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질문1) 'Querydsl 검색처리'의 TDD 에서 에러가 나는데 도저히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그런데 섹션3 의 'Querydsl 검색처리' 영상을 다 보고 TDD 테스트를 돌리는데 계속 아래와 같은 에러가 납니다.. 몇일동안 찾아봤는데도 아예 해결이 되지 않아서 여기에 질문드리게 됐네요.. ㅠㅠ혹시 몰라 콘솔탭에 있는거 전부 다 복사해 왔습니다.강의를 파트별로 정리하면서 공부하고 있어서 앞에 Ex01 이런식으로 이름이 붙어 있습니다.왜 안되는지 도저히 모르겠어요..(게시글이 10000자 이상 안써진다고 해서 댓글에 다음 메세지들 쓰겠습니다.)(혹시 몰라서 대댓글로 코드들도 남깁니다.) . ____ _ __ _ _ /\\ / ___'_ __ _ _(_)_ __ __ _ \ \ \ \ ( ( )\___ | '_ | '_| | '_ \/ _` | \ \ \ \ \\/ ___)| |_)| | | | | || (_| | ) ) ) ) ' |____| .__|_| |_|_| |_\__, | / / / / =========|_|==============|___/=/_/_/_/ :: Spring Boot :: (v3.3.6) 2024-12-02T05:13:22.977+09:00 INFO 7780 --- [ restartedMain] c.zerock.apiserver.ApiserverApplication : Starting ApiserverApplication using Java 17.0.13 with PID 7780 (C:\Users\hykim\Desktop\apiserver\build\classes\java\main started by hykim in C:\Users\hykim\Desktop\apiserver) 2024-12-02T05:13:22.993+09:00 INFO 7780 --- [ restartedMain] c.zerock.apiserver.ApiserverApplication : No active profile set, falling back to 1 default profile: "default" 2024-12-02T05:13:23.010+09:00 INFO 7780 --- [ restartedMain] .e.DevToolsPropertyDefaultsPostProcessor : Devtools property defaults active! Set 'spring.devtools.add-properties' to 'false' to disable 2024-12-02T05:13:23.010+09:00 INFO 7780 --- [ restartedMain] .e.DevToolsPropertyDefaultsPostProcessor : For additional web related logging consider setting the 'logging.level.web' property to 'DEBUG' 2024-12-02T05:13:23.322+09:00 INFO 7780 --- [ restartedMain] .s.d.r.c.RepositoryConfigurationDelegate : Bootstrapping Spring Data JPA repositories in DEFAULT mode. 2024-12-02T05:13:23.353+09:00 INFO 7780 --- [ restartedMain] .s.d.r.c.RepositoryConfigurationDelegate : Finished Spring Data repository scanning in 28 ms. Found 1 JPA repository interface. 2024-12-02T05:13:23.632+09:00 INFO 7780 --- [ restartedMain] o.s.b.w.embedded.tomcat.TomcatWebServer : Tomcat initialized with port 8080 (http) 2024-12-02T05:13:23.638+09:00 INFO 7780 --- [ restartedMain] o.apache.catalina.core.StandardService : Starting service [Tomcat] 2024-12-02T05:13:23.638+09:00 INFO 7780 --- [ restartedMain] o.apache.catalina.core.StandardEngine : Starting Servlet engine: [Apache Tomcat/10.1.33] 2024-12-02T05:13:23.665+09:00 INFO 7780 --- [ restartedMain] o.a.c.c.C.[Tomcat].[localhost].[/] : Initializing Spring embedded WebApplicationContext 2024-12-02T05:13:23.665+09:00 INFO 7780 --- [ restartedMain] w.s.c.ServletWebServerApplicationContext : Root WebApplicationContext: initialization completed in 655 ms 2024-12-02T05:13:23.733+09:00 INFO 7780 --- [ restartedMain] o.hibernate.jpa.internal.util.LogHelper : HHH000204: Processing PersistenceUnitInfo [name: default] 2024-12-02T05:13:23.761+09:00 INFO 7780 --- [ restartedMain] org.hibernate.Version : HHH000412: Hibernate ORM core version 6.5.3.Final 2024-12-02T05:13:23.777+09:00 INFO 7780 --- [ restartedMain] o.h.c.internal.RegionFactoryInitiator : HHH000026: Second-level cache disabled 2024-12-02T05:13:23.936+09:00 INFO 7780 --- [ restartedMain] o.s.o.j.p.SpringPersistenceUnitInfo : No LoadTimeWeaver setup: ignoring JPA class transformer 2024-12-02T05:13:23.951+09:00 INFO 7780 --- [ restartedMain]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tarting... 2024-12-02T05:13:23.989+09:00 INFO 7780 --- [ restartedMain]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HikariPool-1 - Added connection org.mariadb.jdbc.Connection@6303bda2 2024-12-02T05:13:23.990+09:00 INFO 7780 --- [ restartedMain]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tart completed. 2024-12-02T05:13:24.411+09:00 INFO 7780 --- [ restartedMain] o.h.e.t.j.p.i.JtaPlatformInitiator : HHH000489: No JTA platform available (set 'hibernate.transaction.jta.platform' to enable JTA platform integration) 2024-12-02T05:13:24.438+09:00 INFO 7780 --- [ restartedMain] j.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 : Initialized JPA EntityManagerFactory for persistence unit 'default' 2024-12-02T05:13:24.535+09:00 WARN 7780 --- [ restartedMain] ConfigServletWebServerApplicationContext : Exception encountered during context initialization - cancelling refresh attemp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ex04_10_TodoServiceImpl' defined in file [C:\Users\hykim\Desktop\apiserver\build\classes\java\main\com\zerock\apiserver\service\Ex04_10_TodoServiceImpl.class]: Unsatisfied dependency expressed through constructor parameter 0: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ex04_13_TodoRepository' defined in com.zerock.apiserver.repository.Ex04_13_TodoRepository defined in @EnableJpaRepositories declared on JpaRepositoriesRegistrar.EnableJpaRepositoriesConfiguration: Could not create query for public abstract org.springframework.data.domain.Page com.zerock.apiserver.repository.search.Ex04_11_TodoSearch.search1(com.zerock.apiserver.dto.Ex04_7_PageRequestDto); Reason: Paging query needs to have a Pageable parameter; Offending method: public abstract org.springframework.data.domain.Page com.zerock.apiserver.repository.search.Ex04_11_TodoSearch.search1(com.zerock.apiserver.dto.Ex04_7_PageRequestDto) 2024-12-02T05:13:24.535+09:00 INFO 7780 --- [ restartedMain] j.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 : Closing JPA EntityManagerFactory for persistence unit 'default' 2024-12-02T05:13:24.537+09:00 INFO 7780 --- [ restartedMain]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hutdown initiated... 2024-12-02T05:13:24.538+09:00 INFO 7780 --- [ restartedMain]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hutdown completed. 2024-12-02T05:13:24.539+09:00 INFO 7780 --- [ restartedMain] o.apache.catalina.core.StandardService : Stopping service [Tomcat] 2024-12-02T05:13:24.545+09:00 INFO 7780 --- [ restartedMain] .s.b.a.l.ConditionEvaluationReportLogger : Error starting ApplicationContext. To display the condition evaluation report re-run your application with 'debug' enabled. 2024-12-02T05:13:24.556+09:00 ERROR 7780 --- [ restartedMain] o.s.boot.SpringApplication : Application run failed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ex04_10_TodoServiceImpl' defined in file [C:\Users\hykim\Desktop\apiserver\build\classes\java\main\com\zerock\apiserver\service\Ex04_10_TodoServiceImpl.class]: Unsatisfied dependency expressed through constructor parameter 0: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ex04_13_TodoRepository' defined in com.zerock.apiserver.repository.Ex04_13_TodoRepository defined in @EnableJpaRepositories declared on JpaRepositoriesRegistrar.EnableJpaRepositoriesConfiguration: Could not create query for public abstract org.springframework.data.domain.Page com.zerock.apiserver.repository.search.Ex04_11_TodoSearch.search1(com.zerock.apiserver.dto.Ex04_7_PageRequestDto); Reason: Paging query needs to have a Pageable parameter; Offending method: public abstract org.springframework.data.domain.Page com.zerock.apiserver.repository.search.Ex04_11_TodoSearch.search1(com.zerock.apiserver.dto.Ex04_7_PageRequestDto)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ConstructorResolver.createArgumentArray(ConstructorResolver.java:795) ~[spring-beans-6.1.15.jar:6.1.15]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ConstructorResolver.autowireConstructor(ConstructorResolver.java:237) ~[spring-beans-6.1.15.jar:6.1.15]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autowireConstructor(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375) ~[spring-beans-6.1.15.jar:6.1.15]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createBeanInstance(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212) ~[spring-beans-6.1.15.jar:6.1.15]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doCreat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562) ~[spring-beans-6.1.15.jar:6.1.15]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creat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522) ~[spring-beans-6.1.15.jar:6.1.15]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lambda$doGetBean$0(AbstractBeanFactory.java:337) ~[spring-beans-6.1.15.jar:6.1.15]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SingletonBeanRegistry.getSingleton(DefaultSingletonBeanRegistry.java:234) ~[spring-beans-6.1.15.jar:6.1.15]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do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335) ~[spring-beans-6.1.15.jar:6.1.15]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200) ~[spring-beans-6.1.15.jar:6.1.15]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preInstantiateSingletons(DefaultListableBeanFactory.java:975) ~[spring-beans-6.1.15.jar:6.1.15]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finishBeanFactoryInitialization(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971) ~[spring-context-6.1.15.jar:6.1.15]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refresh(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625) ~[spring-context-6.1.15.jar:6.1.15] at org.springframework.boot.web.servlet.context.ServletWebServerApplicationContext.refresh(ServletWebServerApplicationContext.java:146) ~[spring-boot-3.3.6.jar:3.3.6]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efresh(SpringApplication.java:754) ~[spring-boot-3.3.6.jar:3.3.6]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efreshContext(SpringApplication.java:456) ~[spring-boot-3.3.6.jar:3.3.6]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un(SpringApplication.java:335) ~[spring-boot-3.3.6.jar:3.3.6]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un(SpringApplication.java:1363) ~[spring-boot-3.3.6.jar:3.3.6]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REQUIRES_NEW를 호출한 트랜잭션의 롤백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영한님 !REQUIRES_NEW는 완전히 물리적으로 트랜잭션이 분리되어REQUIRED(A 메서드)에서 REQUIRES_NEW(B 메서드)를호출 했을 때 B 메서드에 발생한 예외가 A 메서드에 전파되지 않는다고 이해했습니다.실제 확인을 위해 아래 코드를 구성해@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MeetingService { private final MeetingRepository meetingRepository; private final MemberService memberService; @Transactional public void save() { meetingRepository.save(new Meeting("스터디 모임", LocalDate.now(), LocalTime.now(), "AB3AS2EG")); memberService.save(); } @Transactional(readOnly = true) public List<Meeting> findAll() { return meetingRepository.findAll(); } } @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MemberService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Transactional(propagation = Propagation.REQUIRES_NEW) public void save() { memberRepository.save(new Member("김철수"));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 } @Transactional(readOnly = true) public List<Member> findAll() { return memberRepository.findAll(); } }아래 테스트 코드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Test void test() { assertThatThrownBy(() -> meetingService.save()) .isInstanceOf(IllegalArgumentException.class); // 롤백 여부 확인 List<Meeting> meetings = meetingService.findAll(); List<Member> members = memberService2.findAll(); assertThat(meetings).isEmpty(); assertThat(members).isEmpty(); }결과를 로그로 분석해보니 MemberService의 트랜잭션은 독립적으로 롤백 발생한 예외가 MeetingService로 전파 전파된 예외로 인해 MeetingService의 트랜잭션도 롤백이런식으로 흐름이 진행됐습니다. 제가 추측하기로는 물리적으로 분리는 되어 있지만 하나의 스레드에서 생긴 커넥션이고 자바의 예외 전파 메커니즘에 따라A 메서드에서 호출한 B 메서드의 예외가 A 메서드에 전파된 것이 아닌가 생각을 했는데요REQUIRES_NEW 사용 시 예외가 전파 되지 않는다. 라고 이해를 했어서 제가 실험한 결과가 맞는지 간과한 부분이 있었던 것인지 궁금합니다 !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연관관계가 없는 조인
연관관계가 없는 조인에 대해 설명하신 부분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보통 연관관계가 없다고 한다면 외래키로 연결되지 않는 두개의 테이블 이라고 생각할텐데 강의에서는 두 테이블 간 연관관계는 존재하고 연관관계의 컬럼으로 조인하는것이 아닌 , 다른 컬럼으로 조인하는것을 연관관계가 없는 조인이라고 설명하시는것 같아 혼동이 옵니다. 연관관계가 없는 조인 의 경우 두 테이블 간에 외래키가 없는경우에도 연관관계 없는 조인이 가능한건지 아니면 외래키는 있지만 외래키 조인이 아닌 다른 컬럼으로 조인할수 있는것을 연관관계가 없는 조인이라고 하시는건지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Spring Boot를 활용하여 채팅 플랫폼 만들어보기
JwtProvider 를 Component 로 선언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지식공유자님. 강의에서 JwtProvider 에 @Component 어노테이션을 선언하셔서 스프링이 관리하도록 의도하신 것 같습니다. 그런데, 함수에 static 을 모두 붙이시고, 사용하는 쪽에서는 bean 으로 등록 하지 않고 static util 처럼 사용하시는 것을 확인했습니다.질문은 두가지 입니다.@Component 를 선언하셨음에도 static 메서드를 authService 에서 사용하신 이유가 있으신지.빈으로 만들고서도 static 함수로 사용하는 것에 이점이 있는 것인지.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안녕하세요 코드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최태현 강사님의 강의를 들으며 잘 배우고 있습니다!강사님의 코드를 보고 이해하며 따라가다가도 코드를 잘못 작성해 오류가 뜨는 경우가 많아 강사님 코드 전체를 보고 클론코딩을 하고 싶어 글 올립니다! 혹시 전체 코드를 받을 수 있을까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재고 엔티티 설계
안녕하세요 이번에 강의를 들으면서 동시성 문제를 실제 프로젝트에서 해결해보자는 취지에 엔티티 설계에 대한 고민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public class Item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no; // 상품 : 품목 = 1 : N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prod_no", nullable = false) private Product product; @Column(name = "thumbnail_img_url") private String thumbNailImgUrl; // 대표 이미지 경로 // 품목옵션에 대한 필드 리스트 @OneToMany(mappedBy = "item", cascade = CascadeType.ALL, orphanRemoval = true) private List<ItemOption> itemOptions = new ArrayList<>(); private String code; // 품목코드 -> 상품코드 + 1 을 붙인 것 private String name; // 품목명 -> 옵션 그룹 + 옵션 값 @Column(name = "add_price", precision = 10, scale = 2) private Integer addPrice; // 추가금액 private Integer totalPrice; // 정상가격(원가) + 추가금액 private Integer qty; // 재고량 @Column(name = "saf_qty") private Integer safQty; // 안전재고량 @Enumerated(EnumType.STRING) private ProductSellingStatus sellingStatus; // 판매 상태 @Column(name = "max_qty") private Integer maxQty; // 최대 구매 수량 @Column(name = "min_qty") private Integer minQty; // 최소 구매 수량 } 현재 품목 엔티티라는 엔티티가 있습니다. 이 엔티티는 상품 + 옵션이 결합된 형태입니다. 그래서 재고 필드를 해당 엔티티에 정의 해주었습니다.근데 여기서 들었던 의문점이 " 재고 엔티티를 따로 정의를 안해줘도 괜찮을까? " 라는 의문점이 들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일단 확장성을 고려하지 않고 구현을 하게 된다면 이대로 품목 엔티티가 재고 필드를 가지고 있는 것도 괜찮을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확장성을 고려하게 된다면 재고 엔티티를 정의해 품목 엔티티와 일대일 관계를 갖도록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였습니다." 확장성을 제외한 동시성 제어만을 고려했을 때 해당 설계도 괜찮을까? " 와 " 더 나은 설계는 무엇이 있을까? "에 대하여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PathVariable과 @RequestBody의 차이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PatchMapping("/api/v2/members/{id}") public UpdateMemberResponse updateMember(@PathVariable("id") Long id, @RequestBody @Valid UpdateMemberRequest updateMemberRequest) { 수정 api는 위와 같은 주소를 이용합니다.근데 사실 UpdateMemberRequest에 id라는 필드를 넣고 주소를 /api/v2/members 로 둬도 상관 없지 않나요?id를 PathVariable로 뺀 이유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탬플릿 엔진을 사용할때는 DTO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엔티티를 api로 넘겨주면 엔티티가 수정됐을때 api가 오염될 수 있는 문제가 있어서 응답에 DTO를 보내준다고 이해했습니다.근데 이 문제는 탬플릿 엔진을 사용해 화면을 출력할때도 문제가 되지 않나요?1편에서 타임리프에 값을 넣을때는 DTO를 이용하지 않은 이유가 궁금합니다.혹시 컴파일 단계에서 오류가 나기 때문인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강사님 스프링 시큐리티,oauth관련
강의는 계획이 없으실까요..어떻게 공부해야할지 모르겠어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port 안 죽는 문제
>java -jar jpashop-0.0.1-SNAPSHOT.jar 하는 단계에서 계속 오류가 납니다...Web server failed to start. Port 8080 was already in use. 라고요...8080포트가 사용중이라는데 cmd 관리자권한으로 실행해서 8080의 pid 는 찾아도 taskkill 이 안돼요이렇게 뜨고 인터넷창에서 8080 접속하면 static 폴더 안에 있는 파일인 이 페이지가 떠요.... 왜이럴까요? 계속 해도 안되네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단축키 작동 안됨
단축키 설정을 했는데 tdd 도 안되고 sout 도 안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참고로 build.gradle 파일은 아래와 같습니다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4.0'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6' } group = 'jpabook' version = '0.0.1-SNAPSHOT' java { toolchain { languageVersion = JavaLanguageVersion.of(17) } }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hymeleaf'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runtimeOnly 'com.h2database:h2'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 exclude group: 'org.junit.vintage', module: 'junit-vintage-engine' } testImplementation 'junit:junit:4.13.2' } tasks.withType(Test) { useJUnitPlatform()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junit 안됨
https://drive.google.com/file/d/1M-NYH5etfTZPV5kMZzuiOWaBjA7bR3XR/view?usp=sharing위는 제 프로젝트 파일입니다 강의 파일에 나와있는부분을 복붙해도 오류나고testImplementation("junit:junit:4.13.2")이렇게 해도 오류납니다.Assert 부터 안되는데 뭐가 잘못된걸까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컬렉션 조회 관련
배운거를 적용하면서 쿼리 개선을 하고 있었는데, 혼자 해결해보려고 했으나 컬렉션 조회가 같이 섞이면서 이해가 잘 안 되는 것 같아 질문을 남기게 되었습니다.게시글 목록을 불러올때 태그이름 리스트를 같이 필요하기 때문에 관련 memePostTags와 Tag까지 같이 조회를 해야하는 상황입니다.테이블 관계가 MemePost 1 : N MemePostTag 1 : 1 Tag 이렇게 되어있을때getMemePost5 메서드와 getMemePost6메서드 둘 중에 어느 것이 더 나은 방법인지, 아니면 더 나은 다른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getMemePost5의 경우는 MemePostTagRepository에서 Tag까지 fetch join으로 불러오고, Map 객체에 postId를 key로 저장해서 태그 이름을 조회합니다.getMemePost6의 경우는 페이징으로 조회한 후 postIds를 in절로 postTag와 tag를 fetch join합니다. 컬렉션 조회의 경우 페이징을 안할 경우 fetch join으로, 페이징을 할 경우 batch size로 하라는 것까지는 이해가 되었는데, 이 경우에는 postTags를 batch size로 가져오고, 그에 다한 tag도 batchsize로 가져와 추가로 두번의 쿼리가 더 나가게 되어서 다른 방법을 고안해내다가 점점 미궁으로 빠지는 것 같아서 질문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 public Slice<MemePostSummaryResponse> getMemePosts5(int page, int size, MemePostSort postSort, Long userId) { Pageable pageable = PageRequest.of(page, size, postSort.toSort()); Slice<MemePost> memePostSlice = memePostRepository.findSliceAll(pageable); List<Long> postIds = getPostIds(memePostSlice.getContent()); // MemePostTag와 Tag를 한번에 fetch join 하나의 쿼리로 하되, MemePostTagRepository에서 entitygraph를 통해 fetch join Map<Long, List<String>> postTagNames = memePostTagRepository.findTagsByMemePostIdIn(postIds) .stream() .collect(groupingBy(tag -> tag.getMemePost().getId(), mapping(tag -> tag.getTag().getName(), toList()))); //좋아요도 하나의 쿼리로 Set<Long> likedPostIds = new HashSet<>(memePostRepository.findLikedPostIds(postIds, user)); List<MemePostSummaryResponse> responses = memePostSlice.getContent().stream() .map(mp -> new MemePostSummaryResponse( mp, likedPostIds.contains(mp.getId()), postTagNames.getOrDefault(mp.getId(), Collections.emptyList()) )) .toList(); return new SliceImpl<>(responses, pageable, memePostSlice.hasNext()); } public Slice<MemePostSummaryResponse> getMemePosts6(int page, int size, MemePostSort postSort, Long userId) { Pageable pageable = PageRequest.of(page, size, postSort.toSort()); Slice<MemePost> memePostSlice = memePostRepository.findSliceAll(pageable); List<Long> postIds = getPostIds(memePostSlice.getContent()); // MemePostTag와 Tag를 한번에 fetch join memePostRepository.findAllWithTagsInPostIds(postIds); //좋아요도 하나의 쿼리로 Set<Long> likedPostIds = new HashSet<>(memePostRepository.findLikedPostIds(postIds, user)); List<MemePostSummaryResponse> responses = memePostSlice.getContent().stream() .map(mp -> new MemePostSummaryResponse( mp, likedPostIds.contains(mp.getId()), mp.getTagNames() )) .toList(); return new SliceImpl<>(responses, pageable, memePostSlice.hasNext()); } public interface MemePost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MemePost, Long>, MemePostRepositoryCustom { @Query("SELECT mp FROM MemePost mp where mp.deletedAt IS NULL") Slice<MemePost> findSliceAll(Pageable pageable); @Query("SELECT mp.id FROM MemePost mp " + "JOIN MemePostLike mpl ON mpl.memePost = mp " + "WHERE mp.id IN :postIds AND mpl.user = :user") List<Long> findLikedPostIds(@Param("postIds") List<Long> postIds, @Param("user") User user); @Query("SELECT mp FROM MemePost mp " + "LEFT JOIN FETCH mp.memePostTags mpt " + "LEFT JOIN FETCH mpt.tag " + "WHERE mp.id In :postIds") List<MemePost> findAllWithTagsInPostIds(@Param("postIds") List<Long> postIds); } public interface MemePostTag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MemePostTag, Long> { @EntityGraph(attributePaths = {"tag"}) List<MemePostTag> findAllByMemePostId(Long postId); @EntityGraph(attributePaths = {"tag"}) List<MemePostTag> findTagsByMemePostIdIn(List<Long> memePostIds); } public class MemePost { public List<String> getTagNames() { return memePostTags.stream() .map(mpt -> mpt.getTag().getName()) .toList(); } }
-
미해결실전! Querydsl
Querydsl 취약점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최근 querydsl 공부를 시작하려고 정보를 찾던 중 querydsl에 대한 SQL Injection 에 관한 내용을 보고 김영한님의 생각이 궁금합니다!그리고 querydsl 지원중단 얘기를 보기도 해서 이런 취약점이 나올 때마다 빠른 대응이 되는지 역시 궁금합니다!! https://www.csirt.sk/querydsl-java-library-vulnerability-permits-sql-hql-injection.html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Builder 관련 문의
생성자를 private로 하고 그 위에 빌더패턴을 사용하는데,이러면은 결국에 모든 곳에서 생성자에 접근 가능하다는 얘기인데 private를 쓰고 builder를 하시는 이유가 있나요 ?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N:1 관계에서 delete 질문있습니다.
@Entity @Builder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Getter @Setter public class Member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Column private String username; @ManyToOne @JoinColumn(name = "team_id") private Team team; } @Entity @Builder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Getter @Setter public class Team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 try { tx.begin(); Team team = new Team().builder() .name("teamA") .build(); em.persist(team); Member member = new Member().builder() .username("member1") .team(team) .build(); em.persist(member); em.flush(); em.clear(); Member findMember = em.find(Member.class, member.getId()); Team findTeam = findMember.getTeam(); em.remove(findTeam); tx.commit(); } catch (Exception e) { tx.rollback(); } finally { em.close(); }findTeam을 remove하기 전에 findMember.setTeam(null) 이런 식으로 팀과의 연관 관계를 null로 만들고 삭제하지 않았는데 에러가 발생하지 않고, 데이터베이스에서 member 정보와 team 정보 모두 삭제됩니다. CASCADE 설정이 되어 있는 건 아닌데 왜 이렇게 동작하는 걸까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프로젝트 생성시 dependencies에 spring web starter 안뜸
dependencies에 spring web strater 검색해도 안뜨는데 어떡해야하나요??
-
해결됨Spring Boot를 활용하여 채팅 플랫폼 만들어보기
안녕하세요 연관관계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지식공유자님.User 클래스의 credentials 필드에 lazy loading 관련하여 설명을 해주셨는데요, 제가 알기로는 mappedBy 가 있는 쪽에서는 LAZY 로딩이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즉, 연관관계의 주인인 UserCredentails 쪽에만 적용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이 드는데 제 생각이 맞을까요?
-
해결됨Spring Boot를 활용하여 채팅 플랫폼 만들어보기
안녕하세요 MySqlConfig 설정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지식 공유자님.MySqlConfig 클래스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yml 에 이미 mysql 정보들을 설정했는데 MySqlConfig 클래스에서도 @Value 를 통해 설정정보를 또 작성하는 것은 무엇을 위함인것일까요?제가 알기로는 Spring Boot의 자동 설정이 application.yml의 설정들을 자동으로 읽어와서 DataSource bean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다시 작성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똑같이 코딩했는데 널익셉션이 떴는지 모르겠습니다
실전! 스프링데이터 jpa에서8강을 듣고있는데 memberRepository 파일도 영상과 똑같이 코딩했는데 왜 안되는지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