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CQRS
안녕하세요. 정말 좋은 강의 항상 잘 듣고 있습니다. Repository save 메서드는 Member 를 반환하기보다는 id를 반환하는 식으로 구성하셨는데 이게 기본편에서 커맨드와 커리를 분리한기위함이라고 하셨던걸로 기억합니다. 이론적으로는 조회와 insert update 등을 분리한다고 는 이해했는데 실제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떄 이로써는 얻는 이점에 대해 좀더 자세히 들을수있을까요? 그리고 실제 실무에서는 어느정도까지 분리해서 보통 사용하나요?
-
해결됨디자인 패턴 with JAVA (GoF)
Decorator 패턴의 단점에 대해..
훌륭한 강의 넘나 감사드립니다.개인 프로젝트 진행에 많은 도움을 얻고있어요.다름이 아니라 데코레이터 패턴의 단점에 대해이해가 힘든 부분이 있어서 질문하게 되었습니다. 3) 데코레이터 패턴은 Concrete(구상) 컴포넌트의 형식을 알아내어그 결과를 바탕으로 특정-작업코드( 특정형식에 의존하는 클라이언트 코드 )에는적용 불가 함.기존의 컴포넌트 HouseBlend였을 때 기존의 구성요소를 데코레이터로 감싸게 되면,그 구성요소가 HouseBlend인지 아닌지를 알 수 없게 된다. 강의를 듣던도중 갑자기 난이도가 높아진 문장에서예시가 없는 상황설명에 정신줄을 그만 놓아버리게 되었습니다.좀더 쉽게 접근할 방법이 없을까요?그리고, 다른 패턴들은 추가 강의 진행계획이 없으신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안녕하세요! 이번 강의에 질문이 있어 글 을 남겨요~
제가 알고 있는게 없어서 허접한 질문이라고 생각들지만 답변 부탁드립니다 ...ㅜㅜ 질문)정적페이지를 화면에 뿌릴 때 src/main/rescources/static에 index.html파일을 만들어 넣기만 하면 다른 설정 없이 화면에 출력이 되던데 왜 그런가요?! 다른 설정 없이 출력되는 이유가 스프링부트가 자동적으로 해줘서 그런가요? 질문2) 처음에 오타로 ind.html파일명으로 하고 페이지 열어보니 에러가 뜨떳고 index.html으로 고치니깐 정상적으로 페이지가 구현 됬는데 정적페이지를 사용할려면 반드시 index로 파일이름을 설정 해야하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인터페이스 상속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커스텀 리포지토리 네이밍 관련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커스텀 리포지토리를 실수로 MemberRepositoryCustomImpl로 네이밍했는데 MemberRepositoryCustom을 Impl한 클래스로 인식이 됐는지 MemberRepositoyTest에서도 정상적으로 동작했습니다. 네이밍을 MemberRepositoryCustomImpl로 한 것과 MemberRepositoryImpl로 한것과 기능상 차이가 있을까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OneToOne 관계에서의 객체 생성
안녕하세요! Qeurydsl 강의 너무 잘 듣고있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이번에 궁금한 점이 생겼는데 OneToOne 관계에서의 객체생성 입니다. member 테이블과 member_detail이라는테이블이 존재하는데 이 때 member_detail 테이블에서 member 테이블의 id를 외래키로 가지고 있는 상태입니다. 이 때 엔티티 매핑을 아래와 같이 진행하였습니다. 그리고 아래 사진과 같이 테스트 두가지를 진행하였는데, 첫번째 테스트는 제가 원하는 데이터베이스 값대로 잘 들어가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하지만 두번째 테스트는 제대로 동작하지 않고 org.springframework.dao.InvalidDataAccessApiUsageException: org.hibernate.TransientPropertyValueException: object references an unsaved transient instance - save the transient instance before flushing : study.datajpa.entity.Member.memberDetail -> study.datajpa.entity.MemberDetail; nested exception is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org.hibernate.TransientPropertyValueException: object references an unsaved transient instance - save the transient instance before flushing : study.datajpa.entity.Member.memberDetail -> study.datajpa.entity.MemberDetail 다음과 같이 에러코드가 찍히는데 혹시 그 원인이 어떤 것일까요?그리고 첫번째 테스트코드를 짜면서 든 의문이 주석의 질문인데 이 답변도 같이 해주신다면 정말 감사합니다~!(질문 내용: save후 find가 동작할때 flush가 일어나지 않았는데 DB Qeury가 어째서 찍히는 것일까요..?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rebuild 해도 bootstrap 적용 안 되시는 분들께
크롬 브라우저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에러를 만나셨다면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Failed to find a valid digest in the 'integrity' attribute for resource 'http://localhost:8080/css/bootstrap.min.css' with computed SHA-256 integrity 'L/W5Wfqfa0sdBNIKN9cG6QA5F2qx4qICmU2VgLruv9Y='. The resource has been blocked." PDF에서 제공되는 소스를 복붙하시고 bootstrap 버전을 강사님과 동일한 버전을 쓰지 않았을 때 부트스트랩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fragments/header.html 중== <link rel="stylesheet" href="/css/bootstrap.min.css" integrity="sha384-Vkoo8x4CGsO3+Hhxv8T/Q5PaXtkKtu6ug5TOeNV6gBiFeWPGFN9MuhOf23Q9Ifjh" crossorigin="anonymous"> 해당 태그의 속성 중 "integrity"의 값이 현재 사용중인 부트스트랩 버전의 것과 일치하지 않으면 브라우저에서 block됩니다. 만약, 최신버전의 부트스트랩을 사용중이시라면 부트스트랩 다운로드 페이지 아래쪽에 "Bootstrap CDN" 항목이 있습니다. 그곳에서 제공하는 소스 중 위에서 언급한 "integrity" 속성의 값을 복사해서 프로젝트의 것과 교체해주시면 됩니다. * css파일이랑 js파일 둘의 integrity 값이 다르니깐 잘 보시고 복사하세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PostConstruct와 @Transactional 분리
@PostConstruct와 @Transactional 분리해야 하는이유를 간단히 짚고넘어가셔서 그런데 좀더 자세하게 설명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 ㅠㅠ
-
미해결실전! Querydsl
외래키설정 ConstraintMode
ConstraintMode.NO_CONSTRAINT를 이용해서 조인컬럼을 지정할경우 논리적으로만 맺고 물리적인 외래키를 맺지않는걸로 알고있는데 이러한 방법으로 외래키를 지정하는게 좋은방법인가요 ?
-
해결됨자바 프로그래밍 입문 강좌 (renew ver.) - 초보부터 개발자 취업까지!!
오라클 회원가입 질문
jdk다운로드를 클릭했더니 로그인 창으로 이동하길래로그인을 해야하는거같길래 회원가입을 진행했는데요회원가입에 필요한 정보중에 직책 과 회사명 을 요구하더라구요전 회사에 다니지 않는데 회원가입을 할수 없는건가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from절 서브 쿼리
안녕하세요... 신입 개발자 입니다 ㅠㅠ 회사에서 mybatis만 사용하다가 querydsl로 바꿔보고 싶어서 적용중인데요 from table1 left join ( select * from table2 left join table3 on table2.id = table3.id ) as table4 on table1.id = table4.id where order by 이런 게 3depth 정도 되는 쿼리가 있습니다 querydsl이 페이징이 너무 편해서 querydsl로 하고 싶은데 이런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되는지 조언해주실 수 있나요? from 절에서 서브쿼리가 안된다고 본거같은데... from 절 쿼리를 1개의 List<Tuple>로 구현하고 다른 from 절 쿼리를 1개의 List<Tuple>로 구현하고 각각의 List<Tuple>을 최종 테이블로 from 절에 명시해야 되는지... 그런데 데이터 조회를 해봤더니 하나의 List를 구하는데 너무 많은 데이터가 있어서,,, 엄두가 안납니다.. 후후..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상품에서 유저 수정 권한 관련 문의드립니다!!
상품 수정을 진행할 때 어떤 인증 절차가 있어야 한다고 해주셨는데요! 제가 진행중인 프로젝트에서는 이 인증 절차를 시큐리티 컨텍스트에서 유저 아이디를 받아와 항상 findByprodcutIdandUserId(상품아이디,유저아이디) 이런 식으로의 인증을 거치고 있습니다! 분명 이런 식과 다른 방법도 있겠지만 여러번 고민과 의논에도 현재 방식보다 간단하고 좋아보이는 방식이 생각이 나지 않아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혹시 영한님께서 사용하시는 실무에서의 인증 절차는 어떤식으로 사용하시는지 깊게 알고 싶습니다! 이 로직이 항상 리팩토링 해달라고 신호를 보내는데 그 방법을 알지 못해서 볼때마다 안타깝습니다.. 항상 좋은 강의 감사하고 그 내용이 쉽지 않더라도 조언 주시면 공부해서 적용하고 싶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changeTeam 관련하여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영한님! 강의 너무 잘듣고 있는데 중간에 의문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이 의문이 기본, 실전 Spring Data jpa 어디서 났는지 구체적으로 기억이 안나서 일단 기본편에서 질문드립니다! 구조는 Member(N) - Team(1) 양방향 매핑으로 설정한 상태입니다. 그리고 Member가 Team을 바꾸려는 상황입니다. 강의를 보면.. Member 엔티티 내에 아래와 같은 changeTeam() 이라는 메소드를 구현합니다. public void changeTeam(Team team) { this.team = team; team.getMembers().add(this); } 그렇다면 객체의 입장에서 아래처럼 된다는 것 까지는 이해를 했습니다. - Member 내에 '새 Team'으로 변경됨 - '새 Team' 내에도 원하는 Member가 추가됨 여기서 2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1. 그런데 '구 Team' 객체는 어떻게 되나요? 그 객체의 상태값인 List<Member> members에는 여전히 Member가 남아 있지 않나요? getMembers() 불러와서 remove를 쓰던 다른 방법을 쓰던 어쨌든 지워주던가 해야하는것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듭니다. 2. 1의 의문이 타당하여 만약 changeTeam() 내에 기존 Team에서 Member를 삭제해주는 추가적인 구현이 있을 경우.. 처음 Member에 team을 설정해주는 setTeam()과 changeTeam()을 아예 따로 구현하는게 바람직할까요? 실무적 관점에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Querydsl
member와 team 관계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JPA 기본편에서는 양방향관계를 최대한 안써야한다고 말씀하셨던것 같은데 이번 예제에서는 양방향 관계로 구현을 하였습니다. 그 이유와 꼭 언제 꼭 양방향을 써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Value 오브젝트(@Embeddedable 객체)는 그대로 노출해도 된다
개발자님 강의 계속 반복해서 열심히 듣고있습니다강의 도중에 엔티티는 노출하면 안된다 하지만 Value 오브젝트는 바뀔일이 없기 때문에 노출해도 된다고 하셨는데만약에 Address 값 객체가 있다고 했을때 Address의 필드 String cityCode가 Interger areaCode로 바뀐다고 해도 문제가 없나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엔티티에 의존성 주입이 필요한 경우?
안녕하세요. 영한님 교육을 듣고 실무에 적용해보려다가 막히는 부분이 있어서 문의드립니다. JPA없이 사용할 때는 Spring 에서 의존성 관리를 잘 해주고 있어서 @Autowired 애노테이션을 쓰든 명시적으로 정의를 하든 인터페이스로 정의되어 있는 필드에 구상체를 주입받을 수가 있는데 Entity 클래스가 가지고 있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구상체 주입은 어떤방식으로 하는지 궁금합니다. 또 기존에 개발되어 있는 도메인 클래스가 Map 타입 필드를 가지고 있는데 Key가 Class<T> 타입인 경우는 어떤 식으로 해야할지 감이 안오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ㅠㅠ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fetch join을 했을 경우 1차 캐시에 많은 데이터가 담기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강의 듣는 중 질문이 있어 남깁니다. 만약 team의 개수가 수, 수십만개의 데이터가 나오는 경우라면 모두 1차캐시로 들어가는 건가요? 만약 그럴 경우 생기는 문제는 없는건가요? 영속성 컨텍스트의 1차캐시가 감당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은 얼마나 되는건가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PersistenceContext 질문
안녕하세요 jpa api 강의와 이번 강의를 들으면서 repository에서 EntityManager를 정의하는 방식이 달라서 이 두 방식의 차이점이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항상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RequiredArgsConstructorpublic class ItemRepository { private final EntityManager em; @PersistenceContextprivate EntityManager em;
-
해결됨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테스트 코드에서 @autowired 사용 질문입니다!
강의 중 테스트 코드 작성시 Repository 와 같은 경우 autowired가 아닌 생상자 주입을 권장한다고 해주셨는데 혹시 그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힝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도메인 서비스
안녕하세요! 강의 막바지에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도메인 서비스 이렇게 계층을 한 단계 더 나누는 경우가 있다고 말씀해주신거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1. 위와 같은 구조는 [컨트롤러,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도메인 서비스, 도메인, 리파지토리] 이렇게 구성되는건가요? 2. 위와 같이 구성 시 장점이 어떤 것이 있는 것인가요? 3. 위와 같은 프로젝트 구조말고 다른 구조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검색어정도만 알려주실 수 있다면 구글링해서 찾아보겠습니다. 질문이 조금 많네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외래키에 해당하는 컬럼으로 조회하고 싶을때는 어떻게 하면 될까요???
특정 팀 소속인 사용자 목록을 얻고 싶다면 Member Repository에서 아래와 같이 만들어서 findByTeam(Team team, Pageable pageable); Team 객체에 해당하는 Team의 id 값을 담아서 조회 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식 맞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