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Zipkin Dependencies 화면 안나옴...
문제Zipkin Dependencies 화면만 안나옴... (Chrome 에서만 안됨... Firefox 에서는 됨...) 1) 개발자도구 확인 - NetworkYou need to enable JavaScript to run this app 확인https://support.google.com/adsense/answer/12654?hl=en위 링크를 확인해서 크롬에서 JavaScript 가 활성화 되어있는지 확인→ 이미 되어있었음... 2) 개발자 도구 확인 - ConsoleError creating WebGL context. 확인chrome://flagsANGLE graphics backend 옵션 확인 > OpenGL 설정 → 그래도 안됨… 3) 마지막..chrome://settings시스템 탭 클릭"가능한 경우 그래픽 가속 사용" 설정 켜기... → 성공… 같은 문제가 발생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참고 사이트입니다.https://help.lucid.co/hc/ko/articles/17480912789908-문제-해결-WebGLhttps://support.google.com/chrome/thread/25018979/status-could-not-create-a-webgl-context?hl=en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Rollback-only 설정 위치
평소 열심히 강의를 듣고 있는 일반적인 대학생입니다.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에 대해 의문사항이 많아 직접 찾아보다가 강의와 다른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아직 부족한 학생인만큼 어느정도의 뇌피셜은 들어있습니다.. (물론 코드에 기반한) 질문은 가독성을 위해 음슴체를 사용한점 양해부탁드립니다.. 결론트랜잭션 rollback-only 은 트랜잭션 status에 있으며 해당 사실 확인은 TransactionManager에 의해 밝혀진다. 따라서, rollback-only 표시가 동기화 매니저에 있다는 설명은 수정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는 관련이 없는 것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강의제공 내용내부 롤백이 일어나면 Rollback-only 표시가 됨외부 커밋은 해당 표시를 보고 true라면 롤백해당 표시는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에 있음 (08:18 쯤) 고민하다가 의문이 든 내용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는 쓰레드(요청)마다 적절한 트랜잭션을 찾아 주는 역할이라고 생각함 -> 트랜잭션의 상태를 관리하도록 하진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듦 (뇌피셜)트랜잭션 매니저를 보다보니 getTransaction을 호출하면 Status를 반환함 -> 가만 생각해보면 트랜잭션 commit rollback을 트랜잭션 매니저가 하는데 상태관리도 트랜잭션 매니저가 하는게 맞지 않을까? (rollback-only 표시도 트랜잭션 매니저가 하는게 맞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게됨코드를 까보니 실제로 해당 메서드로 추정되는 메서드가 있음실제 코드JpaTransactionMangerprotected void doSetRollbackOnly(DefaultTransactionStatus status) { JpaTransactionObject txObject = (JpaTransactionObject)status.getTransaction(); if (status.isDebug()) { this.logger.debug("Setting JPA transaction on EntityManager [" + txObject.getEntityManagerHolder().getEntityManager() + "] rollback-only"); } txObject.setRollbackOnly(); }위의 코드는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코드인 것 같음 (뇌피셜, 이 코드가 동작하는 것이 아닌가)또한 아래와 같은 메서드도 존재함public void setRollbackOnly() { EntityTransaction tx = this.getEntityManagerHolder().getEntityManager().getTransaction(); if (tx.isActive()) { tx.setRollbackOnly(); } if (this.hasConnectionHolder()) { this.getConnectionHolder().setRollbackOnly(); } } public boolean isRollbackOnly() { EntityTransaction tx = this.getEntityManagerHolder().getEntityManager().getTransaction(); return tx.getRollbackOnly(); }아마 전자가 실제로 TransactionManager가 활용하는 코드인 것 같음 (protected라서), 후자는 외부에서 임의로 rollback-only를 설정할 때 사용하는 메서드인 것 같음 (EntityTransaction은 더 들어가보니 hibernate에서 트랜잭션을 관리하는 클래스인 것 같음) DataSourceTransactionManager해당 매니저에도 비슷한 메서드가 존재함public void setRollbackOnly() { getConnectionHolder().setRollbackOnly(); } @Override public boolean isRollbackOnly() { return getConnectionHolder().isRollbackOnly(); } 런타임디버깅을 돌려보며 정확히 어떤 메서드가 동작하는 지 확인해봄. 아마도 aop로 프록시 객체가 사용되는 것 같은데 aop 부분은 아직 학습하지 않아서 모르겠음..AbstractPlatformTransactionManager -> datasourceTransactionManger의 doSetRollbackOnly 호출 위와 같은 코드를 보았을 때, rollback-only와 같은 트랜잭션의 상태는 트랜잭션 매니저에 의해 관리 되는 것 같고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는 관련이 없는 것 아닌가라는 생각이 듭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em.persist(orderItem) 주석
[질문 내용]따로 주석 설명을 달긴 하였지만, Order 엔티티에서 OrderItem 엔티티를 영속성 전이 ALL로 설정을 해놓았으면 굳이 em.persist(orderItem)을 생략해도 잘 동작되는 거죠? 추가 질문)위 2개 이미지에서 보시면 첫번째 사진은 em.persist(orderItem)을 생략했을때 나온 쿼리문이고 두번째 사진은 생략하지 않을 때 나오는 쿼리문인데 왜 update 쿼리가 나가는 건지 잘 이해가 안돼서 여쭈어 봅니다.
-
해결됨RabbitMQ를 이용한 비동기 아키텍처 한방에 해결하기
10.Pub-Sub모델을 이용한 실시간 알림 (WebSocket, STOMP 이용) part 1 의 자료
학습중 궁금한 것은 언제든 문의 하세요.질문을 최대한 자세히 남겨주시면 반드시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추가로 알고 싶은 내용도 요청해주시면 강의 자료를 업데이트 해서 제공할 예정입니다. 안녕하세요~! 10.Pub-Sub모델을 이용한 실시간 알림 (WebSocket, STOMP 이용) part 1해당 자료가 다운이 되지 않습니다!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oinColumn
[질문 내용]즉시 로딩과 지연 로딩 영상에서 문득 지난 강의 과정에서 연관관계의 주인인 필드 객체는 @JoinColumn 에 name으로 TEAM_ID로 외래키로 지정하여 연관관계를 매핑시키는걸로 알고있는데 1분 3초 쯤에 김영한 강사님의 코드에서는 그냥 @JoinColumn만 되어있고 따로 name은 부여하지 않은걸로 보였습니다. 굳이 name을 따로 지정하지 않아도 상관없는 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프레임워크는 내 손에 [스프2탄]
junit Test에서 오류는 나지 않지만 결과가 다르게 나오네요
안녕하세요 초기 egov에서 받을 때 최신인 5.3.6버전을 받아서 그런지 초기 DataSourceTest에서 @RunWith는 jUnit4버전을 가리키고 저는 5.3.6버전의 spring을 이용했어서인지 SpringJunit4ClassRunner.class가 import 되지 않아 난항을 겪던 중 pom.xml의 버전을 강사님처럼 5.0.7 RELEASE 버전으로 수정하면서 chat gpt의 도움을 받아 DataSourceTest의 테스트를 실행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console에서 연결이 되었다는 메세지도 없으며이를 이상하게 여기고 root-context.xml에 기입된 비밀번호를 강사님처럼 일부러 틀리게 한 후실패를 기대한 상태로 run을 돌렸지만, jUnit에 Failures가 뜨지도 않습니다..혹시 이런 경우에도 방법이 있을까 하여 코드도 함께 첨부합니다.. (pom.xml은 다른 글에 올려주신 참고 블로그의 것을 인용했습니다.) [pom.xml]=> 10000자를 올릴 수 없다하며 노션 링크를 첨부하겠습니다!https://devfighting.notion.site/18410212999180b5b0a9cd4ada3a6a58?pvs=4 [console결과, jUnit 결과] [maven dependencies]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성능 최적화에서 쿼리 횟수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인가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 내용에서 계속해서 쿼리 횟수를 줄이는 방향으로 확장시키시는데 일반적으로 db에 sql문 날리는 횟수를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 맞을까요? 극적으로, db에 간단한 sql문 2번 날리기 vs 조인 많은 sql문 1번 날리기 하면 후자가 더 성능이 좋은지 여쭙니다.물론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인 상황을 가정하여 답해주시면 감사할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db 네트워크 비용때문에 후자가 더 좋은게 맞을까요?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리눅스 서버에 대한 질문입니다.
스프링부트를 배포하는것을 검색하다보면 apache2.4를 서버에 설치 하는 것을 많이 본 거 같은데, 지금 도서관리 서비스는 정적인 서비스라 아파치가 필요 없는 걸까요?? 아니면 사용할 필요가 없는거 일까요??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하나의 바운디드 컨텍스트 안에서는 연관관계 맵핑을 사용하는 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선생님 좋은 강의 늘 감사합니다. 자바 강의도 고급 3편 나올 날만을 기다리고 있습니다^^(자바는 개인계정이 아니라 비즈니스 계정으로 듣고 있습니다)제가 이때까지 강의에서 배운 대로 실무에서 연관관계 맵핑을 사용하다가 MSA 프로젝트를 조금씩 하게 되었는데, 바운디드 컨텍스트 간에는 도메인끼리 전역 식별자(Long, String, ...) 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근데 한 바운디드 컨텍스트, 한 마이크로서비스 안에서는 서로 연관관계 맵핑을 하는 게 좋을까 문득 의문이 들었습니다. 서로 연관성이 높긴 하지만 결과적으로 다른 객체를 참고함에 있어서 어떤 건 키값으로, 어떤 건 엔티티 타입으로 참조하니까 동료들이 헷갈리진 않을까?(연관관계 맵핑한 경우)이후에 어떤 필요에 의해서 한 마이크로서비스 안에 있던 테이블들을 여러 개의 서비스로 나누게 된다면, 전역 식별자로 바꾸어야 하니 유지보수를 어렵게 하는 건 아닐까? 이런 고민들이 있는데 인터넷, AI 등으로는 뭔가 납득이 가는 답변을 못 만난 것 같아 고민고민하다가 결국 여기에 조심스레 여쭙고자 합니다. 하나의 바운디드 컨텍스트 안에서 연관관계 맵핑을 사용 ->하지 않고 모두 전역식별자를 사용하는 게 좋다.팀의 방향성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부분이고, 어느 쪽을 하든 상관 없다. 저는 이 두 고민 사이에서 아직 명확한 답을 내리진 못 했는데, 선생님께서는 혹시 어떻게 생각하실까요?약간 강의 범위를 벗어난 것 같기도 해서 죄송합니다ㅠㅠ 짧게나마 도움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과 JPA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event, study 참조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현재 Event에서 다대일로 study를 단방향으로 참조하고있는데 스터디 모집시에 event쪽이 삭제되지 않아 버그가 생깁니다. 해결법으로는 2가지 생각해봤는데요.양방향관계로 변경 후 Cascade사용단방향으로 유지하지만 스터디종료 메서드에서 event를 수동으로 remove처리1번 방법으로는 엔티티 설계 구조가 깨지니까 2번방법이 나으려나요. 고민이됩니다. 이런 참조 문제가 더 생길것을 방지해 양방향 관계로가는게 더 유연할지가 고민입니다. 아니면 초기설계목표상 모임이 하나라도 존재하면 스터디가 삭제되면안되는것인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회원가입 테스트 Rollback(false) 설정 했는데 h2 db에 데이터 없음.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회원가입 테스트 시 Rollback(false)를 설정하고 실행은 정상적으로 되고 log에서도 insert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h2 db 에서는 데이터가 들어와있지 않습니다. 왜 그런걸까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섹션3. 스프링부트와 API서버에서 부트 프로젝트 생성 및 확인 강의에 관한 겁니다.
해당 강의 1:51에서 갑자기 데이터베이스 익스플로러용 데이터그립 툴이 나오는데 이에 대한 설정은 어느 강의에서 확인할 수 있는 거죠? 느닷없이 나와서 혼동스럽기만 하네요. 섹션 1의 MariaDB와 부트 프로젝트생성에서도 하이디sql 툴 설정만 하셔서 데이터그립 툴은 어디에서 나온 건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일 대 일 관계
[질문 내용]회원 테이블과 주민등록번호 테이블이 있다 가정했을 때 주민등록번호는 회원의 고유번호이고, 유니크 정보이기 때문에 회원과 주민등록번호 는 서로 일대일 관계가 되겠네요? 그렇다면 이 두 테이블에 대한 엔티티도 만들었을 때 서로 외래키를 선택할 수도 있는거고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ManyToOne, @JoinColumn질문드립니다.
@ManyToOne, @JoinColumn에 대해 학습하면서 이해가 잘 되지않아 구글링이나 chatGPT와 같은 AI를 통해 아래와 같이 정리했는데요. 이렇게 이해하면 될까요? 제가 올바르게 이해한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JoinColumn에는 매핑할 외래 키 컬럼 이름을 적는다. 테이블에서 외래키로 사용될 컬럼이름을 적는다. Member 엔티티의 team이랑 MEMBER 테이블의 외래키 컬럼(TEAM_ID)을 서로 매핑해줘야 MEMBER 테이블의 외래키(TEAM_ID)를 통해서 Team을 가지고 올 수 있다.@JoinColumn을 통해 MEMBER테이블의 외래키 컬럼 이름이 TEAM_ID임을 명시하고,@ManyToOne 을 통해 Team엔티티와의 관계를 정의한다. 즉, @JoinColumn과 ManyToOne을 통해 Member엔티티와 Team엔티티의 관계를 정의한다. JPA는 Team엔티티에서 @Id로 설정된 필드를 확인하고, 해당 필드가 Team엔티티의 기본키임을 알게된다. 그리고 JPA는 Member테이블의 외래키와 Team테이블의 기본키를 매핑해서 외래키-기본키 관계를 설정한다.Member엔티티의 필드에는 Team team이 있지만 db에는 객체를 저장할 수 없으므로 Member엔티티를 em.persist()로 저장할떈, db에 team 객체가 아니라 @JoinColumn으로 명시했던 외래키가 저장된다. 이때 Team엔티티에서 @Id로 설정된 필드의 값이 저장된다. member.getTeam()을 할때도 MEMBER 테이블의 TEAM_ID를 사용해 Team엔티티 데이터를 가져올수있다. @JoinColumn으로 명시했던 외래키 값으로 TEAM테이블을 조회해서 TEAM객체를 생성해서 리턴한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스냅샷이 없는 상태에서의 변경 감지 방법이 궁금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Member member = new Member(1L, "member"); em.persist(member); member.setName("Test"); tx.commit();위 코드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SQL 쿼리문이 로그에 찍히는데요Hibernate: /* insert for hellojpa.Member */ insert into Member (name, id) values (?, ?) Hibernate: /* update for hellojpa.Member */ update Member set name=? where id=?persist()를 할 때 member 객체를 영속성 컨텍스트에 등록하고, 해당 상태에서는 신규 엔티티이므로 setName()으로 이름을 바꾸더라도 새로운 값이고, DB와 동기화되지 않았기에 스냅샷도 없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그래서 쿼리문도 INSERT 쿼리문 1개만 발생할 줄 알았는데, 왜 UPDATE 쿼리문도 함께 발생하는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정확히는 persist를 수행하고 setName을 수행할 때, 스냅샷이 생성되지 않은 상태, 스냅샷이 없는 상태에서 어떻게 변경을 감지하여 UPDATE 쿼리문을 작성한 것인지 궁금합니다.처음에는 PK 생성 전략을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로 해서 INSERT문이 먼저 생성되어야만 하는 것이 원인인줄 알았지만, SEQUENCE 전략으로 바꿔도 UPDATE 쿼리문이 발생하는 것을 보고 잘못 짚은 것 같아 질문 남겼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moveToList 질문드려요
상품쪽 moveToList에서 page하고 size추가 안해도 useCustomMove 이쪽에const page = getNum(queryParams.get('page'), 1) const size = getNum(queryParams.get('size'), 10)이렇게 되어있어서 따로 moveToList에서page하고 size를 안넣어도 잘 이동이 되던데잘못된걸까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헥사고날 아키텍처 질문 있습니다.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jpa와 너무 강하게 결합되어 있어 repository 인터페이스를 만든다고 하셨는데그러면 1. repository 인터페이스2. 1의 repository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repositoryimpl3. 2의 repositoryimpl에서 사용할 jparepository 이렇게 세 개나 만들어서 사용하는건가요?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하고 콘솔에 select 쿼리문
[질문 내용]단방향 연관관계 영상 22분 10초 쯤에서 Member클래스에 Team 필드 어노테이션으로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를 지정하고 서버를 재실행하였을 때 김영한 강사님 콘솔에서는 쿼리가 지연로딩되어 분리돼서 Member와 Team이 따로 조회가 되는걸로 나와있는데요 저도 같은 환경으로 실행하였을 때는 한 DB테이블만(MEMBER) 만 조회돼서 나오는데 왜 이러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DB 테이블명들이 복수형일 때 자바 엔터티 클래스명을 단수로 써야 할지 복수로 써야 할지 궁금합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의 @Table(name = "orders") 이 부분 때문에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Entity @Table(name = "orders") @Getter @Setter public class Order { . . .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생성되는 테이블명이 orders로 복수형이 되는데, DB를 설계할 땐 테이블명들을 전부 단수형을 쓰든, 전부 복수형을 쓰든 하나로 전부 통일하는 게 낫다고 들었습니다. 그럼 실무에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명을 전부 복수형으로 통일한다면, 자바 코드의 엔터티 클래스 이름은 단수로 하고, @Table을 통해 복수형으로 바꾸게 되나요? 아니면 이 경우 @Table을 일일이 적기 번거로우므로 자바 클래스 이름도 복수형으로 하나요? 즉 예를 들어@Table("items")public class Item {}이런 식으로 모든 엔터티 클래스에 @Table을 통해 복수형 이름을 지정하는지, 아니면 @Table 애노테이션을 안 쓰고public class Items {}이렇게 클래스 이름 자체를 복수형으로 쓰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프록시 호출 문제
Member findMember = em.getReference(Member.class, member.getId()); System.out.println("findMember.getClass() = " + findMember.getClass()); //System.out.println("findMember.getId() = " + findMember.getId()); //em.detach(findMember); //em.clear(); //em.close(); System.out.println("findMember.getUsername() = " + findMember.getUsername());강의 38:40 초 내용 입니다 강의에선 em.close 를 하면 초기화 예외가 발생하는데 시간이 지나서 좀 바뀐건지 em.detach, clear 는 예외가 발생하는데 close 는 영속성 컨텍스트가 꺼지지 않고 정상적으로 작동을 해서 username 이 출력이 되네요다른 분들도 그런건지 확인 차 질문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