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프레임워크는 내 손에 [스프2탄]
프로그램
안녕하세요.게시판 제작, 로그인, jpa사용, 카카오맵api를 배우고싶어서 강의를 구매했습니다. 그런데 제가 인텔리제이로만 해봤습니다.스프2탄을 인텔리제이로 진행해도 문제가 없을까요?
-
미해결문제로 배우는 C언어
7.연필 개수 문제
저는 이렇게 풀어봤는데scanf값만 입력할 수 있고 print값이 나오지 않습니다.강의에서 풀어주신 풀의는 이런데 뭐가 잘못된건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쉽게 처음하는 파이썬 고급 크롤링 [Scrapy, Selenium, Headless Chrome]
동적 웹사이트에서 element가 선택되지 않는 문제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동적 웹사이트에 대한 강의를 듣고 동적 웹페이지라는 개념은 이해가 됐는데, 실습을 하는 중에 동적 html과 관련된 듯한 문제에 실제로 직면하니 당최 해결이 안 되어 질문드려 봅니다.네이버 댓글 작성자의 이전 댓글도 수집해보려고 작성자 아이디를 클릭하면 개발자 도구에서 새로운 script가 생성됩니다. 동적 html인가 보다 하고 스크래핑을 하려 했으나 이 놈의 element가 셀레니움 메서드로 선택되지가 않습니다.아래 첨부한 그림에서처럼, 유저 아이디를 클릭하면 개발자 도구에 나타나지 않던 section이 새롭게 나타나고 저 안에 이 유저의 지난 댓글에 관한 html 정보가 있는데, 셀레니움 find 계열 메서드를 사용하면 아무 것도 걸리지 않는 걸로 볼 때 selenium이 저 동적 html을 아직 인식하지 못한 상태인 것 같습니다.원래는 기사에 달린 댓글 자체도 셀레니움의 메서드로 선택되지 않다가 구글링으로 iframe 때문인 걸 발견해서 이 문제는 해결했거든요. 이 문제도 제가 알지 못하는 동적 html 구성 방식?과 관련이 있는 듯 한데 실마리조차 찾기가 힘드네요 ㅜㅜ짚이시는 점이라도 알려주시면 넘 감사하겠습니다~!최초 개발자 도구 화면----------------------------------------------------------------------------------------------아이디 클릭 후 개발자 도구 화면
-
미해결스프링 프레임워크는 내 손에 [스프1탄]
추가질문 드립니다.
@RequestMapping("/boardUpdate")public String boardUpdateForm(int idx, Model model) {이렇게 수정해서 해보시기 바랍니다.<input type="hidden" name="idx" value="${vo.idx}" />폼에서 hidden으로 파라메터(idx)가 넘어오기 때문에 위처럼 받아야됩니다.======================================================@RequestMapping("/boardUpdate")public String boardUpdate(int idx, Model model, Board vo) {boardmapper.boardUpdate(vo);return "redirect:/boardMore";}이렇게 바꾸라는 말씀 맞나요?? 똑같이 안 됩니다. @RequestMapping("/boardUpdate/{idx}")public String boardUpdateForm(@PathVariable("idx") int idx, Model model) {Board vo = boardmapper.boardMore(idx);model.addAttribute("vo", vo);return "boardUpdateForm";}@RequestMapping("/boardUpdate")public String boardUpdate(int idx, Model model, Board vo) {boardmapper.boardUpdate(vo);return "redirect:/boardMore";}이렇게 두개가 있는데요. boardUpdateForm은 idx번 게시물을 수정하는 폼으로 이동하는 것이고 boardUpdate는 수정폼에서 수정하고 수정완료 버튼을 누를때 쓰게 됩니다. 제가 잘 못 이해한 것인가요? 헤더 추가한 것 말고는 선생님 깃허브 코드랑 거의 비슷한것 같은데 int idx를 추가해야할 이유가 있을까요??
-
미해결
VSC에서 NPM START EXPO가 웹상에 안 열림
(사진)
-
미해결비전공자를 위한 풀스택 맛집지도 만들기 프로젝트!: Front, Back-end 그리고 배포까지
nodemon index.js
.강의명: 맛집 목록 조회API구현이전의 강의 내용 중,API 구현 강의를 뛰어넘고, 이 강좌로 왔습니다.그리고 현 강좌에서 6:15 수강중인데요.아래와 같이 발생한 에러 확인 부탁드립니다.PS C:\Users\Administrator\Desktop\Node-Template-For-Food-Map-main\FoodMapDB> nodemon index.js nodemon : 'nodemon' 용어가 cmdlet, 함수, 스크립트 파일 또는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이름으로 인식되지 않습니다. 이름이 정확한지 확인하고 경로가 포함된 경우 경로가 올바른지 검증한 다음 다시 시도하십시오. 위치 줄:1 문자:1 + nodemon index.js + ~~~~~~~ + CategoryInfo : ObjectNotFound: (nodemon:String) [], CommandNotFoundException + FullyQualifiedErrorId : CommandNotFoundException
-
미해결스프링 프레임워크는 내 손에 [스프1탄]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스프1탄 복습하고자 제가 만들고 싶은 게시판 만들고 있는데 문제가 생겼습니다. 스프1탄과 마찬가지로 header를 공통부분으로 하고 jsp:include page 사용해서 공통적으로 헤더를 적용했습니다. 게시판 수정을 위해서 @RequestMapping("/boardUpdate/{idx}")public String boardUpdateForm(@PathVariable("idx") int idx, Model model) {~~} 이런식으로 컨트롤러에서 했구요. boardUpdateForm.jsp는 form으로 해서 제출하게 했고 스프1탄에서 배운대로 form action에 그냥 boardUpdate 하지 않고 ../boardUpdate를 적용 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HTTP 상태 400 – 잘못된 요청타입 상태 보고메시지 Required int parameter 'idx' is not present설명 클라이언트 오류로서 인지된 어떤 문제로 인하여, 서버가 해당 요청을 처리할 수 없거나, 처리하지 않을 것입니다. (예: 잘못된 요청 문법, 유효하지 않은 요청 메시지 framing, 또는 신뢰할 수 없는 요청 라우팅). 이런식으로 잘못된 요청이라고 나옵니다. 그리고 헤더에 로고 경로를 src="resources/images/logo.png" 이렇게 해줬습니다.그런데 이 이미지가 다른데서는 다 되는데 update 페이지 에서는 표시가 되지 않고 No mapping found for HTTP request with URI [/m01/boardUpdate/resources/images/logo.png]이런식으로 console에 나오게 됩니다. 이것 뿐만 아니라 목록으로 가기 버튼도 만들었는데 마찬가지로 작동이 되지 않고 잘못된 요청이 나옵니다. 아무래도 pathvarible 이후로 경로가 context path/에서 context path/boardUpdate/ 로 바뀌어서 그런 것 같은데 도저히 수정이 안 되네요 .. 아래는 boardController.java입니다.@Controllerpublic class BoardController { @Autowired private BoardMapper boardmapper; // HandlerMapping @RequestMapping("/") public String root() { return "redirect:/main"; } @RequestMapping("/main") public String main(Model model) { List<Board> list = boardmapper.getLists(); model.addAttribute("list", list); return "main"; // /WEB-INF/views/main.jsp -> forward } @RequestMapping("/boardWriteForm") public String boardWriteForm() { return "boardWriteForm"; } @RequestMapping("/boardWrite") public String boardWrite(Board vo) { boardmapper.write(vo); return "redirect:/main"; } @RequestMapping("/boardMore") public String boardMore(@RequestParam("idx") int idx, Model model) { boardmapper.boardCount(idx); Board vo = boardmapper.boardMore(idx); model.addAttribute("vo", vo); return "boardMore"; } @RequestMapping("/boardDelete/{idx}") public String boardDelete(@PathVariable("idx") int idx) { boardmapper.boardDelete(idx); return "redirect:/main"; } @RequestMapping("/boardUpdate/{idx}") public String boardUpdateForm(@PathVariable("idx") int idx, Model model) { Board vo = boardmapper.boardMore(idx); model.addAttribute("vo", vo); return "boardUpdateForm"; } @RequestMapping("/boardUpdate") public String boardUpdate(Board vo) { boardmapper.boardUpdate(vo); return "redirect:/boardMore"; }} 아래는 boardUpdateForm.jsp입니다.<body> <jsp:include page="header.jsp" /> <div class="container"> <h2>게시글 수정</h2> <form action="../boardUpdate" method="post"> <input type="hidden" name="idx" value="${vo.idx}" /> <table class="table table-bordered"> <tr> <td style="min-width: 100px;">제목</td> <td><input type="text" name="title" class="form-control" value="${vo.title}" required></td> </tr> <tr> <td>내용</td> <td><textarea name="content" class="form-control" rows="10" required>${vo.content}</textarea></td> </tr> <tr> <!-- 추후 세션으로 처리 --> <td>작성자</td> <td><input type="text" name="writer" class="form-control" value="${vo.writer}" readonly></td> </tr> <tr> <td colspan="2" align="right"> <button type="button" class="btn btn-danger" onclick="location.href='../boardMore'">취소</button> <button type="submit" class="btn btn-primary">수정완료</button> </td> </tr> </table> </form> </div></body>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listenSocket.AcceptAsync 와 내부에서생성되는 스레드에 대하여..
질문이 https://inflearn.com/questions/238421이 질문과 유사한 질문이긴 한단계 더 들어가보자면..만약에 bool pending = _listenSocket.AcceptAsync(args); 이 구문이 실행 될때 동시에 여러 클라이언트에서 접속이 이뤄지면AcceptAsync 가 두번 실행 되면서내부적으로 스레드 두개가 돌아가는것 같은데(ex: AcceptAsync 가 한번 실행되고 완료 되지 않은 상태에서 곧바로 다시 AcceptAsync 가 호출 되는 경우)이렇게 되면 OnAcceptCompleted 함수가 멀티스레드 로 두개의 Completed 를 두개 실행한 것 처럼 두개의 함수가 동시에 돌아가게 되는것 아닌가요?(즉 동기화 처리가 필요해지는 상태)이렇게 되면 순서적으로 처리 되지 않을것은데왜 순서적으로 처리가 된다는 것인지 잘 이해가 안가는것 같습니다 async 계열들이 내부적으로 쓰레드로 돌아가는 것이라면 다른 것들도 마찬가지 일것 같은데요..답변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
미해결단 2주간 키운 블로그로 월 80만원 용돈 벌기
너무 잘 들었습니다. 수강후기 올렸어요^^
너무 유익한 강의 잘 들었어요.. 추가로 전자책도 준다고 하던데... 아직도 유효하다면 메일주소 올릴께요.. braink2@naver.com 입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수업질문
IntelliJ가 Ultimate 한달 무료,Community 무료버전이있던데Ultimate가 스프링을 지원해주더라구요.혹시 이강의를 수강할려면Ultimate를 결제하고 수강해야하나요??
-
미해결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런타임에 클래스 타입이 추가될 수 없다라는게 이해가 안됩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궁금한게 생겨서 문의드립니다.sealed 클래스에서컴파일 타임때 하위 클래스의 타입을 모두 기억한다,즉, 런타임때 클래스 타입이 추가될수 없다여기서 말하는 런타임이 뭘까요..? 자바에서 런타임에 클래스타입을 추가할 수 있나요?(리플렉션을 통해 런타임에 동적으로 클래스로더에 올리는거 정도는 생각이 드는데, 클래스를 상속받는 클래스 타입을 추가하는건 이해가 안되서요) 아니면 이미 제3자가 sealed로 배포한 라이브러리를 임포트하여 코드 내에서 상속받은 클래스를 만드는것을 런타임이라 하신건지 궁금합니다 아 그리고 마지막으로 강의하시는 코틀린의 버전도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
-
미해결해커를 위한 iOS 앱 모의 해킹 전문 과정
Sensitive Information in Memory
강의 듣다가 궁금중이 생겨 질문 남깁니다.Memory 에 노출된 값을 통해 Burp 처럼 Memory 값을 수정하여 다시 전송 할 수도 있나요??? 해당 부분에 대해 공부하려면 어떤 부분을 참조해서 공부해보는것이 좋을까요 ??
-
미해결생활코딩 - Linux
ctrl + z 명령어가 안먹히네요!
ctrl + z 명령어가 안먹히네요! 혹시 다른 방법이 있는건가요?!
-
미해결리눅스 쉘 스크립트
수업 관련 질문 몇 가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리눅스 쉘 스크립트 수강생입니다.반복문 인자 형태 중 기본/range/C-style 이 있었는데 기본의 경우는 배열과 달리 string 타입이고 공백을 구분자로 각각의 인자로 구분하는 것이 맞나요?ex) A="0 1 2 3" 1번이 맞다면 for n in ${A} 했을 때, 그럼 각각의 n 은 integer 취급이 되는지, string 취급이 되는지 궁금합니다.배열 unset 시 배열 통으로 메모리에서 제거하려면 각 index나 key 접근을 통한 unset이 아니라 변수 자체 unset을 하면 가능한가요?ex) A=(0 1 2 3) unset A
-
미해결ARM Cortex-M 프로세서 프로그래밍
테일체이닝 사례분석 강의 질문드립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강의 보면서 따라하던 중 질문이 생겨 질문드려봅니다. 영상 후반부에 SCB에서 ICSR 레지스터에 VECTPENDING에서 Systick 우선순위가 15라서 0xf라고 나왔다고 설명해주셨습니다.VECTACTIVE는 실행중인 인터럽트 번호 0X16(DEC:22, 버튼인터럽트)라고 설명해주셨습니다.강의 초반부에 Systick 우선순위를 14로 변경하고 Button 우선순위를 13으로 변경하였는데 디버깅 SFR창에서는 왜 반영이 안되고 기존 우선순위 값이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Vue.js 완벽 가이드 - 실습과 리팩토링으로 배우는 실전 개념
beforeEnter도 모듈화를 할 순 없나요 ?
routes/index.js 파일의 beforEnter도 결국 반복되는 코드중 하나인 것 같은데, 위처럼 BeforEnter.js 파일로 모듈화를 하는건 괜스레 복잡하게 만드는건지 아니면 좋은것인지 궁금합니다.만약 모듈화를 하는게 낫다면 폴더구조에서 BeforEnter.js 파일이 어느 폴더에 들어가는게 가장 적합할까요 ? ㅠ
-
미해결다양한 사례로 익히는 SQL 데이터 분석
Azure 데이터를 api로 호출하여 Postgresql에 넣는 방법
안녕하세요, 강사님현재 내부에서는 DB데이터를 AZURE에 적재하고 있으며, AZURE의 KUSTO QUERY는 로그 보관용이라 DB성격이 더 강해서 SQL 자체가 자유롭지 않아 테이블 여러개를 조인하고 하는 기능에 한계가 있다고 내부 유관부서에서 답변을 받았습니다.해당 팀에서 추가로 Azure에 적재된 데이터를 python에서 azure api를 통해 필요한 컬럼만 별도로 추출하는 프로시저를 짜서 테이블을 postgresql에 보내고, 해당 데이터와 python을 연결하여 분석하는게 좋겠다는 가이드를 받았는데요..https://learn.microsoft.com/en-us/azure/data-explorer/python-ingest-data해당 문서가 그 내용에 해당하는건지 한번 봐주실 수 있으실까요? ㅜㅜ대략적으로 가이드를 조금이나마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Slack 클론 코딩[백엔드 with NestJS + TypeORM]
트랜잭션에 관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의를 다시 보던 중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await getConnection().createQueryRunner()는 네스트 패턴이 아니라서 private connection:Connection을 써야한다고 말씀하셨는데 전자를 사용을 해도 상관은 없는 것인지 궁금합니다.(typeorm이 0.3 밑 버전입니다!) queryRunner.connect();가 없어도 정상적으로 코드가 작동하고 있는데 위 코드는 없어도 되는것인지, 써야한다면 무슨 동작을 하고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비전공 기획자 및 관리자를 위한 IT 필수 지식
강의 자료 요청드립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비전공자로서 IT에 대한 분야의 지식을 습득하면서, 흩어져 있다는 느낌과 겉도는 느낌이 많았는데, 강의를 통해서 많은 도움을 얻고 있습니다. 강의 자료 요청드립니다^^jjullang7@gmail.com감사합니다.
-
미해결냉동코더의 알기 쉬운 Modern Android Development 입문
오버라이드 한 waitFor 메서드와 다른 라이브러리의 차이점은 뭘까 궁금합니다.
영상 6:38~7:30초에 waitFor메서드에 대해서 이것도 권장되는 방법인지에 대한 의문과.. 궁금해서 스택오버플로도 들어가보긴했지만... 잘모르겠고,Espresso idling resources와의 차이점? 같은거에 대해서 아실분이 계시다면 답글을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굳이 억지로 시간내서 찾아주실 필요는 없고..오다가다 아시는분 계시면 링크하나 던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제가 대충 분석한 내용(?)waitFor()에서 perform()을 오버라이드 한 부분에loopMainThreadForAtLeast()가 implementation된 부분을 구경해봤는데,(윈도우 단축키: '컨트롤 알트 클릭' or '컨트롤 알트 B')UiControllerImpl.loopMainThreadForAtLeast()가 구현된 코드를 볼 수 있었지만..아마도, 핸들러에 딜레이 준 만큼 넣어뒀다가,메인스레드가 idle일때 핸들러를 돌려주는 소스인듯한데. 정확히 분석이 안되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