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kubectl get pod/pods, node/nodes 명령어는 같은 명령인가요?
질문 답변을 제공하지만, 강의 비용에는 Q&A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실습이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의 경우는 알려주시면 가능한 빠르게 조치하겠습니다![질문 전 답변]1. 강의에서 다룬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 아니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 아니요]3. 질문 잘하기 법을 읽어보셨나요? [예 | 아니요](https://www.inflearn.com/blogs/1719)4.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5. vagrant up 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주로 호스트 시스템(Windows, MacOS)과 연관된 다양한 조건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를 모두 제가 파악할 수 없어서 해결이 어렵습니다. vagrant up으로 진행이 어렵다면 제공해 드리는 가상 머신(VM) 이미지를 import해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inflearn.com/questions/992407/comment/281901)6. ARM 계열의 m1 , m2 계열은 VirtualBox를 통한 구성이 원할하지 않고, 실습 환경의 다변화는 추후 대처하기 어려워서 현재 과정에서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https://www.inflearn.com/questions/915529)[질문 하기]강의에서 보면 처음엔 kubectl get pod를 사용하다가 deployment를 사용할 때는 kubectl get pods를 사용하던데 입력해보면 동일한 결과가 나타나던데요. 같은 명령인가요?node와 nodes도 결과가 같긴하네요.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도커 데스크탑 실행 오류
이 오류에 대해 해결책을 알 수 있을까요..?WSL 정상적으로 설치되어있습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데이터베이스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데브위키님강의 수강 중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제가 지식이 얕아 틀릴 확률이 매우 큰데 저의 생각이 맞았는지 틀렸다면 지적도 부탁드립니다! 클라우트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에서의 MSA는 수평 확장이 용이하다고 PART5에서 이해했습니다. 만약 DB 서버를 늘려야 한다고 했을 때현재 강의에서처럼 Postgre를 도커 볼륨을 사용하여 이중화 DB를 사용한다면 AWS에서 새로운 인스턴스를 만들어서 도커를 설치하고 컨테이너를 만들게 되면 기존 서버의 도커 볼륨에 있는 데이터를 알 수 없어 서버를 늘리기가 힘들다고 생각합니다.당연히 방법이 있을 것 같은데확장을 하게 된다면 어떤 방식으로 확장을 하게 되는 건지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편)
베이그런트 설치후 Xshell로 cat join.sh 할때입니다
k8s-master와 node2 까지는 join.sh가 잘됩니다만node1은 -bash: kubeadm: command not found 라고나오면서 마스터 서버에 조인이 불가능합니다 Xshell에서 node1을 지우고 새로 생성해봐도 똑같이 뜨는데 아무래도 커버네티스가 Node1에서 제대로 설치가 안된것같은데Vagrant 파일안에 있는 명령문들로 개별적으로 설치중이긴한데상관없을까요?
-
해결됨입문자를 위한 Spring Boot with Kotlin - 나만의 포트폴리오 사이트 만들기
소스코드 컴파일 오류
컴파일시 오류가 발생합니다.포트가 사용되고 있다고 하면서 웹서버 구동이 안되는데 포트를 바꿔봐도 오류가 발생합니다.깃허브에서 소스코드는 받았습니다.해결방법 좀 부탁드립니다. AI 답변이 달렸길래 추가 내용을 적습니다. 포트도 변경해봤고, 사용중인 포트가 없는것도 확인했습니다. 오류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APPLICATION FAILED TO START***************************Description:Web server failed to start. Port 8080 was already in use.Action:Identify and stop the process that's listening on port 8080 or configure this application to listen on another port.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1
-
미해결AWS 배포 완벽가이드 (feat. Lightsail, Docker, ECS)
deploy.yml github action 성공 , 하지만 AWS
deploy.yml github action 성공 했습니다, 그리고 main branch에 merge까지 완료했습니다 , 그리고 곧 바로 static ip : 4000 번 해서 들어가려 하면 들어가지지 않네요, AWS 들어가서 SSH키고 npm run start를 쳐야지 접속이 됩니다 , 이거 문제 있는거 맞죠 ? , 이러면 자동배포가 아니지 않나요 ?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컨테이너 포트 중복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데브위키님실습 중에 컨테이너 포트를 중복해서 실행을 하셨을 때 정상 작동이 되었는데 컨테이너 포트는 중복이 가능한 건가요?호스트의 포트만 중복이 되지 않아야 하고호스트의 포트와 컨테이너 포트의 조합으로 고유한 값이 생성되는 건가요?
-
미해결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폐쇄망(offline)환경 쿠버네티스 구축 문의
안녕하세요,강의를 열심히 수강하고 있는 수강생입니다.폐쇄망(Offline) PC 에서 동일한 환경을 구축하고자 하였으나,vagrant에서 부터 막혔습니다.인터넷이 되는 PC에서 수동으로 옮겨 문제가 없을거라 생각했는데, 하나하나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오프라인으로 환경을 구성하려면 수동으로 vagrant file에 있는 패키지들을 다운받아서 옮겨야 하나요?오프라인 환경으로 구축하는 수강생도 많을거라 생각하여, 이에 질문드립니다!추가로, vagrant file을 이해하고 넘어가는게 좋겠죠?!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CI/CD 입문·실전
파일 작성시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ㅎㅎ yml 파일 작성시 저렇게 노란색으로 나오는데 왜나오는 건가요? 없앨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멀티 스테이지 빌드 질문이있습니다!
멀티스테이지에서 java 코드 빌드하는 컨테이너, jar파일 실행하는 컨테이너를 나눈다고 말씀해주셨어요! 이 과정에서 dockerfile을 통해 build하면,각 컨테이너에 대한 이미지가 2벌 생성될것이라고 예상했는데 실행하는 부분만 이미지가 생성되는 이유를 알고싶습니다..!!
-
미해결멀티OS 사용을 위한 가상화 환경 구축 가이드 (Docker + Kubernetes)
vi /etc/hosts를 진행할 시 블루스크린이 뜹니다.
가상머신에 Docker 설치하기에서 3:48에 가상머신에 vi /etc/hosts를 이용해 파일 수정을 하는부분에서 명령어를 칠 시 블루스크린이 뜹니다.이런 경우는 어떻게 해결해야할까요.오라클 vm virualbox에선 명령어가 잘 되는데 Termius에서 ssh접속 후 명령어 실행 시 블루스크린이 뜹니다.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컨테이너 커널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컨테이너 커널 관련한 질문입니다.하이퍼바이져와 컨테이너를 비교하신 설명을 듣다가 문의드릴게 있어 이렇게 글 남깁니다.컨테이너는 호스트 os의 커널을 공유하기 때문에 vm에 이기종 os를 구성하는 것처럼 다른 os 이미지로 컨테이너를 만들 수 없다. --> 여기서 질문 드릴게 있습니다.컨테이너는 호스트 os의 커널과는 별개로 자체 커널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가 맞는거죠 ?nginx 이미지를 도커 허브에서 다운 받아서 컨테이너를 실행한 다음 해당 컨테이너에 쉘 환경으로 접속해 확인해보면 호스트 os의 환경과는 구성이 다르던데, 그렇다면 이건 nginx 이미지를 다운 받을 때 nginx가 설치되고 구성된 리눅스 OS 환경도 같이 다운을 받는건가요 ?(nginx 프로그램만 다운을 받는다고 해서 동작이 안될꺼고, nginx 서버가 구성이 되어야 동작이 될텐데, nginx 이미지만 받았지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구성되는 OS에 대한 설정은 해준게 없어서요. 물론 예를 들어 우분투 이미지를 다운 받고 여기서 nginx 구성을 자체적으로 해주어도 되고, 도커파일로 이미지를 빌드해줘도 되지만 nginx 이미지만 다운 받는데 어떻게 제 호스트 os가 뭔지 알고 그에 맞춘 이미지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을까요 ?)ec2를 활용한다고 가정할 떄 ec2의 AMI는 아마존 리눅스를 사용하고 도커 이미지는 우분투 이미지를 다운받아 컨테이너를 실행한다면, 이 떄에는 아마존 리눅스의 커널과 우분투 커널이 100% 일치하지 않을 텐데 이런 건 어떻게 동작이 되나요 ?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선착순 이벤트 시스템
consumer 셋팅 숫자 출력이 안됩니다.
docker exec -it kafka kafka-console-consumer.sh --topic coupon_create --bootstrap-server localhost:9092 --key-deserializer "org.apache.kafka.common.serialization.StringDeserializer" --value-deserializer "org.apache.kafka.common.serialization.LongDeserializer"라고 터미너에 입력한 후에 테스트 코드package com.example.coupon_server.service; import com.example.coupon_server.repository.CouponRepository; import org.junit.jupiter.api.DisplayName;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java.util.concurrent.CountDownLatch; import java.util.concurrent.ExecutorService; import java.util.concurrent.Executors;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ForClassTypes.assertThat; @SpringBootTest public class ApplyServiceTest { @Autowired private ApplyService applyService; @Autowired private CouponRepository couponRepository; @Test @DisplayName("쿠폰 한개 적용 테스트") public void applyOneCoupon() { applyService.applyCoupon(1L); long count = couponRepository.count(); assertThat(count).isEqualTo(1); } @Test @DisplayName("쿠폰 여러개 적용 테스트") public void applyMultiCoupon() throws InterruptedException { int threadCount = 1000; ExecutorService executorService = Executors.newFixedThreadPool(32); CountDownLatch latch = new CountDownLatch(threadCount); for (int i = 0; i < threadCount; i++) { long userId = i; executorService.submit(() -> { try { applyService.applyCoupon(userId); } finally { latch.countDown(); } }); } latch.await(); Thread.sleep(10000); long count = couponRepository.count(); assertThat(count).isEqualTo(100); } @Test @DisplayName("한명당 한개의 쿠폰만 발급") public void applyOneCouponPerUser() throws InterruptedException { int threadCount = 1000; ExecutorService executorService = Executors.newFixedThreadPool(32); CountDownLatch latch = new CountDownLatch(threadCount); for (int i = 0; i < threadCount; i++) { long userId = i; executorService.submit(() -> { try { applyService.applyCoupon(1L); } finally { latch.countDown(); } }); } latch.await(); Thread.sleep(10000); long count = couponRepository.count(); assertThat(count).isEqualTo(1); } }로 작성했지만 터미널에서 강사님과 같이 숫자들이 찍히자 않습니다.그리고 터미널 안의 글씨 너무 작은것 같아요
-
미해결멀티OS 사용을 위한 가상화 환경 구축 가이드 (Docker + Kubernetes)
apt-get update 명령어 오류
쿠버네티스 섹션에서 apt-get update 명령어를 입력하면 404오류가 발생하는데 원인이 뭔지 알수 있을까요?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선착순 이벤트 시스템
kafka 사용 이유
안녕하세요,궁금한 내용이 생겨 기존에 질문들을 살펴보고 제가 이해한 것이 맞는지 확인차 질문드립니다. redis의 싱글스레드 특성으로 100개 발급에 대한 race condition 해결 --> 그러나 insert 시 DB 처리량에 부하가 발생할 수 있음kafka 미들웨어를 통해 100개의 쿠폰 저장 이벤트를 보관해두었다가 컨슈머에서 원할때 꺼내어 처리할 수 있는 여지를 주어 처리량 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음ex) 쿠폰 발급은 당장 안해도 되니, kafka에 이벤트만 잘 발행되어 있다면 DB 작업량이 적은 새벽에 꺼내서 저장해도 됨 이렇게 이해했는데, 맞을까요?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편)
authentication에서 클러스터 2개를 활용해서 kubectl로 context 변경하시는데
이거 기존에 만든 클러스터 외에 별도 VM 띄워서 클러스터 하나 더 만드신거죠??
-
해결됨[DevOps] 빠르고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배포 파이프라인(CI/CD) 만들기
강의 교안
강의 교안은 없는 건가요? 못잧겠어요. 어느경로에 있나요 ?
-
미해결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이미지 레이어 관련 궁금증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궁금증이 생겨 질문드립니다!강의 중 엔진엑스로 만든 이미지가 있는데 index.html이 다른 A가 있고 B가 있다라는 예시가 있었습니다. 이때 아래와 같이 설명해주셨는데요 이미지를 공유해서 사용하는거랑 컨테이너 생성속도랑 어떻게 연관이 있는건지 잘 이해가 가지 않아 질문드립니다.동일한 이미지로 컨테이너를 아주 많이 만들어도 이 이미지로 실행된 모든 컨테이너가 하나의 이미지를 공유해서 읽어옵니다. 실제로 큰 부분을 차지하는 이미지를 하나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컨테이너를 생성할 때 속도가 빨라지는 것이죠. 또한 아래와 같이 설명해주셨는데요컨테이너를 만들 때 사용된 이미지에 따라서 이미지의 읽기 전용 레이어 전체를 공유할수도 있고 일부만 공유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이미지의 읽기 전용 레이어를 활용하면 컨테이너를 실행할 때 전체 공간을 복사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컨테이너를 빠르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컨테이너가 늘어나면서 사용하는 공간을 최대한 작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엔진엑스 이미지 A가 다운받아져있다 가졍하고 index.html이 다른 이미지 B를 다운 받는다 가정해보겠습니다. 이미지 B를 다운받을때 이미지 A와 레이어가 같은것은 다운받지 않고 레이어가 다른 index.html레이어만 다운받는걸까요? 컨테이너가 늘어나면서 사용하는 공간을 최대한 작게 관리할 수 있다라는게 어떤것인지 잘 이해가 되지 않아 질문드려봅니다 (레이어별로 파일이 나뉘어 있는걸까요)혹시 위와 같은 부분을 실습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나 공식문서 부분에서 확인할 수 있는게 있다면 같이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입문자를 위한 Spring Boot with Kotlin - 나만의 포트폴리오 사이트 만들기
@Component
안녕하세요 또 이렇게 질문을 드리네요공통 개발 - 인터셉터에서 AdminInterceptor은 @Component을 사용합니다. 제가 자료를 찾아봤는데 개념 이해가 어렵더라구요개발자가 직접 작성한 class를 Bean으로 등록하기 위한 어노테이션이라고 정의 되어 있던데 그럼 Bean은 또 뭔지 찾아봤어요자바 객체를 스프링에서는 Bean이라고 한다. 라고 정의 되었더라구요. 객체는 뭐 재료를 합쳐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겠끔 만들어진 거가 객체인건 알고 있고 ....다시 정리하면 직접 작성한 class를 객체화 시키려는건가라고 좀 애매하게 이해했는데 이건 또 아닌거 같고.. 예제를 본다면 class InlineExamConsole{ @Autowired public void setExam(Exam exam) { this.exam = exam; }}이 클레스면 xml은<context:annotation-config/><bean id = "exam" class="entity.NewlecExam" /><bean id = "console" class="ui.InlineExamConsole"></bean>로 되어야 하고...IoC 컨테이너의 상황은exam: Exam<---- console:InlineExamCode처럼 플로우가 될꺼구...그런데 <context:annotation-config/><bean id = "exam" class="entity.NewlecExam" /><!-- <bean id = "console" class="ui.InlineExamConsole"> </bean>->를 해서 삭제.... bean을 삭제 하면 IoC 컨테이너의 상황은 아래처럼 될듯 한데 exam: Exam<---- console:InlineExamCodeconsole는 또 사용해야겠으니 아래처럼 @Componet를 등장시키고, @Componetclass InlineExamConsole{ @Autowired public void setExam(Exam exam) { this.exam = exam; }}IoC 컨테이너에서 console:InlineExamCode를 부활exam: Exam<---- console:InlineExamCode그런데 부활만 했지 그냥 좀비 상태가 되어 버린 console:InlineExamCode... console:InlineExamCode은 어떻게 찾는건지..그럼 xml를 변경<context:component-scan base-package = "spring.di.ui"/><context:annotation-config/><bean id = "exam" class="entity.NewlecExam" />위 테그로 spring.di.ui에 컴포넌트가 있으니 다른곳에 찾지 말고 위 테그에서 컴포넌트 찾고 그 컴포넌트를 Bean에 등록해서 객채화 해~~~ 라는거같은데 코드상으로는 이렇게 이해를 했어요하지만 강의에서는 context:component-scan base-package 를 못본거 같은데 ....(뭐 제가 바빠서 꼼꼼하게 못본것일 수도 있고 ) 저 컴포넌트의 이해를 좀 도와주시면 안될까요??컴포넌트 활용이나 @Component를 사용안하면 얼마나 불편해지길래 저 이노테이션을 사용한건지 ...(사실 저 이노테이션을 안써도 잘 활용할 수 있을거 같은데 ...)
-
해결됨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프로젝트를 처음 시작시에 java.sql.SQLException: Access denied for user 'root'@'localhost' (using password: YES) 오류가 발생합니다.
spring: jpa: hibernate: ddl-auto: create show-sql: true datasource: driver-class-name: com.mysql.cj.jdbc.Driver url: jdbc:mysql://127.0.0.1:3306/stock_example username: root password: 1234 # JPA 쿼리가 어떻게 나가는지 logging: level: org: hibernate: SQL: DEBUG type: descriptor: sql: BasicBinder: TRACEyml 설정은 위와 같이 하고 docker 이미지 확인시에 아래와 같이 작동하고 있습니다. igwangmin@igwangmin-ui-MacBookPro ~ % docker ps -a CONTAINER ID IMAGE COMMAND CREATED STATUS PORTS NAMES 03d3fae9019b mysql "docker-entrypoint.s…" 4 days ago Up 16 minutes 0.0.0.0:3306->3306/tcp, 33060/tcp mysql DB 조회 시에도 아래와 같이 나오는 데 혹시 제가 놓친 부분이 있을까요? mysql> show databases; +--------------------+ | Database | +--------------------+ | information_schema | | mysql | | performance_schema | | stock_example | | sys | +--------------------+ 5 rows in set (0.01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