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자동 생성
안녕하세요.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자동 생성과 관련하여 질문드릴게 있습니다.DDL을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점에 자동 생성하는것과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자동생성하는것이 어떤 연관관계가 있는것인가요?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자동 생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해주시지않은거 같아서 질문드립니다.JPA에서는 DDL을 애플리케이션 실행시점에 자동으로 생성해서 테이블을 생성해주는데, 이때 엔티티클래스와 매핑정보를 바탕으로 CREATE TABLE 쿼리 내에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인 테이블이름이나 컬럼의 데이터 타입이나 제약조건 등등을 자동으로 생성해주는것인가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7장 실전예제 8:10 다대다 관계 연관관계의 주인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item 엔티티에 양방향을 설정하는 부분을 보다 의문이 생겨 질문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다대다 관계의 경우, 외래키가 중간 테이블에 있게 되는데 현 강의에서는 카테코리에서 join table로 만들어준 다음, item에 양방향으로 mappedby를 하는데 혹시 그렇다면 반대로 item에서 jointable로 중간 테이블을 만들어주고, 카테고리에서 양방향으로 mappedby로 조회하는 것도 가능할까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jwtUtil.js의 beforeRes에서 accessToken을 refresh 했을 경우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jwtUtil.js 의 beforeRes 함수에서 아래 코드 관련 문의사항이 있습니다. // "ERROR_ACCESS_TOKEN" => JWTCheckFilter에서 어떠한 이유에서든 오류가 발생 시 if (data && data.error === 'ERROR_ACCESS_TOKEN') { const memberCookieValue = getCookie("member"); const result = await refreshJWT(memberCookieValue.accessToken, memberCookieValue.refreshToken); console.log("refreshJWT RESULT", result); memberCookieValue.accessToken = result.accessToken; memberCookieValue.refreshToken = result.refreshToken; setCookie("member", JSON.stringify(memberCookieValue), 1); // 원래의 호출 const originalRequest = res.config; originalRequest.headers.Authorization = `Bearer ${result.accessToken}`; return await axios(originalRequest); }위 코드를 보면, accessToken (또는 refreshToken이 같이) 새로 발급된 후, setCookie 함수로 cookie에는 새롭게 갱신된 accessToken/refreshToken을 저장하고 있지만, redux store에는 갱신된 token 정보들을 업데이트 하지 않고 있는 것 같습니다. (loginSlice의 reducer를 호출하지 않고 있네요...) 혹시 redux store에도 새롭게 refresh된 token들을 저장하고 싶다면, 어느 부분에서 처리해야 할까요?감사합니다.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MySQL 연결 에러
안녕하세요. 실습 도중 MySQL이 연결되지 않아서 실습을 진행할 수 없어 문의를 남기게 되었습니다. 서버 자체는 실행이되는데 아래 사진처럼 사용자 등록, 책 등록을 하거나 목록으로 들어가려 하면 서버 내부 오류라는 메세지가 뜹니다.DB를 통해서 확인해 보려고 해도 'Connection refused: connect'이런 오류 메세지만 뜨고 실행이 되지 않습니다.데이터 베이스의 properties에 들어가서 다시 연결해보려고 했는데, 아래의 연결 코드와 같이 뜨고 연결이 되지 않습니다.DBMS: MySQL (ver. 8.0.40)Case sensitivity: plain=lower, delimited=lowerDriver: MySQL Connector/J (ver. mysql-connector-j-8.2.0 (Revision: 06a1f724497fd81c6a659131fda822c9e5085b6c), JDBC4.2)Connection refused: connect. MySQL Command Line Client로 들어가서 초기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에러 메세지가 뜨지 않고 그대로 종료됩니다. 검색해보니 MySQL 서버가 실행되지 않아서 그런 거라고 해서 MySQL 서비스 시작을 하려고 했는데이런 메세지만 뜨고 서비스 상태가 '중지됨'으로 나오는데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에러 로그2025-01-11 17:09:37.285 ERROR 17852 --- [ main]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HikariPool-1 - Exception during pool initialization.com.mysql.cj.jdbc.exceptions.CommunicationsException: Communications link failureThe last packet sent successfully to the server was 0 milliseconds ago. The driver has not received any packets from the server.at com.mysql.cj.jdbc.exceptions.SQLError.createCommunicationsException(SQLError.java:174) ~[mysql-connector-j-8.0.31.jar:8.0.31]at com.mysql.cj.jdbc.exceptions.SQLExceptionsMapping.translateException(SQLExceptionsMapping.java:64) ~[mysql-connector-j-8.0.31.jar:8.0.31]at com.mysql.cj.jdbc.ConnectionImpl.createNewIO(ConnectionImpl.java:828) ~[mysql-connector-j-8.0.31.jar:8.0.31]at com.mysql.cj.jdbc.ConnectionImpl.<init>(ConnectionImpl.java:448) ~[mysql-connector-j-8.0.31.jar:8.0.31]at com.mysql.cj.jdbc.ConnectionImpl.getInstance(ConnectionImpl.java:241) ~[mysql-connector-j-8.0.31.jar:8.0.31]at com.mysql.cj.jdbc.NonRegisteringDriver.connect(NonRegisteringDriver.java:198) ~[mysql-connector-j-8.0.31.jar:8.0.31]at com.zaxxer.hikari.util.DriverDataSource.getConnection(DriverDataSource.java:138) ~[HikariCP-4.0.3.jar:na]at com.zaxxer.hikari.pool.PoolBase.newConnection(PoolBase.java:364) ~[HikariCP-4.0.3.jar:na]at com.zaxxer.hikari.pool.PoolBase.newPoolEntry(PoolBase.java:206) ~[HikariCP-4.0.3.jar:na]at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createPoolEntry(HikariPool.java:476) ~[HikariCP-4.0.3.jar:na]at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checkFailFast(HikariPool.java:561) ~[HikariCP-4.0.3.jar:na]at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init>(HikariPool.java:115) ~[HikariCP-4.0.3.jar:na]at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getConnection(HikariDataSource.java:112) ~[HikariCP-4.0.3.jar:na]at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DatasourceConnectionProviderImpl.getConnection(DatasourceConnectionProviderImpl.java:122) ~[hibernate-core-5.6.14.Final.jar:5.6.14.Final]at org.hibernate.engine.jdbc.env.internal.JdbcEnvironmentInitiator$ConnectionProviderJdbcConnectionAccess.obtainConnection(JdbcEnvironmentInitiator.java:181) ~[hibernate-core-5.6.14.Final.jar:5.6.14.Final]at org.hibernate.engine.jdbc.env.internal.JdbcEnvironmentInitiator.initiateService(JdbcEnvironmentInitiator.java:68) ~[hibernate-core-5.6.14.Final.jar:5.6.14.Final]at org.hibernate.engine.jdbc.env.internal.JdbcEnvironmentInitiator.initiateService(JdbcEnvironmentInitiator.java:35) ~[hibernate-core-5.6.14.Final.jar:5.6.14.Final]at org.hibernate.boot.registry.internal.StandardServiceRegistryImpl.initiateService(StandardServiceRegistryImpl.java:101) ~[hibernate-core-5.6.14.Final.jar:5.6.14.Final]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create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63) ~[hibernate-core-5.6.14.Final.jar:5.6.14.Final]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initialize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37) ~[hibernate-core-5.6.14.Final.jar:5.6.14.Final]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get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14) ~[hibernate-core-5.6.14.Final.jar:5.6.14.Final]at org.hibernate.id.factory.internal.DefaultIdentifierGeneratorFactory.injectServices(DefaultIdentifierGeneratorFactory.java:175) ~[hibernate-core-5.6.14.Final.jar:5.6.14.Final]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injectDependencies(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86) ~[hibernate-core-5.6.14.Final.jar:5.6.14.Final]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initialize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43) ~[hibernate-core-5.6.14.Final.jar:5.6.14.Final]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get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14) ~[hibernate-core-5.6.14.Final.jar:5.6.14.Final]at org.hibernate.boot.internal.InFlightMetadataCollectorImpl.<init>(InFlightMetadataCollectorImpl.java:173) ~[hibernate-core-5.6.14.Final.jar:5.6.14.Final]at org.hibernate.boot.model.process.spi.MetadataBuildingProcess.complete(MetadataBuildingProcess.java:127) ~[hibernate-core-5.6.14.Final.jar:5.6.14.Final]at org.hibernate.jpa.boot.internal.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metadata(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java:1460) ~[hibernate-core-5.6.14.Final.jar:5.6.14.Final]at org.hibernate.jpa.boot.internal.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build(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java:1494) ~[hibernate-core-5.6.14.Final.jar:5.6.14.Final]at org.springframework.orm.jpa.vendor.SpringHibernateJpaPersistenceProvider.createContainerEntityManagerFactory(SpringHibernateJpaPersistenceProvider.java:58) ~[spring-orm-5.3.24.jar:5.3.24]at org.springframework.orm.jpa.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createNativeEntityManagerFactory(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java:365) ~[spring-orm-5.3.24.jar:5.3.24]at org.springframework.orm.jpa.AbstractEntityManagerFactoryBean.buildNativeEntityManagerFactory(AbstractEntityManagerFactoryBean.java:409) ~[spring-orm-5.3.24.jar:5.3.24]at org.springframework.orm.jpa.AbstractEntityManagerFactoryBean.afterPropertiesSet(AbstractEntityManagerFactoryBean.java:396) ~[spring-orm-5.3.24.jar:5.3.24]at org.springframework.orm.jpa.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afterPropertiesSet(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java:341) ~[spring-orm-5.3.24.jar:5.3.24]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invokeInitMethods(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863) ~[spring-beans-5.3.24.jar:5.3.24]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initializ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800) ~[spring-beans-5.3.24.jar:5.3.24]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doCreat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620) ~[spring-beans-5.3.24.jar:5.3.24]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creat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542) ~[spring-beans-5.3.24.jar:5.3.24]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lambda$doGetBean$0(AbstractBeanFactory.java:335) ~[spring-beans-5.3.24.jar:5.3.24]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SingletonBeanRegistry.getSingleton(DefaultSingletonBeanRegistry.java:234) ~[spring-beans-5.3.24.jar:5.3.24]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do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333) ~[spring-beans-5.3.24.jar:5.3.24]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208) ~[spring-beans-5.3.24.jar:5.3.24]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getBean(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1154) ~[spring-context-5.3.24.jar:5.3.24]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finishBeanFactoryInitialization(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908) ~[spring-context-5.3.24.jar:5.3.24]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refresh(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583) ~[spring-context-5.3.24.jar:5.3.24]at org.springframework.boot.web.servlet.context.ServletWebServerApplicationContext.refresh(ServletWebServerApplicationContext.java:147) ~[spring-boot-2.7.6.jar:2.7.6]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efresh(SpringApplication.java:731) ~[spring-boot-2.7.6.jar:2.7.6]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efreshContext(SpringApplication.java:408) ~[spring-boot-2.7.6.jar:2.7.6]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un(SpringApplication.java:307) ~[spring-boot-2.7.6.jar:2.7.6]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un(SpringApplication.java:1303) ~[spring-boot-2.7.6.jar:2.7.6]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un(SpringApplication.java:1292) ~[spring-boot-2.7.6.jar:2.7.6]at com.group.libraryapp.LibraryAppApplication.main(LibraryAppApplication.java:10) ~[main/:na]Caused by: com.mysql.cj.exceptions.CJCommunicationsException: Communications link failure
-
미해결실전! Querydsl
이 로그는 히카리 설정 누락인가요 ?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영한님 query dsl 환경설정을 마쳤습니다..clean 과 build 수행가능하고.. 어플리케이션 run을해보면 Database JDBC URL [Connecting through datasource 'HikariDataSource (HikariPool-1)'] Database driver: undefined/unknown Database version: 2.3.232 Autocommit mode: undefined/unknown Isolation level: undefined/unknown Minimum pool size: undefined/unknown Maximum pool size: undefined/unknown로그가나오는데 나머지 로그를 봐서는 문제없어 보이는데 이게 뭔지 궁금합니다 구글링해보니 히카리 설정을 안줬다고 해서 hikari: maximum-pool-size: 10 connection-timeout: 5000 connection-init-sql: SELECT 1 validation-timeout: 2000 minimum-idle: 10 idle-timeout: 600000 max-lifetime: 1800000이렇게 설정을 줘봤는데 똑같은 로그가 나와서...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이거환경설정 정말 ㅋㅋㅋ 손많이가네용..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31강 UserServiceV2 오류
31강에서 BookService 클래스에 강의와 똑같이 코드를 작성하였는데 실행하면 UserServiceV2 오류가 발생합니다.UserRepository의 Optional<User> 형식을 받지 못해서 생기는 오류인 것 같은데, 어떻게 수정해야 하나요?error: incompatible types: Optional<User> cannot be converted to UserUser user = userRepository.findByName(name);^UserServiceV2.java @Transactional public void deleteUser(String name) { //SELECT * FROM user WHERE name = ? User user = userRepository.findByName(name); if (user == null)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 } userRepository.delete(user); }BookService.java@Transactional public void loanBook(BookLoanRequest request){ //1. 책 정보 가져오기 Book book = bookRepository.findByName(request.getBookName()).orElseThrow(IllegalArgumentException::new); //2. 대출 기록 정보 확인하여 대출 중인지 확인 //3. 대출 중이면 예외 발생 if(userLoanHistoryRepository.existsByBookNameAndIsReturn(book.getName(), false)){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진작 대출되어 있는 책입니다."); } //4. 유저 정보 가져오기 User user = userRepository.findByName(request.getUserName()) .orElseThrow(IllegalArgumentException::new); //5. 유저 정보와 책 정보 기반 UserLoanHistory 저장 userLoanHistoryRepository.save(new UserLoanHistory(user.getId(), book.getName())); }UserRepository.javapackage com.group.libraryapp.domain.user; impor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JpaRepository; import java.util.Optional; public interface Us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User, Long> { Optional<User> findByName(String name); }우선 오류를 없애기 위해 UserRepository에서 Optional을 빼고 null처리를 하도록 수정하였는데, 실행 시 오류는 없지만 웹UI로 테스트하면 서버 내부 오류가 발생했다고 뜹니다. 어떻게 수정해야 제대로 처리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추가로 이렇게 수정하였을 때, 이후 코드를 작성할 때 Optional 형식이 아니어서 발생하는 다른 오류가 없는지도 궁금합니다.UserRepository.javapackage com.group.libraryapp.domain.user; impor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JpaRepository; import java.util.Optional; public interface Us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User, Long> { User findByName(String name); }BookService.java@Transactional public void loanBook(BookLoanRequest request){ //1. 책 정보 가져오기 Book book = bookRepository.findByName(request.getBookName()).orElseThrow(IllegalArgumentException::new); //2. 대출 기록 정보 확인하여 대출 중인지 확인 //3. 대출 중이면 예외 발생 if(userLoanHistoryRepository.existsByBookNameAndIsReturn(book.getName(), false)){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진작 대출되어 있는 책입니다."); } //4. 유저 정보 가져오기 User user = userRepository.findByName(request.getUserName()); if(user == null){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 } //5. 유저 정보와 책 정보 기반 UserLoanHistory 저장 userLoanHistoryRepository.save(new UserLoanHistory(user.getId(), book.getName())); }UserServiceV2.java @Transactional public void deleteUser(String name) { //SELECT * FROM user WHERE name = ? User user = userRepository.findByName(name); if (user == null)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 } userRepository.delete(user); }
-
해결됨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npx create-react-app mall 에러가 납니다
호환성 문제라고 본거같아서 이것저것 google에있는거 해보고 밀고 해보고 밀고 해봤는데도 안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영속성 컨텍스트 스냅샷 갱신 시점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flush()를 할 때 영속성 컨텍스트 스냅샷이 갱신되는 지 확인받고 싶습니다. 다른 질문에서 해당 내용을 찾지 못했고, Baeldung과 같은 사이트, 또는 다른 블로그 글들에서 이와 같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곳이 없어 ChatGPT를 통해 확인했지만, 여전히 확신이 서는 곳에서 답변을 받은 것이 아니기에 질문 남겼습니다.다음과 같은 코드를 실행할 때,EntityTransaction tx = em.getTransaction(); tx.begin(); // id는 1L, name은 AAA인 Member 엔티티 Member memberA = new Member(1L, "AAA"); em.persist(memberA); em.flush(); memberA.setName("NOTA"); tx.commit();flush를 직접 호출하는 시점은 영속성 컨텍스트에는 memberA에 대한 엔티티는 있지만 스냅샷은 없는 상태로, flush()가 수행되면서 데이터베이스와의 동기화를 위해 INSERT 쿼리문이 날라갑니다.제가 생각하기에는 이 때(첫번째 flush()), memberA에 대한 스냅샷이 생성되어야 memberA.setName()을 수행하면서 변경감지를 통해 비교할 대상인 스냅샷이 존재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그렇기에 commit()을 호출할 때, flush()가 자동으로 호출되면서 비교할 스냅샷을 통해 UPDATE 쿼리문을 생성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이를 통해 제가 확인하고 싶은 것은 다음 2가지인데, 맞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flush() 호출 시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스냅샷이 갱신된다.persist() 시에는 스냅샷이 생성되지 않는다.관련 자료를 확인하고 싶은데 혹시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
미해결스프링과 JPA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비밀번호 변경 로직 질문있습니다.
updatePassword 메서드에서는 인코딩을 해주지 않으셨는데 이러면 DB에 plaintext가 들어가게되는거 아닌가요 public void updatePassword(Account account, @Length(min = 8, max = 50) String newPassword) { account.setPassword(passwordEncoder.encode(newPassword)); accountRepository.save(account); } 시큐리티6.x 버전이라 그런지 인코딩을 하지않으면 애초에 비밀번호 변경후 로그인이 되지 않습니다.(위는 수정한거)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데이터가 null만 나오는 이유
안녕하세요, 질문 드립니다. /catalogs 조회하는 api 에서 catalogService.getAllCatalogs();에서 데이터는 디비에서 잘 들고 오는데 ModelMapper만 통과하면 모든 필드가 null로 return 되고 있습니다. 동일한 스팩의 user-service 에서 user 조회 api는 정상적으로 조회가 됩니다... 이유를 모르겠어서 납깁니다..(created_at 필드는 추가를 하지 않았습니다. 이문제는 아닌 것 같아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서비스계층에 @transactional을 붙이면 성능이 감소하지 않나요?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강의에서 OrderService에 @transactional처리를 하는데 이렇게 되면 성능이 감소하지 않나요? 현업에서는 이 성능 감소를 감수하고도 데이터정합성 및 롤백을 위해 트랜잭션을 하는건가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DTO반환에 대한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JPA활용2편과 JPA 데이터 강의를 보면 DTO를 직접 반환하는 부분에서 질문드립니다.강의 수강이전에 repository에서 가져온 Entity를 직접조회하여 가져온 값을 service계층에서 lombok의 builder어노테이션을 이용하여 DTO형태로 직접조립하여 클라이언트에게 반환하는 API를 주로 구성했습니다. 근데 실무에서는 주로 위와 같은 방법이 아니라 repository계층에서 DTO를 직접 불러와서 조립하는 방식을 선호되나요?
-
미해결스프링과 JPA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프로필 수정 처리 merge 질문입니다.
강의 잘 듣고있습니다. 현재 service단의 update메서드에는 merge로 병합처리를 하고있지만 accountRepository에서 findById와 같이 수정할 account객체를 찾아내서 영속화를 시켜준뒤에 수정을 하면 dirty checking으로 인한 수정법이 더 안전한 방법일까라고 생각이되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QItem 생성 방법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QItem이 @Entity로 설정된 클래스 정보를 가져와서 동적으로 생성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QItem이 생성되는 시점이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점인 것 같은데,그렇다면 혹시, 새로운 엔티티를 만들었다면 해당 엔티티로 동적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선 필히 애플리케이션을 한번 실행해주고 해야하는건가요??QItem을 생성하기 위한 이유로만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해야하는 그런 동작이 뭐랄까 좀 부자연스러운(?) 느낌이 드는데 혹시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fetch join 시 countQuery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22:00 @Query어노테이션안에 countQuery는 안넣고 그냥 @Query("select m from Member m left join fetch m.team t")으로만 썻는데 count쿼리가 join을 하지 않고 나가는데 이것도 하이버네이트가 버전 업 되면서 최적화 된거라고 봐도 좋을까요? 내용 추가합니다 ! left fetch join은 데이터의 수가 원래것보다 더 많아지지 않아서 left fetch join이든 left join이든 둘다 count할때는 join하지 않는건가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layout할때 css적용 같은건 그냥 다 따라 쳐야 하나요?
따로 코드가 있나요? 깃허브에 그 코드는 있는데 완성된 코드라 그런지 제가 보는 부분의 코드는 없는거 같아요(이 동영상 말고 다른 동영상에서)동영상이라 코드가 안보이는 부분이 있어서 따라 칠수 없을때도 있는데 어떤식으로 해야 하나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쓰기지연저장소에 쿼리저장시점 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트랜잭션 커밋전에 쿼리를 생성해서 쓰기지연저장소에 저장하는것인지, 아니면 트랜잭션 커밋 이후 내부적으로 flush()호출 시 쿼리를 생성해서 쓰기지연 저장소에 저장하는것인지에 대해서 강의와 다른질문들, 구글링을 종합해보면 insert, update, delete를 할때에 쓰기지연저장소에 SQL쿼리를 생성해서 저장하는 시점이 약간 다른거같아서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보았는데, 전체적으로 제가 이해한바가 맞는지 확인하고 싶어서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update>0. em.find()나, em.persist()로 인해 이미 1차캐시에 있는 엔티티의 필드값 변경1. 트랜잭션 커밋. JPA는 트랜잭션을 커밋할때 변경된 엔티티 유무와 상관없이 항상 내부적으로 엔티티매니저의 flush()가 호출된다.2. 영속성컨텍스트의 엔티티와 스냅샷을 비교한다.3. UPDATE SQL을 생성해서 쓰기지연SQL저장소에 SQL쿼리를 저장한다.4. 쓰기지연SQL저장소에있는 쿼리를 데이터베이스에 전송(=flush)한다.5. 쓰기지연SQL저장소에있는 쿼리를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고나서, 엔티티트랜잭션에 의해 트랜잭션이 커밋된다. <insert>1. em.persist()를 하면, 해당 엔티티가 1차캐시에 추가되고, INSERT SQL을 생성해서 쓰기지연SQL저장소에 SQL쿼리를 저장한다.2. 트랜잭션 커밋. JPA는 트랜잭션을 커밋할때 변경된 엔티티 유무와 상관없이 항상 내부적으로 엔티티매니저의 flush()가 호출된다.3. 쓰기지연SQL저장소에있는 쿼리를 데이터베이스에 전송(=flush)한다.4. 쓰기지연SQL저장소에있는 쿼리를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고나서, 엔티티트랜잭션에 의해 트랜잭션이 커밋된다. <delete>1. em.remove()를 하면, 해당 엔티티가 1차캐시에서 제거되고, DELETE SQL을 생성해서 쓰기지연SQL저장소에 SQL쿼리를 저장한다.2. 트랜잭션 커밋. JPA는 트랜잭션을 커밋할때 변경된 엔티티 유무와 상관없이 항상 내부적으로 엔티티매니저의 flush()가 호출된다.3. 쓰기지연SQL저장소에있는 쿼리를 데이터베이스에 전송(=flush)한다.4. 쓰기지연SQL저장소에있는 쿼리를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고나서, 엔티티트랜잭션에 의해 트랜잭션이 커밋된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쓰기지연저장소 쿼리 저장 시점 관련 질문드립니다.
강의 내용에서, 트랜잭션 커밋전에 em.persist나 em.remove를 하면, 영속성컨텍스트의 1차캐시에 값이 저장 또는 삭제되고, 쿼리를 생성해서 쓰기지연저장소에 저장한다고 하셨는데요. 트랜잭션 커밋전에 쿼리를 생성해서 쓰기지연저장소에 저장하는것인가요? 아니면 트랜잭션 커밋 이후 내부적으로 flush()호출 시 쿼리를 생성해서 쓰기지연 저장소에 저장하는것인가요??
-
해결됨호돌맨의 요절복통 개발쇼 (SpringBoot, Vue.JS, AWS)
다중 데이터를 삭제 할 때
안녕하세요.호돌맨님 인강 들으면서 어찌저찌 취업하게 된 신입 개발자입니다. 현재 postDelete 로 단일 데이터를 검증 후 삭제하고있는데,만약 List로 된 다중 PK 를 검증하고 삭제할 때는 어느 방법이 좋은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public void postAllDelete(List<Long> postIds) { //1번 List<Post> posts = postRepository.findAllById(postIds); if(posts.isEmpty())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삭제할 게시글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postRepository.deleteAll(posts); //2번 postIds.forEach(e-> { Post post = postRepository.findById(e) .orElseThrow(PostNotFound::new); postRepository.delete(post); }); } 1번 같은 경우는 조회 및 삭제 각 한번씩 DB 를 호출해서 성능적으로 좋다고 생각하는데,리스트에 담겨져있는 PK 가 유효한지 검증하려면 stream API 를 사용하여 map 으로 PK 추출 후 filter 로 검증을 하는게 좋은건지, 혹은 다른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물론 현재는 데이터가 많이 없으니 어느 방법을 채택해도 상관없지만추후에 대량의 데이터를 접하게될 때를 생각하다보니,, 어떻게 보면 인강과 관련없는 질문이긴한데,,염치 불구하고 도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Static한 Utill성 클래스는 어떻게 테스트 할 수 있나요?
개발을 하다보면 utill성 클래스도 테스트하고 싶은데 배운거는 spring을 띄워서 테스트 하는데 static도 비슷하게 작성하면 되는건지 아니면 이것도 private에서 이야기 하신거처럼 신경 안써도 되는 부분일까요? 좀 더 좋은 방법이 있을거 같아서 여쭤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