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Slack 클론 코딩[백엔드 with NestJS + TypeORM]
ExceptionsHandler 에러가 발생합니다.
class-transformer 도 같이 설치후 요청을 날려보면 아래와 같은 의도하지 않은 에러미세지가 출력됩니다.{ "statusCode": 500, "message": "Internal server error" }또 동시에 터미널에 아래와 같은 에러 로그가 출력됩니다.[Nest] 8570 - 2023. 05. 27. 오전 10:48:03 ERROR [ExceptionsHandler] data and salt arguments required Error: data and salt arguments required at Object.hash (/Users/apple/Documents/sideProjects2/sleactNestJS/node_modules/bcrypt/bcrypt.js:137:17) at /Users/apple/Documents/sideProjects2/sleactNestJS/node_modules/bcrypt/promises.js:29:12 at new Promise (<anonymous>) at Object.module.exports.promise (/Users/apple/Documents/sideProjects2/sleactNestJS/node_modules/bcrypt/promises.js:20:12) at Object.hash (/Users/apple/Documents/sideProjects2/sleactNestJS/node_modules/bcrypt/bcrypt.js:133:25) at UsersService.postUsers (/Users/apple/Documents/sideProjects2/sleactNestJS/dist/main.js:426:55) at processTicksAndRejections (node:internal/process/task_queues:96:5) at async UsersController.join (/Users/apple/Documents/sideProjects2/sleactNestJS/dist/main.js:1247:9)ChatGPT에 문의해보니 bcrypt에러 같다고 하는데, bcrypt는 수정하지 않았고 문제도 없어보입니다. 제가 강의를 보며 수정한 코드는 4군데 입니다.users.service.ts 에 기존 Exception 코드 날리기async postUsers(email: string, nickname: string, password: string) { const user = await this.usersRepository.findOne({ where: { email } }); if (user) { throw new UnauthorizedException('이미 존재하는 사용자입니다'); }Users.ts entity에 Validation 추가하기 @IsEmail() @ApiProperty({ example: 'kim@gmail.com', description: '이메일', }) @Column('varchar', { name: 'email', unique: true, length: 30 }) email: string; @IsString() @IsNotEmpty() @Column('varchar', { name: 'nickname', length: 30 }) nickname: string; @IsString() @IsNotEmpty() @Column('varchar', { name: 'password', length: 100, select: false }) password: string; main.ts에 useGlobalPipes 꼽기app.useGlobalPipes(new ValidationPipe()); httpException.filter.ts response status 수정하기const err = exception.getResponse() as | { message: any; statusCode: number } | { error: string; statusCode: 400; message: string[] }; if (typeof err !== 'string' && err.statusCode === 400) { return response.status(status).json({ success: false, code: status, data: err.message, }); } response.status(status).json({ success: false, code: status, data: err.message, }); } }공식문서도 보았는데, 해결이 안되어서 질문 남깁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를 위한 진짜 입문 올인원 개발 부트캠프
error 가 발생합니다
저는 콘솔 창에서 함수가 안 나오고 에러가 나오는데 어떤 부분이 문제인 건가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코드 오류 (06-03)
06-03 클래스 전략 패턴수업에서 선생님과 코드를 똑같이 입력했는데 오류(공중 몬스터 not defined)가 납니다. 어떤 부분이 문제일까요? class 공중부품 { run = () => { console.log("날아서 도망가자!!"); } } class 지상부품 { run = () => { console.log("뛰어서 도망가자!!"); } } class Monster { power = 10; 부품; constructor(qqq){ this.부품 = qqq; } attack = () => { console.log("공격하자!!"); console.log("내 공격력은" + this.power + "야!!!"); }; run = () => { this.부품.run();class 공중부품 { run = () => { console.log("날아서 도망가자!!"); } } class 지상부품 { run = () => { console.log("뛰어서 도망가자!!"); } } class Monster { power = 10; 부품; constructor(qqq){ this.부품 = qqq; } attack = () => { console.log("공격하자!!"); console.log("내 공격력은" + this.power + "야!! }; } const mymonster1 = new Monster(new 공중부품()); mymonster1.attack(); mymonster1.run(); const mymonster2 = new Monster(new 지상부품()); mymonster2.attack(); mymonster2.run();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date를 인식 못하는 문제
엔티티@Entity() @ObjectType() export class Reservation { @PrimaryGeneratedColumn('uuid') @Field(() => String) reservationId: string; @Column({ nullable: false }) @Field(() => Date) startDate: Date; @Column({ nullable: false }) @Field(() => Date) endDate: Date; @Column({ nullable: false }) @Field(() => Int) usersNumber: number; @Column({ nullable: false }) @Field(() => Int) lengthOfStay: number; @Column({ nullable: false }) @Field(() => Int) price: number; @ManyToOne(() => Member) @JoinColumn({ name: 'memberId' }) @Field(() => Member) member: Member; @ManyToOne(() => Campground) @JoinColumn({ name: 'campgroundId' }) @Field(() => Campground) campground: Campground; @ManyToOne(() => Tent) @JoinColumn({ name: 'tentId' }) @Field(() => Tent) tent: Tent; @DeleteDateColumn() deletedAt: Date; } 데이터 생성 DTO@InputType() export class CreateReservationInput extends OmitType( Reservation, ['reservationId', 'member', 'campground', 'tent'], InputType, ) { @Field(() => String) memberId: string; @Field(() => String) campgroundId: string; @Field(() => String) tentId: string; } 위 코드에 graphQL 요청시 에러가 발생합니다.mutation { createReservation ( createReservationInput: { startDate: "2023-01-01" endDate: "2023-06-06" usersNumber: 5 lengthOfStay: 10 price: 5 memberId: "lhw3542" campgroundId: "d35d3972-5c07-47d7-94a2-23c784f0a27e" tentId: "3ae33a7c-c898-4b66-b110-02b4f8c96398" } ) { reservationId startDate endDate usersNumber lengthOfStay price member { memberId } campground { campgroundId } tent { tentId } } } Field 'startDate' doesn't have a default value날짜 형식을 읽지 못하는 것 같은데 무엇이 잘못된 걸까요?아래와 같이 DTO에 직접 써줘도 인식을 못하고 있습니다. @Field(() => Date) startDate: Date; @Field(() => Date) endDate: Date;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join한 테이블 조회시 컬럼이 겹치는 문제
아래와 같은 코드에서 memberID를 조건으로 데이터를 조회하면 join된 campground와 member 각각에 member 컬럼이 다 있어 조건으로 넣어준 memberId를 어디서 찾아야 하는지 typeORM에서 인식하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때문에 아래와 같은 에러가 나오는거 같습니다.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result = await this.dibsRepository.find({ where: { member: { memberId }, }, relations: ['campground', 'member'], });QueryFailedError: Column 'memberId' in where clause is ambiguous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08-05 강의에서 DB 접근이 안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위와 같은 연결 오류가 발생하고이때 host는 'localhost' 로 입력을 한 상태입니다.app.module.ts 파일 내의 host를 127.0.0.1 로 변경하면 또 정상 작동 합니다.인터넷을 보니까socketPath: '/tmp/mysql.sock' 를 마지막에 넣어주면 또 정상 작동 하는 것 같습니다.도서관과 같은 특수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진행해서 그런걸까요?https://cloer.tistory.com/56 자료를 참고했습니다.
-
미해결[리뉴얼] React로 NodeBird SNS 만들기
Log out 이슈
middlewares까지 구현하고, 로그아웃 router에 isLoggedIn 필터링 해서 실행했는데 로그아웃을 누를때마다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라는 Message를 받습니다.로그인하는 과정이 문제라는 가설을 세워서 passport 세팅도 확인했고, login route도 확인했습니다. 하지만 로그아웃 했을때 같은 에러 메세지를 받았습니다.middlewares를 적용 안하고 terminal 확인을 했을때 이런 메시지를 받았습니다.req.logout에 콜백함수가 필요하다고 해서router.post('/logout', (req, res) => { req.logout((err)=>{ console.error(err) }); req.session.destroy(); res.send('ok'); });logout router를 이렇게 바꾸고 로그아웃 해봤는데, LOG_OUT_SUCCESS는 뜨는데, 서버가 crushed 됬다고 하고, 그 후 로그인이 안됩니다.음..혹시 이 부분 외에 어딜 더 체크해봐야 하는지 조언 해주실 수 있을까요?항상 좋은 강의에 감사합니다 :)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find가 빈 값을 반환하는 문제
안녕하세요~프로젝트 만들다보니 질문거리가 많아지네요.@Query(() => [Dibs]) fetchDibs( @Args('findDibsInput') findDibsInput: FindDibsInput, ): Promise<Dibs[]> { return this.dibsService.find(findDibsInput); }async find(findDibsInput: FindDibsInput): Promise<Dibs[]> { const { campgroundId, memberId } = findDibsInput; const result = await this.dibsRepository.find({ where: { campground: { campgroundId }, member: { memberId }, }, }); return result; }위 코드에 아래와 같은 graphQL 요청을 하면 아무런 값도 돌아오지 않습니다.query { fetchDibs( findDibsInput: { campgroundId: "845b4bac-e0d9-4d1e-a897-9859275e9948" memberId: "lhw3542" } ) { campground{ campgroundId campName } member { memberId } } }{ "data": { "fetchDibs": [] } }조건식 인식 자체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는거 같은데 또 오류는 안나오네요.어떤 것이 문제일까요?
-
미해결비전공자를 위한 진짜 입문 올인원 개발 부트캠프
이미지가 안나옵니다
어디가 잘못 돼서 사진이 안 나오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개정3판] Node.js 교과서 - 기본부터 프로젝트 실습까지
Error: Unable to call `followerIdList["includes"]`, which is undefined or falsey
로그인 후 포스팅 하나 작성하면 계속 에러가 발생합니다.exports.renderMain = async (req, res, next) => { try { const posts = await Post.findAll({ include: { model: User, attributes: ['id', 'nick'], }, order: [['createdAt', 'DESC']] // 최신순 정렬(작성일 기준 내림차순) }); res.render('main', { title: 'NodeBird', twits: posts }); } catch (error) { console.error(error); next(error); } };renderMain 메서드에서 따로 follwerIdList를 보내지 않는 것 같은데 {% for twit in twits %} <div class="twit"> <input type="hidden" value="{{twit.User.id}}" class="twit-user-id"> <input type="hidden" value="{{twit.id}}" class="twit-id"> <div class="twit-author">{{twit.User.nick}}</div> {% if not followerIdList.includes(twit.User.id) and twit.User.id !== user.id %} <button class="twit-follow">팔로우하기</button> {% endif %} <div class="twit-content">{{twit.content}}</div> {% if twit.img %} <div class="twit-img"><img src="{{twit.img}}" alt="섬네일"></div> {% endif %} </div> {% endfor %}followerIdList는 어디서 나온 어디서 나온건지 찾을 수가 없습니다..
-
미해결[개정3판] Node.js 교과서 - 기본부터 프로젝트 실습까지
Unkown column 'Post.UserId' in 'field list'
rendermain Executing (default): SELECT `Post`.`id`, `Post`.`content`, `Post`.`img`, `Post`.`createdAt`, `Post`.`updatedAt`, `Post`.`UserId`, `User`.`id` AS `User.id`, `User`.`nick` AS `User.nick` FROM `posts` AS `Post` LEFT OUTER JOIN `users` AS `User` ON `Post`.`UserId` = `User`.`id` AND (`User`.`deletedAt` IS NULL) ORDER BY `Post`.`createdAt` DESC; Error at Query.run (C:\Users\user\study\nodejs\nodebird\node_modules\sequelize\lib\dialects\mysql\query.js:52:25) at C:\Users\user\study\nodejs\nodebird\node_modules\sequelize\lib\sequelize.js:315:28 at processTicksAndRejections (internal/process/task_queues.js:95:5) at async MySQLQueryInterface.select (C:\Users\user\study\nodejs\nodebird\node_modules\sequelize\lib\dialects\abstract\query-interface.js:407:12) at async Function.findAll (C:\Users\user\study\nodejs\nodebird\node_modules\sequelize\lib\model.js:1140:21) at async exports.renderMain (C:\Users\user\study\nodejs\nodebird\controllers\page.js:16:23) { name: 'SequelizeDatabaseError', parent: Error: Unknown column 'Post.UserId' in 'field list' at Packet.asError (C:\Users\user\study\nodejs\nodebird\node_modules\mysql2\lib\packets\packet.js:728:17) at Query.execute (C:\Users\user\study\nodejs\nodebird\node_modules\mysql2\lib\commands\command.js:29:26) at Connection.handlePacket (C:\Users\user\study\nodejs\nodebird\node_modules\mysql2\lib\connection.js:489:32) at PacketParser.onPacket (C:\Users\user\study\nodejs\nodebird\node_modules\mysql2\lib\connection.js:94:12) at PacketParser.executeStart (C:\Users\user\study\nodejs\nodebird\node_modules\mysql2\lib\packet_parser.js:75:16) at Socket.<anonymous> (C:\Users\user\study\nodejs\nodebird\node_modules\mysql2\lib\connection.js:101:25) at Socket.emit (events.js:400:28) at addChunk (internal/streams/readable.js:293:12) at readableAddChunk (internal/streams/readable.js:267:9) at Socket.Readable.push (internal/streams/readable.js:206:10) { code: 'ER_BAD_FIELD_ERROR', errno: 1054, sqlState: '42S22', sqlMessage: "Unknown column 'Post.UserId' in 'field list'", sql: 'SELECT `Post`.`id`, `Post`.`content`, `Post`.`img`, `Post`.`createdAt`, `Post`.`updatedAt`, `Post`.`UserId`, `User`.`id` AS `User.id`, `User`.`nick` AS `User.nick` FROM `posts` AS `Post` LEFT OUTER JOIN `users` AS `User` ON `Post`.`UserId` = `User`.`id` AND (`User`.`deletedAt` IS NULL) ORDER BY `Post`.`createdAt` DESC;', parameters: undefined }, original: Error: Unknown column 'Post.UserId' in 'field list' at Packet.asError (C:\Users\user\study\nodejs\nodebird\node_modules\mysql2\lib\packets\packet.js:728:17) at Query.execute (C:\Users\user\study\nodejs\nodebird\node_modules\mysql2\lib\commands\command.js:29:26) at Connection.handlePacket (C:\Users\user\study\nodejs\nodebird\node_modules\mysql2\lib\connection.js:489:32) at PacketParser.onPacket (C:\Users\user\study\nodejs\nodebird\node_modules\mysql2\lib\connection.js:94:12) at PacketParser.executeStart (C:\Users\user\study\nodejs\nodebird\node_modules\mysql2\lib\packet_parser.js:75:16) at Socket.<anonymous> (C:\Users\user\study\nodejs\nodebird\node_modules\mysql2\lib\connection.js:101:25) at Socket.emit (events.js:400:28) at addChunk (internal/streams/readable.js:293:12) at readableAddChunk (internal/streams/readable.js:267:9) at Socket.Readable.push (internal/streams/readable.js:206:10) { code: 'ER_BAD_FIELD_ERROR', errno: 1054, sqlState: '42S22', sqlMessage: "Unknown column 'Post.UserId' in 'field list'", sql: 'SELECT `Post`.`id`, `Post`.`content`, `Post`.`img`, `Post`.`createdAt`, `Post`.`updatedAt`, `Post`.`UserId`, `User`.`id` AS `User.id`, `User`.`nick` AS `User.nick` FROM `posts` AS `Post` LEFT OUTER JOIN `users` AS `User` ON `Post`.`UserId` = `User`.`id` AND (`User`.`deletedAt` IS NULL) ORDER BY `Post`.`createdAt` DESC;', parameters: undefined }, sql: 'SELECT `Post`.`id`, `Post`.`content`, `Post`.`img`, `Post`.`createdAt`, `Post`.`updatedAt`, `Post`.`UserId`, `User`.`id` AS `User.id`, `User`.`nick` AS `User.nick` FROM `posts` AS `Post` LEFT OUTER JOIN `users` AS `User` ON `Post`.`UserId` = `User`.`id` AND (`User`.`deletedAt` IS NULL) ORDER BY `Post`.`createdAt` DESC;', parameters: {} } GET / 500 25.038 ms - 2481 GET /main.css 200 2.256 ms - 2609 exports.renderMain = async (req, res, next) => { console.log('rendermain') try { const posts = await Post.findAll({ include: { model: User, attributes: ['id', 'nick'], }, order: [['createdAt', 'DESC']] // 최신순 정렬(작성일 기준 내림차순) }); console.log(posts); res.render('main', { title: 'NodeBird', twits: posts }); } catch (error) { console.error(error); next(error); } };안녕하세요 선생님npm run start 서버 띄우고 localhost:8001 로 갔을 때 나오는 에러 입니다.사진도 같이 띄웁니다.controller/page.js 에서 16번째 줄에서 에러가 발생하길래 확인하였는데위 에러 코드에서 보이듯이 sql문에 Post테이블의 UserId 컬럼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Post 테이블 만들 때 UserId 컬럼을 명시한 적이 없는데 왜 sql 문에 포함되었는지 잘 이해가 안 갑니다ㅠㅠ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jwt활용한 로그아웃
혹시 로그아웃에 대한 구현은 어떤식으로 해야할까요? header에서 토큰을 제거하는 거 말고 어떤 방식으로 토큰을 무효화 할까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복합키 설정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항상 친절하고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복합키 생성 관련 오류가 있어 질문드립니다.@Entity() @ObjectType() export class Dibs { @ManyToOne(() => Member) @PrimaryColumn() @JoinColumn({ name: 'memberId' }) @Field(() => Member) member: Member; @ManyToOne(() => Campground) @PrimaryColumn() @JoinColumn({ name: 'campgroundId' }) @Field(() => Campground) campground: Campground; @DeleteDateColumn() deletedAt: Date; }위와 같이 member와 campground의 id를 복합키로하여 Dibs라는 테이블을 생성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Nest] 21844 - 2023. 05. 24. 오전 9:36:44 ERROR [ExceptionHandler] Data type "Member" in "Dibs.member" is not supported by "mysql" database.DataTypeNotSupportedError: Data type "Member" in "Dibs.member" is not supported by "mysql" database.그런데 해당 코드를 아래와 같이 고치면 또 정상작동하게 됩니다.@Entity() @ObjectType() export class Dibs { @ManyToOne(() => Member) @PrimaryColumn() @JoinColumn({ name: 'memberId' }) @Field(() => Member) memberId: Member; @ManyToOne(() => Campground) @PrimaryColumn() @JoinColumn({ name: 'campgroundId' }) @Field(() => Campground) campgroundId: Campground; @DeleteDateColumn() deletedAt: Date; }member -> memberId, campground -> campgroundId 라고 변수명만 바꿨을 뿐인데 정상작동하는 이유를 모르겠네요. member와 campground의 기본키가 각각 memberId와 campgroundId로 설정되어 있긴 합니다. 최종적으로 아래와 같이 구현했습니다.@Entity() @ObjectType() export class Dibs { @ManyToOne(() => Member) @PrimaryColumn() @JoinColumn({ name: 'memberId' }) @Field(() => String) memberId: string; @ManyToOne(() => Campground) @PrimaryColumn() @JoinColumn({ name: 'campgroundId' }) @Field(() => String) campgroundId: string; @DeleteDateColumn() deletedAt: Date; }위 코드도 문제없이 잘 작동합니다. 그런데 애초에 복합키를 설정하는 것이 안 좋은 것일까요? 외래키 두개로 각 레코드들이 고유하게 구분될 수 있기 때문에 따로 기본키를 설정하지 않았는데 기본키를 설정하는게 더 좋은 방법일까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프론트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을 때
section29까지 듣고 현재 제 프로젝트를 구축하고 있습니다.그런데 궁금한 것이 이제까지 수업에서는 데이터를 찾을 때 고유 id를 가지고 findOne 메서드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찾거나 find 메서드로 전체 데이터를 다 긁어오는 방식을 사용했습니다.하지만 프론트에서는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데이터만 찾고 싶은 경우가 많을텐데요.이를 위해서 해당 조건을 찾을 수 있는 query를 다 만들어주어야 하는지 아니면 find로 데이터를 모두 취합해서 들고오면 프론트에서 알아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이 맞는건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외래키 지정에 관해서
@ManyToOne(() => ProductCategory) @Field(() => ProductCategory) productCategory: ProductCategory;외래키를 위와 같이 지정해주는 경우와@ManyToOne(() => ProductCategory) @Field(() => String) productCategoryId: string;이렇게 지정해주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테이블 사이의 관계가 만들어질 때 차이는 없나요?typeORM과 graphQL 요청시 객체를 그대로 전달하느냐 아니면 string 형식의 id만 전달하느냐 정도의 차이만 있나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08-02 강의에 설치해야될 패키지가 더 생긴건가요?
강의 중간에 yarn으로 패키지 설치하는 부분이 있는데강의에 나와있는 3개의 패키지 말고 @apollo/server를 따로 설치해줘야 하는 것 같습니다.뭔가 바뀐건가요?일단은 이렇게 해서 넘어 가긴 했습니다
-
미해결이미지 관리 풀스택(feat. Node.js, React, MongoDB, AWS)
람다에서 시간 초과 에러가 뜹니다!
용량도 512로 늘리고 람다 시간도 20초로 늘렸는데 해당 에러가 뜹니다. REPORT RequestId: f67aee8b-17bc-4f08-9dc4-19b9cca9bec2 Duration: 1116.59 ms Billed Duration: 1117 ms Memory Size: 512 MB Max Memory Used: 144 MB Init Duration: 762.36 ms 이유가 무엇인가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section 29 수업과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재접속시 column이 삭제되는 문제는 버전을 낮추니 해결되었습니다! 다만 app.module.ts 에서 @Module decorator 설정 중 entities: [] 부분에 glob path 설정이 안돼서 버전과 관련된 것인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glob path만 입력했을 때 entity를 읽지 못해 직접 입력해주니 해결되었습니다)( 아직 실력이 부족해 질문이 상세하지 못한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데이터 수정에 관하여
수업에서는 product 테이블을 생성할 때 연관된 테이블의 데이터도 한번에 만들 수 있도록 구현하였습니다.그렇다면 데이터 수정도 product의 mutation 요청으로 연관 테이블들의 데이터도 모두 수정할 수 있도록 구현해야 하나요?이렇게 하려니 product 업데이트를 위해 입력해야 하는 데이터가 너무 많아지고 연관된 테이블의 데이터를 수정하는 경우에 create처럼 연관된 테이블의 컬럼의 데이터를 하나하나 다시 다 지정해줘야 하는 불편함도 있습니다.이렇게 한방에 처리하는거 말고 일단 product update mutation에는 product의 본래 컬럼들만 수정할 수 있도록 처리하고 연관된 테이블의 데이터는 연관 테이블의 기본키로 해당 테이블들의 update mutation으로 처리해도 될까요? 일단은 연관된 테이블의 기본키를 product의 fetchProduct로 조회하고 찾은 키를 이용해서 연관 테이블의 데이터를 수정하는 방식입니다.어떤 구조가 올바른 방식일까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docker-compose 후 데이터 전송 시 에러에 대해서...
먼저 각 폴더의 경로입니다. 해당 코드는 몽고디비 경로입니다.야믈파일에서의 코드입니다. docker-compose up 을 하고 데이터를 전송 했을 때의 에러입니다.(바디 안에 phone의 값은 스크린샷으로 인해 지운 부분입니다.) docker-compse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데이터 전송 메세지입니다.도커화 시키기 전에 바로 내 컴퓨터에서는 잘 전송이 되어지는데 docker-compose했을 때에 에러가 발생을 합니다.위에는 docker-compose up명령어를 작동 시켰을때 나오는 메세지들인데 해당 건에서는 에러메세지라고 보일 만한 것들을 찾지 못하였습니다.처음에는 몽고디비 경로를 잘못 설정 한 것 같아서 강의를 다시 보고 야믈파일에서 써주었던 database경로로 네임 리졸류션 하여 설정을 해주었는데 에러가 발생을 하여 질문을 남깁니다. ㅠ-ㅠ혹시 제가 놓친 부분이나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가르쳐주신다면 감사드립니다 ㅠㅠ 에러를 해결해보기 위해 도전해본 방법은 3가지 였습니다.몽고디비 주소를 127.0.0.1:27017 에서 database:27017로 변경 후 도커빌드 -업기존에 실행되고 있던 몽고디비를 중지한 후 도커 컴포즈업 실행 도커 이미지 모두 삭제한 후 다시 빌드 업 실행 해결 방법을 아신다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