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데이터 드리븐 그로스 마케팅 - 고객 중심의 문제 해결력 업그레이드
유입 퍼널 - 온사이트/오프사이트
안녕하세요, 그로스 유입 퍼널 관리 부분에 대한 질문 드립니다! 유입 퍼널은 인지 -> 관계/관심 -> 고려 -> 시도 라고 하셨는데, 여기서 시도라고 하는 부분은 구매 행위에 해당되기 때문에 유입 퍼널보다도 더 뒷단의 고려/탐색 퍼널 혹은 AARRR 상에서 Revenue에 해당하는 개념이 아닐까요? 해당 부분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매출을 끌어올리는 네이버 블로그 및 스마트스토어의 모든 것
첫강의에서 복습해주시는 강의시청은 어떻게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처음 강의 수강시 전 수업이라는 말씀과 복습하라고 하시는데그 강의는 어떻게 볼 수 있을까요?
-
해결됨데이터 드리븐 그로스 마케팅 - 고객 중심의 문제 해결력 업그레이드
화면이상
안녕하세요! 화면 이상이 있어서 안내드립니다. "그로스프에임워크 - 주요 개념 익히기" 수업 중 14:30초 부터 가상의 서비스의 그로스 방정식을 구상해보는 파트가 있습니다. 이 파트부터 PPT 화면이 맞게 나오지 않는 것 같은데 확인 한번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그로스해킹 - 데이터와 실험을 통해 성장하는 서비스를 만드는 방법
retention rate, revenue 쪼개보기를 sql로 작성해 보았습니다.
https://github.com/NeoSeo/Obsidian/tree/5b5e077f431f28b174d0174e5f594b9ed5a13b7b/Project/Retention_Rate분석 공부하시는 분 중에 sql 공부하시는 분도 많을 것 같아서 sql용 쿼리도 만들어 봤습니다.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Postgresql로 작성했으니 참고하세요~
-
미해결GA4 필수 코스 (by 현직 실리콘밸리 마케팅 디렉터)
콘텐츠 그룹 태그 - 동질 집단 탐색 보고서 활용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 콘텐츠 그룹 태그를 통해 제가 보고자 하는 콘텐츠 그룹을 4개 정도 설정을 완료하였는데요! 각 주차 별로 콘텐츠 그룹 조회 사용자를 트래킹하고 싶습니다. 예를 들어, 콘텐츠 그룹 하나의 예시가 '강의'이면 지난주 강의에 들어온 접속자가 이번주에는 어느 정도가 다시 '강의' 그룹으로 돌아와서 이용했는지를 알고 싶습니다! 각 콘텐츠 그룹별로 해당 데이터를 보고자 하는데, 이 경우에는 동질 집단 탐색 분석 보고서에서 '동질 집단 포함/재방문 기준/세분화' 필터를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강의 내용에서 '세분화'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셨던 것 같은데, 세분화는 어떨 때 추가 설정이 필요한지도 궁금해용 ㅎㅎ
-
미해결AI 댓글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강의 (네이버 블로그)
강의중 나오는 자동화 프로그램 1개월 이용권
2차시에 나오는 ALL 자동화 프로그램 1개월권은 이용 해 볼 수 없는 건가요?별도 구입이 필요한건가요?
-
미해결3시간에 끝내는 디지털 마케팅의 모든 것
섹션 3 애널리틱스 실습중 Refer 클릭이 안되네요
강의 너무 재밌고 유용하게 잘 듣고 있습니다 24년 2월 기준으로 구글 애널리틱스가 변경되었나봐요 메뉴도 많이 바뀌어서 유사 제목 보고 들어가는데 이게 맞나 혼란스럽긴 하네요 애널리틱스 강의는 아니지만 시간 되실 때 업데이트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미해결지금 당장 성과내기, 페이스북 퍼포먼스 마케팅 실습
강의자료 요청드려요
강의 잘 듣고 있어요 그런데강의자료가 안보이네요 wboruem@naver.com저도 강의자료 요청드려요~
-
미해결GA4 필수 코스 (by 현직 실리콘밸리 마케팅 디렉터)
섹션 6 - 콘텐츠 그룹 설정 정규식 변환...모르겠어요 ㅠㅠ
콘텐츠 그룹 설정 시, 변수 값 입력할 때 gtm에 정규식 변환 패턴을 입력해야 한다고 말씀해주셨는데요! 정규식 패턴을 어떻게 적어야 하는지 모르겠어요 ㅠㅠ .* 혹은 / 이런 슬러쉬 값이 어떻게 들어가야 하는지 감이 안 잡히네요.. ㅠㅠ 가르쳐준 방식대로 했는데, 제 건 미리보기 하니깐 값이 제가 설정해둔 출력값으로 뜨지 않고, 변수 이름인 'content_grouping'으로 뜨더라구요..
-
미해결지금 당장 성과내기, 페이스북 퍼포먼스 마케팅 실습
강의 자료는 어떻게 다운받아야 하나요?
강의 자료 링크 접속했는데 안뜨네요 ㅜ어떻게 해야하죠? 강의 듣다가 막혔어요
-
미해결데이터 시각화와 차트분석 기법
데이터 시각화의 유용성
.
-
미해결GA4 필수 코스 (by 현직 실리콘밸리 마케팅 디렉터)
Google Tag 설정 방법
질문 날짜: 2024년 1월 4일질문 내용: Google Tag 설정 방법안녕하세요. '콘텐츠 그룹 설정' 강의 관련하여 질문 드립니다.강의에서는 'GA4 - 콘텐츠 그룹' 태그 구성의 태그 유형이 'Google 애널리틱스: GA4 구성'으로 설정되는데요, 해당 유형을 GTM에서 찾을 수 없어 검색해보니 2023년 하반기에 Google Tag로 변경되어 '설정할 필드' 설정 부분이 사라진 것 같습니다.아마 찾아가며 설정해보면 오늘 해결 가능할 것 같긴 하지만 강사님께서 권장하는 설정 방법이 있으실지 질문드립니다 😄
-
미해결AI 댓글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강의 (네이버 블로그)
프로그램 동작 영상 미리보기 비슷하게 하는줄알았는데
프로그램 동작 영상 미리보기 비슷하게 하는줄 알았는데 아니네요 신기해서 샀는데
-
미해결[No개발, No코딩] 개발자 없이 MBTI 테스트 만드는 법
수업하시는 PPT와 MBTI스프래드시트가 공유가 될까요?
수업하시는 PPT와 MBTI스프래드시트가 공유가 될까요?
-
미해결구글태그매니저로 데이터 설계&수집하기
강의 자료 / 이벤트택소노미 계획서 공유부탁드려요.
강의 자료 공유가능할까요~?특히나 배움콕 이벤트 택소노미 실습 시 사용하는 이벤트 설계도 시트 권한 요청드립니다~!
-
미해결비전공자, 취준생을 위한 디지털마케팅 마케터 기초 코스
KPI Dashboard와 salesforce
영상에 나오는 KPI Dashboard 툴을 어디서 사용할 수 있는지 알 수 있을까요? CRM 툴 중에서 salesforce가 유명하고 많이 사용하는 툴이 맞을까요?? CRM 툴을 처음 사용하려고 하는데 다양한 툴이 있던데 어떤 툴을 공부해야할지 고민이 됩니다.
-
미해결그로스해킹 - 데이터와 실험을 통해 성장하는 서비스를 만드는 방법
강의질문
책과 강의 내용이 일치하는걸까요?
-
미해결3시간에 끝내는 디지털 마케팅의 모든 것
구좌계약의 단점 질문
강사님 안녕하세요! 강의 수강중에 질문사항이 있어 글 올립니다.콘텐츠 마케팅의 구좌계약의 단점에서 중간단계 확인불가로 인해 성과추적한계가 있다고 말씀하셨는데 여기서 중간단계란 어떤 의미인지 또 왜 확인이 불가한지 궁금합니다!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GA4 필수 코스 (by 현직 실리콘밸리 마케팅 디렉터)
3강 쳅터요약에서 추천해준 웹 기술이 강의하단에 있다고 하셨는데 어디있는지 못 찾겠습니다.
3강 쳅터요약에서 추천해준 웹 기술이 강의하단에 있다고 하셨는데 어디있는지 못 찾겠습니다.
-
미해결그로스해킹 - 데이터와 실험을 통해 성장하는 서비스를 만드는 방법
서비스 내의 세부 서비스에 대한 PMF 확인
안녕하세요!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주니어 데이터분석가입니다 :)먼저 강의를 통해 정말 도움이 많이 되고 있어 감사의 말씀드립니다! 한 강의에 담긴 내용이 많아서 전체적으로 강의를 다 듣고 다시 듣는데 이제 점점 이해가 되는 것 같아요! 양질의 강의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실무에 적용해 보는 중에 몇 가지 궁금증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현재 서비스 내에서 판매하는 상품 중 '어떤 상품 A가 딱히 잘 팔리는 것 같지도 않고 판매 효과도 없는 것 같아서 계속 판매할지 판매를 중지할지'에 대한 니즈가 있어 해당 문제를 그로스 해킹 강의에서 배운것을 토대로 접근해 보려 하고 있습니다!우선 첫번째로 PMF를 확인하기 위해이 상품 A가 정말 문제가 있는건지?를 상품을 구매한 고객의 Retention이 안정화 되는 추세가 있는지로 확인 해 보려고 합니다.제가 이해한 PMF는 '개선을 위한 실험으로 돌입할 만한 단계의 상품/서비스인가?'로 이해했는데요 그래서 저는 제가 직면한 문제의 경우 전체 서비스 내에서 제공하는 상품 중 일부(?)이기 때문에 위와 같은 방식으로 적용해 볼 수 있을거라고 생각했습니다! 그 후에 PMF에 적합하면 상품 판매는 유지하고 개선해 나가는 방식으로 실험을 해보려고 했습니다.근데 여기서 추가적으로 전체 서비스의 Retention과 비교해서 좀 더 Retention이 높은지(?)를 확인해야할 수도 있겠다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경우는 서비스 내의 상품이기 때문에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이 전체 풀이고 그 고객에게 잘 팔리는지를 봐야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는데요보통 이렇게 전체 서비스 안에 특정 서비스에 대한 그로스해킹을 하는 경우는 어떤 식으로 접근하는지 궁금하고 제가 접근한 일련의 방식들이 강의 내용과 일맥상통한지(?)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