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vagrant up을 하면 설정과 다르게 설정이 됩니다.
질문 답변을 제공하지만, 강의 비용에는 Q&A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실습이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의 경우는 알려주시면 가능한 빠르게 조치하겠습니다![질문 전 답변]1. 강의에서 다룬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 아니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 아니요]3. 질문 잘하기 법을 읽어보셨나요? [예 | 아니요](https://inf.run/DvsRD)4.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5. vagrant up 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주로 호스트 시스템(Windows, MacOS)과 연관된 다양한 조건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를 모두 제가 파악할 수 없어서 해결이 어렵습니다. vagrant up으로 진행이 어렵다면 제공해 드리는 가상 머신(VM) 이미지를 import해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https://inf.run/Ljaer)[질문 하기]안녕하세요.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이번에 VB로 변경을 하고 있는데, 조훈님이 설정한 Vagrantfile과 다를게 아래와 같이 port를 2200으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혹시 원인 및 해결 방법을 알 수 있을까요? vagrant upBringing machine 'cp-k8s-1.30.1' up with 'virtualbox' provider...Bringing machine 'w1-k8s-1.30.1' up with 'virtualbox' provider...Bringing machine 'w2-k8s-1.30.1' up with 'virtualbox' provider...Bringing machine 'w3-k8s-1.30.1' up with 'virtualbox' provider...==> cp-k8s-1.30.1: Importing base box 'sysnet4admin/Ubuntu-k8s'...==> cp-k8s-1.30.1: Matching MAC address for NAT networking...==> cp-k8s-1.30.1: Checking if box 'sysnet4admin/Ubuntu-k8s' version '0.8.6' is up to date...==> cp-k8s-1.30.1: Setting the name of the VM: cp-k8s-1.30.1(github_SysNet4Admin)==> cp-k8s-1.30.1: Fixed port collision for 22 => 60010. Now on port 2200.==> cp-k8s-1.30.1: Clearing any previously set network interfaces...==> cp-k8s-1.30.1: Preparing network interfaces based on configuration... cp-k8s-1.30.1: Adapter 1: nat cp-k8s-1.30.1: Adapter 2: hostonly==> cp-k8s-1.30.1: Forwarding ports... cp-k8s-1.30.1: 22 (guest) => 2200 (host) (adapter 1)==> cp-k8s-1.30.1: Running 'pre-boot' VM customizations...==> cp-k8s-1.30.1: Booting VM...==> cp-k8s-1.30.1: Waiting for machine to boot. This may take a few minutes... cp-k8s-1.30.1: SSH address: 127.0.0.1:2200 cp-k8s-1.30.1: SSH username: vagrant cp-k8s-1.30.1: SSH auth method: private key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그라파나 - {{ x86-64, arm64 }}
2.11 강의에 그라파나 설치하고 연동하기
질문 답변을 제공하지만, 강의 비용에는 Q&A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실습이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의 경우는 알려주시면 가능한 빠르게 조치하겠습니다![질문 전 답변]1. 강의에서 다룬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 아니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 아니요]3. 질문 잘하기 법을 읽어보셨나요? [예 | 아니요](https://inf.run/DvsRD)4.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질문 하기] 설치하는 터미널이 따로 있나요?
-
미해결그림으로 배우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K8S 노들에 접근이 안됩니다.
질문 답변을 제공하지만, 강의 비용에는 Q&A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실습이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의 경우는 알려주시면 가능한 빠르게 조치하겠습니다![질문 전 답변]1. 강의에서 다룬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 아니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 아니요]3. 질문 잘하기 법을 읽어보셨나요? [예 | 아니요](https://www.inflearn.com/blogs/1719)4.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5. vagrant up 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주로 호스트 시스템(Windows, MacOS)과 연관된 다양한 조건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를 모두 제가 파악할 수 없어서 해결이 어렵습니다. vagrant up으로 진행이 어렵다면 제공해 드리는 가상 머신(VM) 이미지를 import해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https://inf.run/Ljaer)[질문 하기] 안녕하세요.항상 최신 정보를 제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M4를 사용하고 있는 유저입니다.이번에 새로 배포하신 VirtualBox 설치 script를 이용해서 다 설치후 node에 접근을 하려고 하면 연결 중이라는 메세지만 나오고 연결이 되지 않습니다.Virtualbox 설정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PortForwad port가 2200으로 나오고 있습니다.이게 문제 일까요?
-
미해결그림으로 배우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arm virtualBox의 vagrant up 에러
[질문 하기]아래와 같은 PC환경인데 새로 바뀐 VirtualBox에 대해서 vagrant up 수행시 에러가 발생합니다. 혹시 해당 버전에서는 사용 불가능한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vagrant up error]Bringing machine 'cp-k8s-1.30.1' up with 'virtualbox' provider...Bringing machine 'w1-k8s-1.30.1' up with 'virtualbox' provider...Bringing machine 'w2-k8s-1.30.1' up with 'virtualbox' provider...Bringing machine 'w3-k8s-1.30.1' up with 'virtualbox' provider...==> cp-k8s-1.30.1: Checking if box 'sysnet4admin/Ubuntu-k8s' version '0.8.2' is up to date...==> cp-k8s-1.30.1: A newer version of the box 'sysnet4admin/Ubuntu-k8s' for provider 'virtualbox' is==> cp-k8s-1.30.1: available! You currently have version '0.8.2'. The latest is version==> cp-k8s-1.30.1: '0.8.6'. Run vagrant box update to update.==> cp-k8s-1.30.1: Clearing any previously set forwarded ports...==> cp-k8s-1.30.1: Clearing any previously set network interfaces...==> cp-k8s-1.30.1: Preparing network interfaces based on configuration... cp-k8s-1.30.1: Adapter 1: nat cp-k8s-1.30.1: Adapter 2: hostonly==> cp-k8s-1.30.1: Forwarding ports... cp-k8s-1.30.1: 22 (guest) => 60010 (host) (adapter 1)==> cp-k8s-1.30.1: Running 'pre-boot' VM customizations...==> cp-k8s-1.30.1: Booting VM...There was an error while executing VBoxManage, a CLI used by Vagrantfor controlling VirtualBox. The command and stderr is shown below.Command: ["startvm", "82781ca5-0a21-4377-acb1-edff2ef2af83", "--type", "headless"]Stderr: VBoxManage: error: The VM session was abortedVBoxManage: error: Details: code NS_ERROR_FAILURE (0x80004005), component SessionMachine, interface ISession
-
해결됨CloudNet@와 함께하는 Amazon EKS 확장판 강의
terraform plan 오류
terraform plan시 ch1/eks.tf 파일에서 오류가 발생합니다.ch1 git:(main) ✗ terraform plan╷│ Error: Unsupported block type││ on eks.tf line 23, in provider "helm":│ 23: kubernetes {││ Blocks of type "kubernetes" are not expected here. Did you mean to define argument "kubernetes"? If so, use the equals sign to assign it a value.╵소스를 아래와 같이 변경하였습니다.kubernetes = { .... exe = {...set = [ {name = "clusterName"value = var.ClusterBaseName }, {name = "serviceAccount.create"value = "true" }, {name = "serviceAccount.annotations.eks\\.amazonaws\\.com/role-arn"value = "arn:aws:iam::${data.aws_caller_identity.current.account_id}:role/AmazonEKSTFLBControllerRole-${module.eks.cluster_name}" }, {name = "region"value = "ap-northeast-2" } ]커서에서 바이브코딩으로 바꿔서 문법에러는 안나는데 여전히 버전문제인지 해결이 안되네요. ch1 git:(main) ✗ terraform plan╷│ Error: Unsupported block type││ on eks.tf line 23, in provider "helm":│ 23: kubernetes {││ Blocks of type "kubernetes" are not expected here. Did you mean to define argument "kubernetes"? If so, use the equals sign to assign it a value.╵➜ ch1 git:(main) ✗ terraform initInitializing the backend...Initializing modules...Downloading registry.terraform.io/terraform-aws-modules/eks/aws 20.37.1 for eks...- eks in .terraform/modules/eks- eks.eks_managed_node_group in .terraform/modules/eks/modules/eks-managed-node-group- eks.eks_managed_node_group.user_data in .terraform/modules/eks/modules/_user_data- eks.fargate_profile in .terraform/modules/eks/modules/fargate-profileDownloading registry.terraform.io/terraform-aws-modules/kms/aws 2.1.0 for eks.kms...- eks.kms in .terraform/modules/eks.kms- eks.self_managed_node_group in .terraform/modules/eks/modules/self-managed-node-group- eks.self_managed_node_group.user_data in .terraform/modules/eks/modules/_user_dataDownloading registry.terraform.io/lablabs/eks-external-dns/aws 1.2.0 for eks-external-dns...- eks-external-dns in .terraform/modules/eks-external-dnsDownloading registry.terraform.io/terraform-aws-modules/iam/aws 5.39.0 for irsa-external-dns...- irsa-external-dns in .terraform/modules/irsa-external-dns/modules/iam-assumable-role-with-oidcDownloading registry.terraform.io/terraform-aws-modules/iam/aws 5.39.0 for irsa-lb-controller...- irsa-lb-controller in .terraform/modules/irsa-lb-controller/modules/iam-assumable-role-with-oidcDownloading registry.terraform.io/terraform-aws-modules/vpc/aws 5.21.0 for vpc...- vpc in .terraform/modules/vpcInitializing provider plugins...- Finding hashicorp/cloudinit versions matching ">= 2.0.0"...- Finding hashicorp/null versions matching ">= 3.0.0"...- Finding cloudposse/utils versions matching ">= 0.17.0"...- Finding hashicorp/aws versions matching ">= 4.0.0, >= 4.19.0, >= 4.33.0, >= 5.79.0, >= 5.95.0, < 6.0.0"...- Finding hashicorp/helm versions matching ">= 2.6.0"...- Finding hashicorp/kubernetes versions matching ">= 2.16.0"...- Finding hashicorp/time versions matching ">= 0.9.0"...- Finding hashicorp/tls versions matching ">= 3.0.0"...- Installing hashicorp/helm v3.0.2...- Installed hashicorp/helm v3.0.2 (signed by HashiCorp)- Installing hashicorp/kubernetes v2.37.1...- Installed hashicorp/kubernetes v2.37.1 (signed by HashiCorp)- Installing hashicorp/time v0.13.1...- Installed hashicorp/time v0.13.1 (signed by HashiCorp)- Installing hashicorp/tls v4.1.0...- Installed hashicorp/tls v4.1.0 (signed by HashiCorp)- Installing hashicorp/cloudinit v2.3.7...- Installed hashicorp/cloudinit v2.3.7 (signed by HashiCorp)- Installing hashicorp/null v3.2.4...- Installed hashicorp/null v3.2.4 (signed by HashiCorp)- Installing cloudposse/utils v1.30.0...- Installed cloudposse/utils v1.30.0 (self-signed, key ID ********)- Installing hashicorp/aws v5.100.0...- Installed hashicorp/aws v5.100.0 (signed by HashiCorp)Partner and community providers are signed by their developers.If you'd like to know more about provider signing, you can read about it here:https://www.terraform.io/docs/cli/plugins/signing.htmlTerraform has created a lock file .terraform.lock.hcl to record the providerselections it made above. Include this file in your version control repositoryso that Terraform can guarantee to make the same selections by default whenyou run "terraform init" in the future.Terraform has been successfully initialized!You may now begin working with Terraform. Try running "terraform plan" to seeany changes that are required for your infrastructure. All Terraform commandsshould now work.If you ever set or change modules or backend configuration for Terraform,rerun this command to reinitialize your working directory. If you forget, othercommands will detect it and remind you to do so if necessary.➜ ch1 git:(main) ✗ terraform plan╷│ Error: Unsupported block type││ on .terraform/modules/eks-external-dns/helm.tf line 41, in resource "helm_release" "this":│ 41: dynamic "set" {││ Blocks of type "set" are not expected here.╵╷│ Error: Unsupported block type││ on .terraform/modules/eks-external-dns/helm.tf line 49, in resource "helm_release" "this":│ 49: dynamic "set_sensitive" {││ Blocks of type "set_sensitive" are not expected here.╵╷│ Error: Unsupported block type││ on .terraform/modules/eks-external-dns/helm.tf line 57, in resource "helm_release" "this":│ 57: dynamic "postrender" {││ Blocks of type "postrender" are not expected here.╵➜ ch1 git:(main) ✗
-
미해결실전! GitHub Actions으로 CI/CD 시작하기
슬랙 연동 안됨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슬랙 연동하는 부분이 지속적으로 안돼서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강의에 나온대로해도 안되길래 payload를 간소화해보기도 했고, 직접 마켓플레이스에 들어가 v2.1.0 문법으로 수정하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워크플로우에서 계속해서 5회 리트라이에도 실패했다는 값이 출력됩니다. 웹훅 URL도 정상적으로 생성되어 있고, text 값을 수정해서 별도로 curl을 날려도 정상적으로 슬랙에 메시지가 전달되는 상태입니다. action을 통할 때에만 실패하네요.. 혹시 슬랙이 무료판이라 그런걸까요.. 아래는 워크플로우 로그와 yaml 설정값입니다. Run slackapi/slack-github-action@v2.1.02 with:3 webhook: ***4 webhook-type: incoming-webhook5 payload: {6 "text": "리포지토리 생성 결과: success"7 }8 errors: false9 payload-templated: false10 retries: 511 env:12 ACTIONS_STEP_DEBUG: true - name: slack if: always() uses: slackapi/slack-github-action@v2.1.0 with: webhook: ${{ secrets.SLACK_WEBHOOK_URL }} webhook-type: incoming-webhook payload: | { "text": "리포지토리 생성 결과: ${{ steps.create-repo.outcome }}" }
-
미해결실전! GitHub Actions으로 CI/CD 시작하기
visual studio code 터미널에서 github-actions 경로 설정 어떻게 하는 건가요?
따로 파일을 만들어서 하셨나요? 아님 github에서 fork 한 다음에 경로 설정하셨나요? 1:25초 부분에서 경로 설정을 어떻게 하는지 몰라서 질문드리고자 합니다.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질문이 있습니다!!
일단 부록에 있는 VM에 docker 설치까지 완료가 된 상태 입니다. 그 다음에 지금 강의로 돌아와서 진행을 하고 있는데요 host컴퓨터에는 jenkins-server가 연결이 되는데 k8s-master에 jenkins-server 연결이 되지 않습니다 ㅠㅠ
-
해결됨eks를 활용한 spring 운영서버 배포(feat. devops의 모든것)
"https통신을 위한 인증서 작업" 영상에서 나오는 notion 정보 어디에 있는 걸까요?
https://picturesque-staircase-f6e.notion.site/eks-spring-1c323940dccf8067a6c2ee4bbbaaa91a 해당 링크에서 찾으려고 하니 제가 못 찾는 건지 찾을 수가 없는데요. 제가 못 찾는 걸까요??
-
해결됨eks를 활용한 spring 운영서버 배포(feat. devops의 모든것)
EKS 에서 노드 그룹 생성 실패 질문
안녕하세요 선생님! 우선 좋은 강의 만들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E0622 -------- ---- memcache.go:265] couldn't get current server API group list: the server has asked for the client to provide credentialserror: You must be logged in to the server (the server has asked for the client to provide credentials)kubectl get nodes이렇게 명령어를 실행하니 위에 같은 에러가 발생 됩니다.그래서 AWS 에서 정상적으로 노드그룹이 생성 되었는지 확인 해보니깐 이렇게 에러가 발생 되었습니다.구글링 통해 확인 해보니깐 VPN 관련 이슈가 있을 수 있다고 해서 VPN -> NAT 게이트웨이 페이지로 가보니 아무것도 생성이 되지 않는 것 같은데 혹시 NAT 게이트웨이 생성 해야지 해결 될 수 있는 부분일까요?
-
해결됨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Image Updater에서 새 Image가 감지되지 않아요
안녕하세요.질문은 아니고, 혹시나 저와 같은 현상을 겪는 분들이 계실 것 같아 글 남겨둡니다. 게시글과 계속 똑같이 진행해봐도 ImageUpdater에서 새로운 Image가 감지되지 않아 아무런 반응이 없는 현상을 겪었습니다. ChatGPT나 여러 레퍼런스들을 찾아봤을 때, Details > Annotations 에 정의한 내용과 Helm에서 정의한 내용이 일치하지 않으면 ImageUpdater에서 해당 작업을 건너뛴다는 내용이었습니다. 그래서, 결과적으로는 Release Repo의 2232/deploy/helm/api-tester경로에 있는 values-*.yaml 파일 내의 내용 중, 아래의 부분을 수정하는 것으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기존 내용 image: repository: 1pro/api-tester pullPolicy: Always tag: 1.0.0 ### 수정 후, 내용 image: repository: {username}/api-tester pullPolicy: Always tag: 1.0.0(물론, {username} 은 그대로 쓰시면 안 되고 자신의 Docker Username이 들어가야 합니다.) 제가 이전 강의에서 놓친 부분일 수도 있지만, 비슷한 현상을 겪는 분들이 꽤 계신 것 같아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글 남깁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쿠버네티스 입문/실전
30000 Port로 접속이 안됩니다 ㅠㅠ
포트포워딩 실습할때는 정상적으로 접속이 됐는데 service를 통한 접속은 안되네요 ㅠㅠ pod 로그를 찍어보니 요청 자체가 안간거 같아요 ㅠminikube service --url spring-service위의 명령어로 만들어지는 url로는 정상적으로 접근이 됩니다.
-
미해결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Tabby 무응답
질문 답변을 제공하지만, 강의 비용에는 Q&A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실습이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의 경우는 알려주시면 가능한 빠르게 조치하겠습니다![질문 전 답변]1. 강의에서 다룬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 아니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 아니요]3. 질문 잘하기 법을 읽어보셨나요? [예 | 아니요](https://inf.run/DvsRD)4.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5. vagrant up 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주로 호스트 시스템(Windows, MacOS)과 연관된 다양한 조건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를 모두 제가 파악할 수 없어서 해결이 어렵습니다. vagrant up으로 진행이 어렵다면 제공해 드리는 가상 머신(VM) 이미지를 import해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https://inf.run/Ljaer)[질문 하기]tabby를 실행해도 아무런 반응이없습니다. 다른 게시글을 확인해봤을때 저와 같은 사례가 몇개 있는거 같지만 명확한 답이 작성되있질않내요. tabby라는 오류 메세지라던지 특별한 메세지가 나와야 검색을 해볼텐데 그냥 무작정 응답이 없습니다. 어떻게 해결해야하나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쿠버네티스 입문/실전
안녕하세요. 실습 환경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섹션 7, 8은 꼭 AWS를 이용해야만 실습이 가능한 섹션일까요? (아직 안들어봐서 모르겠는데 AWS가 아닌 다른 개인 클라우드 서버를 갖고 있다면 대체가 가능할지 여쭙고 싶어요.)
-
해결됨실리콘밸리 엔지니어와 함께하는 AWS EKS
kubectl autoscale deployment 명령어 관련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수업 잘 듣고있습니다.kubectl autoscale deployment php-apache --cpu-percent=50 --min=1 --max=10위 명령어를 통해서 eks 클러스터에 pod의 hpa를 설정한 것으로 이해했는데요.강사님께서 제공해주신 flexible.yaml 파일로 eks 클러스터를 구성했고 노드만 띄워져 있는 상황으로 인지했고, 그후에 부하분산기를 통해서 부하가 증가 됬을 때 pod의 숫자가 어떻게 증가되는건가요?!저희는 pod 관련된 정의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빈 깡통 node만 띄어져 있는 상황이 아닌가요??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jenkins pipeline step 3 실습 진행 중 VM 다운 및 에러 발생에 관한 질문 드립니다.
[👍좋은 질문을 했을 때 좋은 답변이 돌아 옵니다] 안녕하세요 일프로님!혼자서 해결해보려다가 하루종일 해봤는데 계속 같은 문제가 반복 되어서 질문드립니다. 현재까지 트러블 슈팅 해본 경험으로는 VM의 시스템 단의 문제 인걸로 파악이 됩니다.계속해서 일어나는 현상이 VM이 CPU 사용률이 높아서 K8s kube-system 내의 오브젝트들이 죽는 것이 반복 되는데죽었다 살았다가 지속 되다가 VM도 멈춰버립니다.이 환경을 최적화 하고 리소스 낭비가 있는 곳이 있다면 줄여서 정상적으로 실습을 하고 싶습니다. 참고로 제 노트북은 14코어에 렘 16Gb 입니다. CPU는 CICD 서버와 master node가 있는 서버가 돌아가도 50% 미만으로 여유가 있습니다. 렘 사용률은 90% ~ 95% 정도를 유지합니다. 1. 실습 중 본인의 환경이 가이드와 다른 부분이 있었다면 말씀해주세요. Jenkins step3 blue-green 배포 진행 하다가 VM이 커널이 뻗어 버려서 리소스들이 부족한가 생각이 들어서 VM 종료 후 VitualBox 설정에서 VCPU 프로세서를 6 -> 12로 고쳐 다시 기동했습니다.Deployment들이 startupProbe 밑 설정들이 파드 로그들을 봤을 때 java 앱 기동도 전에 재시작이 되어 10초마다 60번 까지 체크 하는 걸로 고쳤습니다. 2. 해당 문제의 발생 빈도(재설치 여부)와 문제 해결을 위해 시도해본 케이스를 말씀해 주시면 원인 파악에 큰 도움이 됩니다. 지속적으로 VM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root@k8s-master ~]# kubectl get pod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app-1-2-2-1-78cbbff668-7vkls 0/1 Unknown 1 2d app-1-2-2-1-78cbbff668-jvzxq 0/1 Error 5 2d [root@k8s-master ~]# Message from syslogd@k8s-master at Jun 12 15:42:16 ... kernel:watchdog: BUG: soft lockup - CPU#2 stuck for 21s! [portmap:50410] 커널이 멈춰버리는 치명적인 버그가 있어서 검색해보니 사용 중인 리눅스 배포판(Rocky Linux 등)의 커널 버전에 알려진 버그일 수 있다고 들었습니다.그래서 sudo dnf update -y위 명령어로 커널 업데이트 했습니다. 업데이트 후에도 계속에서 top으로 조회 해도 cpu 사용률이 100% 를 넘어 가는 경우가 많아서 그럴 때 마다여러번 VM을 재시작했습니다. 재시작 후kubelet 과 containerd 도 재시작 하고 정상작동할 때 까지 기다리고 실습을 다시 진행했습니다.혹시나 전에 배포 했던 오브 젝트들이 차지 하고 있는 리소스 때문에 그런가 해서anotherclass-2** 으로 시작하는 네임 스페이스들을 anotherclass-221 제외하고 모두 삭제했습니다. 3. 에러 메시지만 봐서는 저도 모르는 경우가 많아요. 그전에 했던 작업이 포함된 캡쳐 화면도 부탁 드려요. 반복해서 kubeapi-server가 죽습니다. 제 기동 되면 다시 kubectl 명령어가 됬다가 일정 시간이 지나고 다시 재시작 됩니다.그 동안 VM 이 느리지 않았는데 오늘 실습을 하고나서 kubectl 명령실행 시 꽤나 시간 약 (5초~30초) 후에 실행이 되거나 60초가 지나서 명령이 실행되지 않습니다.AI 한테 kube-apiserver 에러로그를 보여주고 답변 받은 내용도 보냅니다 3번 overflow는 2번 이 발생 해서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생각이 되어서 3번 오류에 대한 AI 의 답변은 캡쳐 하지 않았습니다.4. 영상 내용에 대한 질문 시 해당 시간을 같이 올려 주시면 답변을 드리는 시간이 더 빨라집니다.5. 긴 로그는 제 메일로 보내주세요. (k8s.1pro@gmail.com)6. 카페 [강의 자료실]에도 많은 질문과 답변들이 있어요!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Project URL와 Repository URL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젠킨스 파이프라인 기본 구성 및 배포 세분화 강의를 보던 중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강의 영상의 8분 25초쯤을 보시면, Github project에 Project url을 지정하는 곳이 보입니다.그리고, 9분쯤에 Repository URL이라는 부분도 보입니다. 이 두 속성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Project URL의 경우 해당 Repo가 Private일 경우 Jenkins에서 접근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단순히 명세의 개념이라고 생각했습니다.반대로, 실제로 Project 소스를 가져오기 위해 참조되는 것은 Credentials 속성을 가지고 있는 Repository URL일 것이구요. 혹시나, 제가 잘못 알고 있는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3 (#실무핵심 #Docker #Nginx #Minio #Longhorn)
강사님 한번에 질문을 하게 되면 좋은데 그렇지 못해 죄송합니다.
인그레스서비스를 blue/green 배포하는 것은 잘 이해했습니다. 그럼 만약 ArgoCD를 여기에 사용 가능한지도 궁금합니다. 일반적인 blue/green 배포에서는 ArgoCD가 레이블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인그레스에서는 어떻게 동작하는지 설명 부탁드릴 수 있는지요?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현업에서 startupProbe 사용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내용과는 큰 관련 없는 질문이지만 지식 공유자님의 경험이 듣고 싶어서 질문 드립니다.저희 회사에는 EKS가 구축되어 있고, 기존에 사용하던 템플릿이 있어서 확인해 보았는데,startupProbe 없이 livenessProbe, readinessProbe만 최초 5초 정도 지난 후 동작하도록 세팅이 되어 있더라구요.저는 JVM 개발자이지만, 아직까지 다른 올라가있는 모든 App들이 파이썬 기반이라서 가능한 것으로 추측이 되었습니다.따라서 파이썬 기반이어서 최초 기동 시간이 필요가 없는 경우 등등 실제로 이런 식으로 startupProbe 없이 사용해도 무방한지가 궁금했고, 사용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면 어떤 경우에 주로 사용되는지도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3 (#실무핵심 #Docker #Nginx #Minio #Longhorn)
강사님 질문 드립니다.
만약 ingress 서비스를 실제 업무에 사용하게 되면 blue/green 배포시에 어떻게 동작하는지 궁금합니다. 아울러 ingress 서비스가 사용되는 경우에 대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