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
flutter 시뮬레이터에서 System UI isn't responding이라고 나오는데 어떻게 해결해야할까요 ㅠㅠ
강의 보고 따라 했는데 갑자기 에러가 뜨네요아래와 같이 행했는데도 안돼요C드라이브 사용자 폴더-> .android->avd->에뮬 폴더->userdate-qemu.img라는 파일을 삭제
-
미해결처음 만난 리액트(React)
chapter_04 시계 만들기 화면이 안뜨네요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강의를 따라서 코드를 작성했는데 작동을 하지 않네요 .. 오타 확인도 했는데 틀린 부분은 없는 것 같은데 뭐가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실무에서는 어떠한 방식을 선호하나요?
실무에서 mysql lock을 사용하면 퍼포먼스부분에서 우려가 되는데요~실무에선 redis를 사용한 동시성 제어를 주로 하나요?실제로 실무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동시성을 처리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질문드립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안녕하세요 강의소개에 강사님 제자들의 합격 소식이 올라온걸 봤었거든요강의 내용중에 입사를 위해서 준비해야 할 사항에 알고리즘 cs 플젝 등을 말씀하셨는데제자분들도 강사님께 알고리즘을 배운것과 동시에 플젝이나 cs 등을 같이 준비하신건가요?강의듣다가 갑자기 궁금해져서 질문올려봅니다!
-
해결됨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편)
Logging 챕터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강사님 안녕하세요 궁금한 부분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Logging 챕터에 cAdvisor에 대한 설명과 프로메테우스등의 솔루션 내용이 나오는데요Daemonset을 통해서 프로메테우스 파드들이 각 노드에 설치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그런데 matrics server를 설치하면각 노드의 kubelet이 matrics 정보를 API 서버로 주기 때문에 master 노드에서도kubectl top 명령으로 성능 정보를 확인할 수가 있다고 본거 같은데요그러면 Daemonset으로 모든 노드들에 파드들을 배포할 필요 없이master 노드에서만 Agent를 설치하여 모든 노드들의 성능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할까요?왜 데몬셋을 통해 모든 노드에 Agent를 배포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또 프로메테우스에서 데몬셋으로 노드별로 파드를 배포하는데노드의 matrics 정보가 아닌 클러스터 구성정보(노드 수, 네임스페이스, 파드 수)는 API Server를 통해서 수집을 하게 되는건가요?그럼 노드마다 배포된 파드에서 API Server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게 되면(1번노드에서 수집, 2번노드에서 수집) 구성정보는 중복 수집이 될텐데API Server로부터 구성정보를 수집하는 파드가 별도로 있을까요?
-
미해결비전공자를 위한 풀스택 맛집지도 만들기 프로젝트!: Front, Back-end 그리고 배포까지
new 구문 질문
#카카오맵에 여러개의 맛집 위치를 찍는 방법8분27초아래의 코드처럼"new"를 사용하셨는데요. 어떤 경우에 사용하는지 의미를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주소 좌표 변환 function getCoodsByAdress(address){ return new Promise((resolve, reject) => { geocoder.addressSearch( "asdf", function(result, status){ // 정상적으로 검색이 완료됐으면 if (status === kakao.maps.services.status.OK){ var coords = new kakao.maps.LafLng(result[0].y, result[0].x); resolve(coords); return; } reject(new Error("getCoordsByAddress Error: not Valid Address")) } ); }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로드맵 관련 질문드립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이번에 막 스프링핵심-기본편을 수강 완료했습니다. 우선 질문에 앞서 정말 좋은 강의와 매번 질문에 대한 답변을 친절하게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ㅠㅠ 질문을 드리자면, 스프링핵심-기본편을 듣고 있는 당시에는 수강완료 한 후에 로드맵을 따라 바로 http강의를 듣고 MVC1강의를 들으려고했습니다. 근데 영한님이 스프링핵심-기본편 마지막 강의인 ‘다음으로’ 강의에서 말씀하시길 야생형 로드맵을 따라 듣는게 더 좋다고 하시고 토이프로젝트를 만들어보는게 좋다고 하시더라구요.. 근데 전 스프링 핵심 기본 강의도 스프링을 처음 학습하는거라 많이 생소해서 강의를 들으면서 구글링도 해보고 이해하느라 시간이 다소 걸리더라구요.. 그래서 바로 야생형 로드맵을따라 실무완전정복 로드맵을 학습하게되면 오히려 이해가 안되는게 많고 모르는게 많아서 이해하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걸리고 괜히 시간낭비 하는게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그래서 고민인게1. 영한님 말씀대로 일단 이해는 안되더라도 따라 쳐보면서 야생형 로드맵을 따라 실무완전정복 로드맵으로 바로 학습을 하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http 강의와 MVC1강의까지 들은 후에 실무완전정복 로드맵을 하는게 나을까요?2. 토이프로젝트는 언제 하는게 나을까요 ? 프로젝트를 하면서 MVC에 관해 지식이 있어야 하기가 수월하다고 익히 듣긴했는데, http강의 > MVC1강의 > 토이프로젝트 > 실무완전정복로드맵 또는 실무완전정복로드맵 > 토이프로젝트 > http강의 > MVC1강의이외에도 어떤 순서로 진행하는게 나을지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딥러닝 CNN 완벽 가이드 - TFKeras 버전
feature map 질문
안녕하십니까 질문이 있어 글 남깁니다. 1번 : input data 로 128,128 pexel 의 이미지가 Batch_size 64 , RGB 로 들어간다고 가정하겠습니다. (64,128,128,3)input= (64,128,128,3) 이고, input에 conv2D (filters = 60,stride=1,padding = 'same',kernel_size = 생략 )을 적용하면 feature map 의 shape 는 (64,128,128,60 ) 이 되는 것이 맞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2번 : 1번이 맞다면,또 다시 conv(filters = 30,stride=1,padding = 'same',kernel_size = 생략 ) 연산을 적용할 때 input data 로 이전 연산의 결과인 (64,128,128,60) 의 feature map 이 들어가는 것이고연산 결과로는 (64,128,128,30) 의 feature map 이 나오는 것이 맞는지 검토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언어
9.1 명함예제 함수에 넣은 배열 값이 이상합니다
안녕하세요. 9.1명함 예제를 푸는 도중 char 배열에 관해 문제가 생겨 질문 드립니다.아래에 질문 사항 있습니다.별 20개와 글자를 각각 char array에 넣었고 space를 추가하는 내용을 함수로 만들었습니다.그 후 space의 개수를 세기 위해 별 20개를 넣은 배열의 개수를 세어 봤습니다.배열의 개수를 세는 방법은 강의를 보기 전인지라 sizeof 함수를 사용했습니다.Main에서는 sizeof가 20을 반환하며 배열을 잘 읽었습니다.sizeof는 바이트를 세는 것이니 char 20개인 배열은 sizeof가 20을 반환하는 것이 맞을 테니까요.그런데 문제는 space를 추가하는 함수에서 발생했는데 해당 함수에서 배열을 읽을 때에는 sizeof가 4를 반환해 버린 것입니다.space 추가하는 함수는 배열의 주소를 매개변수로 받았습니다. (char star[20]에서 star만 입력했습니다.)해당 현상을 보면서 오만 생각이 다 들었는데 그 중 가장 합리적인 것 같은 생각은'space 추가 함수가 배열을 읽어올 때 배열 주소 값만 읽어서 sizeof가 int를 읽은게 아닐까?' 였습니다.int는 4바이트 이니까 그래서 4를 반환한게 아닐까 싶지만 확신을 가지진 못했습니다.아무리 생각해도 정확한 해답을 얻을 수 없어서 질문 남깁니다.질문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main 함수와 추가한 함수에서 배열의 크기 값이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요?추가한 함수에서 올바른 배열의 크기를 읽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해당 상황에서 sizeof가 4를 읽어온 이유가 무엇일까요?- star 배열에 20개의 별을 넣은 코드- star 배열을 함수에 입력한 방식- space를 추가하는 함수. int a, b, c는 배열 값이 이상하게 들어가는 걸 확인해 보려고 작성한 코드입니다.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도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ㅠㅠ
-
미해결오라클 성능 분석과 인스턴스 튜닝 핵심 가이드
v$bh 관련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강의 수강 중에 문의가 있어서 질문드립니다.v$bh 뷰의 status 컬럼 값중 xcur 값이 Exclusive 라고 되어있는데,강의에서 실습 쿼리(select) 수행 완료후에도 xcur 상태로 왜 유지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쿼리수행이 종료된 상태이므로 scur 상태가 되야 할 것 같아서요.. 추가적으로 table full scan 시 direct path read 가 발생하는 경우는모든 버전 (11g r2이상) 에서 공통적인 사항일까요?여러 테이블 조인 시에 특정 테이블의 플랜이 table full scan 으로 풀리는 경우에도direct path read 로 동작 하나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Vue3 완벽 마스터: 기초부터 실전까지 - "실전편"
제가 설정 잘못한걸까요?
저는 머든지 설치를 하면 다 오류나서 구글검색해보니 --save --legacy-peer-deps 를 붙여야 되네요.그리고 부트스탭도 선생님 알려주신대로 하면 오류나요.오전 11:42:30 [vite] Internal server error: Failed to resolve import "./bootstrap/dist/js/bootstrap.js" from "src\main.js". Does the file exist? Plugin: vite:import-analysis File: D:/web/withvue/src/main.js:14:22 12 | createApp(App).use(router).use(vuetify).mount('#app'); 13 | 14 | import './bootstrap/dist/js/bootstrap.js'; | ^ 15 | 16 | at formatError (file:///D:/web/withvue/node_modules/vite/dist/node/chunks/dep-67e7f8ab.js:39975:46) at TransformContext.error (file:///D:/web/withvue/node_modules/vite/dist/node/chunks/dep-67e7f8ab.js:39971:19) at normalizeUrl (file:///D:/web/withvue/node_modules/vite/dist/node/chunks/dep-67e7f8ab.js:36839:33) at async TransformContext.transform (file:///D:/web/withvue/node_modules/vite/dist/node/chunks/dep-67e7f8ab.js:36972:47) at async Object.transform (file:///D:/web/withvue/node_modules/vite/dist/node/chunks/dep-67e7f8ab.js:40228:30) at async loadAndTransform (file:///D:/web/withvue/node_modules/vite/dist/node/chunks/dep-67e7f8ab.js:36615:29) 이유가 무었을가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실행 시 흰 화면으로 나옵니다.
따로 오류 뜨는 것 없이 정삭적으로 잘 빌드되었고, 코드도 모두 정상이고 main 이랑 home_screen 도 잘 연결되어있습니다.패키지 import 부분도 문제가 없고 깃헙 코드로도 돌려봤는데 마찬가지로 시뮬레이터에 흰 화면만 출력됩니다. 어떻게 확인해봐야할까요?
-
미해결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준비하기
실전문제풀이4-Question03번 영상에서 삭제되었네요......
3분 12초 확인 부탁드립니다......3번 문항이 없어요.....................답변으로 Question03번에서 정답이되는 것을 답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AWS Certified Advanced Networking - Specialty 자격증 준비하기
transit gateway 질문
안녕하세요!transit gateway관련하여 질문드릴것이있어 글남깁니다.서로 대역이 겹치지않는 VPC1, VPC2내부에 각각 private, public subnet이 각각 하나씩 있는상태에서transit gateway를 생성하여 VPC1의 public서브넷과, VPC2의 public서브넷을 attach하여, 각 Public서브넷에 eni가 각각 하나씩 생성됨을 확인했습니다.이경우 VPC1의 public서브넷 안에있는 인스턴스와, VPC2의 public서브넷에 위치한 인스턴스사이 통신은 당연히 잘되지만,VPC1의 public서브넷 안에있는 인스턴스에서 VPC2 Private서브넷 안에 있는 인스턴스로의 통신은 되지 않는것같습니다. 제생각에는 private서브넷이 직접적으로 transit gateway와 직접 연결은 되지 않더라도 VPC1 -> VPC2로 넘어온순간 VPC2 Public서브넷의 routing table(local)룰로 인하여 VPC2의 private서브넷의 인스턴스까지 제대로 통신이 되어야한다고 생각했는데제가 잘못생각한건지.. 놓친부분이 있을지 알려주시면감사하겠습니다ㅠ,인스턴스에 적용되어있는 SG는 모두 열려있는상태라 방화벽이슈는 없을것같습니다.
-
미해결탄탄한 백엔드 NestJS, 기초부터 심화까지
( ) <- 안에 { } 중괄호를 넣는것과 그냥 { } 중괄호를 하는 것 차이가 뭔가요?^^;
수강생분들의 질문을 기다립니다! - 에러에 해당하는 질문은 "에러가 발생한 상황에 대한 충분한 설명", "에러 메세지", "에러가 난 코드 스크린샷"을 함께 첨부해주세요. - 언어에 해당하는 질문은 구글링 및 서치 후에 구체적으로 질문해주시면 좋습니다. - 간단한 진로 및 방향성에 대한 질문은 메일로 보내주세요.- 패키지 버전 관리은 실무 환경과 트랜드에 맞추어 강의를 업데이트 하고 있습니다. 강의를 그대로 따라갔는데 에러가 발생한다면 패키지 버전을 강의에서 사용하는 버전과 동일하게 맞춰주세요!- 강의 노트, QA 목록, 공지 사항을 먼저 확인해주세요.- 논리적이고 구체적인 질문은 학습 효과를 올립니다 :) return next .handle() .pipe(map((data) => ({ })));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리액트 A-Z[19버전 반영]
선생님, 저는 스크롤이 안생기는데 ..
저는 왜 안생기고 태그도 div가 아닌 nav로 이미 바껴있는걸까요?ㅜ
-
해결됨프로젝트로 배우는 React.js
소스코드 공유해주세요.
깃헙주소가 없네요..;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3: 유니티 엔진
수업과 전혀 관련이 없을 수 도 있지만..질문드리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저는 게임개발과 vr,ar등에 관심이 많은 학생입니다.공부를 시작한 기간이 얼마 되지 않아 호기심만 가득하고 아는 것은 적은 그런 상태입니다.. 질문 드리고 싶은 것은 이번 part3 유니티 엔진 강의가vr게임이나 기타 컨텐츠 들을 개발하는데도 도움이 될 수 있는지 여쭈어 보고 싶습니다.질문을 드리면서도 너무 두루뭉술하고 애매한 질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ㅠ 많은 vr컨텐츠들이 unity로 개발 하고 있다고 보았는데현 강의는 vr쪽과는 좀 결이 다른 부분일까요..? vr 컨텐츠를 개발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하여도게임개발에도 많은 흥미가 있어서 즐겁게 들을 예정입니다만,혹시 vr도 게임도 unity 로 만들 수 있으니 1석2조인가..? 라는 생각이 들어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NarP Series] MVC 프레임워크는 내 손에 [나프2탄]
root-context.xml에 context:component-scan을 넣을시 에러가 발생합니다.
root-context.xml에<context:component-scan base-package="kr.bit.model" />을 넣을시 ERROR: org.springframework.web.context.ContextLoader - Context initialization failed java.lang.ArrayIndexOutOfBoundsException: 40292가 발생하여 구글에서 검색해본결과 servlet-context.xml 에<context:component-scan base-package="kr.narp.myapp, kr.bit.model" />식으로 정의하여 해결했습니다. context:component-scan 을 여러개 할시 에러가 발생하는듯한데 이게 원인일까요?
-
미해결Flutter 중급 1편 - 클린 아키텍처
Result 타입 에러처리 분기
좋은 강의로 매일 성장하고 있음을 느낍니다 감사합니다.Result 클래스로 viewModel까지 전달 후 분기하는 과정에서 StreamController를 사용하고 뷰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catch하는 방식으로 로직을 구성하셨는데 굉장히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했습니다.혹시 이것 말고 다른 방법도 있을까요기존에 진행하던 프로젝트에서는 네트워크 연결했을 경우 try catch, 서버에서 400번대 응답을 했을 경우 try catch, json serialization할 때 타입 trycatch(freezed나 jsonSerializable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이렇게 세번의 try catch가 발생한 것을 하나의 enum을 정의해 뷰에서 enum의 결과에 따라 build안에서 분기하는 과정을 걸쳤는데 굉장히 복잡한 구조가 되었는데 이러한 구조도 괜찮은지, 혹시 이런 구조도 이 강의대로 리팩토링하면 어떨지 감이 안잡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