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기본편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 대한 정의
[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기본편과 심화 3편에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 대한 정의가 다른 거 같은데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지 여쭤봅니다. 기본편 3번쨰 pdf 19페이지에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실제 세계의 사물이나 사건을 객체로 보고, 이러한 객체들 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프로그래밍하는 방식이다. 즉, "무엇을" 중심으로 프로그래밍 한다. 이렇게 정의되어 있는데 고급 3편 13 함수형 프로그래밍 파트에서는 객체지향이 어떻게에 속한다고 되어있고, 무엇을은 함수형 프로그래밍과 관련되어있다고 설명되어있습니다. 저 또한 메서드나 필드 들을 하나의 객체로 모으고 객체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할지가 더 맞다고 생각하는데 기본편의 정의가 무엇을 이라고 써져 있는게 어떤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문제2: 개 타입 반환
//문제2: 개 타입 반환에서dogHospital.set(dog);한번 더 세팅 해주는데 안 해줘도 컴파일 문제없이 돌아가던데 왜 한번 더 세팅 해준거에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리뷰] 중급2편까지 겨우 완강 했습니다.
직장을 다니면서 틈틈히 1일 10분이라도 강의 듣고 코딩 연습을 할려고 노력하다 보니 완강이 되었습니다. 고급편과 스프링 입문도 같이 하면서 백엔드 개발도 할 수 있는 시간을 기대합니다.자료구조는 좀 재미(?)가 없었지만 나중에 필요한 내용이므로 잊어버리지 않고 기억하도록 하겠습니다.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의존관계 순서
코드에서는 NetworkClient 객체를 생성하고 setUrl을 통해 의존관계 주입 후 해당 객체를 return하는데 return 함과 동시에 스프링 컨테이너에 key : networkClient, value : 의존관계 주입이 완료된 싱글톤 객체이렇게 되는 건가요?그니까 즉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빈으로 관리 되려면 의존관계 주입이 끝나야만 관리 되는지 궁금합니다.그리고 의존관계 주입이 끝났기 때문에 afterPropertiesSet함수가 자동으로 호출되는 건지도 궁금해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의존관계 트리거
객체 생성 후 의존관계 주입이 일어나잖아요?코드에서는 setUrl함수를 이용해서 의존관계 주입을 해주는데 afterPropertiesSet 함수는 어떤 걸 보고 의존관계 주입이 완료되었구나라고 인식 후 메소드가 실행되는건가요? 그냥 클래스의 필드들(수업자료에서는 String url)의 값이 할당되면 실행되는건가요?그렇다기엔 setUrl을 주석처리하니 그래도 afterPropertiesSet 함수가 실행되는데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문제와 풀이1 Ex2와 Ex3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Ex2에서는 fori를 사용해야 하고, Ex3에서는 iter을 사용해도 되는 이유와 둘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55. 네트워크 프로그램5 - 자원정리2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섹션9 : 네트워크 - 프로그램255. 네트워크 프로그램5 - 자원 정리2 여기 SessionV5에서 try-with-resources를 적용하기 위해 try에 소캣 input, output 다 넣는데 제가 실수로 socket을 넣지 않고 다른 코드 다 작성후 코드를 실행했는데 마지막에 잘 정리된건지 확인하는 로그log("연결 종료 : " + socket + "isClosed : " + socket.isClosed());여기서 true로 나오는데 이건 윈도우라서 그런건가요? 부가 설명부분에 윈도우 os는 tcp연결 강제 종료하기때문에 EOFExcepoin이 아니라 SocketException : Connection reset 이런 예외가 발생한다고 설명이 되어있어서 소캣을 빼먹고 자원정리해도 그냥 정리된 상태로 표시되는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MemberRepository 타입의 빈이 2개 이상 있다고 뜹니다.
AutoAppConfig를 만들고 필요한 곳들에 @Autowired를 지정하는데MemberRepository (AppConfig.java)memoryMemberRepository (MemoryMemberRepository.java) 강의에선 해당 에러가 뜨지 않는데 저는 이렇게 두개가 해당 타입 빈이 2개가 있다고 뜹니다. https://drive.google.com/file/d/1TuILr869FHhisS-IJEQHxtfNldO9fhjg/view?usp=sharing
-
해결됨오브젝트 - 설계 원칙편
6-2. 명령과 쿼리 분리 원칙 질문
6-2. 명령 쿼리 분리 원칙으로 부수효과 관리하기에 관해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명령과 쿼리 분리하기 14:43 ~해당 부분에서 Player의 move 메서드를 canMove라는 쿼리와 move라는 명령으로 분리했는데, 여기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Player는 이동 가능 여부에 대해 스스로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태를 스스로 변경하는데, Game의 tryMove에서 성공과 실패에 대해 try-catch 구문을 사용하지 않고 if 분기를 사용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저는 tryMove에서 canMove 쿼리 호출 없이 move 명령을 호출하고, 성공/실패에 대한 처리는 try-catch에서 예외처리하는 것이 더 간단하다 생각했습니다.이번 강의인 6-2의 Player와 8-2 아이템 이동 로직 개선 강의의 Transfer 객체 둘 다 동일한 구조로 코드가 짜여져있어 if 분기를 사용한 이유가 궁금합니다!현재 구조에서 Player의 move 메서드에 예외를 던지는 if 분기가 없다면 Game이 Player의 이동에 관련된 모든 것을 결정하며 TDA를 위반하는 코드라 생각합니다.그렇다면 if 분기는 TDA를 위반하지 않기 위해 넣은 것인가요? 아니면 Player 와 협력하는 다른 클라이언트가 canMove 호출 없이 move를 호출할 경우를 대비해 넣은 것인가요? 후자라고 생각하기에는 1번 질문처럼 Player가 스스로 판단할텐데 try-catch 대신 if 분기를 넣은게 잘 와닿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Qualifier로 관리하기 힘들어지는 경우에 대한 질문
@Qualifier를 통해 특수한 경우에 대해 @Primary보다 우선적으로 빈 주입을 하게 되는데, 만약 DiscountPolicy가 수십~수백개를 넘어가고 예외 사항 또한 그만큼 늘어나는 상황에서는 @Qualifer로도 처리하기 힘든 상황이 오지 않나요?이런 상황에서는 어떻게 해결하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혹은, 이런 상황 자체가 실제로는 잘 나오지 않는 사례인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3번 문제 질문 있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코드 진행 마지막을 이렇게 작성하였는데, else if로 마무리하면 실행이 되고, else 문으로 마무리를 하면 오류가 납니다. 원래 이렇게 푸는 방법이 잘못된 것인가요? 아니면 else if로만 마무리해야 오류가 나지 않는 이유가 따로 있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클라이언트가 FIN과 함께 보내는 ACK는 무엇에 대한건가요?
강의 2분정도부터 나오는 설명에 대해서 서버에서 close()하여 보내는 1.FIN 을보내고이에 대한 응답으로 OS에서는 2. ACK를 전달합니다.이제 클라이언트에서도 close() 하여 FIN을 보내는데 이때 ACK도 같이 보내어 3. FIN + ACK 함께보내는데요, 이때 ACK는 무엇에 대한 응답인건가요? 2. ACK 에 대한 응답인건가요? 응답을 잘받았다고 응답하는건지..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노드 삭제시 노드 null값으로 초기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MyLinkedList의 remove함수에서removeNode.item = null;removeNode.next = null;를 해주는데, GC가 처리를 해주는데 꼭 이 과정이 필요한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강의영상에 대한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강의내용이라기보딘 강의영상에 대한 질문인데요..강의영상 음성언어로 영어,일본어,베트남어가 있던데 영한님께서 직접 다 녹음하시는건가요?목소리가 영한님 목소리라서,, 개인적으로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ㅎㅎ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자동 빈 등록 vs 자동 빈 등록시 충돌이 안 생기는 문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OrderServiceIMpl에서의 Component("service")와 MemberServiceImpl에서의 service 실행시 로그화면 service가 하나만 등록되면서 충돌이 안생기네요 ㅜㅜ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타입 매개변수 제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타입 매개변수를 Animal로 상한을 지정함으로써 제네릭 타입 안에서 Animal 클래스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는 건 이해했는데,Animal의 자식인 Dog, Cat의 기능도 사용을 못하나요?코드를 짜서 실행해본 결과 사용이 안되는걸로 확인 했습니다..만약 안되는거면 왜 그런지, 만약 Dog, Cat의 기능을 사용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다운 캐스팅을 해야하는건지..?)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BufferedInputStream이 1바이트씩 조회해도 성능이 좋은 이유
BufferedInputStream에서 read() 를 호출하면 buf 라는 버퍼에 있는 것을 1바이트씩 꺼내어 조회한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처음에 FileInputStream에서 하나씩 read() 하는 것이랑 결국 호출 횟수는 같으니 똑같은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그러니까 버퍼에 데이터 100바이트를 FileInputStream에서 한번에 들고와도 결국 바깥에서는 1바이트씩 꺼낸다고하니 뭐가 다른건가 궁금해졌습니다. 강의에서 버퍼에 데이터가 채워져있으면 FileInputStream의 read()를 호출하지 않고 바로 버퍼에서 꺼내준다고 하셨는데요, 여기서 버퍼에 한번에 많이 가져옴으로서 FileInputStream의 read()를 적게 호출하게 되기 때문에 이에 따라 시스템콜도 적게 호출되므로 성능이 증가하는건가요?앞의 강의에서 FileInputStream과 FileOutputStream의 read(),write()의 횟수를 줄여야 성능이 증가한다고 하셨으니까요.그래서 BufferedInputStream의 read()로 1바이트씩 꺼내는건 성능에 큰 지장이 없는 것인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오타제보
강의명 : 파일 입출력과 성능 최적화4 - Buffered 스트림 읽기강의 위치: 1분 22초오타 위치: 2. IO 기본1.pdf 26페이지 최하단오타 내용 : BufferedOutputStream 분석 -> BufferedInputStream 분석 해당 부분의 강의는 BufferedInputStream 에 대한 내용이므로 BufferedInputStream 분석 이 되어야하지 않나 싶습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유니티 시스템 프로그래밍 Pt.1 - 상용 게임 구현을 위한 핵심 시스템 올인원 패키지
다운 받은 자료 용량 관련 문의입니다.
맨처음 받은 자료 깃 스테이지에 올리려면 '큰 파일 감지됨' 으로 나오는데, 세팅 방법에 대한 문의.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문자 집합 호환성 여부를 판단할 때
어떤 두 문자 집합이 호환되는지의 기준은 해당 언어를 표현하는 바이트가 일치해야함그리고 해당 문자 집합들의 문자의 바이트(비트) 값이 일치해야함.위 두가지를 모두 만족한다면 두 집합은 서로 호환된다고 이해하면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