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hello-spring 빌드가 안되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시작부터 막히니 머리가 핑 돌아요.자바 버전이 문제인가, 싶어서 처음엔 프로젝트 스트럭쳐 건들다가 결국 자바 11 제외하고는 전부 삭제하고 환경 변수도 다시 건들고, 구글링과 질문란 이것저것 살펴보면서 시도해봤는데 머리만 더 꼬이고 해결은 되지 않아요 ㅠㅠ A problem occurred configuring root project 'hello-spring'.> Could not resolve all files for configuration ':classpath'.> Could not resolve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3.0.0.Required by:project : > org.springframework.boot:org.springframework.boot.gradle.plugin:3.0.0> No matching variant of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3.0.0 was found. The consumer was configured to find a runtime of a library compatible with Java 11, packaged as a jar, and its dependencies declared externally, as well as attribute 'org.gradle.plugin.api-version' with value '7.5.1' but:- Variant 'apiElements' capabilit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3.0.0 declares a library, packaged as a jar, and its dependencies declared externally:- Incompatible because this component declares an API of a component compatible with Java 17 and the consumer needed a runtime of a component compatible with Java 11- Other compatible attribute:- Doesn't say anything about org.gradle.plugin.api-version (required '7.5.1')- Variant 'javadocElements' capabilit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3.0.0 declares a runtime of a component, and its dependencies declared externally:- Incompatible because this component declares documentation and the consumer needed a library- Other compatible attributes:- Doesn't say anything about its target Java version (required compatibility with Java 11)- Doesn't say anything about its elements (required them packaged as a jar)- Doesn't say anything about org.gradle.plugin.api-version (required '7.5.1')- Variant 'mavenOptionalApiElements' capabilit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maven-optional:3.0.0 declares a library, packaged as a jar, and its dependencies declared externally:- Incompatible because this component declares an API of a component compatible with Java 17 and the consumer needed a runtime of a component compatible with Java 11- Other compatible attribute:- Doesn't say anything about org.gradle.plugin.api-version (required '7.5.1')- Variant 'mavenOptionalRuntimeElements' capabilit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maven-optional:3.0.0 declares a runtime of a library, packaged as a jar, and its dependencies declared externally:- Incompatible because this component declares a component compatible with Java 17 and the consumer needed a component compatible with Java 11- Other compatible attribute:- Doesn't say anything about org.gradle.plugin.api-version (required '7.5.1')- Variant 'runtimeElements' capabilit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3.0.0 declares a runtime of a library, packaged as a jar, and its dependencies declared externally:- Incompatible because this component declares a component compatible with Java 17 and the consumer needed a component compatible with Java 11- Other compatible attribute:- Doesn't say anything about org.gradle.plugin.api-version (required '7.5.1')- Variant 'sourcesElements' capabilit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3.0.0 declares a runtime of a component, and its dependencies declared externally:- Incompatible because this component declares documentation and the consumer needed a library- Other compatible attributes:- Doesn't say anything about its target Java version (required compatibility with Java 11)- Doesn't say anything about its elements (required them packaged as a jar)- Doesn't say anything about org.gradle.plugin.api-version (required '7.5.1')* Try:> Run with --stacktrace option to get the stack trace.> Run with --info or --debug option to get more log output.>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 짧은 영어 실력으로는 아무리 봐도 자바 버전 호환이 안되는 것 같은데, 11 제외하고 모두 삭제했는데도 이러네요 ㅠㅠ 다음은 cmd 에서 버전 확인 한 결과인데요 C:\Users\user>javac -versionjavac 11.0.2C:\Users\user>java -versionopenjdk version "11.0.2" 2019-01-15OpenJDK Runtime Environment 18.9 (build 11.0.2+9)OpenJDK 64-Bit Server VM 18.9 (build 11.0.2+9, mixed mode)C:\Users\user> 어떻게 해야 할까요...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1-A 질문있습니다.
http://boj.kr/d77ee0664b7049ed849e1aa6776fb359다른 코드들과 비교해보는데도 왜 틀렸다고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ㅜㅜㅜ
-
해결됨웹 애니메이션을 위한 GSAP 가이드 Part.01
❗️긴급❗️ 선생님 실습파일이 잘못된것 같습니다.
다른 수업자료 같은데 확인 부탁드려요 ㅠㅠㅎ잘못 올리신거같은데 ㅠㅠ자료 변경하시면 이 글은 지울게용 답글좀 달아주세요 ㅠ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질문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마지막 풀이에서 if(a[i][j] && visited[i] == 0) 이 부분이 잘 이해가 안 갑니다. 둘 중 하나라도 0이 있으면 go(i)이 실행되어야 하는 것 같은데, 왜 a[i][j]가 1, visited[i]가 0일 때 go(i)가 실행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실전! 코틀린과 스프링 부트로 도서관리 애플리케이션 개발하기 (Java 프로젝트 리팩토링)
도메인 객체를 data class로 작성하지 않은 이유가 따로 있을까요?
java의 코드를 그대로 옮기기 위해서 class로 진행을 하신건지 아니면 data class로 하면 안 되는 이유가 있는지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column 어노테이션은 왜 itemName에만써준건가요??
[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
미해결[개정판] 파이썬 머신러닝 완벽 가이드
lightgbm version 관련하여
안녕하세요. lightgbm 설치 관련하여 오류가 발생하여 연락드립니다. 선생님께서 말씀해 주신 파트를 따라서 설치를 해 보았는데요. lightgbm version이 3.2.1로 설치가 되며, 업그레이드가 되지 않습니다. 구글을 통해 찾은 여러 답변으로 업그레이드를 하려고 하였지만, 변화가 없습니다. 혹시 이런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
-
미해결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파이썬 입문 (Inflearn Original)
atom, vscode 차이점 관련 질문입니다.
강의 너무 잘듣고 있습니다.단지 궁금한점은 atom은 결과값이 잘 보이는데vscode로 하게 되면 저 terminal이라고 해야하나 정확한 용어는 모르겠는데, 저 주소들이 계속 반복적으로 나와서 atom과는 다르게 결과값을 확인하기가 어렵습니다..혹시 제가 뭔가를 잘못하고 있는걸까요?atom의 경우 결과값은 ctrl+shift+B로 확인하고 있고,vscode는 F5 키를 눌러서 확인하는데 이게 맞는지도 궁금해요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초기 프로젝트 생성 후 메인 클래스 인식이 안돼요
start.spring.io로 파일 만들어서 실행하고, project structure 들어가서 jdk도 11버전으로 설정해도 실행버튼이 안나타납니다. project setting에도 gradle에 직접 실행을 설정하는 부분이 안나오고, 뭐가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버전 문제는 아닌거같아 build.gradle 도 첨부합니다.
-
미해결[리뉴얼] React로 NodeBird SNS 만들기
@faker-js/faker 사용시 런타임 에러
안녕하세요?@faker-js/faker 사용 시 아래와 같은 런타임 에러가 발생하여 질문드립니다.Unhandled Runtime ErrorError: Text content does not match server-rendered HTML.See more info here: https://nextjs.org/docs/messages/react-hydration-errorCall StackcheckForUnmatchedTextnode_modules\react-dom\cjs\react-dom.development.js (9647:0)diffHydratedPropertiesnode_modules\react-dom\cjs\react-dom.development.js (10310:0)hydrateInstancenode_modules\react-dom\cjs\react-dom.development.js (11306:0)prepareToHydrateHostInstancenode_modules\react-dom\cjs\react-dom.development.js (12564:0)completeWorknode_modules\react-dom\cjs\react-dom.development.js (22181:0)completeUnitOfWorknode_modules\react-dom\cjs\react-dom.development.js (26596:0)performUnitOfWorknode_modules\react-dom\cjs\react-dom.development.js (26568:0)workLoopSyncnode_modules\react-dom\cjs\react-dom.development.js (26466:0)renderRootSyncnode_modules\react-dom\cjs\react-dom.development.js (26434:0)performConcurrentWorkOnRootnode_modules\react-dom\cjs\react-dom.development.js (25738:0)workLoopnode_modules\scheduler\cjs\scheduler.development.js (266:0)flushWorknode_modules\scheduler\cjs\scheduler.development.js (239:0)MessagePort.performWorkUntilDeadlinenode_modules\scheduler\cjs\scheduler.development.js (533:0) 아래 코드에서 faker.name.fullname()과 faker.lorem.paragraph() 를 일반 텍스트로 변경할 경우에는 런타임 에러가 발생하지 않습니다.faker 적용 직전 까지는 소스가 문제 없이 잘 동작하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import shortId from 'shortid'; import produce from 'immer'; import { faker } from '@faker-js/faker'; /* eslint-disable default-param-last */ export const initialState = { mainPosts: [ { id: 1, User: { id: 1, nickname: 'bumdigi', }, Images: [ { id: shortId.generate(), src: 'https://picsum.photos/200/300', }, ], content: 'hello #해시태그 #인스타#안녕', Comments: [ { id: shortId.generate(), User: { nickname: 'atom', }, content: 'hi atom', }, { id: shortId.generate(), User: { nickname: 'iron man', }, content: 'I am Iron man', }, ], }, ], imagePaths: [], addPostLoading: false, addPostDone: false, addPostError: false, removePostLoading: false, removePostDone: false, removePostError: false, addCommentLoading: false, addCommentDone: false, addCommentError: false, }; initialState.mainPosts = initialState.mainPosts.concat( Array(20) .fill() .map(() => ({ id: shortId.generate(), User: { id: shortId.generate(), nickname: faker.name.fullName(), }, content: faker.lorem.paragraph(), Images: [ { src: faker.image.imageUrl(), }, ], Comments: [ { User: { id: shortId.generate(), nickname: faker.name.fullName(), }, content: faker.lorem.sentence(), }, ], })) ); export const LOAD_POSTS_REQUEST = 'LOAD_POSTS_REQUEST'; export const LOAD_POSTS_SUCCESS = 'LOAD_POSTS_SUCCESS'; export const LOAD_POSTS_FAILURE = 'LOAD_POSTS_FAILURE'; export const ADD_POST_REQUEST = 'ADD_POST_REQUEST'; export const ADD_POST_SUCCESS = 'ADD_POST_SUCCESS'; export const ADD_POST_FAILURE = 'ADD_POST_FAILURE'; export const REMOVE_POST_REQUEST = 'REMOVE_POST_REQUEST'; export const REMOVE_POST_SUCCESS = 'REMOVE_POST_SUCCESS'; export const REMOVE_POST_FAILURE = 'REMOVE_POST_FAILURE'; export const ADD_COMMENT_REQUEST = 'ADD_COMMENT_REQUEST'; export const ADD_COMMENT_SUCCESS = 'ADD_COMMENT_SUCCESS'; export const ADD_COMMENT_FAILURE = 'ADD_COMMENT_FAILURE'; export const addPost = (data) => ({ type: ADD_POST_REQUEST, data, }); export const addComment = (data) => ({ type: ADD_COMMENT_REQUEST, data, }); const dummyPost = (data) => ({ id: data.id, content: data.content, User: { id: 1, nickname: '범디기', }, Images: [ { src: 'https://picsum.photos/200/300', }, { src: 'https://picsum.photos/200/300', }, { src: 'https://picsum.photos/200/300', }, ], Comments: [ { User: { nickname: 'mingry', }, content: '우와', }, { User: { nickname: 'groom', }, content: '냐옹', }, ], }); const dummyComment = (data) => ({ id: shortId.generate(), content: data, User: { id: 1, nickname: 'tomy', }, }); const reducer = (state = initialState, action) => { return produce(state, (draft) => { switch (action.type) { case ADD_POST_REQUEST: draft.addPostLoading = true; draft.addPostDone = false; draft.addPostError = null; break; case ADD_POST_SUCCESS: draft.mainPosts.unshift(dummyPost(action.data)); draft.addPostLoading = false; draft.addPostDone = true; break; case ADD_POST_FAILURE: draft.addPostLoading = false; draft.addPostError = action.error; break; case REMOVE_POST_REQUEST: draft.removePostLoading = true; draft.removePostDone = false; draft.removePostError = null; break; case REMOVE_POST_SUCCESS: draft.mainPosts = draft.mainPosts.filter((v) => v.id !== action.data); draft.removePostLoading = false; draft.removePostDone = true; break; case REMOVE_POST_FAILURE: draft.removePostLoading = false; draft.removePostError = action.error; break; case ADD_COMMENT_REQUEST: draft.addCommentLoading = true; draft.addCommentDone = false; draft.addCommentError = null; break; case ADD_COMMENT_SUCCESS: { const post = draft.mainPosts.find((v) => v.id === action.data.postId); post.Comments.unshift(dummyComment(action.data.content)); draft.addCommentLoading = false; draft.addCommentDone = true; break; } case ADD_COMMENT_FAILURE: draft.addCommentLoading = false; draft.addCommentError = action.error; break; default: break; } }); }; export default reducer;
-
미해결더 자바, Java 8
Optional 질문드립니다.
Optional 첫번째 강의영상 10분20초쯤 나오는 내용인데요.progress.ifPresent((p) -> { this.progress = p });위와 같은 코드가 나오는데, 제가 알기로는 람다식에서는 외부변수를 변경하면 안되는것으로 알고있는데 this.progress는 외부변수인것같은데도 변경이 되는것 같아서요..!이 경우에는 외부변수를 변경하는게 왜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또, 변경가능하다면, 이렇게 외부변수를 변경하는 것은 지양해야하는 건가요?!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3: 유니티 엔진
질문드립니다.
수업에서 ResourceManager 에public GameObject Instantiate(string path, Transform parent = null)를 만들었잖아요?그런데 PrefabTest에서 사용할 때 tank = Managers.Resource.Instantiate("Tank")를 사용했는데 위에서는 Instantiate(인자1, 인자2) 이고뒤에 사용한것은Instantiate(인자1) 이잖아요?그럼 ResourceManager 에 있는우리가 만든 Instantiate는 작동하지 않은게 아닌가요? Instantiate()의 인자안의 Transform parent = null)Transform parent = null은 왜 한 것일까요?? 그리고Transform 이라는 타입은 무엇인가요??Transform 은 위치를 설정할 때 사용하는 거라고 생각하고있었는데 타입으로 나오니 무엇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
1:52 typeid() 리터럴의 데이터타입 출력
저 같은 경우 한 글자만 출력이 되는데,예를 들어 Int는 i이 부분을 바꿀 수 있나요 ?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include <iostream> #include <typeinfo> int main() { using namespace std; int a = 123; cout << typeid(a).name() << endl; return 0; }
-
미해결[코드팩토리] [중급] Flutter 진짜 실전! 상태관리, 캐시관리, Code Generation, GoRouter, 인증로직 등 중수가 되기 위한 필수 스킬들!
go_router.dart error(auth_provider내 redirectLogic)
auth_provider.dart내에서 redirectLogin 추가하고 이런 에러가 나와서요 아무리 소스코드를 확인해봐도.. type에러인것 같긴한데.. 부탁드립니다.String? redirectLogic(GoRouterState state) { final UserModelBase? user = ref.read(userMeProvider);==========================================================lib/common/provider/go_router.dart:14:24: Error: The argument type 'String? Function(GoRouterState)' can't be assigned to the parameter type 'FutureOr<String?> Function(BuildContext, GoRouterState)?'. - 'GoRouterState' is from 'package:go_router/src/state.dart' ('../../Libraries/flutter/.pub-cache/hosted/pub.dartlang.org/go_router-5.2.4/lib/src/state.dart'). - 'BuildContext' is from 'package:flutter/src/widgets/framework.dart' ('../../Libraries/flutter/packages/flutter/lib/src/widgets/framework.dart').go_router.dartimport 'package:actual/user/provider/auth_provider.dart'; import 'package:flutter_riverpod/flutter_riverpod.dart'; import 'package:go_router/go_router.dart'; final routerProvider = Provider<GoRouter>((ref) { // watch - 값이 변경될때마다 다시 빌드 // read - 한번만 읽고 값이 변경돼도 다시 빌드하지 않음 final provider = ref.read(authProvider); return GoRouter( routes: provider.routes, initialLocation: '/splash', refreshListenable: provider, redirect: provider.redirectLogic, ); });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백준 4179번 질문
안녕하세요 백준 4179번 문제 풀다가 질문 생겨 글 올립니다.다음과 같이 짰는데, 71퍼에서 틀리다고 나옵니다.선생님과는 코드가 약간 다른데, 어느 부분이 문제인지 알 수 있을까요?http://boj.kr/83400fc70dfb44e3bca63cb9ca90f93d
-
미해결[리뉴얼] React로 NodeBird SNS 만들기
질문사항입니다. redux saga 흐름 관련
안녕하세요 제가 정보수정이라는 간단한 기능을 구현중인데... 이 강의 데이터 흐름 구조를 쓰고 있습니다. (next redux saga dispatch)본론으로 들어가서 TEXT 해당 링크를 클릭하면 정보수정pages - 정보수정페이지 로 이동하는데 이동해서 useEffect 함수 안에 dispatch 날려서 해당 회원 정보를 select 해서 가지고 옵니다.const {userInfo} = useSelector((state) => state.user);그런데 const [userid, onChangeUserid] = useInput(userInfo.userid); 이런식으로 ....등등해당 값은 잘 가지고 오는데 문제가값을가지고 오기 까지 딜레이 때문에 useInput 에 userInfo. 데이터를 넣질 못해요...useInput(userInfo?.userid || '' ) if(userInfo) {}등등 별거 다 해봤는데 .. 해당 값이 useInput에 처음 들어간 값 대로만 반영하는 것 같아서 ..해당 값을 userInput에 집어넣어지지 않네요..;;어떻게 해야 하나요?asyac, await 같이 비동기를 잡아주는 개념이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AppConfig 구성영역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AppConfig에 이렇게 작성을하면 OrderService는 인터페이스고 new OrderServiceimple은 implement 상속받는 클래스 인데 new OrderServiceimpl 이 부분이 OrderService 중 OrderServiceimpl 이라는 이름으로 상속받으면 memberRepository() 와 discountPolicy() 객체를 주입한다 이렇게 해석해도 되는걸까요 ??
-
미해결[개정판] 파이썬 머신러닝 완벽 가이드
k-fold 교차 검증 부분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너무 재밌게 잘 보고 있습니다! k-fold 교차검증 부분 듣다가 스크린샷 코드에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스크린샷 처럼 StratifiedKFold.split() 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나누고 for문으로 직접 K-fold 방식을 수행할 때, dt_clf 모델이 for문의 이전 iteration에 수행한 학습을 누적해서 학습을 하는거 같은데 이렇게 하는게 맞는 것인지 궁금합니다.제 생각엔 0번 iter 수행 후 dt_clf 값 초기화, 1번 iter 수행 후 dt_clf 값 초기화, ... 4번까지. 이렇게 수행되어야 한 K-fold 수행 내에서 "학습에 사용한 데이터로 validation"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같은 데이터로 여러 epoch을 수행하면 어차피 학습한 데이터가 누적해서 validation으로 사용될 것 같기도 한데... 어떤거 맞는 방법인지 실제 코드는 어떻게 수행되는지 설명 부탁 드립니다.또한, 아래에 나오는 cross_val_score() 함수, GridSearchCV() 함수 에서는 어떻게 수행하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HTML, CSS
교재 내용
강사님이 올려주신 교재 파일과 동영상에 나오는 교재 내용이 다른 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리팩터링 단축키 누를시 나오지 않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영상을 보면 ctrl + alt + m 을 누르면 저런창이 나오지 않아서 원하는 이름으로 정할수가 없습니다. ㅠㅠ계속 아래와 같이 나와서 name을 정할수가 없는 상태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