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2025년 출제기준] 웹디자인기능사 실기시험 완벽 가이드
내부 스타일 서식 관련
index.html 작업 중인데 (강의 25번) 결과물을 봤을 때 container 밑에 있는 div style 서식이 먹히지 않습니다..(display:none;은 아직 보류)(div를 class로 이름을 줄 땐 잘 반영됩니다. 차라리 class로 이름을 줘서 반영하는 게 나을까요?)어디가 문제인지 확인해줄 수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psvm 실행시 warning 오류
13:40 경에 실행하는 psvm run이OpenJDK 64-Bit Server VM warning: Options -Xverify:none and -noverify were deprecated in JDK 13 and will likely be removed in a future release.라며 warning이 발생하고 이후에는 문제없이 로그가 나옵니다. 찾아보니 Run/Debug Configuration 에서 Modify options의 launch optimization을 바꿔주라는 말이 있네요, 근데 각각 어느 사람은 enable로 하라하고, 어떤 사람은 disable로 하라고 가르쳐줍니다. 각각의 차이점을 알기가 어려운데 차이점과 적용해야할 방안이 궁금합니다.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3: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학습에 크게 지장이 있는건 아니지만 단순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Maze.cpp에서 player.Init(&board)를 할 때 Player class 안에 멤버 변수 _board에는 nullptr이 들어 있잖아요 그런데 Player.cpp에서 Init 함수 내에 _pos = _board->GetEnterPos( ) 를 호출 할 때 _board에는 nullptr이 들어있는데 어떻게 GetEnterPos( ) 를 호출 할 수 있는건가요?제 생각으로는 _board = board로 먼저 _board를 특정 주소값으로 세팅한 다음 GetEnterPos( ) 함수를 호출해야 되는 것 같은데 순서를 뒤바꿔서 해도 실행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더라구요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웹사이트제작! Step by Step!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시대- 레이아웃제작 기초)
overflow:hidden 과 float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contents 영역 제작하기_2 부분에서 자식요소가 float를 쓸 경우, 부모가 높이 값을 잃어 overflow:hidden 을 사용해야한다고 말씀하셨는데요,부모의 값에 overflow을 적용할 경우에 자식의 flow:left이 사라져서 아래와 같은 모양으로 보입니다.왜 이런 결과가 나오는지, 이럴 때는 어떡하면 좋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내부 커밋
내부에서 롤백을 하면 스프링에서 rollback-only 처리를 해주는데 내부에서 커밋하는건 의미가 없는거 아닌가요 ? 그렇다면 내부코드에서 commit 하는 코드를 넣지 않아도 되는건가요 ?
-
미해결스프링 프레임워크는 내 손에 [스프1탄]
시큐리티 회원정보 수정과 이미지 수정
안녕하세요.회원 정보 수정과 이미지 수정을 위해서 컨트롤러에서 아래의 코드를 추가하면 홈 화면과 프로젝트의 모든 url에서 에러납니다. ; 이런 경우 구글링 키워드를 어떻게 잡아야 할 지 모르겠어요.. 그리고 혹시 해결 방법이 있을까요? ;;;ㅠ << 추가 코드 - member controller >>@Autowired MemberUserDetailsService memberUserDetailsService;<< 에러 내용 >>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Circuit breaker와 ErrorDecoder 동시 사용
강사님 안녕하세요?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 Feign Client 강의에서 ErrorDecoder를 추가하여 try-catch문을 사용하지 않고, HTTP 에러 코드 별 처리 방법을 별도로 분리했었는데요.이번 강의에서처럼 Circuit breaker를 사용하면 API 호출 시 발생하는 모든 오류 상황에 대해 fallback 값이 전달되기 때문에 ErrorDecoder는 별도로 필요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외부 API 호출하는 모든 케이스에서 circuit breaker를 사용한다면 ErrorDecoder는 불필요한 것이 맞나요?circuit breaker와 error decoder가 둘 다 필요하다고 한다면, error decoder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나요? 항상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편)
Authorizattion Secrets 이슈
안녕하세요 강사님,Secrets에 아무것도 보이지 않습니다. authentication 에서도 exec 명령후 etc 안에 Kubernetes 디렉토리가 없어서 인증 키 실습을 못하고 건너 뛰었는데.. 같은 문제로 안되는 건지 설명 부탁 드립니다. 같은 문제면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도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교안질문
큰돌님 교안 공부중 이해가 안되는 부분들 정리하여 올립니다! 1.#include<bits/stdc++.h>using namespace std;void f(vector<int> v[10]){v[0][0] = 1000;}int main(){vector<int> v[10];v[0].push_back(100);f(v);for(int i : v[0]) cout << i << " ";return 0;}// 1000위 코드에서 vector<int> v[10] 꼴의 10개의 vector를 넘기는 함수가왜 void f(vector<int>v[10] {v[0][0] = 1000;} 와 같이 작성되는 것인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그리고 분명 v[0][0]에 1000의 값이 들어갔는데,왜 v[0]의 값이 최종적으로 1000이 되는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100이 맞지 않나요? 2.그리고 2차원 vector 코드에서#include<bits/stdc++.h>using namespace std;void f(vector<vector<int>> &v){vector<int> vv;vv.push_back(10000);v.push_back(vv);}int main(){vector<vector<int>> v;f(v);for(int i : v[0]) cout << i << " ";return 0;}vv[0]에 10000이라는 값이 들어가고,이가 다시 push_back 함수에 의해 v[0]에 10000의 값으로 들어간다고 이해하면 되는걸까요?(2차원 vector를 넘기기 위해 1차원 vector 두 개로 풀어냈다고 이해하였는데 제대로 이해한걸까요?) 3.struct Point{int y, x, z;Point(int y, int x, int z) : y(y), x(x), z(z){}Point(){y = -1; x = -1; z = -1; }bool operator < (const Point & a) const{if(x == a.x) {if(y == a.y) return z < a.z;return y > a.y;}return x < a.x;}};위 코드에서 bool operator 대략적으로 이해는 하였는데, 정확히 a.x 가 의미하는게 무엇일까요?또한 위 코드에서 x가 1순위 y가 2순위 z가 3순위로 정렬되는것은 알겠으나사실상 어떤 상황이든 x가 1순위로 오름차순 정렬되지 않나요? z, y가 1순위가 되어 오름차순 정렬이 되는 상황이 있나요?그리고 return x < a.x; 코드를 지우고 실행시키면 에러가 나오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
미해결[개정판] 딥러닝 컴퓨터 비전 완벽 가이드
RCNN에서 손실함수 구하기
안녕하세요?RCNN의 경우 classification에 대한 loss는 구할 수 없고 다만 bounding box regression은 구할 수 있는지 이유가 궁금합니다.RCNN의 경우는 최종 값을 판별하는 분류기가 CNN과 분리되어 있어서 역전파를 할 수 없어 classification의 경우는 오차 함수를 구할 수 가 없다고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bounding box regression은 Loss 값을 구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구한 Loss 값으로 CNN이 업데이트가 가능한지요?바쁘신 와중에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__________^
-
미해결[리뉴얼] 타입스크립트 올인원 : Part1. 기본 문법편
Flat 분석에서 Depth 타입을 위한 배열은 왜 하드코딩일까요?
type FlatArray<Arr, Depth extends number> = { "done": Arr, "recur": Arr extends ReadonlyArray<infer InnerArr> ? FlatArray<InnerArr, [-1,0,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Depth]> : Arr }[Depth extends 01 ? "done" : "recur"];위의 코드에서 typescript가 [-1,0,1,...,20]로 배열을 하드 코딩한 이유는 1. 코드를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함2. 메서드로 배열 생성했을 때, 해당 배열 생성을 위한 Array의 다른 메서드 의존을 없애기 위함+다른 배열 생성 방법 예시 중 하나) new Array(21).fill(0).map((_,i)=>i-1) 3. 다시 쓰지도 않을거고, 이정도 사이즈의 배열은 그냥 써도 된다.4. ??어떤 이유일까요?제로초님의 생각은 어떠신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일대다 단방향은 무조건 피해야 하나요?
일대다 단방향 매핑에서 다음의 두가지 단점이 있다고 말씀해 주셨습니다.추가적인 update 쿼리의 실행엔티티가 관리하는 외래 키가 다른 테이블에 있음그런데 일대다 단방향 매핑을 맺을 때 updatable=false와 nullable=false를 추가하면 update 쿼리 없이 한 번에 insert 쿼리만 나가는 것을 확인했습니다.@OneToMany(cascade = {CascadeType.PERSIST, CascadeType.REMOVE}) @JoinColumn(name = "parent_id", nullable = false, updatable = false) private List<Child> children = new ArrayList<>();물론 부모 자식간 관계가 변하지 않고 라이프사이클이 완전 동일한 경우에만 활용할 수 있을 듯 합니다.그럼 update 쿼리가 추가적으로 나가는 것은 해결한 셈인데 이런 경우에도 엔티티가 관리하는 외래키가 다른 테이블에 있다는 단점에 의해 다대일 양방향을 맺어줘야 할까요? 복잡한 실무에서는 그 패러다임 불일치가 많은 영향을 주나요?
-
미해결파이썬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코딩테스트 대비)
DFS에 대해 궁금증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저는 DFS가 어떤 그래프?를 탐색하는 방법으로 알고있었는데부분집합구하기 문제풀이를 볼때 숫자가 들어있는 정점이 아니라D(1) D(2)이런 함수를 탐색하는걸로 보이더라고요. 함수도 정점인가요?이런것도 DFS인가요?? DFS가 정확히 뭔가요??
-
미해결화이트해커가 되기 위한 8가지 웹 해킹 기술
exec 형식 오류
안녕하세요. xampp 파일 받고 사용자로도 해보고 root로도 실행을 해봤는데 zsh exec 형식 오류가 나오는 데 어떻게 해결하나요? 권한도 변경하고 비트도 확인해서 64로 받았습니다.
-
미해결[리뉴얼] Node.js 교과서 - 기본부터 프로젝트 실습까지
worker_thread ?? libuv thread??
노드 공부 중에 너무 헷갈려서 조심스레 질문 올려봅니다.질문은 맨 밑에 써있습니다.Libuvnodejs 가 비동기 IO를 처리해주는 놈보통 비동기작업이 발생하면 Libuv에 작업을 위임하고 그작업 내부에서 커널을 이용하거나 커널로 할수 없는 경우 libuv 가 자체적으로 운용하는 thread_pool 내부 thread 이용해서 (기본 4개 ) 작업 처리후 이벤트 리스너 내부 각 틱에 맞는 큐에 전달하고 메인 쓰레드 가 이벤트 루프를 돌면서 적절하게 콜백으로 실행한다.worker_thread노드에서 멀티 쓰레드 방식으로 작업 처리 구글링을 통해 찾은 그림으로 봐서는 노드도 한 실행 프로세스 내부에서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처럼 멀티 쓰레드를 사용한 것 처럼 보입니다.본래 메인 쓰레드 가 하나 이기 때문에 노드는 싱글쓰레드 기반이라고 하는데 ,만약 그림이 맞다면 이걸 깨고 메인 쓰레드를 여러개로 사용하겠다고 이해했습니다.여기서 너무 햇갈립니다.질문 1 : worker_thread 를 통해 생성한 쓰레드랑 Libuv 에서 관리하는 thread pool 안에 쓰레드랑 같은 개념인가요?일단 저는 두개는 다르다고 이해했습니다.worker_thread 를 이용해서 쓰레드를 추가한 행위는 메인 쓰레드를 여러개 사용하겠다는 의미 이고libuv 는 자체적으로 운용하는 쓰레드 풀 이다.질문 2 : 만약 둘이 다르다면 worker_thread 를 3개 생성하면 libuv 에 쓰레드는 12개가 생성되나요?저는 일단 아니라고 생각 합니다.. 그렇다면 thread_pool 도 3개가 생성되고 .. 이러면 너무 무서울것 같습니다. (그럼 만약 thread_pool 제한을 128개로 풀어버리고 worker_thread 를 8개 만들면 ㄷ ㄷ ㄷ )아마 가상적으로 격리시킨다고 이해했습니다.. 결국 (v8엔진과 libuv 는 한개다..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61328960/when-is-better-using-clustering-or-worker-threads좀더 찾아본 바로는 별개 의 것으로 있는것 같네요 ㅠ그럼 정말 3개의 worker_thread 를 사용하면 각 v8 엔진과 libuv 도 생성되나요? 틀린 부분이나 오개념 지적 부탁드립니다 ㅠㅠ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백준 2910 2-G 파이썬 코드 공유합니다!
BOJ 2910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c = map(int, input().split()) a = list(map(int, input().split())) cnt_dict = dict() _order = list() for i in a: if not i in _order: _order.append(i) print(*sorted(a, key=lambda x: (-a.count(x), _order.index(x))))
-
미해결[실전 게임 코드 리뷰] 유니티 클리커 게임
실행오류
Library\PackageCache\com.unity.2d.animation@7.0.4\Runtime\SpriteSkin.cs(410,51): error CS1061: 'SpriteBone' does not contain a definition for 'guid' and no accessible extension method 'guid' accepting a first argument of type 'SpriteBone' could be found (are you missing a using directive or an assembly reference?)에러가 나고 실행이 안됩니다 도와주세요 형님들ㅜㅜ
-
미해결영화 예매 사이트 만들기: 코딩편
예매 기능을 만드는 게 아닌가요?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셀렉트박스 검증하는법
셀렉트 박스 만들때 input태그와는 다르게 이렇게 하니까 검증 처리가 안되는거 같은데 셀렉트 박스에서 검증 처리하는 방법이 따로 있을까요?<select th:disabled="${item.stockQuantity eq 0} ? 'disabled'" th:field="*{size}" th:class="${#fields.hasErrors('size')} ? 'fieldError' : 'asd'"> <option value=" ">-- 사이즈를 선택하세요 --</option> <!-- 신발일때와 아닐때 사이즈 나누기 --> <option value="small" th:if="${item.category ne '신발'}">S</option> <option value="medium" th:if="${item.category ne '신발'}">M</option> <option value="large" th:if="${item.category ne '신발'}">L</option> <option value="xlarge" th:if="${item.category ne '신발'}">XL</option> <option value="xxlarge" th:if="${item.category ne '신발'}">XXL</option> <option value="230" th:if="${item.category eq '신발'}">230</option> <option value="240" th:if="${item.category eq '신발'}">240</option> <option value="250" th:if="${item.category eq '신발'}">250</option> <option value="260" th:if="${item.category eq '신발'}">260</option> <option value="270" th:if="${item.category eq '신발'}">270</option> <option value="280" th:if="${item.category eq '신발'}">280</option> </select>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섹션3에서 MemberService, MemberServiceTest 관련 질문입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MemberServiceTest에서는 MemoryMemberRepository형으로 변수를 할당하여 Memory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BeforeEach public void beforeEach() { memberRepository = new MemoryMemberRepository(); memberService = new MemberService(memberRepository); }MemberService에 주입하고 있고 MemberService에는 MemberRepository형으로 변수가 선언되어 있습니다.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ublic MemberService(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이 둘이 통일되지 않고 다른 이유가 있을까요? MemberService에서 private final Memory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ublic MemberService(Memory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이렇게 변경하여도 오류가 나지 않는데 위의 2번째 사진처럼 구현하신 이유가 따로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