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캘린더 앱 만들때 변수를 위젯 밖으로 빼내는 경우 어느때는 widget을 붙이고 어느때는 뺀다고 ㅎ
캘린더 앱 만들때 변수를 위젯 밖으로 빼내는 경우(selectedday, 및 함수, ) 어느때는 widget을 붙이고 어느때는 빼는지 명확하게 설명이 없네요. 그 전강의까지는 widget 붙이지 않았다가 이번에 붙인거 보고 그러려니 했는데 다시 위젯을 stlessWidget로 바꾸고 나니 widget.selecetedDay로에서 widget를 빼도 된다고 하셧는데 명쾌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
미해결빅데이터분석기사 실기대비 (R 활용)
작업형제2유형 질문입니다.
auc값을 이용하여 모델을 제출할때 예를 들어1번=>glm으로 나온 값 : 0.52번=>rpart로 나온 값 : 0.6 3번=>위의 2개를 더해 2로 나눈 값 : 0.55라고 가정했을 때 auc값은 1에 가까울수록 좋은 모형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rpart모델을 선택해서 최종 모델로 만든다음 제출해야 하는 거 아닌가요...?수업내용들을 보면 3번을 제출하더라구요...정확하게 이해가 안 갑니다.ㅠㅠ
-
미해결[초급편] 안드로이드 커뮤니티 앱 만들기(Android Kotlin)
게시글 관련 질문
게시글을 작성하고 파이어베이스에서 계정삭제를 해서 지금 게시글 삭제가 안되는데 게시글 삭제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빅데이터분석기사 실기대비 (R 활용)
제4회 작업형2 실기 질문입니다.
모델을 만들고 예측해서 rpart모델을 최종 파이널로 만들때 model_f <- train(Segmentation~. , data = df, method = 'rpart')p_f <- predict(model_f, tst) 게 하고 cm_f<- confusionMatrix(p_f,tst$Segmentation)mean(cm_f$byClass[,7], na.rm = T)를 안 하는 이유는 tst파일에 Segmentation변수가 없기 때문인가요?(해보면 에러가 뜨긴 하는데...)결국 위에서 모델을 만들고 예측을 한 다음 최종적으로 제출파는 파일에는 예측변수가 없기 때문에 p_f만 제출하면 되는 거죠?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Bean validation 적용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를 보고 적용을 하는 도중 궁금한 것이 있어 질문드립니다.데이터 검증시 한 필드에 여러개의 검증 어노테이션을 적용할 경우 강의 영상에서 보이는 것처럼 한개의 에러 메시지가 아닌 검증에 실패한 에러메시지가 전부 출력됩니다.제가 놓친 부분이 있는것 같은데 아무리 찾아도 안보여서 여쭙니다.ㅠㅠ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필드주입이 되는 시점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를 듣다가 필드주입이 언제 발생하는지에 대해 궁금한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예를들면, 이 코드에서 필드주입이 있고, 디버깅을 해봤는데 필드주입을 통해 주입되는 구현체는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객체라는것을 확인했습니다. 근데 궁금한건 이 필드 주입이 되는 시점이 언제인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ClientBean.class, PrototypeBean.class); 코드에 의해 ClientBean이 스프링빈으로 등록되고나서 필드주입이 발생하는건지 아니면 스프링빈으로 등록되는과정속에서 필드주입이 발생하는건지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양방향 연관관계에서 관계를 바꿀 때
[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예전 부터 궁금했던 내용인데, 혹시 나중에 나오지 않을까 해서 미루다가 결국 질문합니다..! public void changeTeam(Team team){ this.team = team; team.getMembers().add(this); }예전 강의에서는 양방향 연관 관계에서 주인이 관계를 변경할 때 위처럼 Member Entity는 자신의 필드에 새로운 Team을 세팅하고 Team은 Member를 list에 추가하는 식으로만 마무리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지나가는 말로 영한님께서 기존 Member와 연관 관계에 있던 Team list에서 Member를 remove하는 작업도 해야 하는데, 연습하는 거니까 빼셨다고 하셨던 것 같습니다. 이 부분이 조금 궁금했습니다.관계가 바뀌기 이전의 기존 Member의 Team list에서 Member를 지워 주는 부분을 어떤식으로 작성해야 할 지 조금 감이 안 잡힙니다..ㅠㅠ고려할 사항이 너무나도 많다고 해야 할까요.. public void changeTeam(Team team){ this.team.getMembers().remove(this); this.team = team; team.getMembers().add(this); }위처럼 단순히 remove()를 사용하기에는 몇 가지 고려할 사항들이 있었습니다.첫 번째 문제는 remove()의 경우 add와 달리 list의 Member들을 필요로 하는 로직이 들어 있기 때문에 DB로부터 Team의 Member list 정보를 불러온 다음에 동작한다는 점입니다.특정 로직은 Team의 Members를 사용할 일이 없어 굳이 DB와 Entity그래프를 일치시킬 필요가 없는데, remove()로직이 들어가면서 DB를 조회하는 일이 생긴다는 점입니다. 이로 인한 성능상 문제는 정말 미세하겠지만, 뭔가 조금 걸리는 느낌입니다.. 두 번째는 remove()를 할 때에 eqauls()를 사용한다는 점입니다.단순히 equals()를 오버라이딩하여 구현하면 될 줄 알았지만, 이 부분도 고려할 부분이 생각 보다 많았습니다.크게 세 가지로 나뉘는 것 같았습니다.pk를 이용한 equals()오버라이딩pk와 연관관계 필드를 제외한 필드로 eqauls()를 오버라이딩Business-Id를 이용한 eqauls()오버라이딩이렇게 세 가지 사항 정도가 고려되는 것 같았습니다.각각의 장단점이 있어 보였는데, 3번이 제일 괜찮은 방식으로 보였습니다.1번은 pk가 GenerateValue방식일 경우 Entity가 persist되기 이전에는 pk를 초기화하지 못 해, set과 같은 Collection을 사용할 때 제한이 생긴다는 점이나 NPE발생 가능성 내재, pk값이 null인 객체가 같은 객체로 인식이 되는 위험, 비영속 상태 객체와 영속 상태 객체의 eqauls연산 시 일치 불가 등이 있는 것 같았습니다. 사실 위의 문제점들이 발생할 만한 로직을 실제 작성하게 될 일이 많지는 않을 것 같지만 뭔가 내재된 위험이 많아 보여 패스했습니다.2번은 pk와 연관 관계 필드를 제외한 모든 필드들이 합쳐서 Unique한 값을 갖지 못할 경우 중복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 보였습니다.3번이 제일 적절해 보였지만 Business-Id로 사용할 만한 데이터가 없을 경우 문제가 있을 것 같았습니다.특정 글에서는 UUID와 같이 Business-Id를 일부로 두기도 한다는 것 같은데 괜찮은 방식인 지는 모르겠습니다. 내용이 길어졌는데 결론은 양방향 연관 관계에서 관계를 바꿔 줄 때 Entity 그래프를 일치시키기 위해서 어떤 형태로 로직을 작성하는 지 궁금하다는 것입니다.이렇게 보니 제가 너무 이상한 방식으로 접근한 게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ㅠㅠ 현업에서는 어떤 식으로 구현하는 지 궁금한데 혼자 공부하다 보니 마땅히 예시를 볼만한 곳이 없어 질문드립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_ _)
-
미해결비전공자를 위한 진짜 입문 올인원 개발 부트캠프
이미지 경로가 이상해서 이미지가 안나오는 것 같습니다.
상품 등록하기 버튼으로 추가된 imageUrl의 경로가 역슬래시로 되어 있어서 이미지가 안나오는 것 같습니다.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
해결됨풀스택 리액트 라이브코딩 - 간단한 쇼핑몰 만들기
react-query 에러
3강 학습 중 react-query 버전 문제로 인한 에러가 생겨 질문합니다.최신 버전으로 설치해서 react-query의 가이드 문서대로 코드를 수정했는데도 계속 에러가 나며 data를 가져오지 못 하고 있습니다.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ㅜ첨부된 사진 외에는 강의대로 코드를 작성했으며 타입스크립트가 아닌 자바스크립트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
미해결[개정판] 딥러닝 컴퓨터 비전 완벽 가이드
EfficientDet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현재 efficientdet esri 코드를 기반으로 custom data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학습하는데에는 문제가 없으나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학습을 중단한 후 다시 학습을 진행할 때 중단한 시점부터 다시 시작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esri 코드에서 def get_efficientdet_model(config): 부분 pretrained_ckpt에 저장된 ckpt를 넣으면 될까요? 혹은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훈련 중 loss값이나 AP, AR 값을 저장하고 시각화하기 위해 wandb를 사용할려고 하는데 코드 중 어느 부분에 wandb 코드를 넣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세션이란게 구체적으로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세션이란게 구체적으로 무엇인가요?db에 있는 스레드 같은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Remember Me
안녕하세요. remember-me 기능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질문 남깁니다. 먼저 강의를 따라 구현한 AuthenticationProvider 구현체와 rememberMe 관련 설정입니다. remeber-me input을 체크하고 로그인을 시도하였습니다.인증을 마치고 RemeberMeService 를 거쳐 TokenBasedRememberMeServices 에서 토큰을 만드는 과정에서 username 과 password 를 조회하는데 인증 객체가 UserPasswordAuthenticationToken 인스턴스이기 때문에 아래 조건문에 따라 toString() 을 반환합니다.결과적으로 아래와 같이 다른 username 을 반환받았습니다. 그리고 비밀번호를 조회하여 null 을 반환받고 그로 인해 password 를 찾기위해 아래 조건식에 따라 loadUserByUsername 을 통해 user 를 조회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UsernameNotFoundException 예외가 발생합니다.단순히 toString() 을 username 을 반환하도록 구현하여 해결했습니다만잘못 구현된 부분이나 잘못 이해한 부분 혹은 다른 해결방법이 있는지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추가--아래와 같이 수정하는 방법으로도 해결됨을 확인하였습니다.토큰에 Account, null 을 준 방식과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프로젝트 생성이 변경되었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start.spring.io로 들어가보면 많이 업데이트로 인해 변형이 많이 되었습니다. 어떻게 선택해야 하나요?
-
미해결[리뉴얼] Node.js 교과서 - 기본부터 프로젝트 실습까지
res.setHeader vs res.cookie
res.setHeader("Set-Cookie", [ "mycookie=test; HttpOnly; SameSite=Lax; Path=/", ]);res.setHeader로 Set-Cookie를 보내면 브라우저에 cookie가 저장됩니다. res.cookie("mycookie", encodeURIComponent("test"), { expires: new Date(), httpOnly: true, sameSite: "lax", path: "/", });cookieParser를 사용하면 Set-Cookie가 header에 들어가기는 하지만 브라우저엔 저장되지 않았습니다.저장시키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해결됨처음 만난 리액트(React)
질문 있습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onClick을 했을 때, 값이 true로 반환이 안 되어서 그 부분 코드를 보았는데, 어떤 것이 오류인지 모르겠어서 질문 드립니다! (9장) Toolbar.jsxLandingPage.jsxindex.js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gradle 선택하는 부분이 바뀐 것 같습니다.
최근 start.spring.io에서 gradle을 선택하는 부분이 바뀐 것 같습니다. 어떤 것을 선택하면 될까요?
-
미해결[왕초보편] 앱 8개를 만들면서 배우는 안드로이드 코틀린(Android Kotlin)
bottom navigation 이용하게 된다면
네비게이션 바를 ㅍ레그먼트가 아닌 bottom navigation을 이용하려 하면 이때 네비게이션 탭 눌렀을 때 화면전환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this.controller = controller;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onWebViewCreated: (WebViewController controller) { this.controller = controller; },이 코드가 먹히지 않는 것 같아서 질문글 남깁니다. 분명 모든 코드를 똑같이 따라했는데 controller에는 계속 null 값이 있는 것 같아 보입니다. 제 생각에 stateless 위젯이라 그런 것 같아서 stateful 위젯으로 변경 후 onWebViewCreated: (WebViewController controller) { setState(() { this.controller = controller; }); },위와 같이 setState를 활용해 controller에 값을 할당하니 이제야 정상적으로 작동이 되더군요. 다시 생각해봐도 stateful 위젯 및 setState를 활용해야 될 것 같은데 강의에서 stateless 위젯을 활용하신 이유와, (제가 작성한 stateless 코드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지만) 강의에서 코드가 제대로 작동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실전! Querydsl
무한 반복 call next value for hibernate_sequence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선생님. 스프링때부터 JPA까지 선생님 강의가 매우 퀄리티가 높아 잘 보고 있습니다.강의 중간중간에 따라쳐도 안되는 부분들은 전부 구글링으로 해결을 했었는데 이번건은 좀 난해하네요.실전! Querydsl의 실무 활용 - 순수 JPA와 Querydsl 섹션 중 마지막 강의인 조회 API 컨트롤러 개발 강의를 듣다가 따라서 application을 run했는데, 무한히이런 코드들이 반복되어 나옵니다.구글링으로도 검색이 안되는 것 같아서 질문 남깁니다^^;혹시 몰라 제 코드도 같이 올립니다.https://drive.google.com/file/d/1dvt8k4-BPhsH2MDWXFyAChGU17-AEpLv/view?usp=share_link늘 건강하세요.
-
미해결[NarP Series] MVC 프레임워크는 내 손에 [나프2탄]
회원가입 등록 후 리스트로 돌아가는 것에 대해 에러가 뜹니다.
MVC06에서 회원가입하고 등록 버튼을 누르면 다시 리스트로 돌아가야하는데 리스트로 돌아가질 않습니다 ㅠㅠ 뭐가 잘못된 것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