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Spring Boot TDD - 입문부터 실전까지 정확하게
cqrs 명령 아키텍처 개선 질문
안녕하세요 선생님 제가 이해가 잘 안된걸 수 있어서 확인차 질문 드립니다!var executor = new RegisterProductCommandExecutor(productRepository::save); executor.execute(command, uuid, sellerId);명령 조회를 개선하면 RegisterProductCommandExecutor 라는 실행기를 만들어서 execute 로 실행하는 동작으로 이 구조를 pdf 자료에서 확인하면궁금한점이명령모델이 new RegisterProductCommandExecutor(productRepository::save); 로 실행기를 만들면 명령모델이 실행기를 만들면서 productRepository 라는 기반구조에 의존하고 있는거 아닌가요? 구조자체에서 보면 명령실행기는 execute 를 통해서 실행기가 참조하는 기반구조 기능을 실행하는 건 직접 의존하지 않아서 자유도가 높아보인다? 라는 생각이드는데요, 실행기를 만들때 명령모델은ProductRepository 를 알아야할 것같아서 의미가 없어보입니다.실행기를 만들때 실행기 자체가 bean으로 등록이 되고 실행기 bean 안에서 ProductRepository 를 스프링에서 주입받고, 실행기를 만드는 명령 모델은 실행기만 주입받고 파라미터로 repository 를 넘겨도 되지 않으니 이게 정말 의존하지않는 구조같은데요.(제가 말한 (2) 방식이라면) 이이렇게 되면 그냥 돌고돌아서 결국엔 처음 방식인 ProductRepository 인터페이스를 (추상화 되어있으니) 그냥 바로 빈을 주입받는 것이랑 별차이 없다고 생각합니다조회도 역시 이런생각이 들었습니다. 명령과 조회를 분리한다는 개념은 이해가 갈거같은데 각 명령과 조회 모델이 기반구조에 의존? 한다는 개념을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
해결됨대기업 근무하며 경험한 Redis를 야무지게 사용하는 방법 [이론편]
강의 내용 관련 이해가 잘 되지 않아 질문 남겨봅니다.
main 은 id를 가지고 있고, 이를 복제한 replica 들은 main 의 아이디로 그룹화되어 있음 그런데, main 이 어떠한 일로 인해(삭제 등) 새롭게 만들어지면 새로운 id 를 가지게 됨 이때 구 id 를 가지고 그룹화되어 있는 replica 들은 현재의 main 과 id 가 다르니 전체 동기화가 일어남 그러면, [구 id 를 가지고 그룹화되어 있는 replica 들] 은 계속 구버전 id 를 가지게 되는건가요?아니면, 동기화 후 새로운 id 로 다시 그룹화가 되는 걸까요?추가로, 강의 초반에 위 내용 관련해서 '카프카와 비슷하다'라는 설명이 나왔는데,카프카에 대해 잘 모르는 입장에서는 조금 혼란스러울 수 있을 것 같습니다.가능하시다면 추후 강의를 개선하실 계획이 있으실 경우이 부분을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해결됨대기업 근무하며 경험한 Redis를 야무지게 사용하는 방법 [이론편]
Cache-Aside 패턴에서 Cache Miss 시
안녕하세요 강사님!Look-Aside 패턴과 Thundering Herd 관련 강의(3:37~) 내용을 듣다가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캐시-어사이드 패턴에서 캐시 미스가 발생했을 때, 강의 중 보여주신 그림에서는 ‘캐시가 직접 DB를 조회하고 데이터를 업데이트한 뒤 서버에 응답까지 전달하는 구조’처럼 표현해주셔서 다소 혼란스럽습니다. 제가 알고 있기로는 캐시-어사이드 패턴은 캐시 미스 발생 시 애플리케이션(서버)이 직접 DB를 조회하고, 조회한 데이터를 캐시에 갱신(PUT)한 뒤 클라이언트에 응답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만약 MSA 환경에서 캐시 서버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고, 데이터를 API 통신 형태로 제공하는 구조라면 그림으로 그리시면서 설명해주신 부분이 어느 정도 이해가 되지만, 해당 파트가 MSA 를 전제하고 설명하는 맥락은 아닌 것 같아서요. 혹시 이 부분에 대해 제가 잘못 이해한 부분이 있다면 피드백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Spring Boot TDD - 입문부터 실전까지 정확하게
거짓 양성 감지 노하우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규원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제가 실습 코드를 따라하다가 오탈자가 생겨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의문점이 생겨 질문 남깁니다. shopper 토큰 발급 엔드포인트 구현 과정에서 @RequestBody 어노테이션을 누락했습니다@PostMapping("/shopper/issueToken") ResponseEntity<?> issueToken(IssueShopperToken query) { return repository.findByEmail(query.email()) .map(shopper -> composeToken()) .map(AccessTokenCarrier::new) .map(ResponseEntity::ok) .orElseGet(() -> ResponseEntity.badRequest().build()); }문제는 이런 상황에서 400이 발생하며 실패해야할 테스트 코드가 통과하게 됩니다.@Test void 잘못된_비밀번호가_사용되면_400_Bad_Request_상태코드를_반환한다( @Autowired TestRestTemplate client ){ // Arrange var email = generateEmail(); var wrongPassword = generatePassword(); var password = generatePassword(); client.postForEntity( "/shopper/signUp", new CreateShopperCommand(email, generateUsername(), password), Void.class ); // Act ResponseEntity<AccessTokenCarrier> response = client.postForEntity( "/shopper/issueToken", new IssueShopperToken(email, wrongPassword), AccessTokenCarrier.class ); // Assert assertThat(response.getStatusCode().value()).isEqualTo(400); }이유를 고민해보고 다음과같은 결론을 짓게 되었습니다.@RequestBody가 없는 경우 컨트롤러 메서드의 매개변수는 기본적으로 form data로 인식하게 된다.따라서 IssueShopperToken이 form data로 인식되게 된다.현재 테스트에서는 상태코드가 400인지만을 확인한다.하지만 form data가 없는 경우에도 400이 발생한다.테스트가 통과한다. 거짓 양성의 사례라고 보여집니다. 이경우에는 Assert절을 강화해 상태코드 말고도 검증되어야할 항목들을 추가해 거짓 양성을 방지할 수 있을거라고 생각됩니다. 이렇듯 테스트코드도 사람이 작성하다 보니 Assert절을 어느정도 수준까지 구체적으로 작성해야 할지를 TDD가 익숙하지 않다면 빠르게 식별하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실무에서는 이와같은 상황은 매우 치명적일 수 있을거 같고요.그래서 실무에서 필요한 Assert절을 구체화하는 명확한 기준이나 노하우가 있으신지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시스템 디자인 첫걸음: 면접에서 돋보이는 백엔드 아키텍처 설계하기
멱등성. '같은 요청'의 기준?
같은 요청이 여러 번 들어와도 한 번만 처리하는 것. 여러 번의 요청이 들어왔을 때 이 요청이 '같은 요청' 이라는 것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가 있을까요?예를 들어 똑같은 점포의 똑같은 POS에서 똑같은 액수의 포인트 적립/사용이 두 번 들어왔을 때,이 두 요청이 각자 다른 요청인지? 클라이언트 단의 문제로 인해 같은 요청을 두 번 보낸 것인지?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걸까요?두 요청의 도착 시간 간격이 매우 짧을 때-> 일반적인 상황에서 같은 동작이라고 판단할 수야 있겠지만.. 매우 빠르게 요청을 계속해서 받아야 하는 상황이라면?도메인 특성에 따라 같은 요청임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나 상황이 달라지기야 하겠지만 정확하게 보장 받을 수 있는 기준은 존재하기 어렵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실제 사례를 통해 예시를 들어주실 수 있는 게 있을까요?
-
해결됨ASP.NET Core MVC +ASP.NET Core +REST API +.NET 8.0
iis 배포 후 view페이지 수정
수업한 내용을 바탕으로visual studio에서 배포를 한 후배포한 경로로 iis 세팅을 하였습니다~ view페이지를 수정 할때마다 iis를 재기동 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웹폼처럼 view페이지(자바스크립트부분) 만 수정 할 수 있나요? 만약에 view페이지를 수정할때마다 배포를 하고 iis를 잠시 껐다 켜야하면 실무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기술이 아닌가 싶어서요 제 질문은 view 페이지의 수정이 빈번하게 발생할때 iis 재기동 없이 업데이트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여쭤보고 싶네요 웹폼처럼.. aspx파일만 수정하면 반영됬으면 좋겠는데...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최신 webflux 라이브러리에서 yml 작성법
server: port: 8000 eureka: client: register-with-eureka: false fetch-registry: false service-url: defaultZone: http://localhost:8761/eureka spring: application: name: apigateway-service cloud: gateway: server: webflux: routes: - id: first-service uri: http://localhost:8081/ predicates: - Path=/first-service/** filters: - AddRequestHeader=first-request, first-request-header2 - AddResponseHeader=first-response, first-response-header2 - id: second-service uri: http://localhost:8082/ predicates: - Path=/second-service/** filters: - AddRequestHeader=second-request, second-request-header2 - AddResponseHeader=second-response, second-response-header2위처럼 weflux:라고 yml에서 작성해주셔야 잘 동작합니다.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docker mariadb 실행
백업은 안하려고 한참 헤메다, 결국 백업으로 해결했네요..ㅎ..환경: window pc에 mariadb client 버전을 설치함dump 생성client 버전이기 떄문에, “mariadb prompt” 를 실행해서 아래의 명령어 실행(cmd에서 mariadb, mysql 명령어 동작 안함)# 생성할 위치로 이동하시거나, 덤프 생성할때 경로 작성하시요. cd "어느 경로"/docker_file # 덤프 생성 mysqldump -u root -p --all-databases > all.sql Dockerfile 생성# Docker Hub에서 공식 MariaDB 이미지 사용 FROM mariadb:latest # 초기화 시 자동 실행될 SQL 복사 COPY ./all.sql /docker-entrypoint-initdb.d/ # 포트 개방 EXPOSE 3306 이미지 생성 및 컨테이너 실행docker build -t [당신의 게정은?]/mariadb:1.0 . docker run -d \\ -p 13306:3306 \\ --name mariadb \\ --network ecommerce-network \\ -e MARIADB_ROOT_PASSWORD=[당신의 root 비번]\\ kimjinwon1432/mariadb:1.0 =============== 추가 ==============강사님께서 알려주신 방법으로 진행해봤어요.일단, 제 pc의 mariadb 설치경로가 "C:\Program Files" 였기 때문에, mariadb폴더 내의 data 폴더와 그 하위 파일 및 디렉터리를 C: 밑에 우리가 사용하는 docker_file 폴더에 넣었습니다* Program Files를 경로로 잡으시면 13에러 코드가 발생합니다. 이는 권한 관련 문제이므로 cli에서 사용하시는 계정에 대해서 mariadb 폴더 내부에 권한을 주셔도 소용이 없어요.* 이 과정은 이전에 설치한 mariadb 이미지가 있으면 삭제?하거나 이미지의 이름을 변경해서 진행하세요.(전 삭제함) * 제 pc의 mariadb 의 버전이 11.4.2여서, docker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장 근접한 버전으로 진행했습니다. docker run -d -p 13306:3306 --network ecommerce-network \ -e MARIADB_ROOT_PASSWORD=[비번] \ --name mariadb -v "C:\study\SpringCloud\docker_files\data:/var/lib/mysql" \ mariadb:11.4.7이렇게 하시면 docker exec -it ~~~ /bin/bash를 통해서 db에 접속 후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하면 로컬에서 작업했던 db의 데이터가 docker로 전해진 것을 확인 할 수 있어요.
-
미해결Spring Boot TDD - 입문부터 실전까지 정확하게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TDD에 관심 있는 개발자입니다.좋은 강의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강의에 대한 질문이 아닌 실무적인 질문드립니다.뒷 내용을 못봐서,, 지금까지 보면서 궁금했던 내용 질문드립니다. 상황마다 다르겠지만 형상관리하는 시점이 언제정도 될까요? 제 생각엔 Green 상태에 커밋을 할텐데 Green 상태는 단순히 api 상태값만 통과하는 기준일까요..?디비 먼저 설계가 아닌 인터페이스설계 테스트를 하고 필요시 디비 스키마를 작성한다라고 이해 하였습니다만 결국 해당 테스트 시나리오를 전부 만족 한다면, API 개발이 끝난 상태라고 할수 있는 건가요?리팩토링은 선택이라고 강의에서 이야기 해주셨는데 예를 들어서 @Valid 라는 애노테이션으로 외부 인터페이스의 값을 필터링 해서 상태값을 반환해주겠다라는 내용일까요?실무적으로 테스트 시나리오는 노션에 작성하신다고 하셨는데 이슈 트래킹 ( 지라 등등) 쪽을 작성하시는게 더 좋을까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수업 방식 질문
맨 마지막 섹션 19는 그냥 차례대로 읽으면서 진행하면 되는건가요 ?어떻게 학습을 해야 하는건가요 .. ;; 그리고 이번에 새롭게 강의 내셨던데 기존거랑 뭐가 다른건가요 ? 얼마전에 강의 산 사람은 어떻게 하나요 ?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중급/실전 (보안, 가용성편)
라우팅 편집 경로
안녕하세요. <라우팅 편집> 에서 경로 설명해주시는 부분에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10.0.0.0/16 -> local vpc 내부에서 10.0.0.0/16 으로 보내는 트래픽은 local 로 보낸다. (private ip 를 활용해서 내부에서만 통신해라)-> 위의 말이 이해가 잘 안됩니다. 예시를 들어주실 수 있나요? 10.0.0.0/16 가 어차피 vpc 전체를 의미하는건데 "보낸다"는 의미를 잘 모르겠습니다. 그냥 말 그대로 내부에서 서로 보내는 것들은 내부 ip 안에서 놀아라~ 이런 의미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중급/실전 (보안, 가용성편)
rds 다중 AZ
안녕하세요.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rds 를 수정해서 다중AZ 를 설정하면가용영역의 모든 곳에 다 복제가 되는건가요?물론 눈으로 볼 수 없다고 하지만, 저 rds 를 바라보고 있는 다른 서브넷(ex. instagram-server-b) 의 인스턴스가 속한 가용영역의 서브넷에 자동으로 rds 인스턴스가 다 생기는건가요. 즉 instagram-server-c, instagram-server-d .. 여러대에서 다 instagram-server-a 의 서브넷에 있는 rds 인스턴스를 바라보고 있다면 c, d 쪽에도 다 생기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만약 4곳 (a, b, c, d) 이 있다면 그 중에서 a, b, c만 생성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는 건가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중급/실전 (보안, 가용성편)
bastion 통해서 private 서브넷의 rds 접근
안녕하세요 같은 vpc 내에서는 서로 같은 네트워크로 인식되는 것은 이해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단순하게 db 툴 설정에서, ssh 터널로 bastion 호스트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rds 에 어떻게 접속이 되는지 잘 이해가 안되네요. 즉 같은 vpc 내라고 하더라도, 특정한 private 서브넷에 접속하려면 그것과 동일한 vpc 에 존재하는 외부에 열려있는 아무 서버(ex. web-server With pem키) 를 그냥 입력하기만 하면 되는건가요? 내부에서 어떻게 web-server(public) <-> rds(private) 서로 연결되는지 궁금해서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해결됨Spring Boot TDD - 입문부터 실전까지 정확하게
프로젝트 규모가 큰 경우 @SpringBootTest 실행 속도 문제
안녕하세요, 강사님.저는 백엔드 1년 차 주니어 개발자입니다. 강사님 덕분에 TDD 학습을 차근차근 진행하고 있는데, 한 가지 궁금증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현재 강의에서는 매번 API 기능을 구현할 때마다 @SpringBootTest 를 사용하여 테스트하고 계신데요. 만약 프로젝트 규모가 엄청 커져서 컨텍스트 로딩 시간이 5초 이상이 소요되는 경우,테스트 결과를 기다리느라 “개발 흐름이 끊기는” 문제가 발생할 것 같은데요. 현업에서는 이 부분을 어떻게 관리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매번 @SpringBootTest를 그대로 사용하며 시간을 감수하시는지특정 테스트만 빠르게 실행하는 슬라이스 테스트(@WebMvcTest 등)를 병행하시는지그 외 다른 최적화 기법이 있는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중급/실전 (보안, 가용성편)
bastion 역할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private 서브넷에 있는 ec2 들을 보호하기 위해서 밖에서 접근을 안되도록 NAT 게이트웨이를 두고, 대신에 접근할 수 있는 ec2 인스턴스(bastion-host)를 뒀잖아요!? 그러면 결국 밖에서 어떻게든 bastion 으로 접근을 할 수도 있고, 그렇다면 결국 동일한 vpc 의 private 서브넷에 있는 ec2 들에도 접근을 할 수 있다면 보안적으로 뚫려있는 것은 동일한 것 아닌가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중급/실전 (보안, 가용성편)
소통하면서 듣는 인터넷 강의?! 에 아무런 내용이 떠있지 않습니다.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암호화 관련 질문
실무에서 설정 파일의 내용을 어떻게 관리하시는지 궁금하여 질문 드립니다. 제 생각엔 [ '평문' -> jasypt 암호화 -> keytool 암호화 ] 이 과정으로 서버에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좋을 거 같은데, 사바사 일거 같지만.... 보통 이렇게 2번 암호화를 하는지 궁금하네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강의 콘텐츠 업데이트 일정
안녕하세요. 수강평들을 살펴보니 올해 상반기 중으로 강의를 업데이트 할 계획이라고 하신 것을 봤습니다. 상반기중에 업데이트 완료될 지, 그리고 업데이트 될 거라면 업데이트 예정 일정 정도를 대략적으로 알 수 있을까요?
-
해결됨실무에서 꼭 필요한 서버 모니터링(Zabbix)
개선요청
강의 목소리가 너무 작아 볼륨을 많이 높이고 듣고 있는데, 수업중 나오는 메신저 소리만 충격수준으로 큽니다.조치가 필요합니다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안녕하세요 강의 포스트맨 요청 데이터 공유받을수 있을까요?
강의 도중에 포스트맨 구글 로그인 하니 데이터가 사라졌습니다혹시 갖고계시면 공유좀 받을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