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PA 기본편 - 최신 버전으로 프로젝트 설정하기 JPA 버전 관련 문의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기본편 7강 HelloJPA- 프로젝트 생성 강의를 수강한 후,JPA 기본편 - 최신 버전으로 프로젝트 설정하기 수업 자료 및 소스 코드를 보며 직접 maven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JPA연결하며 궁금한 점이 있어 문의 드립니다. 자바 버전 17 이상에서는 Hibernate 6.x 이상을 사용해야 하고, 이는 javax.persistence 네임스페이스가 jakarta.persistence로 변경된 JPA 3.x 버전을 사용해야 한다고 이해했습니다.그러나 강사님이 올려주신 프로젝트 설정에서는 JPA 2.2와 jakarta.persistence 네임스페이스가 혼합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JPA 2.2를 사용하는 경우 javax.persistence 네임스페이스를 사용해야 하지 않나요?만약 jakarta.persistence를 사용한다면 이는 JPA 3.1로의 전환을 의미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혹시 강사님이 JPA 2.2를 유지하면서 jakarta를 사용한 이유가 Hibernate 6.x의 호환성 때문인지, 아니면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Item에서 Category가 Import되지 않아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OneToMany속의 ManyToOne 조회시 질문
OneToMany 관계에서 페치조인을 하게되면 페이징이 불가하다고 하셨는데 OneToMany는 batchSize를 조절하여 해결한뒤OneToMany안의 ManyToOne 관계는 어떻게 페치조인 할수있을까요? 예를 들어서테이블 A, B, C가 있을경우A와 B는 OneToMany관계B와 C는 ManyToOne관계 class A { @OneToMany private List<B> b = new ArrayList<>(); }class B { @ManyToOne // Lazy private A a; @ManyToOne // Lazy private C c; } class C { } A를 조회하고 C까지 끌고와야하는경우A와 B는 OneToMany 관계이기 때문에 페치조인이 불가능하지만B와 C는 페치조인이 가능하다고 이해하였습니다BatchSize를 설정하여 A에서 B를 가져올시 IN 쿼리로 가져온뒤B에서 C를 페치 조인하는 방법은 없나요? 아니면 이런경우 특수하게 B에서 C를 Eager로 설정 해야할까요애초에 B를 통해서 A와 C를 가져와야할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memberrepositorytest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could not prepare statement [Sequence "MEMBER_SEQ" not found; SQL statement:select next value for member_seq [90036-232]] [select next value for member_seq]; SQL [select next value for member_seq]org.springframework.dao.InvalidDataAccessResourceUsageException: could not prepare statement [Sequence "MEMBER_SEQ" not found; SQL statement:select next value for member_seq [90036-232]] [select next value for member_seq]; SQL [select next value for member_seq]at org.springframework.orm.jpa.vendor.HibernateJpaDialect.convertHibernateAccessException(HibernateJpaDialect.java:277)at org.springframework.orm.jpa.vendor.HibernateJpaDialect.translateExceptionIfPossible(HibernateJpaDialect.java:241)at org.springframework.orm.jpa.AbstractEntityManagerFactoryBean.translateExceptionIfPossible(AbstractEntityManagerFactoryBean.java:560)at org.springframework.dao.support.ChainedPersistenceExceptionTranslator.translateExceptionIfPossible(ChainedPersistenceExceptionTranslator.java:61)at org.springframework.dao.support.DataAccessUtils.translateIfNecessary(DataAccessUtils.java:343) 이런 에러가 납니다ㅠㅠ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Serializable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제가 토이 프로젝트를 진행했을 때 엔티티에 implements Serializable를 하지 않았을 때 오류가 나지 않고 정상적으로 잘 되었는데(스프링 부트 3.2.4 사용 했습니다)강사님 께서는 앞선 카탈로그 엔티티 및 오더 엔티티에서 둘 다 Serializable를 implements 하셨는데 강의 말씀 하시기를 직렬화 때문에 사용을 하셨다고 말씀해주셨는데 해당과정에서 Serializable을 implements 을 하지 않으면 어떤 부분에서 오류가 나는지 여쭤 볼 수 있을까요??어느 부분에서 implements Serializable가 필요한 부분인지 모르겠습니다 ㅠㅠ보통 일반적으로 스프링에서 Jackson? 으로 직렬화를 자동으로 지원해주어 implements를 따로 해줄 필요가 없다고 알고 있었습니다.기초적인 질문이었다면 먼저 죄송하다는 말씀 드리면서 질문 드리겠습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TDD와 BDD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안녕하세요, 강의를 수강하다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기존에 TDD는 어렴풋이 알고 있었는데, BDD에 대해서는 자세히 몰랐어서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한가지 궁금증이 생겼습니다.BDD는 Behavior Driven Development로 '시나리오에 기반한 테스트케이스 자체에 집중하여 테스트한다.'라는 문장이 있습니다!이때 그렇다면 TDD와 BDD 방식에서 테스트하는 단위가 다른걸까 궁금합니다! 단순히 제가 이해하기에 'TDD에서는 메서드 단위로 테스트가 진행되고, BDD에서는 하나의 요구사항 시나리오 기반으로 테스트되는걸까?'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아니면 혹시 제가 TDD와 BDD에 대한 접근을 잘못 이해하고 있는걸까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useCallback 사용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다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강의에서는 list페이지와 add페이지로 이동할때 useCallbak을 사용하여 이동하는데, const handleClickList = () => { navigate('list'); }; const handleClickAdd = () => { navigate('add'); };다음과 같이 useNavigate만 사용해도 라우터 이동은 똑같지 않나요??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Config 관련해서 질문잇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 @Repository public class ItemQueryRepositoryV2 { private final JPAQueryFactory query; public ItemQueryRepositoryV2(EntityManager em) { this.query = new JPAQueryFactory(em); } ..... @Configuration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V2Config { private final EntityManager em; private final ItemRepositoryV2 itemRepositoryV2; //SpringDataJPA @Bean public ItemService itemService() { return new ItemServiceV2(itemRepositoryV2, itemQueryRepository()); } @Bean public ItemQueryRepositoryV2 itemQueryRepository() { return new ItemQueryRepositoryV2(em); } @Bean public ItemRepository itemRepository() { return new JpaItemRepositoryV3(em); } } 여기서 ItemQueryRepositoryV2가 에노테이션으로 빈 등록이되어있는데 config에서 새롭게 빈을 등록한 이유가 EntityManager를 새롭게 생성해서 주입받는 것을 위해서인가요?이 방식 말고 다른 방식 ItemQueryRepositoryV2 자체적으로@RequiredArgsConstructor를 쓰면 오류가 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다대다 관계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category, item 내용 중 질문있습니다.하나의 카테고리에 여러 아이템이 들어갈 수 있다는데 이게 왜 다대다 관계인지 이해가 안갑니다,,, 쉽게 설명 부탁드려여 ㅠㅠㅠ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자식 삭제 관련 문의 사항
아래 코드에서 em.flush()와 em.clear()를 사용하면 findChild가 삭제되는데 em.flush()와 em.clear()를 사용하지 않으면 findChild가 삭제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 잘 모르겠습니다. public class Jpa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ntityManagerFactory emf = 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hello"); EntityManager em = emf.createEntityManager(); //code EntityTransaction tx = em.getTransaction(); tx.begin(); try { Child child1 = new Child(); Child child2 = new Child(); Parent parent = new Parent(); parent.addChild(child1); parent.addChild(child2); em.persist(parent); // flush, clear 사용 여부에 따라 remove가 안됨 em.flush(); em.clear(); Child findChild = em.find(Child.class, 1L); System.out.println("findChild.getId() = " + findChild.getId()); em.remove(findChild); tx.commit(); } catch (Exception e) { tx.rollback(); e.printStackTrace(); } finally { em.close(); } emf.close(); } } @Entity public class Parent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OneToMany(mappedBy = "parent", cascade = CascadeType.ALL) private List<Child> childList = new ArrayList<>(); //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 public void addChild(Child child){ childList.add(child); child.setParent(this); } } @Entity public class Child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ManyToOne @JoinColumn(name = "parent_id") private Parent parent; }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다대일 예시에 관한 질문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member와 team을 다대일 관계로 설계할 경우요. 다수의 멤버는 하나의 팀을 갖는다 라는 근거에 의해 설계가 되는거잖아요. 저는 자꾸 헷갈리는 점이하나의 멤버는 하나의 팀에만 속할 수 있다. 이게 생각나서 오히려 일대일이 아닌가? 생각이 들어요 다대일의 다른 예시 없을까요? 오히려 하나의 팀은 다수의 멤버를 가질 수 있다. 로직인 일대다 관계는 이해가 갑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연관관계 강의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네[질문 내용]일대다, 다대일 등 내용이 이해가 가지 않으면 이것과 관련한 기초 강의를 보라고 하시던데 그게 어떤 강의 인가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scanbasepackages 관련 질문입니다.
위 설명에 대한 의문이 들어서 질문드립니다. @SpringBootApplication(scanBasePackages = "hello.itemservice.web")위와 같이 하지 않고@SpringBootApplication이렇게만 해도 실행되는데는 문제가 없는데굳이 넣는 이유가 뭔지 궁금합니다. 혹시 성능과도 연관이 있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Database not found, either pre-create it or allow remote database creation (not recommended in secure environments) [90149-232] 90149/90149
test 랑 jpashop말고 다른 db를 만들어보려고 하는데,Database not found, either pre-create it or allow remote database creation (not recommended in secure environments) [90149-232] 90149/90149이 에러가 뜨고 만들어지지 않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test 랑 jpashop접속은 되지만 새로운 db 생성이 안됩니다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프로젝트 이름이 중간에 바뀌어요
섹션 3의 REST 방식 컨트롤러 만들기(2)까지는 apiserver에서 작업중이었는데 REST컨트롤러 -수정/삭제, CORS 설정부터는 mallapi라고 프로젝트 이름이 바뀌어있고 그 뒤로도 mallapi에서 작업중인듯한데 제가 착각한건가요ㅠㅠ 뭐죠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auto-ddl 기능이 안됩니다 ㅠㅠㅠ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auto-ddl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서 문의드립니다. 간단한 문제인데 혼자 해결 못해서 죄송합니다. yml 파일 문법은 다 맞는 걸로 보이는데... 혹시 틀린 거 있으면 말씀해주세요 ㅠㅠ spring: datasource: url: jdbc:h2:tcp://localhost/~/datajpa username: sa password: driver-class-name: org.h2.Driver jpa: hibernate: ddl-auto: create properties: hibernate: show_sql: true format_sql: true logging.level: org.hibernate.SQL: debug # org.hibernate.type: trace import jakarta.persistence.Entity; import jakarta.persistence.GeneratedValue; import jakarta.persistence.Id; import lombok.AllArgsConstructor; import lombok.Getter; import lombok.NoArgsConstructor; import lombok.Setter; @Entity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public class Member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username; public Member(String username) { this.username = username; } }혹시 몰라서 Member 엔티티 코드도 남깁니다!! 추가적으로 h2 데이터베이스에는 잘 접속하는 것 같아요 ㅠㅠ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JsonIgnore가 실무에서 쓰이는 경우가 있나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주문 조회 (/api/v1/simple-orders와 /api/v1/orders) api 학습하면서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강의를 들으며 postman으로 request 했을 때, v1 코드에서 쿼리를 날릴 시 양방향 연관관계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예를 들어, order list를 return했을 때, member와 delivery에 대한 프록시 객체로부터 필드를 조회해서 영속 상태의 객체를 반환하도록 구성한다면 v1에서는 @JsonIgnore로 양방향 연관관계에 대한 처리 코드를 작성해주어야만 이 문제가 해결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Dto를 만들어 반환하게 되면 @JsonIgnore을 없애도 이러한 문제가 사라지니, 사실상 @JsonIgnore을 실무에서 사용하는 일은 없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한, 실무에서 양방향 매핑보다는 단방향 매핑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고 있어 질문드립니다. 실무에서 이런 코드(@JsonIgnore)를 작성할 일이 있다면, 어떠한 경우인 지 예시가 있을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OneToOne 관계에서 연관 관계 주인이 아닌 쪽에서 LAZY가 적용되지 않는 문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LAZY를 적용하면 프록시 객체가 할당되는데, @OneToOne에서 연관 관계 필드가 null이라면 연관 관계 엔티티가 없다는 의미이고, 프록시 객체가 할당되었다는 것은 연관 관계에 해당하는 엔티티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이해했습니다. (프록시 객체는 연관관계 엔티티가 있을시 단지 조회를 늦추는 역할을 하는데 기여하는 객체라고 이해했습니다.) @Entity @Table(name = "Users") public class User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USER_ID") private Long id; @One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CART_ID") private Cart cart; } @Entity public class Cart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OneToOne(mappedBy = "cart") private User user; } 위 예시 코드를 토대로 설명해본다면 연관관계 주인(User)에서 Cart를 조회시실제 DB 테이블 관점에서 보면, FK에 null이 들어가 있으면 연관 관계 엔티티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cart 연관 관계 필드에 null을 할당할 수 있고, 반대로 FK에 null이 아닌 값이 있으면 연관 관계 엔티티가 있다는 뜻이어서 프록시 객체를 할당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프록시 객체에 접근할 때 LAZY로 처리가 가능하다고 이해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연관관계 주인이 아닌 (Cart)에서 User를 조회 시실제 DB 테이블 관점에서 보면, 연관 관계의 주인이 아닌 테이블(Cart)에서는 FK 컬럼 자체가 없기 때문에 해당 테이블만 읽어서 연관 관계의 엔티티가 있는지 알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나를 참조하는 애가 누구지?’라는 문제입니다. 이런 상태에서는 user 연관 관계 필드에 null을 넣기도 애매하고, 프록시 객체를 만들기도 애매하기 때문에 EAGER 방식으로 동작한다고 생각해도 될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콘솔에서 쿼리가 보이지 않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강사님처럼 콘솔에 INFO와 쿼리가 뜨지 않습니다.다른 분들 질문을 보니 yml 파일을 확인하라던데 yml 파일에 오타는 없는거 같은데.... 어느 부분을 수정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ㅠㅠ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연관관계 관련 질문 있습니다.
public void returnBook(String bookName) { UserLoanHistory targetHistory = this.userLoanHistories.stream() .filter(history -> history.getBookName().equals(bookName)) .findFirst() .orElseThrow(IllegalArgumentException::new); targetHistory.doReturn();리팩토링 강의에서 repository 사용없이 this.userLoanHistories.stream()로 바로 데이터를 불러오던데 mappedBy로 연관관계가 존재하면 가능한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