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2회 기출유형 3번 문제
3번문제에 이렇게 코드를 짜봤는데 결과값이 다르게 나옵니다ㅠ 어디를 수정해야 할까요?ㅠq3 = df['age'].quantile(0.75) q1 = df['age'].quantile(0.25) IQR = q3 - q1 line1 = q1 - 1.5 * IQR line2 = q3 + 1.5 * IQR print(sum(df['age'] < line1)) print(sum(df['age'] > line2))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025년 1회 기출문제 3/3 이론포함
12분 10초대부터 시작해서 a[0]가 0되면서 탈출조건 이렇게 말씀하시면서 0이라고 하시는데func(values, 0, 1) 여기서 st = 0, end = 1 인데탈출조건은 st >= end 0>= 1 이렇게 되면 탈출이 안되는거 아닌가여? 이해가 안됩니다
-
미해결[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코드 검토
안녕하세요 혼자 문제 풀이를 해보다가 제가 작성한 코드들이 문제가 없는지 여쭤보고싶습니다.그리고 마지막 제출단계에서 test 데이터에 'Attritino_Flag'를 삭제했는데 (drop을 안시키고 작성했는데 오류가 뜨더니 자동으로 drop시키는 코드로 수정되었습니다.) 왜 삭제해야 오류가 안나는지 궁금합니다. # 1. 문제 정의 (분류) target: Atrrition_Flag(1: 이탈, 0: 유지) # 2. 데이터 불러오기 # 3. 탐색적 데이터 분석(EDA) # train.info() # dtypes: float64(5), int64(11), object(5) # train.isnull().sum() # 0 # train.describe(include='O') # test.info() # dtypes: float64(5), int64(10), object(5) # test.isnull().sum() # 0 # train['Attrition_Flag'].value_counts() # 0: 6815, 1: 1286 # 4. 데이터 전처리(인코딩, 데이터 전처리) # 4-1. 원핫인코딩 data = pd.concat([train, test], axis = 0) data = pd.get_dummies(data) train = data.iloc[:len(train)].copy() test = data.iloc[len(train):].copy() # train.info() # bool(23), float64(6), int64(10) # test.info() # bool(23), float64(6), int64(10) # 5. 검증 데이터 나누기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X_tr, X_val, y_tr, y_val = train_test_split( train.drop('Attrition_Flag',axis=1), train['Attrition_Flag'], test_size = 0.2, random_state = 0 ) # 6. 모델 학습 및 평가 # 6-1. 모델불러오기 from sklearn.ensemble import RandomForestClassifier rf = RandomForestClassifier(random_state=0) # 6-2. 학습(fit) rf.fit(X_tr, y_tr) # 6-3. 예측(predict) pred = rf.predict(X_val) # 6-4. 예측 결과 확인 # pred[:10] # rf.classes_ # pred # 6-5. 평가 # 평가: ROC-AUC, 정확도(Accuracy), F1, 정밀도(Precision), 재현율(Recall) from sklearn.metrics import roc_auc_score, accuracy_score, f1_score, precision_score, recall_score accuracy = accuracy_score(y_val, pred) print('accuracy:',accuracy) # accuracy: 0.9549660703269587 f1 = f1_score(y_val, pred) print('f1:',f1) # f1: 0.8381374722838137 precision = precision_score(y_val, pred) print('precision:',precision) # precision: 0.9264705882352942 recall = recall_score(y_val, pred) print('recall:',recall) # recall: 0.7651821862348178 pred = rf.predict_proba(X_val) roc_auc = roc_auc_score(y_val, pred[:,1]) print('roc_auc:',roc_auc) # roc_auc: 0.9860421123349186 # 7. 제출 pred = rf.predict_proba(test.drop('Attrition_Flag', axis=1)) pred submit = pd.DataFrame({ 'CLIENTNUM': test['CLIENTNUM'], 'Attrition_Flag': pred[:,1] }) submit.to_csv('000000.csv',index=False)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가설검정 결과 채택/기각 선택
p-value가 0.0006이 나와서 대립가설을 채택하는게 맞을텐데 소문제 c는 답을 어떻게적어야하나요? '가설검정의 결과를' 채택,기각 중 골라야하는데 가설검정의 결과라는게 0.0006인거고 , 그럼 채택으로 답을 적어야하나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예시문제 작업형3 소문제1번
1번 문제가 잘 이해가지 않습니다.분산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등분산 검정을 수행하라는 것 같아 반사적으로 levene을 떠올리고 있었는데, 'F-검정을 수행할 때 검정통계랑을 구하라'라는 지문이 이해가지 않아요 검정 통계랑이라는게 각 분산값을 나눈것으로 정의되어 있는건가요? 저렇게 나누는것이 F-검정인가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기출6회 제1유형 질문
강사님 기출6회 제1유형 3번문제에서 groupby 진행해서 월별 나누기 12하는건 알겠으나,data 확인해보니 연도별로 월별 수량이다릅니다. 근데 12로 나누면 515로 반영이되는데, 애초에 data가 안맞지 않나요?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import pandas as pd df = pd.read_csv("https://raw.githubusercontent.com/lovedlim/inf/refs/heads/main/p4/6_1/data6-1-3.csv") # df.info() # df.head() df['year'] = df['날짜'].str[:4] df = df.groupby('year')['날짜'].count() df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기출2회 작업형2
기출 2회는 한가지 방법으로 풀기(랜덤포레스트) 가 적용이 안되나용?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아노바 f검정과 일원분석분석(one-way-anova)
https://www.kaggle.com/code/gggyun/t3-ttest-anova-py/edit 이 문제를 풀다가 의문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아노바 f검정과 일원분산분석은 동의어라고 보면 될까요?
-
미해결파이썬 무료 강의 (기본편) - 6시간 뒤면 나도 개발자
가변인자의 위치가 중요한가요?
수업 듣다가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가변인자를 쓰면 값의 개수와 상관없이 함수가 실행되는 것 같은데 그러면 가변인자는 항상 함수에서 맨 마지막에 써야 하나요? 예를 들어 profile(name, age, *language, address) 이런식으로 함수를 구성하게 되면, 제가 profile ("유재석", 20, "파이썬", "자바", "C","서울시") 이렇게 적었을때 어디까지가 language이고 어디부터가 address 인지 모르지 않을까 해서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8회기출 3유형 1번
로지스틱 모델의 포뮬라를 만들때 자료형은 수치형이지만 범주형인 데이터(ContractRenewal, DataPlan)들이 있는거 같은데 이것들은 c로 안묶어도 되는건가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귀무가설,대립가설 헷갈림
3유형을 처음 공부 중입니다!코드를 짤때 귀무가설을 기준으로 코드를짜서 나오는 p-value로 판단하는 것인가요?아니면 대립가설을 기준으로 코드를 짜서 나오는 p-vlue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인가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체험환경_ 제2유형 pred 단위
체험환경에있는 칼럼설명을 보면pred는 십만원단위로 되어있는데그거 상관없이 그냥 문제풀면되나요? 아니면 별도로 설정해줘야하나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기출7회 작업형3 1-3번 문제
1-3번 문제에서 예측할 때 0.5 이상일 때 1이라고 되어 있는데, 식에는 0.5 초과로 되어있어요.이상이 맞나요 초과가 맞나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마지막에 예측 시
계속 이런 오류가 납니다. 강의랑 모두 똑같이 작성했는데, 왜 그럴까요??
-
미해결[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3
새로운 데이터를 만들어서 값을 예측할 때 어떨때는 pred = model.get_prediction(new_data)를 쓰이고, 어떨 때는pred = model.predict(new_data)가 쓰이던데 둘의 차이가 뭘까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8회기출문제 작업형 3번 문제 1-1번 문제 질문
주어진 데이터에서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수행해 유의확률(p-value)이 0.05 이상인 유의하지 않은 독립변수의 개수를 구하시오. (종속변수: Churn) 이 문제에 대한 답이 sum(model.pvalues[1:] > 0.05)이렇게 돼있는데 >이 아니라 이상이니까>=가 맞는거 아닌가용?
-
해결됨[개정판] 파이썬 머신러닝 완벽 가이드
float64 null 값 처리 방법
코랩에서 house_df.fillna(house_df.mean(), inplace=True)를 실행하였는데 에러가 나서 커뮤니티를 보니# object가 아닌 number 타입을 별도 리스트로 추출 num_columns=house_df.dtypes[house_df.dtypes!='object'].index.to_list() # Drop 하지 않는 number 타입 컬럼들에 대해서 Null컬럼들은 평균값으로 대체 house_df[num_columns].fillna(house_df[num_columns].mean(),inplace=True)이렇게 코드를 변경하여 실행해보라고 하여 실행하였습니다.그런데, # Null 값이 있는 피처명과 타입을 추출 null_column_count = house_df.isnull().sum()[house_df.isnull().sum() > 0] print('## Null 피처의 Type :\n', house_df.dtypes[null_column_count.index])이 코드를 실행하니 Null 피처의 Type 중에서 float64 컬럼들은 null값이 제대로 처리가 안된 걸 알 수 있었습니다.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질문있어요!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로 어느정도 개념정리는 됐는데 많은 문제를 풀기에는 어려울 것 같아서,시나공 빅분기 실기책만 빠르게 회독하면서 여러번 반복해서 풀어볼 예정인데괜찮은 전략이겠죠..?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문제9 정답: np.int32(11)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문제9 답이그냥 11이 아니고 np.int32(11)로 나오는데, 왜 그런건가요?
-
미해결[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8:00 영상타임에 df.groupby할때 df에 저장안하는 이유 알수있나요?
안녕하세요.df = df. groupby로 하니까 결과값이 이렇게 나와서요. 기존 해설에 되어있는대로 하면 잘 나오는 데 왜 그런건지 궁금합니다!그리고 sum에 numeric_only=True를 넣으니까 되는데 그냥 오류인가요? # your code import pandas as pd df = pd.read_csv("https://raw.githubusercontent.com/lovedlim/inf/main/p1/members.csv") df = df.fillna(method = 'bfill') #앞의 값은 ffill #df.isnull().sum() df = df.groupby(['city','f2']).sum(numeric_only=True) #groupby한 뒤에는 df안넣기? df.h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