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BasicErrorController시 인터셉터 호출
BasicErrorController 실행 전에 인터셉터는 호출이 되는 건가요?? 아니면.excludePathPatterns( "/css/**", "/*.ico" , "/error", "/error-page/**" //오류 페이지 경로 );이 부분 등록해야 인터셉터를 생략을 할 수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시큐리티 OAuth2
강의 16:00 접속 에러 질문드립니다.
접속 경로http://localhost:8080/realms/oauth2/protocol/openid-connect/auth?response_type=code&client_id=oauth2-client-app&scope=profile%20email&redirect_uri=http://localhost:8081user / user 의 비밀번호로 접속했습니다.다음 화면으로 넘어가질 않아서위의 경로로 다시 접속해봤습니다."오류 메시지에 이미 로그인 되어있습니다 " 라고 나옵니다.이메일 입력하는 부분도 없이 바로 로그인이 되길래 이상해서 위의 경로로 다시 접속해봤습니다.아래와 같이 나옵니다.사전에 위의 경로로 접속하면"invalid parameter : redirect_uri"라는 메세지와 함께 해당 페이지에 접속되질 않아서설정을 아래와 같이 설정했습니다.
-
해결됨그림으로 배우는 자바, 파트1: 입문!
질문은 아니지만 조심스레 의견 남깁니다
홍팍선생님 강의 5개정도 수강하고 있고 수강 전부터 유튜브로도 무료강의 많이 봤습니다 ㅎㅎ강의가 너무 퀄리티도 높고 궁금한 점도 쏙쏙 어떻게 그렇게 간지러운부분만 골라서 긁어주시니 시원시운 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모든 강의에 인트로 영상이 영상진행중 설명목소리에 비해 너무너무너무너무 소리가 큽니다..ㅠ 이어폰끼고 들으면 매번 귀청이 떨어질것같아요..홍팍선생님 이 다음 강의 출시하실때는 이부분 조절도 염려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강의 잘 보고있습니다 고맙습니다
-
해결됨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편)
loki-stack 설치시 에러가 발생합니다.
[root@k8s-master ~]# helm repo add loki https://grafana.github.io/loki/charts"loki" has been added to your repositories[root@k8s-master ~]# helm fetch loki/loki-stack --version 0.41.2[root@k8s-master ~]# tar -xf loki-stack-0.41.2.tgz[root@k8s-master ~]# lsanaconda-ks.cfg client.crt client.key client.p12 join.sh loki-stack loki-stack-0.41.2.tgz original-ks.cfg ssl[root@k8s-master ~]# cd loki-stack/[root@k8s-master loki-stack]# lscharts Chart.yaml README.md requirements.lock requirements.yaml templates values.yaml[root@k8s-master loki-stack]# vi values.yaml[root@k8s-master loki-stack]# kubectl create ns loki-stacknamespace/loki-stack created[root@k8s-master loki-stack]# helm install loki-stack -f values.yaml . -n loki-stackcoalesce.go:160: warning: skipped value for filters: Not a table.Error: unable to build kubernetes objects from release manifest: [unable to recognize "": no matches for kind "Role" in version "rbac.authorization.k8s.io/v1beta1", unable to recognize "": no matches for kind "RoleBinding" in version "rbac.authorization.k8s.io/v1beta1"][root@k8s-master loki-stack]# 위와 같이 설치시 에러가 발생하는데 어떤 부분을 확인해보면 될까요?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3-C 강의 내용 질문
http://boj.kr/ed64f619d6c14451b5d858f2b1f4c3ba강의 내용 관련 질문이지만 질문 규칙에 따라서 제 코드도 첨부합니다. 저 코드는 배열을 바로바로 수정하지 않고 v1, v2 배열에 모아 두었다가 모든 DFS가 끝나면 한 번에 배열을 수정하는 코드입니다.강의에서는 연합을 하나 찾을 때마다 바로 배열 A를 수정하고 있습니다.이 경우 같은 턴에서 다른 연합을 찾을 때 배열을 수정한 게 영향을 미칠 것 같은데 그러지 않는 이유가 궁금합니다.예를 들어 테스트 4에서3 5 10 10 15 20 20 30 25 40 22 10 (0, 0)에서 DFS를 한 후 배열을 수정하면 아래의 배열이 되는데 20 20 20 20 20 20 40 20 10 변경된 상태에서는 같은 턴에서 (2, 2)를 기준으로 (2, 1), (1, 2)와 연합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최종 상태는 아래와 같아질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20 20 20 20 20 16 40 16 16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XML 기반 스프링 빈 정보
안녕하세요 선생님.XML 파일을 생성하고자 하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ㅠㅠ처음부터 다시 따라하면서 만들었음에도 동일한 에러가 발생하였습니다. 어떤 부분 때문에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알 수 있을까요?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xml.XmlBeanDefinitionStoreException: Line 1 in XML document from class path resource [appConfig.xml] is invalid; nested exception is org.xml.sax.SAXParseException; lineNumber: 1; columnNumber: 292; cvc-elt.1.a: 'beans' 요소의 선언을 찾을 수 없습니다.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xml.XmlBeanDefinitionReader.doLoadBeanDefinitions(XmlBeanDefinitionReader.java:402)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xml.XmlBeanDefinitionReader.loadBeanDefinitions(XmlBeanDefinitionReader.java:338)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xml.XmlBeanDefinitionReader.loadBeanDefinitions(XmlBeanDefinitionReader.java:310)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DefinitionReader.loadBeanDefinitions(AbstractBeanDefinitionReader.java:196)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DefinitionReader.loadBeanDefinitions(AbstractBeanDefinitionReader.java:232)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DefinitionReader.loadBeanDefinitions(AbstractBeanDefinitionReader.java:203)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DefinitionReader.loadBeanDefinitions(AbstractBeanDefinitionReader.java:265)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GenericXmlApplicationContext.load(GenericXmlApplicationContext.java:130)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GenericXmlApplicationContext.<init>(GenericXmlApplicationContext.java:70) at hello.core.xml.XmlAppContext.xmlAppContext(XmlAppContext.java:5)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0(Native Method)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NativeMethodAccessorImpl.java:77)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DelegatingMethodAccessorImpl.invoke(DelegatingMethodAccessorImpl.java:43) at java.base/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68) at org.junit.platform.commons.util.ReflectionUtils.invokeMethod(ReflectionUtils.java:725) 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MethodInvocation.proceed(MethodInvocation.java:60) 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InvocationInterceptorChain$ValidatingInvocation.proceed(InvocationInterceptorChain.java:131) at org.junit.jupiter.engine.extension.TimeoutExtension.intercept(TimeoutExtension.java:149) at org.junit.jupiter.engine.extension.TimeoutExtension.interceptTestableMethod(TimeoutExtension.java:140) at org.junit.jupiter.engine.extension.TimeoutExtension.interceptTestMethod(TimeoutExtension.java:84) 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ExecutableInvoker$ReflectiveInterceptorCall.lambda$ofVoidMethod$0(ExecutableInvoker.java:115) 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ExecutableInvoker.lambda$invoke$0(ExecutableInvoker.java:105) 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InvocationInterceptorChain$InterceptedInvocation.proceed(InvocationInterceptorChain.java:106) 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InvocationInterceptorChain.proceed(InvocationInterceptorChain.java:64) 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InvocationInterceptorChain.chainAndInvoke(InvocationInterceptorChain.java:45) 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InvocationInterceptorChain.invoke(InvocationInterceptorChain.java:37) 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ExecutableInvoker.invoke(ExecutableInvoker.java:104) 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ExecutableInvoker.invoke(ExecutableInvoker.java:98) at org.junit.jupiter.engine.descriptor.TestMethodTestDescriptor.lambda$invokeTestMethod$7(TestMethodTestDescriptor.java:214)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 at org.junit.jupiter.engine.descriptor.TestMethodTestDescriptor.invokeTestMethod(TestMethodTestDescriptor.java:210) at org.junit.jupiter.engine.descriptor.TestMethodTestDescriptor.execute(TestMethodTestDescriptor.java:135) at org.junit.jupiter.engine.descriptor.TestMethodTestDescriptor.execute(TestMethodTestDescriptor.java:66)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6(NodeTestTask.java:151)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8(NodeTestTask.java:141)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around(Node.java:137)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9(NodeTestTask.java:139)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executeRecursively(NodeTestTask.java:138)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execute(NodeTestTask.java:95) 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11)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invokeAll(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java:41)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6(NodeTestTask.java:155)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8(NodeTestTask.java:141)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around(Node.java:137)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9(NodeTestTask.java:139)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executeRecursively(NodeTestTask.java:138)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execute(NodeTestTask.java:95) 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11)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invokeAll(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java:41)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6(NodeTestTask.java:155)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8(NodeTestTask.java:141)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around(Node.java:137)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9(NodeTestTask.java:139)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executeRecursively(NodeTestTask.java:138)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execute(NodeTestTask.java:95)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submit(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java:35)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HierarchicalTestExecutor.execute(HierarchicalTestExecutor.java:57)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HierarchicalTestEngine.execute(HierarchicalTestEngine.java:54) 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EngineExecutionOrchestrator.execute(EngineExecutionOrchestrator.java:107) 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EngineExecutionOrchestrator.execute(EngineExecutionOrchestrator.java:88) 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EngineExecutionOrchestrator.lambda$execute$0(EngineExecutionOrchestrator.java:54) 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EngineExecutionOrchestrator.withInterceptedStreams(EngineExecutionOrchestrator.java:67) 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EngineExecutionOrchestrator.execute(EngineExecutionOrchestrator.java:52) 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DefaultLauncher.execute(DefaultLauncher.java:114) 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DefaultLauncher.execute(DefaultLauncher.java:86) 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DefaultLauncherSession$DelegatingLauncher.execute(DefaultLauncherSession.java:86) 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SessionPerRequestLauncher.execute(SessionPerRequestLauncher.java:53) at com.intellij.junit5.JUnit5IdeaTestRunner.startRunnerWithArgs(JUnit5IdeaTestRunner.java:57) at com.intellij.rt.junit.IdeaTestRunner$Repeater$1.execute(IdeaTestRunner.java:38) at com.intellij.rt.execution.junit.TestsRepeater.repeat(TestsRepeater.java:11) at com.intellij.rt.junit.IdeaTestRunner$Repeater.startRunnerWithArgs(IdeaTestRunner.java:35) at com.intellij.rt.junit.JUnitStarter.prepareStreamsAndStart(JUnitStarter.java:235) at com.intellij.rt.junit.JUnitStarter.main(JUnitStarter.java:54)Caused by: org.xml.sax.SAXParseException; lineNumber: 1; columnNumber: 292; cvc-elt.1.a: 'beans' 요소의 선언을 찾을 수 없습니다. at java.xml/com.sun.org.apache.xerces.internal.util.ErrorHandlerWrapper.createSAXParseException(ErrorHandlerWrapper.java:204) at java.xml/com.sun.org.apache.xerces.internal.util.ErrorHandlerWrapper.error(ErrorHandlerWrapper.java:135) at java.xml/com.sun.org.apache.xerces.internal.impl.XMLErrorReporter.reportError(XMLErrorReporter.java:396) at java.xml/com.sun.org.apache.xerces.internal.impl.XMLErrorReporter.reportError(XMLErrorReporter.java:327) at java.xml/com.sun.org.apache.xerces.internal.impl.XMLErrorReporter.reportError(XMLErrorReporter.java:284) at java.xml/com.sun.org.apache.xerces.internal.impl.xs.XMLSchemaValidator.handleStartElement(XMLSchemaValidator.java:2133) at java.xml/com.sun.org.apache.xerces.internal.impl.xs.XMLSchemaValidator.startElement(XMLSchemaValidator.java:830) at java.xml/com.sun.org.apache.xerces.internal.impl.XMLNSDocumentScannerImpl.scanStartElement(XMLNSDocumentScannerImpl.java:374) at java.xml/com.sun.org.apache.xerces.internal.impl.XMLNSDocumentScannerImpl$NSContentDriver.scanRootElementHook(XMLNSDocumentScannerImpl.java:613) at java.xml/com.sun.org.apache.xerces.internal.impl.XMLDocumentFragmentScannerImpl$FragmentContentDriver.next(XMLDocumentFragmentScannerImpl.java:3079) at java.xml/com.sun.org.apache.xerces.internal.impl.XMLDocumentScannerImpl$PrologDriver.next(XMLDocumentScannerImpl.java:836) at java.xml/com.sun.org.apache.xerces.internal.impl.XMLDocumentScannerImpl.next(XMLDocumentScannerImpl.java:605) at java.xml/com.sun.org.apache.xerces.internal.impl.XMLNSDocumentScannerImpl.next(XMLNSDocumentScannerImpl.java:112) at java.xml/com.sun.org.apache.xerces.internal.impl.XMLDocumentFragmentScannerImpl.scanDocument(XMLDocumentFragmentScannerImpl.java:542) at java.xml/com.sun.org.apache.xerces.internal.parsers.XML11Configuration.parse(XML11Configuration.java:889) at java.xml/com.sun.org.apache.xerces.internal.parsers.XML11Configuration.parse(XML11Configuration.java:825) at java.xml/com.sun.org.apache.xerces.internal.parsers.XMLParser.parse(XMLParser.java:141) at java.xml/com.sun.org.apache.xerces.internal.parsers.DOMParser.parse(DOMParser.java:247) at java.xml/com.sun.org.apache.xerces.internal.jaxp.DocumentBuilderImpl.parse(DocumentBuilderImpl.java:342)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xml.DefaultDocumentLoader.loadDocument(DefaultDocumentLoader.java:77)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xml.XmlBeanDefinitionReader.doLoadDocument(XmlBeanDefinitionReader.java:432)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xml.XmlBeanDefinitionReader.doLoadBeanDefinitions(XmlBeanDefinitionReader.java:390) ... 78 more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부모클래스 변수로 자식클래스 인스턴스 받기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강사님은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new MemoryMemberRepository();또는List<Member> result = new ArrayList<>(); 와 같이인스턴스를 받는 변수의 class 타입을 부모 클래스로 하시는데 이건 특별한 이유가 있는건가요? 아니면 코딩 스타일상 선호해서 부모 클래스 변수를 사용하시나요?
-
미해결냉동코더의 알기 쉬운 Modern Android Development 입문
Prodeuction 코드 내에 Test 용도의 코드에 관한 질문
안녕하세요 냉동코더님! 처음으로 Test코드에 대한 내용을 학습하다 보니 궁금한 점이 많네요 궁금한 점이 프로덕션코드의 내에 즉 영상에서 보면 BookViewModel 내부에 Test용 코드를 넣는걸 볼 수 있는데 이렇게 프로덕션 코드 내에 Test용 코드를 넣어도 괜찮은 건가요?// For Test val favoriteBooks: Flow<List<Book>> = bookSearchRepository.getFavoriteBooks()
-
미해결그림으로 배우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4.8 ingress
4.8 강의 내용 순서대로 진행한 결과 다음과 같이 ingress-nginx-admission-patch-가 계속 생성이 되지 않아 전체를 지우고 다시 배포해도 같은 결과가 나왔습니다.그래서 describe로 events를 확인해보니 다음과 같은 에러메세지가 발생하는데 이유가 뭘까요??controller pod는 위에 두개가 completed가 되면 이제 인증을 받아 실행된다고 구글링으로 확인했는데,admission-patch에서 저런 에러가 발생하는 이유는 못 찾겠네요..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13244 tree 문제 질문
안녕하세요 13244 tree 문제 풀다가 질문 생겨서 글 남깁니다.http://boj.kr/c294aa7ee185421d8f6ccb6ff804b4b0저는 위와 같이 코드를 작성했는데, 틀렸다고 나와서요제가 놓친 반례에는 어떤 것이 있을 수 있나요?저는 엣지 노드 갯수 비교하는 부분이 없고, 이미 엣지가 있는지 체크하고 추가하였습니다.
-
미해결데이터 분석 SQL Fundamentals
중첩 쿼리 다루나요?
selectfromㅡㅡㅡㅡselectㅡㅡㅡㅡㅡㅡㅡfromㅡㅡㅡㅡselectㅡㅡㅡㅡㅡㅡㅡwhereㅡㅡㅡfromwhere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where이런 중첩쿼리를 회사에서 쓰고 있는데구글링해봐도 다루는 곳이 없습니다.주변에서 그러길 이것부터는 실전이라 강의에서 다루지 않는다고 하는데혹시 몰라 문의드립니다.강의를 모두 듣지는 않았지만 혹시 현재 다룬 강좌가 있는지없다면 다루실 의향이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편)
longhorn 설치 시 longhorn 삭제가 안됩니다.
[root@k8s-master ssl]# kubectl get storageclasses.storage.k8s.io -n longhorn-system longhornNAME PROVISIONER RECLAIMPOLICY VOLUMEBINDINGMODE ALLOWVOLUMEEXPANSION AGElonghorn (default) driver.longhorn.io Delete Immediate true 119s[root@k8s-master ssl]# kubectl delete storageclasses.storage.k8s.io -n longhorn-system longhornwarning: deleting cluster-scoped resources, not scoped to the provided namespacestorageclass.storage.k8s.io "longhorn" deleted[root@k8s-master ssl]# cat <<EOF | kubectl create -f -> kind: StorageClass> apiVersion: storage.k8s.io/v1> metadata:> name: longhorn> provisioner: driver.longhorn.io> allowVolumeExpansion: true> parameters:> numberOfReplicas: "2"> staleReplicaTimeout: "2880"> fromBackup: ""> EOFError from server (AlreadyExists): error when creating "STDIN": storageclasses.storage.k8s.io "longhorn" already exists[root@k8s-master ssl]# 어떤 부분을 확인해봐야 할까요?
-
해결됨[아파치 카프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개념부터 컨슈머, 프로듀서, 커넥트, 스트림즈까지!
5번 문제 해설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5번 문제 해설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5번 해설에서 min.insync.replicas=2이고 replication factor가 3일 때 가장 신뢰도가 높다고 설명해주셨는데, min.insync.replicas에는 리더도 포함하는 것 아닌가요?신뢰도를 최우선으로 둔다면 min.insync.replicas == replication factor가 되어야 하는 것 아닌지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초급편] 안드로이드 커뮤니티 앱 만들기(Android Kotlin)
Navigation에 관련해서 질문있습니다!
매번 좋은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개인 프로젝트 하기 전에 강의를 따라 진행하면서는 몰랐는데 프로젝트에 접목하려고 보니 버그를 발견했습니다.하단 bottom layout에서 꿀팁 -> 자취톡으로 이동 후 다른 탭 클릭이 아닌 안드로이드 기기 하단바의 뒤로가기 버튼을 클릭해서 자취톡 -> 꿀팁 으로 이동하게 되면 꿀팁에서 기능을 구현했던 카데고리 클릭, 하단의 홈, 자취톡, 북마크 전부 다 클릭이 전혀 안됩니다...혼자 해결하려고 구글링도 하고 이것저것 해봐도 도저히 방법을 모르겠어서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
강의 관련 연계 프로그램 지원 여부
안녕하세요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김영찬입니다.전라북도 지역 개발자 대상으로 교육을 지원하고 싶은데요.혹시 연계프로그램 같은 것을 지원 가능한지 질문드립니다.2023년 교육 비용을 사전 결제 (또는 년단위 또는 월단위 결제)를 저희가 하고전라북도 지역 개발자가 듣고 싶은 강의를 듣게 하고,수료증은 저희도 다운로드 가능해서1년에 수료 현황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함. 이런 정책이 가능한지 답변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동시성 제어 이슈
package org.example; import java.sql.Connection; import java.sql.DriverManager; import java.sql.PreparedStatement; import java.sql.SQLException; class Test implements Runnable { private Connection conn; Test(Connection conn) { this.conn = conn; } @Override public void run() { try(PreparedStatement pstmt = conn.prepareStatement("UPDATE stock SET quantity = quantity + 1 WHERE id = 1")) { pstmt.executeUpdate(); } catch (SQLException e) { System.out.println("error"); } } } public class Main { private static String address = "localhost"; private static String port = "3306"; private static String databaseName = "stock_example"; private static String tableName = "stock"; private static String user = "root"; private static String password = "1234"; private static String url = "jdbc:mysql://" + address + ":" + port + "/" + databaseName;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nection[] conn = new Connection[100]; Thread[] thread = new Thread[100]; for ( int i = 0 ; i < 100 ; i++ ) { try { conn[i] = DriverManager.getConnection(url, user, password); thread[i] = new Thread(new Test(conn[i])); } catch (SQLException e) { System.out.println(e.getMessage()); } } for ( int i = 0 ; i < 100 ; i++ ) { thread[i].start(); } } } 본 강의를 수강한 이후에 isolation level에 대해서 학습을 하면서 mysql은 기본적으로 repeatable read를 적용하고 있다는 것을 보았습니다.그렇다면 따로 설정을 해주지 않더라도 동시성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닌가 생각이 들어 위와 같은 코드를 통해서 테스틀 해보았습니다. 테스트 환경은 spring을 따로 사용하지 않았으면 gradle에 jdbc 의존성만 추가 해주고 진행하였습니다.위의 코드에서 각각의 쓰레드가 stock의 수량에 대해서 1씩 증가하려는 코드이고 코드 실행 후 db에 수량을 확인하여 100개로 잘 나타는것을 확인하였습니다.이 경우에는 왜 강의에서 진행하는 테스트와 달리 db의 무결성이 지켜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건가요? 또한 mysql은 repeatable read를 채택하고 있다면 왜 강의에서 이용한 테스트코드는 무결성이 지켜지지 않는건가요?
-
해결됨디자인 시스템 with 피그마
다른 파일에 피그마토큰 연동하기
안녕하세요 범쌤!파운데이션이나 컴포넌트를 모아두는 파일과 실제 화면이 있는 파일을 구분해서 사용중입니다.그동안은 라이브러리기능을 이용하고 있었구요.figma token 플러그인에 더 많은 항목을 셋팅할 수 있어서(spacing 등등) 너무 유용한데, 혹시 이걸 실제 화면을 작성하는 파일에는 어떻게 연동해야할까요?이후에 업데이트도요.늘 감사합니다. 많이 배우고있어요~
-
미해결[초급편] 안드로이드 커뮤니티 앱 만들기(Android Kotlin)
코드를 어디서 구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좋은 강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강의를 다 듣고 프로젝트를 만들었는데 처음에 보여준 홈화면 커뮤니티 연동과 마이페이지 같은 기능도 추가하고 싶어서 혹시 완성된 소스코드는 어디서 볼 수 있는지 여쭤볼 수 있을까요?
-
미해결[리뉴얼] 타입스크립트 올인원 : Part1. 기본 문법편
제네릭에서 질문입니다.
function add<T extends (a: string) => number>(x: T): T { return x }; add((a)=>+a)위 코드 add((a)=>+a) 에서 인자 a가 왜 string으로 인식되는지 , +a가 왜 숫자로 인식되는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노드, 리액트 시리즈 - 레딧 사이트 만들기(NextJS)(Pages Router)
docker-compose up 에러
이렇게 작성 후 .env 설정하고 나서 docker-compose up 진행하니깐 (root) Additional property -version is not allowed에러가 계속 발생되더라구요. 처음에 postgres 잘 생성되다가 다시 포맷하고 docker 설치하고 난 이후에 똑같은 코드로 진행했는데도 에러가 발생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