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초급편] 안드로이드 커뮤니티 앱 만들기(Android Kotlin)
전체 코드
전체 코드를 다운받을 수 있을까요?
-
미해결[개정판] 파이썬 머신러닝 완벽 가이드
예측정확도가 다른 이유
4분 40초쯤 위 코드의 최적 하이퍼 파라미터 값인 max_depth = 16, min_sample_leaf = 6, min_samples_split = 2 을 적용해 예측을 한 예측정확도가 0.9260으로 위에서 측정한 최고 예측 정확도인 0.9165보다 높아진 이유가 뭔가요? 최적 하이퍼 파라미터 값과 같은 하이퍼 파라미터 값으로 예측을 하면 최고 예측 정확도와 같은 정확도를 보여야하는것 아닌가요??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링크와 라우트 차이점
안녕하세요! 페이지 라우팅1 강의부분에서<Route path=‘/‘ ></Route><Link to={‘/‘} </Link>라우트 패스 일 때는 왜 중괄호를 적지 않나요??????
-
미해결
깃허브 블로그용 마크다운 문법 질문이요
깃허브 블로그에 마크다운 파일로 포스팅을 막 시작했습니다VS code로 md 파일을 편집하는데<br>, <u></u>이런 html 문법들이 오류라고 수정을 하라고 VScode 아래 문제(problem)에 적혀있는데, 어떻게 수정을 해야될까요? 일단 그대로 올려도 출력은 잘 되긴합니다. ㅜ이 앞에 붙이는 1,2,3 이런 번호 매기는 부분에서 1.( )2. 이렇게 한칸 띄우고 입력하면 1. 2. 3. 이 아니라 1. 1. 2. 이렇게 번호가 무작위로 초기화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해결 방법 혹시 아시는 분 공유 부탁드립니다? ㅜ물론 1.입력 2.입력 이렇게 .뒤에 공백이 없으면 잘 되긴합니다.마크다운에서 CSS? 문법ex) Tags: olAliases: ol-prefixParameters: style ("one", "ordered", "one_or_ordered", "zero"; default "one_or_ordered")이런 설정은 어떻게 바꿀 수 있나요?
-
미해결파이썬 증권 데이터 수집과 분석으로 신호와 소음 찾기
저장시 Symbol 형태 변환 이슈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십니까 계속적인 질문 드려 죄송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말씀하신 코드로 종목을 불러왔고, csv 파일로 저장하는 과정에서 Symbol(종목코드)가 계속 숫자형태로 변환이 되는 이슈가 생겨 문의드립니다. 코드로 종목을 불러왔을 때는 Symbol은 문자형태 였지만, 저장 후 불러오는 과정에서 계속 Symbol이 숫자형태로 전환되는 이슈가 발생하는것 같습니다. ㅠㅠ 어떤 이슈 때문이니 알수 있을까요?
-
미해결[2023 코틀린 강의 무료제공] 기초에서 수익 창출까지, 안드로이드 프로그래밍 A-Z
플레이스토어 에 배포중 App Bundle
강의 영상에 내용이 없는데요...ㅜㅜㅜ
-
미해결빅분기 실기 1Day Class(R)
작업형제1유형 2번 문제 질문입니다.
# Q2. 데이터 수집일 중 맑은 날의 비중을 백분률로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출력하시오.# ※ 맑은 날은 weather가 1인 비중이 가장 많은 날을 기준으로 한다.# 답안 예시: 12.34 ds=read.csv('set_01_data_02.csv')str(ds)summary(ds)head(ds)cnt=ds%>%filter(weather==1)%>%summarise(n=n())tot_cnt=length(ds$weather)result=cnt/tot_cntprint(result)이렇게 문제풀면 왜 안되는 건가요? 혹시 답이 나오게 할려면 어느 부분을 수정하면 가능할까요?
-
미해결애플 웹사이트 인터랙션 클론!
currentScene의 증감이 창 중간에서 이뤄집니다.
10강 보고 있는데요currentScene값이 창 젤 위엣부분이 아니라창 중간에서 값이 증감이 되는데도저히 모르것습니다 ㅠㅠ뭐가 잘못된건가요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title>AirMug Pro</title> <link rel="stylesheet" href="css/mymain.css"> <link rel="preconnect" href="https://fonts.googleapis.com"> <link rel="preconnect" href="https://fonts.gstatic.com" crossorigin> <link href="https://fonts.googleapis.com/css2?family=Noto+Sans+KR:wght@400;900&display=swap" rel="stylesheet"> </head> <body> <div class="container"> <nav class="global-nav"> <nav class="global-nav-links"> <a href="#" class="global-nav-item">Rooms</a> <a href="#" class="global-nav-item">Ideas</a> <a href="#" class="global-nav-item">Stores</a> <a href="#" class="global-nav-item">Contact</a> </nav> <nav class="local-nav"> <div class="local-nav-links"> <a href="#" class="product-name">AirMug Pro</a> <a href="#">개요</a> <a href="#">주요사항</a> <a href="#">구입하기</a> </div> </nav> </nav> <section class="scroll-section" id="scroll-section-0"> <h1>AirMug Pro</h1> <div class="sticky-elem main-message"> <p>온전히 빠져들게 하는<br>최고급 세라믹</p> </div> <div class="sticky-elem main-message"> <p>주변 맛을 느끼게 해주는<br>주변 맛 허용 모드</p> </div> <div class="sticky-elem main-message"> <p>온종일 편안한<br>맞춤형 손잡이</p> </div> <div class="sticky-elem main-message"> <p>새롭게 입가를<br>찾아온 매혹</p> </div> </section> <section class="scroll-section" id="scroll-section-1"> <p class="desciption"><strong>보통 스크롤 영역</strong>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Doloribus quae quo tempora, eligendi quia deleniti. Modi repudiandae, consequuntur quisquam aliquid veritatis, deleniti ea harum tempore maxime tenetur pariatur? Neque reprehenderit itaque ea optio, labore dolorem doloremque nobis sapiente iusto iure officia possimus distinctio maiores aspernatur? Natus illum maxime perspiciatis, blanditiis temporibus et cum dignissimos possimus commodi ea sint non, magnam maiores voluptatum unde accusamus praesentium explicabo harum a? Porro modi sequi eaque minus nulla animi iure deleniti corporis necessitatibus magni ullam laborum obcaecati doloremque, dignissimos iste delectus soluta. Quia corporis amet cupiditate, eligendi eum similique delectus nihil necessitatibus ex vitae debitis laboriosam consectetur officia obcaecati quis, excepturi qui laudantium incidunt nostrum? Tenetur iste aperiam ad odio aliquid vel magnam obcaecati impedit quas exercitationem omnis incidunt voluptas illo est deleniti aliquam vero ipsum facilis similique reprehenderit enim, quis voluptatibus voluptates neque! Natus unde saepe eaque tempore consequuntur reprehenderit vel necessitatibus a ab commodi, illum consequatur. Architecto commodi aspernatur, tenetur, molestiae quidem expedita, aliquam fuga sit quis veniam ducimus quaerat nulla eius ratione soluta accusantium quod laudantium unde ab sequi ea minima doloribus officiis? Inventore facere pariatur excepturi architecto nulla esse dicta at, hic consequatur tenetur aliquam ea aperiam laboriosam dolorum debitis. </p> </section> <section class="scroll-section" id="scroll-section-2"> <div class="sticky-elem main-message"> <p><small>편안하 촉감</small>입과 하나 되다</p> </div> <div class="sticky-elem desc-message"> <p> 편안한 목넘김을 완성하는 디테일한 여러 구성 요소들, 우리는 이를 하나하나 새롭게 살피고 재구성하는 과정을 거쳐 새로운 수준의 머그, AirMug Pro를 만들었습니다. 입에 뭔가 댔다는 감각은 어느새 사라지고 오롯이 당신과 음료만 남게 되죠. </p> <div class="pin"></div> </div> <div class="sticky-elem main-message"> <p> 디자인 앤 퀄리티 오브 스웨덴,<br>메이드 인 차이나 </p> <div class="pin"></div> </div> </section> <section class="scroll-section" id="scroll-section-3"> <p class="mid-message"> <strong>Retina 머그</strong><br> 아이디어를 광활하게 펼칠<br> 아름답고 부드러운 음료 공간. </p> <p class="canvas-caption">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Placeat, alias molestias! At excepturi ad explicabo, voluptatum odio qui ipsam placeat similique officia. Obcaecati enim officiis perferendis ex repellendus maxime expedita quae animi blanditiis? Inventore neque eum reiciendis, reprehenderit, maiores eaque illo mollitia commodi dolorem accusamus vero optio veritatis dolore facere doloribus, quia sit labore sunt! Quos, voluptate soluta quam tempore assumenda dolorum aut at deleniti unde. Inventore itaque reiciendis doloribus quas nesciunt aperiam eius natus esse consectetur labore iure veritatis, dolor enim placeat quaerat quam quo culpa amet. Facere culpa ullam non recusandae error officiis aliquam laudantium, expedita similique exercitationem explicabo cum optio porro est saepe aspernatur neque corrupti quos pariatur totam at in quaerat autem. Aliquid quasi id eligendi at voluptates itaque omnis, necessitatibus nobis voluptatem magnam quas fugit delectus dicta molestias ab? A quod facilis blanditiis nulla perferendis tenetur odit. Culpa voluptates laudantium pariatur unde aspernatur hic, atque error. Culpa consequatur necessitatibus alias incidunt autem iusto molestias illo nemo minus. Id nemo pariatur esse suscipit inventore, distinctio hic, voluptas ad odit eum facilis debitis explicabo iste sunt alias nulla, qui maxime non aliquam! Veniam dolores deleniti aut illum sint, culpa eveniet quo quis praesentium consequuntur voluptatum ea cum. </p> </section> <footer class="footer"> 2020, 1분코딩 </footer> </div> <script src="js/myjs.js"></script> </body> </html> (()=>{ let yOffset = 0; //window.pageYOffset 대신에 쓸 변수 let prevScrollHeight = 0; //현재 스크롤위치(pageYOffset)보다 이전에 위치한 스크롤 섹션들의 스크롤 높이값의 합 let currentScene = 0; //현재 활성화된 씬 const sceneInfo = [ { type : 'sticky', heightNum : 5, //브라우저 높이의 5배로 scrollHeight 세팅 scrollHeight : 0, objs : { container : document.querySelector('#scroll-section-0') } }, { type : 'normal', heightNum : 5, //브라우저 높이의 5배로 scrollHeight 세팅 scrollHeight : 0, objs : { container : document.querySelector('#scroll-section-1') } }, { type : 'sticky', heightNum : 5, //브라우저 높이의 5배로 scrollHeight 세팅 scrollHeight : 0, objs : { container : document.querySelector('#scroll-section-2') } }, { type : 'sticky', heightNum : 5, //브라우저 높이의 5배로 scrollHeight 세팅 scrollHeight : 0, objs : { container : document.querySelector('#scroll-section-3') } } ]; function setLayout(){ //각 스크롤 섹션의 높이 세팅 for(let i = 0 ; i<sceneInfo.length ; i++){ sceneInfo[i].scrollHeight = sceneInfo[i].heightNum * window.innerHeight ; sceneInfo[i].objs.container.style.height =`${sceneInfo[i].scrollHeight}px`; } console.log(sceneInfo) } function scrollLoop(){ prevScrollHeight = 0; for(let i = 0 ; i<currentScene ; i++){ prevScrollHeight += sceneInfo[i].scrollHeight; } if(yOffset > prevScrollHeight + sceneInfo[currentScene].scrollHeight){ currentScene++ ; } if(yOffset < prevScrollHeight){ currentScene-- ; } console.log(currentScene) } window.addEventListener('resize', setLayout) window.addEventListener('scroll', () => { yOffset = window.pageYOffset; scrollLoop(); }) setLayout(); })() @charset 'utf-8' html{ font-family: 'Noto Sans KR', sans-serif; font-size: 14px; } body{ overflow-x: hidden; /*가로스크롤 안생김*/ color: rgb(29, 29, 31); letter-spacing: -0.05em; background: white; } p{ line-height: 1.6; } a{ color: rgb(29,29,31); text-decoration: none; } .global-nav{ position: absolute; top: 0; left: 0; width: 100%; height: 44px; padding: 0 1rem; } .local-nav{ position: absolute; top: 45px; left: 0; width: 100%; height: 52px; border-bottom: 1px solid #ddd; padding: 0 1rem; } .global-nav-links, .local-nav-links{ display: flex; align-items: center; max-width: 1000px; margin: 0 auto; height: 100%; } .global-nav-links { justify-content: space-between; } .local-nav-links a{ font-size: 0.8rem; } .local-nav-links a:not(.product-name){ margin-left: 2em; } .local-nav-links .product-name{ margin-right: auto; font-size: 1.4rem; font-weight: bold; } .scroll-section{ border: 3px solid red; padding-top: 50vh; } #scroll-section-0 h1{ font-size: 4rem; text-align: center; } .main-message{ display: flex; align-items: center; justify-content: center; height: 3em; font-size: 2.5rem; margin: 5px 0; max-width: 1000px; margin: 0 auto; } .main-message p{ line-height: 1.2; font-weight: bold; text-align: center; } .main-message small{ display: block; font-size: 1.2rem; margin-bottom: 0.5em; } #scroll-section-2 .main-message{ font-size: 3.5rem; } .desciption{ padding: 0 1rem; font-size: 1.2rem; color: #888; margin: 0 auto; max-width: 1000px; } .desciption strong{ font-size: 3rem; color: rgb(29, 29, 31); float: left; margin-right: 0.2em; } .desc-message{ font-weight: bold; width: 50%; } .pin{ width: 1px; height: 100px; background: rgb(29, 29, 31); } .mid-message{ font-size: 2rem; padding: 1em; color: #888; } .mid-message strong{ color: rgb(29, 29, 31); } .canvas-caption{ color: #888; padding: 0 1rem; text-align: center; font-size: 1.2rem; max-width: 1000px; margin: 0 auto; } .footer{ display: flex; align-items: center; justify-content: center; height: 7rem; background: darkorange; } .sticky-elem{ display: none; position: fixed; top: 0; left: 0; width: 100%; } #show-scene-0 #scroll-section-0 .sticky-elem, #show-scene-1 #scroll-section-1 .sticky-elem, #show-scene-2 #scroll-section-2 .sticky-elem, #show-scene-3 #scroll-section-3 .sticky-elem{ display: block; } @media (min-width: 1024px) { #scroll-section-0 h1 { font-size: 9vw; } .main-message { font-size: 4vw; } .description { padding: 0; font-size: 2rem; } .description strong { font-size: 6rem; } #scroll-section-2 .main-message { font-size: 6vw; } .main-message small { font-size: 1.5vw; } .desc-message { width: 20%; } .mid-message { font-size: 4vw; } .canvas-caption { font-size: 2rem; } }
-
해결됨스프링 시큐리티 OAuth2
GrantedAuthority, JPA
현재 강의 내용을 따라 소셜 로그인을 구현한 후 JPA 를 도입하려합니다. 폼 로그인에 사용되는 User 클래스를 엔티티로 만들려면 아래 필드의 타입도 바꾸어야 할 것 같은데,public class User { ... private List<? extends GrantedAuthority> authorities;위와 같은 타입을 일반 User도 사용할 필요가 있나요?DB에 저장하기 위해, User 는 ProviderUser 와 별개의 사용자 정의 권한 객체를 가져도 상관없나요?
-
해결됨프론트엔드 개발자를 위한, 실전 웹 성능 최적화(feat. React) - Part. 1
webpack-bundle-analyzer 질문
안녕하세요!customize-cra 를 사용해서 config-overrides.js 파일에서 BundleAnalyzerPlugin을 불러와서 사용하는데계속 에러가 나고 reports 파일을 확인할 수 없어서요 ㅠ addWebpackPlugin( new BundleAnalyzerPlugin({ analyzerMode: "static", openAnalyzer: true, generateStatsFile: true, statsFilename: "bundle-report.json", }) ),위 처럼 작성하고 script에 아래를 추가하고 yarn analyze를 했는데 에러가 나네요;; 뭐가 잘못된 걸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analyze": "npx webpack-bundle-analyzer build/bundle-report.json",
-
미해결비전공자를 위한 개발자 취업 올인원 가이드 [통합편]
중고신입
안녕하세요 우선 한정수님 영상을 많이 참고하면서 회사에 보다 수월하게 입사하게 되었습니다 선택과 집중 모두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신것에 너무 감사드립니다. 현재 일을 시작한 지 2개월 정도가 넘었는데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회사의기준.중고신입 이직에 대한 영상을 유독 많이봤는데, 7점짜리 회사라는 회사의 기준을 어떻게 잡는게 좋을까요? 저는 자바 웹 백엔드를 희망했었지만 현재는 데이터쪽 자바 백엔드로 일하고 있고, 현재 회사도 나쁘지는 않다고 생각하지만 사수가 따로 없기도 하고 조금 더 큰 규모의, 웹분야로 중고신입으로 이직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다만, 회사를 판단하는 기준을 잘 못잡겠어서 여쭤봅니다서버 개발/자바 백엔드의 분리.회사들을 보면 자바 개발자보다 서버 개발자를 뽑는 경우가 많은데 백엔드 개발자로 지원을 한다고 했을 때 회사에서 자바 개발과 서버 개발을 구분해서 보는지 궁금합니다 자바개발 TO가 많이 없다고 했을 때 다음회사도 자바 개발쪽을 고수해서 가야할지(시간이 조금 더 들더라도) 혹은 서버 개발로 갔다가 추후 재이직 시 자바개발로 가는 케이스도 많은지 궁금합니다.방통대와 학점은행제다른 전공으로 3년제를 졸업해서 학사를 관련전공으로 졸업하고자 방통대와 학점은행제를 고려 중이며, 학점은행제는 23년도 8월에, 방통대는 24년도 8월에 끝마치게되는데 조금이라도 더 빠른 학위취득이 좋을지 조금 늦더라도 정규대학으로 구분되는 방통대가 나을지 궁금합니다. 종합적으로 방통대 = CS공부 + 정규대학 + 1년 늦는 졸업 / 학점은행제 = 1년 빠른 졸업으로 학위가 빠르게 나오고 방통대 과제, 시험 등 투자되는 시간을 아껴 다른 곳 투자가능(별도의 CS공부 혹은 프로젝트 진행 등) 인데 이 부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이직 시기와 도메인중고신입으로 들어간다면 1년안에 최대한 준비를 마쳐 더 괜찮은 회사 중고신입으로 들어가는 방법이 있는데, 첫 회사에서 2년을 채운다고 하면 어떤 방식으로 준비하는게 좋다고 생각하시나요? 원래 목표는 웹백엔드인데 앱쪽에도 관심이 생겨 앱을 개발하면서 2년까지 채우고 웹 + 앱 모두 개발해보면서 2년을 채우고(내채공도 있어서) 웹 혹은 앱으로 이직을 하는 방향도 고려중인데 이렇게되면 처음부터 도메인이 분산되어서 집중도가 떨어진다고 생각은 하는데 나름 괜찮은 방법일지 아예 비추천하시는 방법일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디자인 시스템 with 피그마
스타일 적용
8강 11:00똑같이 따라했는데 왜자꾸 12/Auto 로 들어갈까요ㅠㅠ
-
미해결유니티 Addressable 을 이용한 패치 시스템 구현
안녕하세요 강의그대로 따라했는데.. 녹스로테스트하니까
unable to load content catalog data from locationjar:file://data/app/com.project/base.apk!/assets/aa/catalog.json Attempting to retry...이 오류가 왜뜨는지 알수있을까요 ㅠㅠ..
-
미해결[스프링 배치 입문] 예제로 배우는 핵심 Spring Batch
run/debug configuration부분이 다르네요
저도 job parameter를 넘기고 싶은데 선생님이랑 configuration부분이 달라서 어떻게 해야할지 잘 모르겠네요
-
미해결면접과 취업을 부르는 '퍼블리셔 개인 포트폴리오 홈페이지' 제작
featherlight 연결시 링크된 html이 문제가 있어요 ㅠㅠ
안녕하세요 선생님, 페더라이트로 연결된 html문서에 슬라이더가 제대로 작동을 안해요 ㅠㅠ 연결안하고 바로 클릭해서 보면 오토로 설정한 슬라이더가 잘 작동이 되는데 페더라이트로 연결하면 오토로 설정했던게 안움직이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ㅠㅠ.....슬라이더는 swiper를 사용했습니다!
-
미해결[리뉴얼] React로 NodeBird SNS 만들기
아이디,비번 작성후 로그인이되지 않습니다.
리덕스 적용 후 아이디,비번값 넣고 로그인버튼 누르면 로그인된 화면으로 넘어가질 않습니다. 버튼이 동작하지 않습니다 ㅠㅠ 콘솔과 코드 보여드릴게요ㅠㅠ콘솔LoginForm.jsimport React, { useCallback, useState } from "react"; import Link from "next/link"; import { Form, Input, Button } from "antd"; import styled from "styled-components"; import { useDispatch } from "react-redux"; import useInput from "../hooks/useInput"; import { loginAction } from "../reducers"; const LoginForm = () => { const dispatch = useDispatch(); const [id, onChangeId] = useInput(""); const [password, setPassword] = useState(""); const FormWrapper = styled(Form)` padding: 10px !important; `; const onChangePassword = useCallback((e) => { setPassword(e.target.value); }, []); const onSubmitForm = useCallback(() => { dispatch(loginAction({ id, password })); }, [id, password]); return ( <FormWrapper onFinish={onSubmitForm}> <div> <label htmlFor="user-id">아이디</label> <Input name="user-id" value={id} onChange={onChangeId} required></Input> </div> <div> <label htmlFor="user-password">비밀번호</label> <Input name="user-password" value={password} onChange={onChangePassword} required ></Input> </div> <div style={{ maringTop: "10px" }}> <Button type="primary" htmlType="submit" loading={false}> 로그인 </Button> <Link href="/signup"> <a>회원가입</a> </Link> </div> </FormWrapper> ); }; export default LoginForm; AppLayout.js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PropTypes from "prop-types"; import Link from "next/link"; import { Menu, Input, Row, Col } from "antd"; import UserProfile from "../components/UserProfile"; import LoginForm from "../components/LoginForm"; import { useSelector } from "react-redux"; const AppLayout = ({ children }) => { const isLoggedIn = useSelector((state) => { state.user.isLoggedIn; }); return ( <div> <Menu mode="horizontal"> <Menu.Item key="/"> <Link href="/"> <a>메인</a> </Link> </Menu.Item> <Menu.Item key="/profile"> <Link href="/profile"> <a>프로필</a> </Link> </Menu.Item> <Menu.Item key="mail"> <Input.Search enterButton style={{ verticalAlign: "middle" }} /> </Menu.Item> <Menu.Item key="/signup"> <Link href="/signup"> <a>회원가입</a> </Link> </Menu.Item> </Menu> <Row gutter={8}> <Col xs={24} md={6}> {isLoggedIn ? <UserProfile /> : <LoginForm />} </Col> <Col xs={24} md={12}> {children} </Col> <Col xs={24} md={6}> <a href="https://github.com/wejunguk"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 > github by </a> </Col> </Row> </div> ); }; AppLayout.propTypes = { children: PropTypes.node.isRequired, }; export default AppLayout; index.jsimport { HYDRATE } from "next-redux-wrapper"; const initialState = { user: { isLoggedIn: false, user: null, signUpData: {}, loginData: {}, }, post: { mainPosts: [], }, }; export const loginAction = (data) => { return { type: "LOG_IN", data, }; }; export const logoutAction = () => { return { type: "LOG_OUT", }; }; const rootReducer = (state = initialState, action) => { switch (action.type) { case HYDRATE: console.log("HYDRATE", action); return { ...state, ...action.payload, }; case "LOG_IN": return { ...state, user: { ...state.user, isLoggedIn: true, user: action.data, }, }; case "LOG_OUT": return { ...state, user: { ...state.user, isLoggedIn: false, user: null, }, }; default: return state; } }; export default rootReducer; configureStore.jsimport { createWrapper } from "next-redux-wrapper"; import { createStore } from "redux"; import reducer from "../reducers"; const configureStore = () => { const store = createStore(reducer); return store; }; const wrapper = createWrapper(configureStore, { debug: process.env.NODE_ENV === "development", }); export default wrapper;
-
해결됨모의해킹 실무자가 알려주는, SQL Injection 공격 기법과 시큐어 코딩 : PART 1
한글은 비트추론할때 어떻게 해야하나요?
한글은 비트추론할때 어떻게 해야하나요?
-
해결됨디자인 시스템 with 피그마
1.333배
7강 까지 듣다가 잘 몰라서 질문남겨봅니다.폰트에 1.333배를 사용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그리고 type-scale.com 에 있는 스케일중에서도 왜 1.333 - perpect Fourth 을 사용하는지도 궁금합니다.이로인해 폰트에 소수점이 생기는건 괜찮나요?
-
미해결탄탄한 백엔드 NestJS, 기초부터 심화까지
@injectModel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mongoose에 cats 모델 생성 및 injecModel 장식자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Injectable() export class CatsService { constructor(@InjectModel(Cat.name) private readonly catModel: Model<Cat>) {} export declare const InjectModel: (model: string, connectionName?: string | undefined) => (target: object, key: string | symbol, index?: number | undefined) => void; export declare const InjectConnection: (name?: string | undefined) => (target: object, key: string | symbol, index?: number | undefined) => void; 1)@InjectModel을 코드를 보면 첫 번째 인자로 model을 받던데 왜 Cat.name이라는 property가 들어가는지 궁금합니다. 2)앞에서 Cat class에서 catSchema를 생성하는 부분은 명시적으로 진행해주셨는데 model을 생성하는 부분은 service아래에서 암묵적으로 이뤄진다고 생각하면 될까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앱으로 수익창출! 누구나 쉽게 Android 앱 개발하고 스토어에 출시까지!
Activity main
프로젝트 생성할 때 activity main파일이 안 나오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