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typedef 키워드 / 5:45 / 구조체 변수명 선언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직전 강의인 구조체 강의에서 구조체 선언 방법에 대해 알려주셨는데, 거기서는 typedef 없이도 구조체 선언, 멤버 선언, 구조체 변수 선언을 한번에 다 할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구조체 강의 약 1:20)예1: struct{int year;float price;}Bag1;그런데 이번 강의에서는 typedef 없이 struct만 쓰는 경우에는 타입으로 사용할 수 없다고 설명해 주셨습니다.이 부분이 잘 이해되지 않는데요. 예2: typedef struct Bag{int year;float price;}Bag1;위에 예1과 예2의 차이점이 뭔가요?예2는 struct Bag 자료형(타입)의 변수인 Bag1을 선언하는 것이라고 확실하게 이해했는데, 예시1번도 동일한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실기 언어(코딩) 문제 비중 관련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정보처리기사 실기를 준비하고 있는데코딩 문법은 보통 크게 C언어, 자바, 파이썬 이렇게 3가지가 있습니다. 강의자님께서 생각하시기에 3개 중요 또는 비중 우선 순위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동시성 검증 코드에 관한 문의
안녕하세요. 동시성 검증 코드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어 문의드립니다.강의에서 ExecutorService를 사용하여 동시성 검증을 수행하신 것으로 보았는데, 이 방식만으로 실제 동시성 문제를 충분히 검증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컨텍스트 스위칭 타이밍에 따라 경합이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을 것 같습니다.예전에 면접에서 비슷한 질문을 받았는데, ExecutorService 기반 테스트만으로는 실제 운영 환경(수십만 건의 요청)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동시성 이슈를 완전히 검증하기 어렵다는 지적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혹시 이러한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다른 검증 방법이나 접근 방식이 있을까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주 단기 학습 최적화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번에 처음으로 3회차 11월 8일 시험을 준비하는 비전공자 학생입니다.현재 지금 파이썬까지 섹션 5 강의까지 수강을 진행 완료한 상황입니다.2주도 안남은 빠듯한 기간에 [한주는 4시간 공부, 막주는 계속 공부 전념]합격을 최선을 다해서 해야하는 상황인데아직 이론 공부도 시작을 못한 상황이여서남은 기간안에 남은 섹션들의 강의를 수강해서 기출문제를 풀어야 하는지가 궁금한 상황입니다.각각 남은 기간에 실기 준비와 이론 준비를 어떻게 준비를 하면 좋을지를 조언을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포인터의 개념
15강 10:19왜 출력값이 42가 아닌가요?넘버의 주소값을 물어봐서 그런건가요?답이 42가 되려면 *number이여야지 되는건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025년 1회 시험 결과
아직 강의는 안들었구요 2025년 1회 모의고사 가채점40점 나왔는데 저 가능할까요..?코드 너무 어렵게 나왔던데..;;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17. 함수와 재귀함수(v2) / 0:53:40 / \"%s\" 출력 결과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char myString[]="Hello, World!";인 경우printf("문자열\"%s\"의 길이는 %d입니다.\n", myString, strLen(myString));의 출력 결과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strLen(myString) 값은 13임) 출력 결과값을 문자열 "Hello, World!"의 길이는 13입니다. 로 적어주셨는데, 명령어 내의 \" \" 이건 왜 생략되나요?문자열 \"Hello, World!\"의 길이는 13입니다.이렇게 출력돼야 하는거 아닌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업캐스팅 출력 관련
업캐스팅(부묘 형태, 자식 생성자) 강의 챕터 업캐스팅 관련하여 단순히 출력 부분만 본다면부모 형태 = new 자식(업캐스팅 O)자식 형태 = new 자식(업캐스팅 X)출력 구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1번 이든 2번 이든둘 다 new 자식에 해당하는 클래스로 이동해서 출력 값을 구하는게 아닌가 싶은데 1, 2번 차이가 저렇게 저는 인식하고 있어서 해당 내용이 맞는지와 뭐가 다른지 문의드립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부모 및 자식 기본 생성자 출력 관련
Java: 상속을 정리하는 문제 10개 22:59자식 기본 생성자에 대한 출력을 하여야 하는 경우에, 부모 기본 생성자 출력 값을 먼저 출력하고 난 뒤에 자식 기본 생성자 출력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맞나요? 맞다면 자식 기본 생성자는 있고 부모 기본 생성자는 없고 파라미터를 가진 생성자가 있는 상황에서자식 기본 생성자를 호출하여야 하는 경우면 무조건 이 상황에서는 에러인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부모 기본 생성자 관련
Java: 상속을 정리하는 문제 10개 21:38자식 클래스에는 자식 기본 생성자가 있지만부모 클래스에는 부모 기본 생성자가 없을 경우,부모 클래스에 있는 super(매개변수)로 표현하면 정상 실행이 된다고 하는데 자식 클래스에 기본 생성자가 있으면 부모 클래스에도 기본 생성자가 있어야만 정상 실행이 되는게 아닌건가 싶어서요
-
미해결서버개발자 과제전형 완벽가이드 - 1편
Kotlin 테스트 프레임워크
안녕하세요🙂실무에서 만약 Spring과 Kotlin으로 프로젝트를 진행 했을 때 Spock로 테스트 코드를 짜도 상관이 없을까요?이번에 Kotlin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해야하는 일이 생겼는데, 저 또한 강의에서 사용하신 Spock가 익숙해서 사용을 하려고 했는데, 보통 Kotest를 많이 사용하는 것 같아서요. 실무 관점에서 Java 대신 Kotlin을 사용한다면, 어떤 테스트 프레임워크를 선택하는것이 좋을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17. 함수와 재귀함수(v2) / 0:30:57 / return 명령어 중 double 자료형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avgArray 함수 선언 코드블록 마지막 명령어가 return(double)sum/size; 인데요.double 자료형에 괄호를 붙이는 이유가 뭔가요?sum과 size 자료형이 모두 int여서 그런거라면 혹시 괄호를 생략해도 되나요?그리고, (double) 뒤에 띄어쓰기가 없어서 조금 헷갈렸는데, 자료형 뒤에 띄어쓰기를 안해도 상관 없나요?
-
해결됨2025 벼락치기 합격! 기출문제 집중 정보처리기사 실기
2023년 2회 8번 답
템퍼 프루핑 아닌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생성자와 메서드
정적 변수, 정적 메서드(static) v214:03지금까지 자바 강의 들으면서 솔직히 잘 이해가 되지 않는 용어가 있는데클래스 내에 생성자와 메서드가 있는 것은 이해가 되는데 구체적으로 생성자(클래스 네임과 같은 거), 메서드(클래스 네임과 다른거) 이렇게 이해하고 있습니다.역할적으로 클래스 내에서 생성자와 메서드 기능 차이가 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업캐스팅 관련 문제 질문
업캐스팅(부모 형태, 자식 생성자) 8:56구문 중 맨 위에 A b = new B(); 해당 구문에 대해서아무 것도 없다고 하는 데 왜 없는 건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문자열 배열
[다차원 배열과 문자열 배열] 강의 22:11초 => const char *arr[2][2] = {{"Hello", "World"},{"app", "dev"}}; 여기서 arr변수가 포인터 변수로 선언되었는데 왜 포인터 변수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포인터 변수가 아닌 arr[2][2]로 쓰면 출력값이 다르게 나오는지도 궁금합니다! 어떤 차이로 해당 문제에 포인터 변수를 사용한 걸까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부모 및 자식 기본 생성자 호출 관련
상속과 생성자 호출순서 챕터 10:24super가 없으므로 부모 기본 생성자를 출력해야하는 것을 이해가 되었습니다.그런데 부모 기본 생성자만 출력하고, 자식 기본 생성자는 출력을 하지 않는 것인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생성자와 파라미터 차이
상속과 생성자 호출순서 챕터 6:26class Car{ 구문에서car(){ 시작하는 것이 생성자 이고void start(){ 같이 void 적힌 것이 파라미터 인가요?그렇다면 생성자와 파라미터의 차이가 뭔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오버로딩과 오버라이드 차이
상속과 생성자 호출 순서오버로딩과 오버라이드 차이가 뭔지 간략하게 설명부탁드립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본 생성사 출력 관련
만약 Car()랑 ECar()를 출력하고 싶으면ElectricCar tesla = new ElectricCar("Tesla", 2021, 75); 위 구문만 있으면 부모 및 자식의 기본 생성자는 출력하지 않아도 되는건가요?ElectricCar tesla = new ElectricCar();ElectricCar tesla = new ElectricCar("Tesla", 2021, 75); 이렇게 해야지 각 class의 기본 생성자를 호출 하는건가요? 무조건 기본 생성자를 호출하는 것이 아니라ElectricCar tesla = new ElectricCar();이 있어야만 기본 생성자를 호출하는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