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getClass() -> 프록시 객체
16:06 질문입니다.void AopCheck() { log.info("memberService class={}", memberService.getClass());이 부분은 프록시가 나오는걸 이해했는데 빈으로등록한 이부분@Bean MemberServiceV3_3 memberServiceV3_3(){ return new MemberServiceV3_3(memberRepositoryV3()); }이것은 왜 프록시가 아닌 본 객체가 출력되나요 ?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junit5
개인 프로젝트 하면서 junit5로 테스트 했는데 뭔가 콘솔부분이 지저분하고 다소 이상하게 나오는데 문제가 있는걸까요?(테스트는 정상적으로 성공했습니다.)
-
미해결[리뉴얼] 파이썬입문과 크롤링기초 부트캠프 [파이썬, 웹, 데이터 이해 기본까지] (업데이트)
BeautifulSoup 한글깨짐
업무 관련 크롤링을 할 겸 관련 페이지에서 크롤링을 할려고 했는데요.크롤링 시 계속 아무 응답이 없어 구글링 하다, url을 soup 실행시켰는데요. 아래와 같이 일부 문자열이 깨져서 나옵니다. utf-8형태로도 바꿔보았지만 계속 동일 오류가 나는데요 ㅠ간단하게나마 답변 부탁드립니다 ㅠㅠ그리고 차단되는 홈페이지는 보통 url 을 실행시키면 <Response [200]> 문구가 아닌다른 문구형태로 나온다고 알고 있는데요. 전체적으로 실행이 계속 안되는데 혹시 방법이 있을까요? soup = BeautifulSoup(res.text,"html.parser", from_encoding='utf-8')
-
해결됨ADsP 2주 합격 올인원 패스
2과목 빅데이터 분석방법론 1 왜 안보이나요?
2과목 빅데이터 분석방법론 1 왜 안보이나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MemberServiceV3_3Test 코드중 질문
MemberServiceV3_3Test 테스트중@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을 쓰기위해@SpringBootTest 어노테이션을 추가 시키는것 까지 이해는 했는데(06:30 참고)그 이후 이전 코드의 @BeforeEach 코드를 지우셨습니다.(직접 주입)그이후에 @TestConfiguration 을 추가해주셨는데 왜 꼭이렇게 빈을 주입해야 하나요 ?( [MemberRepositoryV3, MemberServiceV3_3] << 이 두 객체를 @Autowired하지않고 이전 @BeforeEach로 사용했지만 안됌) - DataSource, PlatformTransactionManager 두 객체는 @Bean 설정 그 이후 테스트 실패. 결론적으로 MemberRepositoryV3,MemberServiceV3_3 이 둘 클래스도 왜 @TestConfiguration로 빈으로 주입해야 정상작동 하나요 ?? 실패한 코드===================================@BeforeEach void before(){ memberRepository = new MemberRepositoryV3(TestConfig.dataSource()); memberService = new MemberServiceV3_3(memberRepository); } @TestConfiguration static class TestConfig{ @Bean static DataSource dataSource(){ return new DriverManagerDataSource(URL, USERNAME, PASSWORD); } @Bean PlatformTransactionManager transactionManager(){ return new DataSourceTransactionManager(dataSource()); } }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3: 유니티 엔진
PlayerController script 관련 질문
Q1. 5:00 부터 이어지는 강의를 보면 주기적으로 input event가 발생하는지 알기 위해Update 함수 안에 Onkeyboard();OnMouseClicked(); 함수가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그렇지 않아도 잘 실행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Q2. 강의대로 code를 짠 후 unity를 실행시켜보면Managers.input.KeyAction -= Onkeyboard;Managers.input.KeyAction += Onkeyboard;부분에서 NullReferenceException 에서가 발생하는데 원인을 못찾겠습니다 문제가 될만한 부분이 있을까요?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3: 유니티 엔진
작업물 관련 질문
강의 따라하면서 작성한 프로젝트 파일들을 깃허브랑 연동하려하고 하는데 public으로 열어 두어도 괜찮은지 질문드립니다. 안 된다면 private으로 두고 해도 될까요?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RememberMe 의 user계정 조회
TokenBasedRememberMeServices 를 강의에서 설명하실 때 메모리상에 있는 user계정 정보를 조회하는 용도로 쓰인다고 설명해주셨습니다.저 클래스를 찾아보니 아래와 같은 구현 상속관계를 갖습니다.TokenBasedRememberMeServices -> AbstractRememberServices -> RememberServices 반면, 강의의 SecurityConfig.java 에서 설정을 해주실 때 작성했던 코드입니다.@Autowired UserDetailsService userDetailsService;http.rememberMe() .rememberMeParameter("remember") .tokenValiditySeconds(3600) .userDetailsService(userDetailsService) ;강의 6) Remember Me 인증 07:05 에서도 user계정을 조회하는 용도로인터페이스userDetailsService 에 빈을 주입한다고 하셨습니다.(주입되는 구현 클래스의 정체를 모르겠습니다) 질문.위 글에서 먼저 언급했던RememberServices 인터페이스와userDetailsService 인터페이스는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인데 두 인터페이스의 관계를 어떻게 바라봐야하는지 궁금합니다.두 인터페이스의 구현클래스 모두 "user계정을 조회" 하는 기능으로 소개를 해주셔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Vue3 완벽 마스터: 기초부터 실전까지 - "실전편"
router에서 component import하는 방식에 관한 질문입니다
라우터 디렉토리의 index.js에서 컴포넌트를 최상단에서 전부 import하시고, 컴포넌트에서 해당 임포트를 적어주는 것과,component: 여기에서 화살표 함수로 import하는 것의 차이가 있을까요?.? 이전 프로젝트에서 그렇게 하시는 것을 보고 따라서 해보긴했는데, 의미적인 차이를 모르겠어서 질문 남깁니다:))+) 추가적으로, 짐코딩님을 구글링해서 들어가는 페이지에서 들어갈 수 있는 강의교안 페이지에는 코드예제들이 빠져서 보이는 현상이 있는데, 수정이 어려우실까요?
-
미해결비전공자를 위한 진짜 입문 올인원 개발 부트캠프
섹션2 웹화면 구현하기 -3 강의 내용 질문이요
Index.html<html> <head><title>그랩마켓</title><link href="index.css" type="text/css" rel="stylesheet" /></head><body><div id="header"><div id="header-area"><img src="images/icons/logo.png" /></div></div><div id="body"><div id="banner"><img src="images/banners/banner1.png" /></div><h1>판매되는 상품들</h1><div id="product-list"><div class="product-card"></div><div class="product-card"></div><div class="product-card"></div><div class="product-card"></div><div class="product-card"></div><div class="product-card"></div></div></div><div id="footer"></div></body></html> index.css* { margin: 0;padding: 0;}#header { height: 64px; 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border-bottom: 1px solid gray;}#body { height: 100%; width: 1024px; margin: 0 auto; padding-bottom: 24px;}#footer { height: 200px; background-color: red;}#banner { height: 300px; background-color: yellow;}#header-area { width: 1024px; height: 100%; display: flex; align-items: center;}#header-area > img { width: 128px; height: 36px;}#banner > img { width: 100%; height: 300px;}#body > h1 { margin-top: 16px;}#product-list { display: flex; flex-wrap: wrap; margin-top: 12px;}.product-card { width: 180px; height: 300px; background-color: gray; margin-left: 12px; margin-bottom: 12px;} 위와같이 동일하게 작성했는데보여지는 화면에서이렇게 상품창이랑 밑에 footer랑 겹쳐서 나오는데어떻게 해야하나요?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3: 유니티 엔진
Manager.Input.KeyAction += Onkeyboard;
PlayerController의 void Start 부분에Managers.Input.KeyAction -= OnkeyboardManagers.Input.KeyAction += Onkeyboard 문장이 헷갈립니다 ㅜOnKeyboard가 이벤트 핸들러의 역할을 하는건가요?온라인에 나와있는 이벤트 핸들러의 문법이랑 조금 다른것 같은데 이렇게 사용해도 상관없는건가요?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서블릿 컨테이너 / WAS 차이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다른 분들이 질문하셨던 내용이지만 아직도 이해가 잘 되지 않아 잘문드립니다제가 알기로는 was,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웹 서버 + 서블릿 컨테이너로 구성되어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또, 한편으로는 톰캣처럼 서블릿을 지원하는 was를 서블릿 컨테이너라고 알고 있습니다.그렇다면 결국 was와 서블릿 컨테이너의 의미가 중복되는 것 아닌가요?was는 웹 서버와 서블릿 컨테이너로 구성되어 있고, 이 중 서블릿 컨테이너는 또 서블릿을 지원하는 was라는 건가? 싶어서 질문드립니다.그리고 영한 님이 주신 자료에서는 웹 애플리케이션 구성이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서블릿 컨테이너로 나뉘어 있는데, 아래쪽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웹 서버로 수정하여 인식하면 될까요?마지막으로 전체적인 흐름을 본다고 할 때1) 사용자가 localhost:8080/hello 호출2) 서블릿 컨테이너에서 request, response 객체를 만들어줌 (그림에는 아래쪽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만들어지는데,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웹 서버로 고친다면 웹 서버에서 만들어지는 건가요..?)3) 서블릿 컨테이너 안에 있는 쓰레드가 request, response를 인자로 하여 서블릿 객체 호출4) request 객체를 이용해 로직 수행5) 응답 결과를 response에 담고 서블릿 컨테이너에 전달6) 서블릿 컨테이너가 응답 메시지 생성 후 클라이언트에게 전달이 흐름으로 이해하면 될 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리뉴얼] Node.js 교과서 - 기본부터 프로젝트 실습까지
max 64 keys allowed
팀프로젝트하면서 속도가 늦춰질까봐 잘 돌아가도록 구현에만 초점에 두고 최적화에 전혀 신경 안썻더니 서버가 재시작될 때마다 조금씩 속도가 늦춰지다가 결국엔 저 오류가 뜹니다원인은 mysql의 기본키 제한인 64개가 넘어서인 것으로 파악은 됐는데해결해보려했지만 끝내 해결 방법을 찾지 못해 질문글 올립니다..제 생각으로는 오류가 날거면 서버가 처음 시작할 때 오류가 발생해야된다고 생각되는데서버 처음 시작할 땐 오류가 안나고 재시작을 반복해야 64개 넘었다는 오류가 발생합니다 서버켜지는속도 처음 3초 >> 5초 >> 7초 >> 9초 >> ... 점점 느려지다가 위와 같은 오류 발생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joinColumn, referencedColumnName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JPA 기본키를 생성할 때 향후 비즈니스 모델이 변경될 것을 대비해서 비즈니스에 의존적이지 않은 대리 키(ex. Index) 를 사용해서 관리를 한다고 들었습니다.그런데 예를 들어서 학생과 학교라는 테이블이 있고학생이 ManyToOne이라고 할때 School을 조인해서 외래키를 가지게 될텐데, 실제로 JoinColumn을 통해서 매핑을 하게되면 실제 DB에 값을 확인했을 때 외래키에 값에는 당연히 해당 인덱스 값이 저장이 되게되고, 나중에 학생 테이블의 데이터를 확인할 때 이 인덱스가 어떤 학교의 이름이었지? 하고 확인을 두 번 해야되는 경우가 있어서 학교 이름을 unique로 설정하고 referencedColumnName으로 해당 학교이름을 가져오는 식으로 구성하면 한 번에 보여서 이렇게 하는게 더 좋은건가? 싶더라구요. 그래서 보통 실제로는 어떻게 하는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안녕 하세요~~
강의 마다 빅오 표기법도 같이 넣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값타입과 상속
안녕하세요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값 타입을 배우고 나서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앞서 배운 @MappedSuperclass가 적용된BaseEntity를 사용하는 것과값 타입을 사용하는 것이 비슷하게 느껴졌는데,제 생각엔 값 타입을 사용하는 편이 더 낫다고 생각되는데..구분해서 사용할 수 있는 개념들인가요??BaseEntity 를 처음 배웠을 때부터 상속으로 하면 느낌상 어떤 제약이 생기는 듯한 기분을 지울 수가 없네요..
-
해결됨Vue.js + TypeScript 완벽 가이드
2022-10-06 두번째 프로젝트 Repo 권한 요청 드립니다.
seokho.j0308@gmail.com입니다.
-
해결됨ASP.NET core Blazor 디테일 강의 - 초급편
재질문
어제 질문드렸는데 navigationmanager로 해결이 안되어 다시 질문 남깁니다현재 저는 stream형식으로 데이터를 받아오는 코드를 구현하고 있고 이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await InvokeAsync(StateHasChanged); 라는 코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평상시에는 StateHasChanged가 잘 동작하기에 생명주기 함수에만 넣어야하는 함수는 아닌 것 같습니다..오직 문제는 다른 페이지로 전환했다 돌아왔을 시 StateHasChanged가 동작하지 않습니다. (디버깅으로 확인한 결과 평소에는 StateHasChanged 이후에 html 코드쪽으로 가서 업데이트 작업이 진행되는데 문제의 경우에는 html로 가지않고 바로 넘어가버림)(수정된 내용을 찾지 못하는걸까요??)데이터는 정상적으로 들어간게 디버깅을 통해서도 확인되었고 또 이벤트 (아무런 기능없는 버튼 클릭, 다시 다른페이지로 이동했다 돌아옴) 가 발생하면 정상적으로 모든 데이터가 출력됩니다.오직 다른페이지로 넘어갔다 돌아왔을 시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해주는 기능" 만 동작을 멈춤니다.검색한 바로는 비동기 활용 시 쓰레드가 달라져 싱크가 안맞는 문제가 있는거같기도한데...(SynchronizationContext, ExecutionContext)제 생각에는 이게 가장 그럴듯해 보이더라구요 async 사용하면서 쓰레드가 달라져서 StateHasChanged()가 변경된 부분을 인식 못한다는게 맞을까요?버튼을 누르는 것과 StateHasChanged 를 호출하는 것 둘 사이에 무슨 차이점이 있길래 하나만 동작하는걸까요 Blazor (Client-side) StateHasChanged() not updating page - coder-solution-es.com해당 주소의 방법으로 임시적으로 돌아가게는 구현했습니다.아무것도 없는 refresh 페이지를 만들고 init에서 바로 NavigateTo를 활용해 원하는 주소로 돌아가게 구현하는 방식입니다. 이렇게 하면 페이지가 전환되더라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가 됩니다...하지만 매번 반복문마다 저 NavigateTo를 하는건 아무리 봐도 해당 방법은 쓸데없는 동작이 많아( 깜빡임도 발생합니다) 임시 방편으로만 쓸만한거같은데 혹시 저 임시방편 해결책을 통해 저의 근본적인 문제가 무었인지 알 수 있을까요...? 최대한 자세히 제 상황을 알려드리려 하다보니 질문이 길어져서 죄송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9분54초쯤
9분54초쯤 erd보면 item에서 category_item을 일대다로 보고있는데 여기서 아이템은 무조건 카테고리가 필수아닌가요? 그러면 optionality대신 mandatory가 들어가야 하는거 아닌가요? 카테고리가 없는 상품이 없지 않나요?
-
미해결Nuxt.js 시작하기
image 자료 관련하여
안영하십니까 ?강의내용에 직접적인 관련은 약간 벗어난 질문을 드립니다image자료 관련해서image자료가 public 폴더 내에 있다면 img tag의 src 속성에 경로를 입력하면 보안에 취약하지 않는데서버의 특정폴더(public가 아닌)에 imge자료가 있을경우img tag의 src에 경로를 표시하면 보안에 취약 할것 같아 사용이 어려울것 같습니다이런경우는 어떤 방법으로 하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