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MySQL 성능 최적화 입문/실전 (SQL 튜닝편)
SQL 튜닝에 대한 사례나 Best Practice 등을 모은 자료를 알려주실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선생님강의 잘 듣고 실무에서 배운 대로 인덱스를 좀 더 적극적으로 사용하려고 하는데, 평소에 깊은 고민하지 않다가 이제 해보려고 하니까 많이 고통스러운 시기를 지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혹시 선생님께서 튜닝과 관련하여 도움을 받았거나, 혹은 추천할 만한 자료, 저서, 사이트 등이 있으시면 추천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좀 더 다양한 사례를 보면서 인덱스에 익숙해지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Real MySQL 시즌 1 - Part 1
7)select for update 강의에서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 gpt o1에게 물어보다가 질문이 생겼습니다.read committed 상태일 때 select for update를 쓰면 해당 statement가 끝나면 lock이 풀린다는데 이는 잘못된거지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Redis 입문/실전 (조회 성능 최적화편)
@Cacheable key 속성에서 page, size 파라미터값 null
BoardService.class@Cacheable( cacheNames = "getBoards", key = "'boards:page:' + #page + ':size:' + #size", cacheManager = "boardCacheManager" ) public List<Board> getBoards(int page, int size) { log.info("page={},size={}", page, size); Pageable pageable = PageRequest.of(page - 1, size); Page<Board> pageOfBoards = boardRepository.findAllByOrderByCreatedAtDesc(pageable); return pageOfBoards.getContent(); }BoardController.class@GetMapping public List<Board> getBoards( @RequestParam(name = "page", defaultValue = "1") int page, @RequestParam(name = "size", defaultValue = "10") int size ) { log.info("page={}, size={}", page, size); return boardService.getBoards(page, size); }#page, #size 값에 모두 null이 저장되는 것 같습니다.위 코드에서처럼 BoardService.getBoards(), BoardController.getBoards() 두 메서드 전부 page, size 값을 로그로 출력해보니 각각 1, 10으로 여기서는 정상적으로 나오는데, 어디서 문제가 있는지 모르겠습니다.구글링을 해도 마땅한 답을 구할 수 없어서 질문 남깁니다!
-
해결됨Real MySQL 시즌 1 - Part 1
12강. LEFT JOIN 사용 방법 준수 5:42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강의 내용 중 오른쪽 쿼리에서 LEFT JOIN이 불필요하게 들어가서 쿼리들에서 LEFT JOIN을 제거하는게 쿼리 성능에 도움이 된다고 하셨는데요.LEFT JOIN 대신 INNER JOIN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해하는게 맞을까요? 제거하라하면 JOIN 자체를 제거하라는 의미인지 헷갈려서 질문 남기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Redis 입문/실전 (조회 성능 최적화편)
도커 컴포즈
현재 개인 프로젝트에 EC2에 도커 컴포즈로 프론트, 백엔드, db까지 실행되도록 아키텍처를 구성 했습니다.그런데 말씀하신 것처럼 RDS, elastiCache 를 분리시켜서 아키텍처를 구성 해야 할 필요성이 있을까요?
-
해결됨Real MySQL 시즌 1 - Part 1
6강. Top N 데이터 조회와 관련해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마지막에 카테고리별 조회수가 가장 높은 3개 기사를 추출 하는 쿼리 소개해 주셨는데요. 관련해서 질문 있습니다. Q1) 만약 categories 테이블에 id가 1,2,3인 데이터가 있다면 SELECT FROM WHERE category_id = 1 ORDER BY LIMIT 3SELECT FROM WHERE category_id = 2 ORDER BY LIMIT 3SELECT FROM WHERE category_id = 3 ORDER BY LIMIT 3이렇게 3번의 서브쿼리가 실행되고 각 결과를 전부 Union해서 최종 결과를 반환하게 되는건가요?Q2) LIMIT 3을 제거했을 때 내림차순 정렬이 안된 상태로 데이터가 반환되는데요. 그 이유가 뭔지 알 수 있을까요?
-
해결됨Real MySQL 시즌 1 - Part 1
5강에서 사례로 언급하신 DETERMINISTIC 예제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5강 2분50초쯤에 '사용자의 수를 가져오는 함수'를 예시로 설명해 주셨는데요.- 이 Stored Function이 실행되는 순간에도 사용자의 가입은 계속된다.- 그로 인해 이 Stored Function은 호출할 때마다 결과값이 달라질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용자 테이블의 레코드가 달라지는 것도 입력이 달라지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MySQL서버에서 SELECT를 포함해서 하나의 Statement는 반드시 시작 시점의 스냅샷을 보도록 구현되어 있다.- 그래서 MySQL서버에서 실행되는 쿼리 문장 하나는 동일한 데이터 상태를 보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문장 내에서는 Stored Function이 여러번 호출되더라도 테이블의 데이터는 해당 시점의 스냅샷을 보기 때문에 함수의 인자만 동일하다면 입력이 달라지지 않는 것으로 본다.Q) DETERMINISTIC으로 정의된 함수에 대해서 스냅샷을 바라보도록 설정돼 있고, 이로 인해 함수가 참조하는 데이터(인자)가 변경돼도 그 외 나머지 입력값이 동일하다면 동일한 결과값을 반환하게 된다는 내용이 맞을까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Redis 입문/실전 (조회 성능 최적화편)
vCPU 할당량 증가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You have requested more vCPU capacity than your current vCPU limit of 1 allows for the instance bucket that the specified instance type belongs to. Please visit http://aws.amazon.com/contact-us/ec2-request to request an adjustment to this limit. <EC2, RDS, Spring Boot, Redis 셋팅>강의 중t3s.small 로 인스턴스를 설정하려 하는데 위와 같이 문구가 나오면서 '인스턴스 시작 실패'가 떴습니다.할당량 증가 요청을 보내기 위해 ' 새 할당량 값'을 넣어야 되는데 얼마를 넣어야 되는지 알 수 있을까요?
-
해결됨Real MySQL 시즌 1 - Part 1
deternmistic 질문
안녕하세요deterministic 관련해서 궁금증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그럼 mysql stroed function을 생성할때 무조건 deterministic 으로 생성을 해야하는지요??예를들면, 함수 내에는 파라미터값을 받아서 select 결과값을 도출하는 가령, id값등등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그럼 select * from test where 함수('value') 등으로 넣어서 값을 도출받아 where 조건에 걸수있다고 가정해보면non deterministic 일 경우 fullscan을 탈거같은데요. 결론적으로 , 모든 함수를 전부 deterministic 으로 명시를 해줄경우 단점이 무엇인가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Real MySQL 시즌 1 - Part 1
1강 CHAR타입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우선 이렇게 좋은 강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강의를 듣다가 궁금한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Q1) 10:00분 경에 "CHAR여도 utf8mb4같은 가변길이 캐릭터 셋을 사용하면 때로는 예약된 빈 공간이 없을 수 있다"라고 말씀해 주셨는데요. 제가 강의를 듣고 이해하기로는 '1~4byte값을 가질 수 있다는 가변길이 캐릭터 셋' 성질 때문이 아니라 '문자 하나당 크기가 1byte를 초과했기 때문에' 예약된 빈 공간이 없어지는 걸로 생각했습니다. 즉, 가변길이 캐릭터 셋인 utf8mb4가 아닌 하나당 크기가 3byte인 어떤 고정길이 캐릭터 셋을 이용하더라도 동일하게 예약된 빈 공간이 없을꺼 같은데 혹시 제가 이해한게 맞을까요?Q2) 마지막 내용 정리하시는 부분에서 "인덱스된 컬럼이라면 CHAR가 효율적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말씀해 주셨는데 어떤 이유로 인덱스된 컬럼에 CHAR가 더 좋을 가능성이 높은건지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Redis 입문/실전 (조회 성능 최적화편)
Cacheable key값 설정에서 null
@Cacheable(cacheNames = "getBoards", key = "'boards:page:' + #page + ':size:' + #size", cacheManager = "boardCacheManager") public List<Board> getBoards(int page, int size) { Pageable pageable = PageRequest.of(page - 1, size); Page<Board> pageOfBoards = boardRepository.findAllByOrderByCreatedAtDesc(pageable); return pageOfBoards.getContent(); } }여기서 key = "'boards:page:' + #page + ':size:' + #size"레디스에 저장되는 키값은 "getBoards::boards:page:null:size:null" 이렇게 저장이 됩니다. 혹시 null이 들어가는 이유가 있을까요? page와 size의 데이터도 잘 넘어오고 레디스에서 저 키값으로 조회를 하면 안에 데이터는 잘 들어가 있습니다. #page와 #size가 null인 이유가 있을까요?
-
해결됨Real MySQL 시즌 1 - Part 2
시퀸셜하게 증가하지 않는 PK의 insert성능도 문제가 있을까요?
좋은 강의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강의를 듣다보니 의문점이 하나 생겼는데요. 에피소드 14의 시퀸셜하지 않은 UUID사용시 범위 검색의 조회 효율성 문제를 언급해주셨는데요 데이터 삽입시 인덱스가 리밸런싱되거나 리프노드의 실제 데이터 위치가 이동하는 문제가 발생할수도 있을까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Redis 입문/실전 (조회 성능 최적화편)
파라미터에 있는 값이 아닌 외부에 있는 값을 캐시 key에 넣을 수 있나요?
파라미터에 있는 값이 아닌 외부에 있는 값을 캐시 key에 넣을 수 있나요?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Redis 입문/실전 (조회 성능 최적화편)
CacheManager 는 한 번만 등록하나요? 아니면 각 도메인마다 등록하나요?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Spring Boot 에서 Redis 세팅 추가하는 편에서, CacheManager 를 하나만 등록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를 활용하는 API 가 1개 뿐인데, 이름이 boardCacheManager 로 정확히 Board 도메인에 대한 전용 CacheManager 인 것처럼 보입니다. 도메인 별로 CachaManager 를 각각 만들면서 사용을 하는 게 좀 더 바람직한 방법인가요?만약 그렇다면, 각 도메인 별로 설정을 관리하고 유지보수성을 높이기 위함인가요?만약 CachaManager 를 도메인 별로 값이나 타입을 다르게 적용하지 않고 프로젝트 전체에 대해서 동일하게 적용을 하기로 결정했다면, 그때에도 CacheManager 를 각각 적용해야 할 이유가 혹시 있을까요? 인터넷 기사나 블로그 등에서는 이렇게도 하고 저렇게도 하는 것 같습니다. 선생님의 의견이나 또 실무 상의 고려사항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Redis 입문/실전 (조회 성능 최적화편)
windows 에서 설치하는 분들, Permission denied 에러가 나는 경우 참고해주세요
windows 실습 환경에서 admin 계정이 아닌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rdb 파일에 대한 권한이 읽기만 설정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그런데, redis 자체가 .rdb 에 대한 snapshot 생성을 시도하려고 하는데 이때 쓰기 권한이 없어서 예외를 발생시킵니다. 처음 실습할 때는 (어차피 본격적으로 쓰는 건 Linux 에서 쓸 거라고 생각하고)무시하다가, 이후에 Spring Boot Project 실습할 때 같은 이유로 캐싱 자체가 안 되는 현상이 있었습니다.따라서 무시할 게 아니라 쓰기 권한을 부여해야 합니다. 관련된 내용을 사진 첨부드리니 참고 부탁드립니다.또한 해당 내용은 windows 에서 설치하고 PING 으로 확인할 때부터 나타나는 현상이므로, 혹시라도 제안드리자면 노션의 redis 설치 가이드 페이지에서 권한 문제 트러블슈팅으로 추가로 적어주시면 공유하기에 좋을 듯 합니다. Mac 은 잘 모르겠습니다...ㅎㅎdump.rdb 등 .rdb 확장자 파일에서 우클릭 후 속성 클릭 [보안] 탭으로 이동한 후 편집 클릭(현재 사용 중인 계정을 클릭하면 현재 부여된 사용 권한도 확인 가능)현재 사용 중인 계정을 찾아서 사용 권한에 수정과 쓰기 등등 필요한 권한 부여(잘 모르겠으면 모든 권한 클릭) 후 저장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Redis 입문/실전 (조회 성능 최적화편)
LettuceConnectionFactory 를 RedisConnectionFactory 의 빈으로 등록하지 않는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강의시간 3:10LettuceConnectionFactory 라는 게 있어서 한 번 들여다봤는데, RedisConnectionFactory 를 구현하는 객체로 보입니다. 이왕이면 RedisConnectionFactory 빈의 구현체로 등록하고, 또 RedisConnectionFactory 를 의존하도록 설계하고 싶은 욕구가 생겨서 그렇게 해봤는데, 일단 별 문제는 안 생긴 것 같습니다.LettuceConnectionFactory 를 실제로 RedisConnectionFactory 의 구현체로 등록해도 상관없나요? 아니면 혹시나 혹시나, RedisConnectionFactory 의 빈으로 등록하면 안 되는 이유가 있는 건가요?@Bean public RedisConnectionFactory lettuceConnectionFactory() { return new LettuceConnectionFactory(new RedisStandaloneConfiguration(host, port)); }
-
해결됨Real MySQL 시즌 1 - Part 1
EXPLAIN ANALYZE 수행 시 쿼리 실행 계획이 예상과 다릅니다.
먼저 강의 내용이 아닌 책내용을 질문하게 되서 죄송합니다. 하지만 여기 말고 질문할 곳이 마땅치 않아 부득이하게 이곳에 적게 되었습니다. 부디 사정을 봐주시길 부탁드립니다. Real MySQL 1권의 10.2 실행 계획 확인(415pg)에서는 EXPLAIN ANALYZE 실행 시 나타나는 결과에서는 다음과 같은 규칙이 적용된다고 설명되어 있습니다. 들여쓰기가 같은 레벨에서는 상단에 위치한 라인이 먼저 실행들여쓰기가 다른 레벨에서는 가장 안쪽에 위치한 라인이 먼저 실행 이 말대로라면 아래 그림에서의 실행순서는 F, D, E, C, B, A 가 됩니다. 하지만 책에서는 실행순서가 D, F, E, C, B, A 로 된다고 적혀있습니다. 들여쓰기가 다른 레벨에서는 가장 안쪽에 위치한 라인이 먼저 실행된다고 하여 F 가 가장 먼저 실행될 줄 알았는데 D 부터 시작된다고 적혀있어서 혼동이 왔습니다. 혹시 왜 D 부터 시작하는지 설명을 부탁드릴 수 있을까요?감사합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Redis 입문/실전 (조회 성능 최적화편)
페이지 데이터 캐싱할때 질문
페이지 데이터 캐싱할 때, 아래처럼 컨텐트만 보내는 게아니라@Cacheable(cacheNames = "getBoards",key = "'boards:page:'+ #page + ':size:' + #size", cacheManager = "boardCacheManager") public List<Board> getBoards(int page, int size) { Pageable pageable = PageRequest.of(page - 1, size); Page<Board> pageOfBoards = boardRepository.findAllByOrderByCreatedAtDesc(pageable); return pageOfBoards.getContent(); }아래처럼 Page 객체 자체를 보내야,실제로 페이징 처리가 가능할텐데요@Cacheable(cacheNames = "getBoards",key = "'boards:page:'+ #page + ':size:' + #size", cacheManager = "boardCacheManager") public Page<Board> getBoards(int page, int size) { Pageable pageable = PageRequest.of(page - 1, size); Page<Board> pageOfBoards = boardRepository.findAllByOrderByCreatedAtDesc(pageable); return pageOfBoards; }이렇게 하면, Page 역직렬화시 오류가 발생하는데, 이렇게 Page<Board>를 보내줘야 할 때는 어떻게 보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정확히 캐싱의 역직렬화가 어디까지 가능한지 파악이 잘 안되서..gpt한테 물어보니, Page 같은 특수한 객체는 역직렬화 방법이 없고, db에서 찾은 page를 분해해서 이걸 다시 dto로 감싸서 보내라는데, 이런 방식밖에 없는건지.. Page 데이터 보내실때 어떻게 보내시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MySQL 성능 최적화 입문/실전 (SQL 튜닝편)
혹시 심화 수업은 계획이 없으신가요..?
강의 너무 잘 보았습니다.혹시 힌트 도 주요 튜닝 방법중 하나인데.이쪽은 강의계획이 없으신지 여쭤보고싶습니다.
-
해결됨Real MySQL 시즌 1 - Part 1
JPA 사용시 테이블수정에 궁금한점이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JPA를 사용하고있는데 말씀해주신대로 varchar(255)를 기본 string 값으로 잡고있더라고요 이부분을 필요한만큼 테이블수정을 기하는것이 좋은 설계인것인가요? 아니면 jpa 기본권장스펙대로 가는게좋은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