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QueryDSL설정
질문이 해결되서 최신 버전을 가지고 와봤습니다.plugin 방식이 아닌 것 같습니다. 저도 잘 몰라서요.plugins{ } 쪽은 아래와 같이 동일하게 해주세요dependencies에서 주석 처리된 부분과 나머지 주석처리된 부분을 끍어 가시면 됩니다.plugins {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2.7.4'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0.14.RELEASE' id 'java' } group = 'siljeon' version = '0.0.1-SNAPSHOT' sourceCompatibility = '11'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actuator'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rest'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data:spring-data-rest-hal-explorer' runtimeOnly 'com.h2database:h2' runtimeOnly 'mysql:mysql-connector-java'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developmentOnl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 queryDSL 설정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core"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collections" annotationProcessor "com.querydsl:querydsl-apt:${dependencyManagement.importedProperties['querydsl.version']}:jpa" // querydsl JPAAnnotationProcessor 사용 지정 annotationProcessor "jakarta.annotation:jakarta.annotation-api" // java.lang.NoClassDefFoundError (javax.annotation.Generated) 대응 코드 annotationProcessor "jakarta.persistence:jakarta.persistence-api" // java.lang.NoClassDefFoundError (javax.annotation.Entity) 대응 코드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 // Querydsl 설정부 def generated = 'src/main/generated' // querydsl QClass 파일 생성 위치를 지정 tasks.withType(JavaCompile) { options.getGeneratedSourceOutputDirectory().set(file(generated)) } // java source set 에 querydsl QClass 위치 추가 sourceSets { main.java.srcDirs += [ generated ] } // gradle clean 시에 QClass 디렉토리 삭제 clean { delete file(generated)
-
미해결파이썬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코딩테스트 대비)
visual studio 2022 버전
비주얼 스튜디오 2022을 이용하고 있습니다.선생님께서 강의에서 하신거랑 같은 방법으로 바탕화면에 AA로 파이썬 파일을 만드려고 하는데, 이미 같은 이름의 파일이 있다고 하면서 저장이 되지 않습니다. 아무래도 앞에서 만든 AA.py때문에 그런거 같은데, 혹시 앞에서 만든 AA.py를 지우고 해야 하나요? 아니라면 무엇이 문제인 걸까요?
-
미해결처음하는 딥러닝과 파이토치(Pytorch) 부트캠프 (쉽게! 기본부터 챗GPT 핵심 트랜스포머까지) [데이터분석/과학 Part3]
제목 순서 틀림
파이토치(PyTorch)과 비교하며 Numpy 라이브러리 사용법 익히기1 과 2가 서로 바꼈어요
-
해결됨QGIS 파이썬 자동화 (벡터편) Ver.2
버퍼 강의 중 VWorld StateTile 레이어
버퍼 강의 중 VWorld StateTile 레이어 추가를 어떻게 하나요???
-
미해결탄탄한 백엔드 NestJS, 기초부터 심화까지
TypeError: Reflect.defineMetadata is not a function
npm run start:dev로 서버를 켰는데 TypeError: Reflect.defineMetadata is not a function이런 에러가 떴어요.제가 어떤 설정을 잘못 한건가요? 현재 DTO패턴 강좌입니다.
-
해결됨Slack 클론 코딩[실시간 채팅 with React]
webpack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제로초님, cra없이 개발환경 설정하는 부분에서 궁금한 것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webpack.config를 ts로 하는 이유?webpack.config.js 이렇게 쓰면 require를 써야하긴 하지만 이렇게 하면 굳이 ts-node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것 같아서 js로 하는게 더 좋아 보이는데 ts로 하는 이유가 있나요 hmr 플러그인 사용webpack5기준으로 webpack-dev-server에 hot: true, liveReload:true 설정을 하면 hotModuleReplacementPlugin, 이랑 ReactRefresh 플러그인이 필요없는 게 아닌가요?추가적인 플러그인을 설치하는 것이 더 비효율적인 게 아닌지 제가 잘못알고 있는 것이라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웹팩 최적화?당연히 웹팩 강좌가 아니기 때문에 불필요 하겠지만 공부하다 보니 terser, minifyPlugin 등등 새로운게 계속 나오네요.. 웹팩 성능을 최적화 하기위한 방법 인 것 같은데 실무에서는 이런 플러그인들을 사용하게 되나요 아니면 강좌에 나온 설정들로 실무에서도 개발이 진행되는지 궁금합니다.. 웹팩 이외의 빌드툴?이건 강좌도 아니고 웹팩 관련 질문도 아니라 죄송한데 넘 궁금해서 양해를 구해봅니다.. 공부하다보니 astro, vite 등등 웹팩 보다 성능이 좋은 빌드 툴이 있는 것 같은데 실무에서 도입할 만큼 안정적인지 궁금하네요, 추가로 webpack에서 babel-loader 대신 esbuild-loader 썼을 때도 단점이 있을 까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리액트 테스트 [2023.11 업데이트]
warning 이 뜨는 이유가 뭔지 모르겠어요..
console.error Warning: An update to Type inside a test was not wrapped in act(...).When testing, code that causes React state updates should be wrapped into act(...):act(() => {/* fire events that update state */ });/* assert on the output */This ensures that you're testing the behavior the user would see in the browser. Learn more at https://reactjs.org/link/wrap-tests-with-actat Type (C:\git\inflearn\react-shop-test\src\pages\OrderPage\Type.js:8:17) at div at div at OrderPage at OrderContextProvider (C:\git\inflearn\react-shop-test\src\contexts\OrderContext.js:21:43) at div at App19 | try {20 | let response = await axios.get(`http://localhost:5000/${orderType}`); > 21 | setItems(response.data); | ^22 | } catch (error) {23 | setError(true);24 | } at printWarning (node_modules/react-dom/cjs/react-dom.development.js:86:30)at error (node_modules/react-dom/cjs/react-dom.development.js:60:7)at warnIfUpdatesNotWrappedWithActDEV (node_modules/react-dom/cjs/react-dom.development.js:27589:9)at scheduleUpdateOnFiber (node_modules/react-dom/cjs/react-dom.development.js:25508:5)at setItems (node_modules/react-dom/cjs/react-dom.development.js:17527:7at loadItems (src/pages/OrderPage/Type.js:21:13) 안녕하세요 강사님.react context 강의를 들으면서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데,이런 warning 이 발생합니다. ㅠㅠact라는 wrapper를 감싸주라고 하는데,강의에서는 이런 경고 문구가 안나오는것 같아서..제가 잘못한 부분이 있는건지 도움 부탁드립니다.. test 자체는 다 success가 뜨는데 발생하는 warning 입니다..!
-
미해결[개념은 호옹~, 실습 빡] 스프링 부트, 입문!
강의 그대로 따라했는데 이러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오류 코드를 보면 entity의 Article 에 들어가서 뭐하라는거같은데.. 도와주세요
-
미해결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스프링부트 기반의 API 템플릿 프로젝트 구현
DTO 생성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DTO 생성할 때, 정적 팩토리 메소드를 사용하시던데인터넷에 찾아보니 Domain 내에서 사용하는 사용하는 방법은 봤는데 DTO 내에서 사용하시더라구요.관련 정보를 알 수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장박사의 블록체인 이해와 구조
rm -rf .git 적용이 안됩니다.
free css 에서 다운받고 덮어쓰기 해주고 code . 해서 띄우면 index.html이 강사님 올려주신 내용이 바뀌지 않고 뜹니다.무엇을 잘못하고 있는 걸까요
-
미해결탄탄한 백엔드 NestJS, 기초부터 심화까지
Service에서는 유효성 검사를 안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강의를 보고 개인 프로젝트를 하고 있습니다.현재 POST users/:id API를 만들었습니다.여기서 id는 mongodb의 objectid입니다.service에 objectid가 아닌 데이터가 전달되면 오류가 발생하기에 컨트롤러에서 직접 만든 MongoIdPipe로 유효성 검사를 해주고 있습니다.문제는 다른 미들웨어에서 해당 서비스를 주입받아 사용하고 있는데 미들웨어는 pipe을 주입받지 않았기 때문에 서비스에 잘못된 값을 전달 할 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서비스에 유효성 검사 로직을 넣으면 코드가 지저분해지는데 이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미들웨어에서 유효성 검사를 하고 서비스를 호출하는 것이 맞는 방향일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왜 Team 엔티티 조회 쿼리가 발생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아래 내용은 @ManyToOne의 default 설정 값인 fetch가 EAGER일 때 입니다...)해당 영상 5분 7초 때의 콘솔을 보면,Team 조회 쿼리가 추가로 한 번 더 발생되고 있습니다.하지만 jpql쿼리를 보면,"select m from Member m inner join m.team t"즉 Member 엔티티와 연관된 Team 엔티티를 inner join 하여 같이 한 번에 가져오는 쿼리입니다."select m from Member m" 이라고 jpql을 작성했으면 당연히 연관된 Team 엔티티를 조회하는 select 쿼리가 별도로 실행되는 게 맞지만, inner join으로 작성했기 때문에 별도의 Team 엔티티를 조회하기 위한 select 쿼리가 발생할 필요가 없는 것 같은데, 추가로 select 쿼리가 발생하는 부분이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답변 미리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HTML+CSS+JS 포트폴리오 실전 퍼블리싱(시즌2)
배너 슬라이더 파트
수업을 하면서, 트랜지션 하면서 배너 슬라이드도 한번 다루어 보고 싶은데 배너 슬라이드 파트는 없나요?
-
미해결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프록시서버에관해 정보를 찾을수없어서 질문드립니다
제가 알기로 웹에서 거리에따른 성능문제를 해결하기위해 프록시 서버를 사용하는것으로 아는데 이중 CDN과의 차이가 무엇인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제가 학습한 내용을 정리해보자면프록시서버는 오리진서버대신 비즈니스 로직도 처리해주는 진짜 대리서버느낌이고CDN서버는 웹 페이지에서 사용하는 리소스(이미지,HTML)파일들 대리저장하는 저장소느낌의 서버가 맞나요?그러면 프록시서버랑 CDN서버는 항상 같이 사용해야정상적인 오리진서버의 역할을 대신할수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선형대수학개론
solution 헷갈리는 개념이 있어서 질문해요!!
공부하다보면 have/has "a solution" 이라는 말을 종종 보는 것 같은데"a solution"이라는 말은 해가 오직 하나 뿐인 상황을 말하는걸로 이해해야 하나요?예를들어 Ax = b has a solution이라면x가 free variable을 가지는 해가 무수히 많은 상황이라면 위 문장은 틀린 문장인가요?해가 무수히 많은 경우도 포함하려면 Ax = b has solution sets << 이런식으로 따로 표현해야 하나요?
-
미해결남박사의 파이썬으로 실전 웹사이트 만들기
summernote onImageUpload 함수 문의 드려요
글 작성 폼에 HTML 에디터 기능 추가하기해당 강의중 11분 40초 쯤 내용 입니다 onImageUpload 함수는summernote에서 제공 하는 함수로 이해되는데제가 생각하는게 맞는지 궁금하여 문의 드립니다 그리고 onImageUpload 함수가 이미지 업로드시감시해서 작동하는건가요?아니면 callbacks가 이미지업로드를 감시해서 작동하는건지도궁금합니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쇼 다이어그램은
어디서 볼 수 있나요? 윈도우는 오른쪽 마우스 클릭해도 안 나와용
-
미해결엑셀 매크로와 VBA 기초부터 실무활용까지 완전 정복
강의파일 실행문제
안녕하세요 김경자 선생님. 한가지 질문드려도 될까요?강의 파일을 다운 받았는데 파일이 personal.xslb 에서 잠금 되어있다는 말이 뜨고 그 뒤에 읽기전용, notify 두가지만 선택가능해서 그런지 매크로가 아예 실행이 되지 않습니다.그 이후로 허용을 눌러봐도 이 워크북에 매크로가 존재하지 않거나 사용이 안된다는 문구만 뜹니다.혹시 관련해서 해결책을 아실까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리뉴얼] Node.js 교과서 - 기본부터 프로젝트 실습까지
혹시 auction.html에서 errorMessage는 어느 에러를 처리하는 부분인가요?
이 부분에서 errorMessage라는 것이 있는데 이 부분을 어떤 식으로 활용하는 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em.remove()와 delete jpql 작성의 차이점
안녕하세요 해당 강의를 완강하고 영한님의 책을 보며 공부를 하고있는 와중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궁금한 점>em.remove(Board board)와 em.createQuery("delete from board b where b.id=:id") 에서remove를 통한 엔티티 삭제와 JPQL을 사용한 엔티티 삭제에는 차이가 있을까요?remove와 createQuery를 통한 삭제에 효율성 차이가 있나요? 제 짧은 생각으로는 remove는 조회와 삭제 두 번의 행위가 필요한 반면 createQuery를 사용하면 삭제라는 한 번의 행위만 하면 되어 좀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하는데 제 생각이 맞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