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3: 유니티 엔진
오브젝트 높이로 인한 달리기의 안멈춤에 관한 질문입니다.
위와같이 오브젝트의 크기가 클 경우, 클릭의 위치에 따라 유니티짱이 향하는 포인트가 근사치 정지거리인 0.1f보다 클 경우가 생깁니다.이럴 경우 바로 앞에 있는데도 불구하고 계속 달리기 모션을 취하고 있습니다.저의 경우 오브젝트의 높이차이가 1이상이 되어 계속 달리기를 하더랍니다. 일단 x좌표의 절대값으로 거리를 계산하여 근처에 오면 멈추게 하긴했으나, 만약 보스몹같이 커다란 몬스터가 타겟일 경우, 보스의 한 가운데를 클릭했다면, 유니티짱은 보스몹의 콜라이더로 인해, 보스로의 접근이 힘들어져 보스몹과 계속 부비면서 달리기를 하게 됩니다.이럴경우 어떻게 처리를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Querydsl
order by case 문
안녕하세요.아래와 같은 상황에서 case when 을 order by에 사용할 수 있을까요?해보려고 했는데 빨간줄이 뜨네요 ㅠ 출처 : https://hashcode.co.kr/questions/3480/%EB%8C%80%EB%8C%93%EA%B8%80-db-%EC%8A%A4%ED%82%A4%EB%A7%88-%EC%84%A4%EA%B3%84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와 %의 순서가 이해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1629(1-N) 해설 코드에서 아래 부분이 이해가 잘 되지 않아 질문드립니다.ll ret = go(a, b / 2); ret = (ret * ret) % c;수업에서 오버플로를 방지하기 위해 (a * b) % c = (a % c) *(b % c)의 개념을 사용한다고 했는데 그럼 아래와 같이 되어야 하는거 아닌가요..?ret = (ret % c) * (ret % c);저는 ret과 ret을 곱하면 오버플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에 모듈러연산을 해준 다음에 곱해야한다고 생각했는데 어떤점이 잘못됐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리뉴얼] 타입스크립트 올인원 : Part1. 기본 문법편
제네릭 add 예제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 중간에 나오는 제네릭 add 메소드가 도무지 이해가 안되어 해결방법은 없는지 문의드립니다.위 예제 설명해주실때 타입스크립트가 아직 T가 뭔지 몰라서 그렇다 라고 하신 뒤 다른 내용으로 넘어가셨는데 강의 뒷 내용에 T가 확실히 무엇인지 범위를 좁혀서 위 메소드가 에러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내용이 나오나요?아니면 애초에 위와같은 방식은 타입스크립트에서는 사용하면 안되는 형태일까요?
-
미해결[입문] Qt 6 프로그래밍 1편
clazy-standalone.exe 문제
이 문제가 계속 생기는데 어떻게 해결할지 검색을 해도 안나와서 여쭤봅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빈을 가져오는 방법에대해서 질문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LogDemoController { private final LogDemoService logDemoService; private final ObjectProvider<MyLogger> myLoggerProvider; @RequestMapping("log-demo") @ResponseBody public String logDemo(HttpServletRequest request){ String requestURL = request.getRequestURL().toString(); MyLogger myLogger = myLoggerProvider.getObject(); myLogger.setRequestURL(requestURL); myLogger.log("controler test"); logDemoService.logic("testId"); return "OK"; } }이 부분에서 private final LogDemoService logDemoService;이렇게 작성하게 되면 logDemoService가 빈에 등록된 LogDemoService를 가져오는게 맞나요?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LifeCycleConfig.class); NetworkClient client = ac.getBean(NetworkClient.class);만약 맞다면 test파일을 작성할때는 이러한 형식으로 하는 이유가 뭔가요??
-
미해결프론트엔드 개발자를 위한 웹팩
이런질문도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강의를 처음부터 여기까지 두 번 들어봤는데요, 제가 이해력이 좀 부족해서 아래 이해 한게 맞는지 봐주실 수 있으세요?강의를 듣고 나니까 npm이랑 webpack 이 헷갈리더라구요.제가 강의 안보고 혼자 해보려고 했더니 뭐가 npm이 하는거고 뭐가 webpack인거지? 하는 생각이 들어서 정리해봤어요. (이해한 내용..)npm run build 는 npm이 함.npm init -y *프로젝트 생성 : package.json 도 npm이 만듬그렇다면... webpack은 뭐냐....webpack.config.js < 이거같음이거 만들고 package.json 여기에 "build" : "webpack" 으로 설정해서npm run build하면 (이것도 npm이 함)webpack.config.js 이거 자동으로 읽어서 빌드하면서 처리함.그래서 속성 4가지가 중요한 것 같음. 왜냐면 이게 webpack.config.js 여기 내용이라서..[entry, output, module, plugins]entry 경로 적으면 여기 내용으로 웹팩이 npm으로 빌드할 때 내용을output 으로 결과를 만듬. * 1. 파일이름 설정, 2. 패스 설정해야 함(es6문법)module 이게 loader임. css를 js에 임포트하면(왜하는지는모르겠지만) loader가 잘 처리함.plugins output 될 때 파일에 관여함. 이거 안하고 빌드 하면 js에 css내용이 들어가는데 사용하면 css파일도 따로 만들 수 있음.맞게 이해한 걸까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영속성 컨텍스트 구현체에서 '쓰기 지연 SQL 저장소', '1차 캐시'와 관련된 필드를 확인할 수 있을까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하이버네이트 영속성 컨텍스트 구현체에서 '쓰기 지연 SQL 저장소', '1차 캐시'와 관련된 필드를 확인할 수 있을까요?영속성 컨텍스트에서 '쓰기 지연 SQL 저장소'와 '1차 캐시'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는게 중요한것 같아서 영속성 컨텍스트 구현 클래스에서 SQL 저장소나 1차 캐시와 관련된 필드가 어떻게 생겼는지 확인하고, 엔티티매니저의 여러 메서드가 실행될 때 해당 필드들이 강의에서 배운 것처럼 변화하는지 확인하고자 했습니다.<궁금한 정보>하이버네이트 영속성 컨텍스트 구현 클래스의 필드 중 'SQL 저장소'나 '1차 캐시'의 역할을 하는 필드가 무엇인지Entity Manager의 CRUD 메서드나 flush() 등 실행시 SQL 저장소, 1차 캐시 필드의 변화 확인em.persist()em.find()em.remove()em.flush()Ex)em.persist(member)>>> 1차 캐시 필드에 member 엔티티 스냅샷이 저장 됐는지 확인>>> 쓰기 지연 SQL 저장소 필드에 member insert 쿼리가 생성됐는지 확인em.find(member2)>>> 1차 캐시 필드에 저장되지 않은 엔티티 조회시 DB에서 해당 엔티티 조회해서 1차 캐시에 저장하는지 확인em.flush()>>> 1차 캐시의 스냅샷과 현재 member엔티티와 비교하는 과정 확인>>> 변경 있다면 SQL 저장소 필드에 Update 쿼리 추가됨>>> 쓰기 지연 SQL 저장소 필드에 저장된 쿼리들 DB로 내보내는 과정 확인<조사 결과>아래처럼 영속성 컨텍스트 구현 클래스의 필드들 중 'SQL 저장소'나 '1차 캐시'의 역할을 하는 필드가 있을것이라고 가정하고 우선 해당 필드를 찾으려고 했습니다.1차 캐시entitiesByKey 필드에 엔티티가 저장돼서 해당 필드가 1차 캐시에 해당할수도 있겠다고 생각했는데엔티티 정보가 snapshot 처럼 저장된 것이 아니라 인스턴스 자체가 저장된 것이라서 1차 캐시가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쓰기 지연 SQL 저장소SQL 쿼리가 String으로 저장된 필드 찾지 못함SingleTableEntityPersister 인스턴스에 엔티티 CRUD 쿼리 저장되는것 확인했지만,스프링부트 실행할 때 만들어지는 인스턴스기 때문에 쓰기 지연 SQL 저장소는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쓰기지연 SQL 저장소라면 em.persist() 실행시에 insert 쿼리가 만들어져야하기 때문에 (스프링부트 실행시점에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결론적으로 영속성 컨텍스트 인스턴스에서 1차 캐시나 쓰기 지연 SQL 저장소에 해당되는 필드를 확인하지 못했습니다.디버거에서 entityManager.flush() persist() 등의 메서드 흐름을 쭉 따라가면서 전달되는 데이터를 보면서 1차 캐시나 SQL 저장소를 찾아보려고 했는데, 메서드 실행 과정이 너무 복잡해서 흐름을 따라가기가 어려웠습니다.<질문>영속성 컨텍스트 구현체에서 '쓰기 지연 SQL 저장소', '1차 캐시'와 관련된 필드를 확인할 수 있을까요?아니면 '1차 캐시'나 '쓰기 지연 SQL 저장소' 같은 개념들은 영속성 컨텍스트의 복잡한 작동을 추상화한 개념이라 실제 인스턴스에서 그 작동과정을 정확하게 확인하기는 어려울까요?스프링 강의에서부터 복잡한 개념은 위와 같은 방법처럼 인텔리제이 디버거에서 메서드 흐름에 따라서 주요 인스턴스 필드의 데이터가 어떻게 변하는지 확인하면서 이해가 잘 됐었습니다. JPA에서 중요한 부분도 이렇게 확인해보고자 했는데 위처럼 확인이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이부분은 그냥 설명해주신 내용을 개념적으로 이해하고 넘어가야할지 고민입니다. ** 좋은 강의와 책 항상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바닥부터 시작하는 STM32 드론 개발의 모든 것
보드 관련 질문
같은 STM32F4를 사용한다면 다른 보드(Omnibus F4) 에서도 STM32CubeIDE를 이용해 같은 방식으로 코드 이식이 가능한가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7: MMO 컨텐츠 구현 (Unity + C# 서버 연동 기초)
두번째 세션부터 entergame 패킷이 보내지지않습니다.
Part4를 베이스로 삼아 간단한 동기화만 구현을 해보려고 해보는 중입니다. 문제가 되는 것은 처음으로 들어온 세션은 EnterGame 패킷과 Spawn 패킷을 모두 받는 반면에 두 번째로 들어온 세션은 Enter패킷이 들어오지않습니다... 상황을 정리하자면첫번째 세션: MyPlayer생성 O, other Player 생성 O두번째 세션: MyPlayer생성 X, other Player 생성 X로그를 찍어보니 두번째 세션에 EnterGame Handler가 작동을 하지 않더군요... 혹시하는 마음에 질문해봅니다.EnterGamepublic override void EnterGame(GameObject gameObject) { if (gameObject == null) return; if (gameObject.ObjectType == GameObjectType.Player) { Player player = gameObject as Player; _players.Add(gameObject.Id, player); player.Room = this; // 본인한테 정보 전송 { S_EnterGame enterPacket = new S_EnterGame(); enterPacket.Player = player.Info; player.Session.Send(enterPacket); S_Spawn spawnPacket = new S_Spawn(); foreach (Player p in _players.Values) { if (player != p) spawnPacket.Objects.Add(p.Info); } player.Session.Send(spawnPacket); } } // 타인한테 정보 전송 { S_Spawn spawnPacket = new S_Spawn(); spawnPacket.Objects.Add(gameObject.Info); foreach (Player p in _players.Values) { if (p.Id != gameObject.Id) p.Session.Send(spawnPacket); } } }
-
미해결앨런 iOS Concurrency(동시성) - 디스패치큐와 오퍼레이션큐의 이해
global async안에 global async를 만들게되면 어떻게 되나요??
강의를 보고 global async를 알았습니다. 이게 작업을 큐에 넣어준다고 하셨는데, global async 클로저 안에 global async를 넣으면 어떻게 되는건가요??
-
미해결팝스타 공식 뮤비 제작 & 유튜브 2천만 뷰 크리에이터의 애니메이트 X 이모티콘 클래스
브러시툴 클릭하면 하단에 압력과 기울기 창이 안생기네요
브러쉬 툴을 클릭하면 밑 하단에 압력과 기울기 옵션이 안생기네요 ㅠㅠ 어떻게 하면 생기게 할 수 있나요?
-
미해결데이터 분석 SQL Fundamentals
다중 조인시 집합의 레벨
안녕하세요. 강사님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1:M 끼리의 레벨이 만나면 그 집합은 M의 레벨을 유지한다는 것은 잘 이해하였습니다.위와 같이 보면 처음에 hr.dept(1레벨) 과 hr.emp(M레벨) 가 만나면 이 조인의 결과는 M레벨을 유지합니다.이 상태에서 추가로 hr_salary_hist(M레벨)을 조인한다면 M : M 레벨의 집합들이 서로 만나는 것인데 왜 hr.emp_salary_hist의 순서? 레벨?을 따르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또한 이렇게 보면 닭발이 안보이는데 서로 어떤 테이블이 m이고 1 인지 구분할 수 있나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OAuth2
loginProcessingUrl에 관하여
어차피 redirectionEndpoint가 우선순위가 가 더 높고 용도가 같다면 loginProcessingUrl은 그러면 왜 존재하는건가요?
-
미해결TensorFlow Object Detection API 가이드 Part1 - 코드 10줄 수정으로 물체검출하기
TensorFlow Object Detection API Deprecation 영향 문의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인프런에 있는 AISchool님의 대부분 강의가 Tensorflow object detection API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Tensorflow의 Github readme를 읽어보면 deprecation 안내가 있습니다. protobuf를 사용해서 pip로 관련 패키지를 설치해서 TF OD API를 사용하는 방법에도 영향이 있을 것 같은데 본 강의에 나오는 방법이 앞으로도 유효할지 문의 드립니다. readme를 읽어보면 docker로 제공할 예정이고 TF-Vision나 scenic 사용도 고려하라는 내용이 있습니다.Object detection 분야에서 Tensorflow Object Detection API(TF OD API)의 사용이 점점 줄어들다가 사실 상 사용하지 않게 바뀌게 될지 궁금합니다. (마치 단종 예정인 제품을 보는 것 같은 느낌이 들어 질문 드려 봅니다.) 만약 TF OD API가 docker 형식으로 제공되면 colab에서는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지요? AISchool님 께서는 Object detection시 계속 TF OD API를 사용하실 계획이신가요? 일부 강의에서는 TF OD API 강의를 없애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향후 TF OD API의 전망에 대해 AISchool님의 개인적인 생각이 궁금합니다. 요즘은 실무에서 Object detection 구현을 위해 어떤 프레임워크를 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지도 조언 부탁드립니다. (PyTorch의 MMDetection도 많이 쓰이는 것 같고 잘 만들어졌다는 평이 있지만 제품 적용 측면에서 배포나 엣지 디바이스에서 약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제품화와 조금 거리가 있는 리서치 분야에서의 많은 사용이 전체 마켓쉐어를 (기업용 제품 측면에서 봤을 때) 좀 곡해하게 만드는 것 아닌가 생각도 들고요. Tensorflow를 이용할 경우 TF OD API 외 다른 것은 널리 알려진 것이 없는 것 같아 업계 동향이 궁금합니다.)긴 질문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개정판] 파이썬 머신러닝 완벽 가이드
랜덤포레스트 선형성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랜덤포레스트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Q1로지스틱회귀나 선형회귀모델의 경우 선형성을 전제로 한 모델이기때문에 피처 인코딩 시 원핫인코딩을 해준다고 하셨는데요. 랜덤포레스트 모델의 경우 선형성에 영향을 안 받나요? 랜덤포레스트의 경우 라벨인코딩을 적용해도 아무 문제가 없는 것 같아서요. Q2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선형성이라는 게 간단하게 어떤 것을 말하는 것일까요? 입력변수에 대해 출력변수가 선형적으로 비례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데이터 분석 SQL Fundamentals
rollup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with temp_01 as(select to_char(b.order_date, 'yyyy') as year , to_char(b.order_date, 'mm') as month , to_char(b.order_date, 'dd') as day , sum(a.amount) as sum_amountfrom nw.order_items a join nw.orders b on a.order_id = b.order_idgroup by rollup(to_char(b.order_date, 'yyyy'), to_char(b.order_date, 'mm'), to_char(b.order_date, 'dd'))order by 1, 2, 3)select case when year = null then year = '총매출' else year end as year, case when month = null then month ='년 총매출' else month end as month, case when day = null then day = '월 총매출' else day end as day, sum_amountfrom temp_01order by year, month, day ; 이 구문은 어디가 틀렸나요?
-
미해결데이터 분석 SQL Fundamentals
조인 실습 - 02 / to_date 관련
안녕하세요. 권철민 강사님강사님 덕분에 열심히 공부하고 있는 코린이 입니다. 질문 = 조인 실습 -02 / 1:18분 / 1983년 이전 데이터는 무시하고 데이터 추출 합시다.1.여기서 where ~ and c.fromdate >= to_date('19830101','yyyymmdd') 라고 코드를 작성하셨는데제가 알기로는 to_date( ) 함수는 varchar 같이 문자열 타입을 날짜 데이터 타입으로 변화해 주는 함수로 알고 있습니다.그런데 제가 찾아보니 해당 c.fromdate는 이미 date 타입의 컬럼인데 왜 굳이 to_date 함수를 쓰신 것인지 궁금합니다. where c.fromdate like '1983%' 이나where c.fromdate >= 19830101로 하면 에러가 뜨는데 혹시 이유를 알 수 있을지도 문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메서드 선언을 해줬는데도 호출하면 오류가뜨네요
계속 보고있는데 왜 오류가 뜨는지 도무지 알 수가 없네요
-
미해결비전공자를 위한 진짜 입문 올인원 개발 부트캠프
Can't resolve 'antd/dist/antd.css' 오류 발생
antd 설치 후 import "antd/dist/antd.css"; 입력웹페이지에서 실행 시 아래 사진과 같은 에러메세지가 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