환한다고 되어있는데, 다음강의 에서는 transactionManager.getTransaction()을 호출해서 트랜잭션을 시작하는데 이떄 커넥션을 생성한다고 되어있습니다..그래서 두가지 경우중 언제 커넥션이 생성되는것인지 혼란이와서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위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다가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보았는데 이렇게 이해하면 될까요? 1. transactionManager.getTransaction(); 을 통해 트랜잭션 매니저가 트랜잭션을 시작하고, 커넥션을 생성해서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에 보관한다. bizLogic()안에 있는 fingById()나 update()를 통해 getConnection() 즉, DataSourceUtil.getConnection(dataSource)를 하게되면, 이때는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가 관리하는 커넥션이 있는 경우이므로, 해당 커넥션을 반환한다. 즉, findById()를 할떄의 커넥션과 update()를 할떄의 커넥션이 동일하다.2. transactionManager.getTransaction(); 을 하지않으면, 이때는 트랜잭션을 시작하지않은것이므로,bizLogic()안에 있는 fingById()나 update()를 통해 getConnection() 즉, DataSourceUtil.getConnection(dataSource)를 하게되면, 이때는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도 없고,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가 관리하는 커넥션이 없는 경우이므로, 새로운 커넥션을 생성해서 반환한다. 즉, findById()를 할떄의 커넥션과 update()를 할떄의 커넥션이 각각 다르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강사님 v3 만들때
MyView에 뷰를 렌더링하는 과정에서 Map으로 username과 age 에 관련한 파라미터값이 전달이 되고 Myview (두번째코드에서) 그 내용이 전달이 되는 거 맞나요 ? (강의를 3번 돌려봤는데 좀 애매해서 질문드립니다.) (블로그 글도 찾아봤는데 데이터를 뷰로 전달하는 코드인 것 같은데 정확히 이해가 안돼서 질문 드립니다.)package hello.servlet.domain.web.servlet.frontcontroller.v3; import hello.servlet.domain.web.servlet.frontcontroller.ModelView; import hello.servlet.domain.web.servlet.frontcontroller.MyView; import hello.servlet.domain.web.servlet.frontcontroller.v3.controller.MemberFormControllerV3; import hello.servlet.domain.web.servlet.frontcontroller.v3.controller.MemberListControllerV3; import hello.servlet.domain.web.servlet.frontcontroller.v3.controller.MemberSaveControllerV3; import jakarta.servlet.ServletException; import jakarta.servlet.annotation.WebServlet; import jakarta.servlet.http.HttpServlet; import jakarta.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import jakarta.servlet.http.HttpServletResponse;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Map; // /front-controller/v3/* URL 패턴을 처리하는 서블릿 @WebServlet(name = "frontControllerServletV3", urlPatterns = "/front-controller/v3/*") public class FrontControllerServlet3 extends HttpServlet { private Map<String, ControllerV3> controllerMap = new HashMap<>(); public FrontControllerServlet3() { controllerMap.put("/front-controller/v3/members/new-form", new MemberFormControllerV3()); controllerMap.put("/front-controller/v3/members/save", new MemberSaveControllerV3()); controllerMap.put("/front-controller/v3/members", new MemberListControllerV3()); } @Override protected void service(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System.out.println("FrontControllerServlet3.service"); String requestUri = request.getRequestURI(); ControllerV3 controller = controllerMap.get(requestUri); if (controller == null) { response.setStatus(HttpServletResponse.SC_NOT_FOUND); return; } Map<String, String> paramMap = createParamMap(request); ModelView mv = controller.process(paramMap); String viewName = mv.getViewname(); MyView view = viewResolver(viewName); view.render(mv.getModel(), request, response); } private Map<String, String> createParamMap(HttpServletRequest request) { Map<String, String> paramMap = new HashMap<>(); request.getParameterNames().asIterator().forEachRemaining(paramName -> paramMap.put(paramName, request.getParameter(paramName))); return paramMap; } private MyView viewResolver(String viewName) { return new MyView("/WEB-INF/views/" + viewName + ".jsp"); } } public void modelToRequestAttribute(Map<String,Object> model,HttpServletRequest request) { //.jsp는 setAttribute를 씀 model.forEach((key,value)->request.setAttribute(key,value)); //request에 모든 정보를 저장한다. model에 있는 정보를 requestAttribute로 바꾼다. //request에 값을 다 담아둔다. } }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인터페이스 테스트인데 왜 구현체가 나오는건가요?
코드를 보면 초기화를 MemoryItemRepository로 하지 않고 ItemRepository로 초기화를 했는데 인터페이스는 구현체가 아니라서 함수가 정의가 안 되어있는데 어디서 구현체를 들고와서 테스트가 진행되는건가요..?
-
해결됨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request에 setCookies를 하는 이유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실제 웹사이트에서는 response에 sessionId가 담긴 쿠키를 보내주게 되면 다음request부터는 쿠키를 매번 보내게되는것으로 알고있는데,MockHttpServletRequest의 인스턴스인 request에 setCookies를 하는 이유가 일시적으로 만들어진 request요청이라서 그런건가요? 테스트 상황에서만 setCookie를 하는것이 맞나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localhost:8080이 다른 프로젝트에서 사용 중인 것같아요
안녕하세요~localhost:8080이 사용중인 것 같습니다.처음 테스트로 실행시키고 초기화까지 된 것 같은데해당 localhost로 들어가면 로그인 화면이 뜨네요...일전에 다른 강의 보다가 다른 프로젝트를 실행시켜서 그런 것 같네요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h2 DB 연결시 Table not found
[질문 내용]섹션 6 JDBC 연결 과정h2 DB 연결 과정에서 h2 환경 구축, memebr 테이블 생성까지 에러없이 잘 됐구요. h2 콘솔에서도 테이블 확인 해 보면 잘 보입니다.근데 이제 강사님이 알려주신 방법대로 DB를 MemoryMemberRepository -> JdbcMemberRepository로 변경하는 과정에서 JdbcMemberRepository 클래스 파일과 SpringConfig 파일 코드 복붙 해왔는데 실행시키면 회원가입과 회원 목록 조회시 자꾸 member라는 테이블을 못찾는 오류가 뜹니다...ㅠ 왜 그런걸까요ㅠㅠ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h2.bat해도 실행이 안돼요 ..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자바 배치파일이 아니라고 뜨는데 왜이러는걸까요 ㅠㅠ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테스트시 DB 사용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고 있는 학생입니다. 강사님께서 강의 중에 언급해주신 거 같은데 제가 이해를 잘 못해서 다시 질문드립니다. 통합 테스트 시 이전 강의에서 쌓아 둔 데이터를 DELETE query를 통해서 없애고 진행을 했는데, 그렇다면 테스트 코드와 실제 코드가 같은 DB를 공유하고 있다고 봐도 되나요? 만약 같은 DB를 공유하게 된다면, 원래 있던 데이터를 항상 날려야 되는데 문제가 생긴다고 생각이 들어 제가 잘못 이해한 부분을 찾고 싶어 질문을 드렸습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세션 로직 질문입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세션 생성 로직은 UUID로 랜덤한 값 만들어서 sessionStore.put(sessionId, value);하고 new Cookie(SESSION_COOKIE_NAME, sessionId);해서 mySessionId인 SESSION_COOKIE_NAME과 sessionId를 응답할 때 담아서 보내는 것까지는 이해했는데 조회와 만료하는 로직, findCookie메서드에서 request로 넘어온 쿠키 이름과 cookieName(SESSION_COOKIE_NAME)이 일치하면 findAny()로 반환된 값이 sessionCookie에 담기고 sessionCookie.getValue()로 값을 꺼내서 sessionStore에서 .get()으로 조회하고 .remove()로 삭제하는 로직이 맞는건지 제가 제대로 이해한게 맞는지 궁긍합니다. 항상 친절하게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빈 연결 에러
Could not autowire. There is more than one bean of 'MemberRepository' type.Beans:memoryMemberRepository (MemoryMemberRepository.java) springDataJpaMemberRepository (SpringDataJpaMemberRepository.java)<스프링 데이터 JPA> 강의에서 테스트 코드를 실행 했을때 동일한 에러가 뜨는데 해결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도와주세요 ..동일한 타입의 빈이 중복 등록되어 발생한 문제임을 알고 있습니다. 어디서 중복 등록이 된 건지 찾지 못하고 있어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application.properties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org.h2.Driver에서 오류가 발생하는데 이는 어떻게 수정해야하나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REQUIRES_NEW인데 rollback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Transactional public class UserService { public void createUser(CreateUserRequest request) { Users users = firebaseUsersRepository.findUsersByFirebaseUid(request.getFirebaseUid()) .orElseThrow(() -> new BusinessException("Not Found User", HttpStatus.INTERNAL_SERVER_ERROR)); User user = User.builder() .name(users.getDisplay_name()) .firebaseUid(request.getFirebaseUid()) .build(); userRepository.save(user); } } @Component @RequiredArgsConstructor @Transactional(propagation = Propagation.REQUIRES_NEW) public class BaseEntityAuditAware implements AuditorAware<User> { private final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Override public Optional<User> getCurrentAuditor() { try { return userRepository.findById(ApiLogger.getRequestCallerId()); } catch (Exception e) { return Optional.empty(); } } }createUser에서 userRepository.save(user)를 호출할때,JpaAudit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구현해놓은 BaseEntityAuditAware에서 유저정보를 가져온 후, 실제 쿼리를 날립니다.이때, 전파속성이 REQUIRE_NEW이며, 발생한 모든 예외를 catch했으므로이 함수를 호출한 부모 함수로 해당 예외가 전달되지 않을 것이기때문에 rollback이 되지 않으리라 기대했지만실제로는 unexpectedrollbackexception이 발생하며 롤백이 되었습니다.null을 반환하는건 문제가 아닌것이,실제로 예외를 발생시키지 않으려고 위 코드를 아래와같이 변경하였더니 null값으로 정상적으로 insert쿼리가 날라갔습니다. @Override public Optional<User> getCurrentAuditor() { Long callerId = ApiLogger.getRequestCallerId(); if (callerId == null) return Optional.empty(); return userRepository.findById(ApiLogger.getRequestCallerId()); }어느부분이 잘못된것이며 제가 오개념을 잡고있는 부분이 어디일까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Spring Security는 왜 필터를 사용할까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인터셉터는 필터에 비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고 하였는데 왜 Spring Security는 필터로 구현되었을까요?Spring Security가 MVC 뿐 아니라 다른 애플리케이션에도 활용되기 때문에 의존성을 줄이기 위함일까요?그 외에도 인터셉터가 필터에 비해 갖는 이점이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p th:text="'안녕하세요.ddd ' + ${data}" >안녕하세요. 손님</p>
<p th:text="'안녕하세요.ddd ' + ${data}" >안녕하세요. 손님</p> 이 부분에서, 정작 p태그의 사이 공간에 들어가는 내용 즉, "안녕하세요. 손님" 이 부분은 아예 화면에는 렌더링이 안 되는 걸로 보이는데 이 부분은 그러면 개발자 입장에서는 주석처럼 사용하는 건가요? 타임리프에서 p 태그의 사이공간은 어떻게 활용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이해확인 질문
두 가지 방법 (groups, 폼 객체 분리)에 대해 groups는 조건문 처럼 느껴졌고, 그래서 Item 클래스 하나만 이용해서 조건적 로직을 통해 각 컨트롤러에 입맛에 맞게 Item 객체에 검증을 수행하는 것 처럼 느껴졌습니다.이러한 조건문 적인 특징은 Item에 무언가 추가될 경우 수 많은 조건문들을 수정해야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또한 Item이 계속해서 바뀔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수많은 컨트롤러에서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반면 폼 객체 분리는 상황마다 Item과 비슷하지만 더욱 규제가 추가된, 입맛에 맞는 새로운 클래스를 구성해서 활용하는 . 데 있어서 더 확장적이라고 생각했습니다.제 이해가 맞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localhost에 안
HelloSpringApplication 예하에 있는 main 함수를 run 했고, 첨부한 사진처럼 tomcat이 8080에 띄워졌다고 뜨는데, localhost에 들어가보면 거부했다고 뜨네요. 와이파이 이슈인가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static 폴더 인식이 안됨
강의 내용 대로 코드를 짰는데 localhost::8080으로 연결하면 static 폴더에 있는 html이 아닌 template 폴더에 있는 html이 뜹니다. static 폴더에 있는 html을 실행시키면 localhost::63342로 정적 페이지가 뜹니다. thymeleaf를 이용한 template 폴더에 있는 파일은 localhost::8080/hello를 하면 제대로 뜹니다. 무엇이 문제인걸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File not found: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순수 jdbc 강의 16분내용으로 코드실행하는데 매핑한 주소 모두 file not found가 뜹니다..Identify and stop the process that's listening on port 8082 or configure this application to listen on another port.라고 콘솔에는 뜨는데 톰캣포트랑 h2포트랑 같아서 생기는 문제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