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Deploy complete
강의와 같이 다 성공적으로 하고 firebase deploy 까지 완료 했는데 강사님처럼 도메인 주소 들어가면 프로젝트가 안뜨고 사지관 같이 뜹니다 ㅜㅠ
-
미해결파이썬(Python)으로 데이터 기반 주식 퀀트 투자하기 Part2
퍼포먼스 지표에 표준편차를 추가하고싶은데요
안녕하세요 강사님.강의를 여러번 돌려보면서 이것저것 해보고 있습니다.퍼포먼스 지표에 표준편차를 추가하고싶은데요아래처럼 함수 만들고#"일간수익률컬럼".std() def get_sdt(log_rtn_df): std_val = log_rtn_df.std() return std_val이렇게 호출하면 될까요?get_sdt(get_returns_df(compare_df, log=True)).sort_values(ascending=False).to_frame("standard deviation")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PQL실행 후 캐시의 엔티티에는 변경사항이 적용이 안 되는 건가요?
[질문 내용]강의를 보다가 의문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JPQL을 수행하면 자동으로 flush된다고 하셨는데,이 때 캐시의 엔티티는 그대로 보존이 된다면만약에 JPQL이 UPDATE쿼리일 경우 엔티티의 변경 없이 단순 쿼리로만 UPDATE를 수행하고 DB에 반영이 될 경우에는 다시 조회를 해도 캐시에 있는 변경되지 않은 엔티티를 반환하기 때문에 변경된 내용이 적용이 안 되지 않나요?개인적으로 궁금해서 조금 실험해 본 결과로는 JPQL을 통한 데이터 변경 시 flush는 되지만 캐시의 엔티티에 변경사항이 적용되지는 않는 것 같았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자신이 변경한 사항을 자신이 볼 수 없는 경우의 수가 생기는 것 아닌가요? 이 부분은 JPA의 특징이라 실제로도 조심해야 하는 부분 중에 하나일까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go to definition 질문입니다
Slider onChanged 에서 강의상으로는 go to definition 으로 가면 final ValueChanged가 나오는데 어떤 단축키를 써도 나오지 않네요. 맥 기준으로 어느키인가요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코드팩토리 디스코드https://bit.ly/3HzRzUMFlutter 강의를 구매하시면 코드팩토리 디스코드 서버 플러터 프리미엄 채널에 들어오실 수 있습니다! 디스코드 서버에 들어오시고 저에게 메세지로 강의를 구매하신 이메일을 보내주시면 프리미엄 채널에 등록해드려요! 프리미엄 채널에 들어오시면 모든 질의응답 최우선으로 답변해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과 JPA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스터디 소개 수정 실패 테스트에서 @NotBlank 적용 문제
안녕하세요.스터디 소개 수정 실패 테스트하다가 발견한 궁금증 문의드립니다.study -> lesson 으로만 변경하고 다 동일합니다.스터디 짧은 소개에 "" 문자를 넣으면 @NotBlank 로 error 가 발생하여 200 상태코드가 떨어져야하지만 에러가 걸리지 않고 redirect 를 하게 됩니다. @NotBlank 로 특정 문자가 하나라도 있어야 하지만 없어도 통과되는 문제가 궁금합니다. @NotBlank(min = 1, max = 50) 으로 바꾸고 하니 error 로 잡히는데 그렇지 않을 경우에 왜 통과 될까요?ㅠㅠ
-
미해결탄탄한 백엔드 NestJS, 기초부터 심화까지
몽고 디비 커넥션 에러
몽구스 모듈에서 뭔가 자꾸 에러가있다고하는데 두번째 인수로{}이안에 인덱싱하는 키를 넣자마자 자꾸 연결이 거부된다고 뜨네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dao와 domain차이가 궁금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헷갈리는 개념이있어서 질문드립니다.1.repository가 dao객체를 사용하는데 그럼도메인안에 생성되는 item클래스가 dao인가요?? 그러면 도메인은 dao객체들이 모여있는 패키지라고 이해하면될까요? 해당 코드의 레파지토리 클래스안에 있는 store가 db라고 생각하면될까요?
-
미해결데이터 분석 SQL Fundamentals
with 절 질문
안녕하세요, with 절 쓰임 관련하여 문의 드립니다.Non Equi 조인과 Cross 조인 실습 강의를 듣다가강사님께서 cross join하면서 with 이용하여 temp_01절 생성하셨기에, temp_02 릴레이션도 직접 만들어서 2개의 릴레이션을 cross join 하고 싶었는데,with절을 활용하니 temp_01 릴레이션만 생성하게 되고, 그 뒤 with 절 다시 선언하여 진행하려하니 temp_02는 생성되지 않고 오류가 발생했습니다.with 절 안에서 두개의 릴레이션을 선언하고 생성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풀스택을 위한 도커와 최신 서버 기술(리눅스, nginx, AWS, HTTPS, 배포까지) [풀스택 Part3]
nginx 웹서버 접속 시간 초과
Reverse Proxy 와 주요 nginx 웹서버 설정 익히기39분경 실습 관련해서aws 인스턴스 보안 쪽에 8080,8081포트 인바운드 규칙을 추가하였고강사님께서 미리 주신 폴더 내 docker compose 파일을 이용해 컨테이너를 실행시켰습니다.분명 서버 내 컨테이너가 실행 중인 것 같은데 이유를 잘 모르겠네요 http://13.209.24.56/blog/test.html 를 접속하니 아래와 같은 문구가 뜹니다.13.209.24.56에서 응답하는 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립니다.질문이 너무 추상적이라 죄송합니다...도저히 이유를 모르겠네요추가적으로 각 컨테이너를 한번 log 확인해보았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고급편
콜백질문입니다. !
궁금한게 콜백 패턴을쓰면메서드안에 또 메서드를 살펴봐야 하고 (타고 타고 ..)이런 단점도 있지않나요 ??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form-start과녈ㄴ하여 여쭙습니다.,
안녕하세요.Form start를 처음 시작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어서 여쭙습니다.강의 목차 상에서 소스코드 다운mvc2_source_v20210624\__MACOSX\mvc2\form-start 해당 경로 파일에서build,gradle 파일이 아닌가요여러차례 오픈해보았는데 하기와 같은 화면만 조회되고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아서 여쭙습니다.. ㅠㅠ
-
미해결탄탄한 백엔드 NestJS, 기초부터 심화까지
[정보] PostgreSQL 셋업 강좌 부분 - pgadmin4 에러 해결 방법
pgadmin 버전 문제도 있는 것 같습니다.강의 업로드 시점2021-11-05 기준 이전에 나온 버전의 pgadmin을사용해야 에러가 안 나는 것 같습니다.pgadmin4 v5.7 버전 링크 공유 합니다.일단, 제가 했을 땐 에러는 나지 않습니다.https://www.postgresql.org/ftp/pgadmin/pgadmin4/v5.7/강의 제작 날짜2021-11-05pgadmin4 다운로드 버전2022-11-07 기준pgadmin4 이전 버전 다운로드 링크https://www.postgresql.org/ftp/pgadmin/pgadmin4/pgadmin4 v5.7 업로드 일자 - windows 기준https://www.postgresql.org/ftp/pgadmin/pgadmin4/v5.7/강의 제작 날짜 : 2021-11-05pgadmin4 v5.7 업로드 날짜 : 2021-09-09일단 비슷한 날짜의 버전을 다운로드 받아서 실행하면 에러는 나지 않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질문) 검색 버튼 클릭시 검색 조건이 넘어가는 원리에 대해
컨트롤러의 @ModelAttribute("orderSearch") OrderSearch sr의 역할은 아래의 두가지가 맞죠? 주문 상품 리스트의 검색폼 선택 데이터와 매핑<form th:object="${orderSearch}" class="form-inline"> <div class="form-group mb-2"> <input type="text" th:field="*{memberName}" class="formcontrol" placeholder="회원명"/> </div>검색폼에 설정한 데이터를 컨트롤러에서 받기 위한 설정 @GetMapping(value = "/orders") public String orderList(@ModelAttribute("orderSearch") OrderSearch sr, Model model) { List<Order> orders = orderService.findOrders(sr); model.addAttribute("orders", orders); return "order/orderList"; }
-
해결됨U-Net 구현으로 배우는 딥러닝 논문 구현 with TensorFlow 2.0 - 딥러닝 의료영상 분석
evaluate isbi 2012.py 실행관련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evaluate 중 문제가 발생해서 문의를 드립니다. train과 evaluate py의 경로 부분은 아래와 같이 수정을 하였습니다.flags.DEFINE_string('checkpoint_path', default='saved_model_isbi_2012/unet_model', help='path to a directory to save model checkpoints during training') 그 결과 생성된 파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python evaluate_isbi_2012.py실행 결과 나타난 오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File "evaluate_isbi_2012.py", line 89, in <module>app.run(main)File "C:\Users\Song\anaconda3\envs\unet_test3\lib\site-packages\absl\app.py", line 308, in runrunmain(main, args)File "C:\Users\Song\anaconda3\envs\unet_test3\lib\site-packages\absl\app.py", line 254, in runmainsys.exit(main(argv))File "evaluate_isbi_2012.py", line 66, in mainunet_model.load_weight(FLAGS.checkpoint_path)AttributeError: 'UNET_ISBI_2012' object has no attribute 'load_weight' 해결방법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useCallback 질문합니다!
4:18초 부분 질문드립니다!dependency array에 [data]를 적지 않고setData(data => data.map ~~ ) 으로 적는 부분이 잘 이해가 안가요ㅠㅠ onEdit 코드와 onEdit2의 코드 차이점이 알고 싶습니당const onEdit = useCallback((targetId, newContent) => { setData(data => data.map((item) => item.id === targetId ? {...item, content: newContent} : item)) }, []) const onEdit2 = useCallback((targetId, newContent) => { setData(data.map((item) => item.id === targetId ? {...item, content: newContent} : item)) }, [data])
-
미해결웹 게임을 만들며 배우는 React
useEffect deps부분과 코드가 이것도 맞는건지 궁금합니다.
작성한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제로초님과 코드가 다른 부분은 useRef 선언 부분 [] -> null,useEffect deps , useEffect return부분입니다.useRef를 배열이 아닌 상태로 사용하여 setTimeout을 설정시 문제되는 점이 있을까요? useEffect 함수 return 부분에 clearTimeout사용법이 저렇게 사용하는게 맞나요? onClick할 경우 새로운 번호를 winNumbers에 할당돼서 useEffect deps 를 winNumbers로 설정했습니다. 알맞게 잘 적용된걸까요? 이 코드로하면 잘 실행되고 마운트와 언마운트시 콘솔도 잘 찍힙니다.import React, { useEffect, useRef, useState } from "react"; import Ball from "./Ball"; function getWinNumbers() { console.log("getWinNumbers"); const numbers = Array(45) .fill() .map((v, i) => i + 1); const shuffle = []; while (numbers.length > 0) { shuffle.push( numbers.splice(Math.floor(Math.random() * numbers.length), 1)[0] ); } const bonusNumber = shuffle[shuffle.length - 1]; const winNumbers = shuffle.slice(0, 6).sort((a, b) => a - b); return [...winNumbers, bonusNumber]; } function Lotto() { const [winNumbers, setWinNumbers] = useState(getWinNumbers()); const [winBalls, setWinBalls] = useState([]); const [bonus, setBonus] = useState(); const [redo, setRedo] = useState(false); const timeout = useRef(null); useEffect(() => { console.info("useEffect start !"); for (let i = 0; i < winNumbers.length - 1; i++) { timeout.current = setTimeout(() => { setWinBalls((prevState) => [...prevState, winNumbers[i]]); }, (i + 1) * 1000); } timeout.current = setTimeout(() => { setBonus(winNumbers[6]); setRedo(true); }, 7000); return () => { console.info("useEffect end !"); timeout.current = clearTimeout(); }; }, [winNumbers]); const onClickRedo = () => { setWinNumbers(getWinNumbers()); setWinBalls([]); setBonus(null); setRedo(false); }; return ( <> <div>당첨 숫자</div> <div> {winBalls.map((i) => ( <Ball key={i} number={i} /> ))} </div> <div>보너스</div> {bonus && <Ball number={bonus} />} {redo && <button onClick={onClickRedo}>한 번 더!</button>} </> ); } export default Lotto;
-
미해결냉동코더의 알기 쉬운 Modern Android Development 입문
의존성의 문제가 있어도 컴파일 타임에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의 의미
여러 의존성 라이브러리의 장단점을 찾아보다 보면"컴파일 타임에 문제를 확인할 수 있다""컴파일 타임(Complie Time)에 의존성 주입 코드를 생성해 런타임 성능이 좋다""런 타임(Run Time)에 의존성 주입 코드를 생성해 성능이 좋지 않다"이러한 글들을 볼 수 있는데요컴파일 타임에 의존성 주입 코드를 생성하는 것이 왜 성능이 좋은 것인지?컴파일 타임에 문제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 왜 장점인지?이 두가지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퍼사드 패턴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강사님. 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예시 작성에서 퍼사드 패턴을 사용하시던데, 퍼사드 패턴은 복잡한 비즈니스로직을 단위 서비스를 모아서 실행하는 디자인 패턴으로 이해하면 될까요? 해당 디자인 패턴을 언제 사용하면 효율적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2023.11 업데이트]
강의에 나온 구성으로 설계하면 어떻게 되는걸까요?
배포시에 한 임대 컴퓨터 내부에 프론트랑 백, 데이터베이스가 각각 리소스를 차지하는식으로 배포가 되는 개념이 맞을까요??
-
미해결프론트엔드 개발자를 위한 웹팩
__dirname 질문입니당
선생님, output:{ fieldname : 'main.js', path: path.resolve( __dirname, 'dist') }여기에서요,__dirname 대신에 fieldname 을 적어줘야 할 것 같은데 __dirname 를 적은 이유가 뭐에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