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동시성 문제 테스트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안녕하세요.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현재, 서로 다른 두 트랜잭션이 동시에 실행될 때 발생할 수 있는 동시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락을 적용해두었습니다. 테스트 코드에서는 락이 없는 경우에는 문제 상황이 발생하고, 락 적용 시에는 정상 작동함을 보여주고자 합니다.인터넷에서 관련 자료를 찾아본 결과, Executor와 CountDownLatch를 활용하여 동시성 문제를 테스트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하길래, 저도 이를 적용해 테스트를 구성하려 하고 있습니다. 멀티스레딩 환경에서는 실행 순서가 보장되지 않으므로, 운이 나쁘면 두 트랜잭션이 순차적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고 생각했고 실행 순서를 제어하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코드로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그러나 Executor와 CountDownLatch만으로는 트랜잭션 단위로 묶인 작업들의 실행 순서를 제어하기 어려워, 원하는 동시성 문제 시나리오를 재현하는 데 한계가 있었습니다. wait, notify 등의 스레드 제어 메서드를 활용하면 원하는 실행 순서를 만들 수 있을 것 같지만, 이것이 최선의 방법인지 고민이 되어 질문드립니다. 선생님께서는 동시성 문제 테스트를 진행할 때, 실행 순서를 제어하여 문제가 발생하는 시나리오를 인위적으로 만들고 이런 상황에서도 정상 작동함을 확인하시나요? 아니라면 동시성 문제를 테스트할 때 어떤 방법을 사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자꾸만 이런식으로 에러가나는데 이유점 알려주세요 ㅠㅠㅠ
살려주세요 선생님..ㅠ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java -jar jpashop-0.0.1-SNAPSHOT.jar 예외발생
20분 47초경에서 정체중입니다.위와같은 오류가 계속 발생중입니다.위는 project structure입니다인텔리제이에서 그냥실행했을떄는 잘 작동합니다.
-
미해결[초급] 찍어먹자! 코틀린과 Spring Security + JWT로 회원가입 만들기
로그인 후 Token 발행 시 postman 에러메시지
안녕하세요. 본 수강 열심히 잘 듣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제가 Postman으로 로그인하고나서 Token을 발행할 시에 postman에 테스트해본 결과 결과코드는 SUCCESS라고 나오고 data에도 Bearer에 토큰이 들어간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러나 메시지에는 정상완료가 아닌 에러가 발생했다고 해서 제가 아무리 코드를 확인하였지만 어디부분에서 잘못된건지 확인이 힘들었습니다. 사실은 선생님께서 보내주신 파일을 업로드안하고 강의보면서 제가 직접 코드를 타이핑쳤었는데 손코딩을해서 그런지 오타가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불가피하게 파일을 덮어씌우는게 좋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v4에서 DTO 전용 리포지토리를 만들 때 유지보수 비용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package jpabook.jpashop.repository.order.simplequery;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Repository; import javax.persistence.EntityManager; import java.util.List; @Repository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SimpleQueryRepository { private final EntityManager em; public List<OrderSimpleQueryDto> findOrderDtos() { return em.createQuery( "select new jpabook.jpashop.repository.order.simplequery.OrderSimpleQueryDto(o.id, m.name, o.orderDate, o.status, d.address)" + " from Order o" + " join o.member m" + " join o.delivery d", OrderSimpleQueryDto.class) .getResultList(); } } 이 코드 같은 경우 유지보수가 더 좋아졌다고 할 수 있나요?만약, 다른 도메인 계층에 있는 엔티티가 수정될 경우 오히려 이 부분도 수정해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한다고도 볼 수 있지 않나요? 원래처럼 일반 리포지토리에 두었을 때 API에 핏하게 설계했기 때문에 API 스펙이 변경될 경우 리포지토리를 수정해야하는 거랑 따로 DTO 전용 리포지토리를 만들었을 때 다른 도메인 계층의 엔티티가 수정되었을 때 이 부분 코드를 수정하는 거랑 유지보수 비용이 어느게 더 적은 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MemberRepositoryTest를 junit5용으로 고쳤는데 오류가발생합니다 + junit4를 사용해야만 할까요?
https://drive.google.com/file/d/1PBHzDQJ0Odvh2KWMa_BTOu3PZqHrMJkj/view?usp=drive_linkMemberRepositoryTest를 실행하면 이렇게 됩니다. junit5로 하고 있는데 이런식으로 오류가 발생합니다. JPA와 DB 설정, 동작확인 13분경까지 들었습니다. JpashopApplication를 실행해도 오류가 발생하기 시작했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값 타입 컬렉션 대안
아래와 같이 엔티티를 만들고, 여기에서 값 타입을 사용하는 것은 임베디드 타입을 사용하는 것과 어떤 차이가 있나요?@Embedded라는 애노테이션을 붙이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똑같이 엔티티에서 Address 객체를 필드로 갖는데 무슨 차이인가 해서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MemberRepositoryTest junit5로 고친후 오류발생 + junit4를 사용해야만 할까요?
junt4로 gradle에서 설정하려고 하면 오류가 발생해서 juit5로 하는 중입니다. MemberRepositoryTest를junit5버전으로 고쳐서 아래의 코드로 실행했는데 오류가 나고 있습니다import jpabook.jpashop.Member; import jpabook.jpashop.MemberRepository; //import jpabook.jpashop.domain.Member; //import jpabook.jpashop.repository.MemberRepository; import org.assertj.core.api.Assertions;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junit.jupiter.api.extension.ExtendWith;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annotation.Rollback;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jupiter.SpringExtension;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ExtendWith(SpringExtension.class) // JUnit 5 방식 @SpringBootTest public class MemberRepositoryTest { @Autowired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Test @Transactional @Rollback(false) public void testMember() {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Username("memberA"); Long savedId = memberRepository.save(member); Member findMember = memberRepository.find(savedId); Assertions.assertThat(findMember.getId()).isEqualTo(member.getId()); Assertions.assertThat(findMember.getUsername()).isEqualTo(member.getUsername()); Assertions.assertThat(findMember).isEqualTo(member); // JPA 엔티티 동일성 보장 } }밑에는 오류입니다.Unable to find a @SpringBootConfiguration by searching packages upwards from the test. You can use @ContextConfiguration, @SpringBootTest(classes=...) or other Spring Test supported mechanisms to explicitly declare the configuration classes to load. Classes annotated with @TestConfiguration are not considered.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Unable to find a @SpringBootConfiguration by searching packages upwards from the test. You can use @ContextConfiguration, @SpringBootTest(classes=...) or other Spring Test supported mechanisms to explicitly declare the configuration classes to load. Classes annotated with @TestConfiguration are not considered.at org.springframework.util.Assert.state(Assert.java:79)1. @SpringBootTest(classes=...)로 명시적으로 설정 클래스 지정2. @SpringBootApplication이 있는 클래스의 위치 확인3. @ContextConfiguration을 사용해서 명시적으로 설정 클래스 지정이세가지를 시도해도 안되고 있습니다. 아니면 juni4룰 사용해야만 할까요?build.gradle에 JUnit4 추가 testImplementation("org.junit.vintage:junit-vintage-engine") { exclude group: "org.hamcrest", module: "hamcrest-core" }를 하면 Build file 'C:\Users\Peter\Desktop\study\jpashop\build.gradle' line: 45A problem occurred evaluating root project 'jpashop'.> Could not find method testImplementation() for arguments [org.junit.vintage:junit-vintage-engine, build_55eer8btj8rd1l6xp0yqapa0y$_run_closure6@6e20627f] on root project 'jpashop' of type org.gradle.api.Project.라고 나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양방향 매핑에서 보여주는 테이블 연관관계의 관계선표기가 제대로 되어있는건가요 ?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질문 내용]PPT 양방향 매핑에서 테이블연관관계를 나타낼때TEAM의 PK가 MEMBER의 FK 로 존재한다면실선이 아닌 점선으로 표현되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MEMBER의 경우 TEAM_ID가 PK가 아니니까 null을 허용할 수 있으니 팀이 없는 경우가 존재할 테니까 멤버가 팀을 가지고 있는 것은 선택적인 관계로 점선으로 표현해야하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
해결됨RabbitMQ를 이용한 비동기 아키텍처 한방에 해결하기
강의와 살짝 무관하지만.. MQ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RabbitMQ도 충분히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입니다.근데 이제 한번 소비한 메시지는 소비하면서 어딘가에 또 저장하지 않는 이상 재시도가 어려운것으로 알고있습니다.현업에서 RabbitMQ를 도입하시고 사용하시면서 Kafka의 어떤 토픽의 0번 오프셋부터 읽기(earliest)같은 요구사항이 있었던 적은 없으셨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연관관계 주인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강의에서 CATEGORY 엔티티에 Jointable을 만들고 Item에서 mappedBy를 통해 조회하였습니다. 제가 배운바로는 연관관계 주인은 외래키를 관리한다 하였는데 Jointable이 연관관계 주인 아닌가요?? 그러면 CATEGORY에서도 mappedBy를 설정해야 하는것이 아닌가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
안녕하세요.연관관계 편의 메서드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일대다 혹은 다대일 양방향 관계에서, 일 과 다 두 엔티티 모두에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를 만드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연관관계에 종속되는(mappedBy) 엔티티에만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를 작성하는게 좋을까요? @JoinColumn 과 mappedBy 로 연관관계의 주인만 잘 설정하면 DB 의 FK 에는 값이 잘 매핑될거고..다만 객채 관점에서 양방향 객체의 탐색을 위해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를 작성하는 것으로 알아서, 그렇다고 하면 FK 키가 없는 쪽 엔티티(mapped BY) 에만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를 만들면 되지 않을까 싶어서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vite + react <MainPage/> intelij
안녕하세요 인텔리제이 사용중인데create react app으로 하게 되면 더이상 지원하지 않는다 하여 vite + react로 적용해서 프로젝트 만들어서 하고 있습니다현재 2강 React-Router 이용해서 메인 페이지 띄우는 작업중인데 오류가 발생하여 진행이 안됩니다 그리고 매번 강의 때마다 오류 수정하느라 강의가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의는 더이상 업데이트 계획이 없으실까요? 리액트 프로젝트 생성부터 막혀서 진행이 원할하게 되지않습니다 환불하고 싶은데 기간도 지나서 환불도 안되고 답답하네요 매번 이런식으로 물어보면서 수정해야 하나요?? 매뉴얼이라도 만들어주세요 정말 불편합니다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9강 kakao api로 아이디 생성 후 오류
9강 리액트 사용자 정보 수정 중에 kakao api 연동해서 그전까지 잘되는데, 디비에 카카오 사용자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로그인을 하면 디비에 member와 member_member_role_list 두 테이블 사용자가 잘 생성됩니다. 서버에는 getClaims 함수실행에서 오류가 발생하고 DTO에 정보를 못찾는다는거 같은 오류인거 같은데화면상에는 이렇게 나옵니다.새로고침 후의 상태이고그냥 localhost:3000 으로 다시 들어가서 로그인을 하면 디비에는 카카오사용자가 생성이 된 상태라 로그인이 잘됩니다.... 원인이 무엇일까요@GetMapping("/api/member/kakao") public Map<String, Object> getMemberFromKakao(String accessToken) { log.info("access Token : {}", accessToken); MemberDTO memberDTO = memberService.getKakaoMember(accessToken); Map<String, Object> claims = memberDTO.getClaims(); String jwtAccessToken = JWTUtil.generateToken(claims, 10); String jwtRefreshToken = JWTUtil.generateToken(claims, 60 * 24); claims.put("accessToken", jwtAccessToken); claims.put("refreshToken", jwtRefreshToken); return claims; }public Map<String, Object> getClaims() { Map<String, Object> dataMap = new HashMap<>(); dataMap.put("email", email); dataMap.put("pw", pw); dataMap.put("nickname", nickname); dataMap.put("social", social); dataMap.put("roleNames", roleNames); return dataMap; }import axios from "axios" import { API_SERVER_HOST } from "./todoApi" const rest_api_key = `` const redirect_uri = `http://localhost:3000/member/kakao` const auth_code_path = `https://kauth.kakao.com/oauth/authorize` const access_token_url =`https://kauth.kakao.com/oauth/token` export const getKakaoLoginLink = () => { const kakaoURL = `${auth_code_path}?client_id=${rest_api_key}&redirect_uri=${redirect_uri}&response_type=code` return kakaoURL } export const getAccessToken = async (authCode) => { const header = { headers: { "Content-Type":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 } const params = { grant_type: "authorization_code", client_id: rest_api_key, redirect_uri: redirect_uri, code: authCode } const res = await axios.post(access_token_url, params, header) const accessToken = res.data.access_token return accessToken } export const getMemberWithAccessToken = async (accessToken) => { const res = await axios.get(`${API_SERVER_HOST}/api/member/kakao?accessToken=${accessToken}`) return res.data }rest_api_key에 restkey입력되어있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OneToMany,@JoinColumn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안녕하세요, 공부하다가 정리한 제 생각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JoinColumn: 외래 키(Foreign Key, FK)를 소유하는 엔티티이며, 해당 필드를 가진 엔티티는 연관관계의 주인이다. JPA가 연관된 상대 엔티티에 name으로 지정한 Column을 추가한다.> @OneToMany: 기본적으로 연관관계의 주인이 아니며(1인 team에 FK값인 member_id를 가지면 불필요한 데이터 증가하기 때문) 연관관계 주인인 테이블에 추가적인 update SQL이 진행된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왜 select에서 left join을 수행하더라도 count에서는 left join을 수행하지 않나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질문도 드리고, 맞다면 메뉴얼에 추가할 만한 내용이 있는 것 같아서 글 남겼습니다! Page를 조회해올 때, left join을 사용한 경우, countQuery에 대해 명시하지 않더라도 count 쿼리문에서는 join 문이 확인되지 않았는데, 이것 또한 하이버네이트6에서 최적화하여 join 문을 생략한 것일까요? 하이버네이트6에서 left join을 직접 추가하더라도 내부적으로 최적화하는 질문을 보고 메뉴얼("스프링 부트 3 - 하이버네이트 6 left join 최적화 설명 추가")도 확인했습니다.그럼에도 join을 강제로 수행시켜도 count 쿼리 또한 join 돼서 수행되는지 확인하고 싶어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작성해봤습니다.@Query(value = "select m,t from Member m left join m.team t") Page<Member> findPageByAge(int age, Pageable pageable);@Test public void paging() { //given memberRepository.save(new Member("member1", 10)); memberRepository.save(new Member("member2", 10)); memberRepository.save(new Member("member3", 10)); memberRepository.save(new Member("member4", 10)); memberRepository.save(new Member("member5", 10)); int age = 10; PageRequest pageRequest = PageRequest.of(0, 3, Sort.by(Direction.DESC, "username")); Page<Member> page = memberRepository.findPageByAge(age, pageRequest); //then List<Member> members = page.getContent(); long totalElements = page.getTotalElements(); assertThat(members.size()).isEqualTo(3); assertThat(totalElements).isEqualTo(5); assertThat(page.getNumber()).isEqualTo(0); assertThat(page.getTotalPages()).isEqualTo(2); assertThat(page.isFirst()).isTrue(); assertThat(page.hasNext()).isTrue(); }테스트 코드는 강의와 똑같이 작성하고, 쿼리문에서 select m, t로 한 뒤 countQuery는 별도로 추가하지 않았습니다.이때, 수행되는 쿼리가 다음과 같은데,select m1_0.member_id, m1_0.age, m1_0.team_id, m1_0.username, t1_0.team_id, t1_0.name from member m1_0 left join team t1_0 on t1_0.team_id=m1_0.team_id order by m1_0.username desc fetch first ? rows onlyselect count(m1_0.member_id) from member m1_0countQuery를 명시하지 않았음에도, 강의와 달리 count 쿼리문에서는 join이 수행되지 않았습니다.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DTO 설정과 서비스계층 만들기 강의에서 TodoServiceTests를 실행시켰는데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강의를 따라서 코딩하고 실행시켜 봤는데 아래와 같은 내용으로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어떤 곳이 문제가 있는 알려 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혹시 확인하고 싶으신 게 있다면 알려 주셨으면 합니다. :: Spring Boot :: (v3.4.1)2025-02-11T11:28:59.109+09:00 INFO 2836 --- [apiserver] [ Test worker] o.z.apiserver.service.TodoServiceTests : Starting TodoServiceTests using Java 21.0.5 with PID 2836 (started by zzamp in C:\Users\zzamp\Desktop\apiserver\apiserver)2025-02-11T11:28:59.110+09:00 INFO 2836 --- [apiserver] [ Test worker] o.z.apiserver.service.TodoServiceTests : No active profile set, falling back to 1 default profile: "default"2025-02-11T11:28:59.445+09:00 INFO 2836 --- [apiserver] [ Test worker] .s.d.r.c.RepositoryConfigurationDelegate : Bootstrapping Spring Data JPA repositories in DEFAULT mode.2025-02-11T11:28:59.484+09:00 INFO 2836 --- [apiserver] [ Test worker] .s.d.r.c.RepositoryConfigurationDelegate : Finished Spring Data repository scanning in 32 ms. Found 1 JPA repository interface.2025-02-11T11:28:59.760+09:00 INFO 2836 --- [apiserver] [ Test worker] o.hibernate.jpa.internal.util.LogHelper : HHH000204: Processing PersistenceUnitInfo [name: default]2025-02-11T11:28:59.801+09:00 INFO 2836 --- [apiserver] [ Test worker] org.hibernate.Version : HHH000412: Hibernate ORM core version 6.6.4.Final2025-02-11T11:28:59.824+09:00 INFO 2836 --- [apiserver] [ Test worker] o.h.c.internal.RegionFactoryInitiator : HHH000026: Second-level cache disabled2025-02-11T11:28:59.996+09:00 INFO 2836 --- [apiserver] [ Test worker] o.s.o.j.p.SpringPersistenceUnitInfo : No LoadTimeWeaver setup: ignoring JPA class transformer2025-02-11T11:29:00.015+09:00 INFO 2836 --- [apiserver] [ Test worker]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tarting...2025-02-11T11:29:00.071+09:00 INFO 2836 --- [apiserver] [ Test worker]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HikariPool-1 - Added connection org.mariadb.jdbc.Connection@72f24a842025-02-11T11:29:00.073+09:00 INFO 2836 --- [apiserver] [ Test worker]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tart completed.2025-02-11T11:29:00.107+09:00 INFO 2836 --- [apiserver] [ Test worker] org.hibernate.orm.connections.pooling : HHH10001005: Database info: Database JDBC URL [Connecting through datasource 'HikariDataSource (HikariPool-1)'] Database driver: undefined/unknown Database version: 10.11.10 Autocommit mode: undefined/unknown Isolation level: undefined/unknown Minimum pool size: undefined/unknown Maximum pool size: undefined/unknown2025-02-11T11:29:00.552+09:00 INFO 2836 --- [apiserver] [ Test worker] o.h.e.t.j.p.i.JtaPlatformInitiator : HHH000489: No JTA platform available (set 'hibernate.transaction.jta.platform' to enable JTA platform integration)2025-02-11T11:29:00.580+09:00 INFO 2836 --- [apiserver] [ Test worker] j.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 : Initialized JPA EntityManagerFactory for persistence unit 'default'2025-02-11T11:29:00.892+09:00 WARN 2836 --- [apiserver] [ Test worker] JpaBaseConfiguration$JpaWebConfiguration : spring.jpa.open-in-view is enabled by default. Therefore, database queries may be performed during view rendering. Explicitly configure spring.jpa.open-in-view to disable this warning2025-02-11T11:29:01.216+09:00 INFO 2836 --- [apiserver] [ Test worker] o.z.apiserver.service.TodoServiceTests : Started TodoServiceTests in 2.251 seconds (process running for 3.134)Mockito is currently self-attaching to enable the inline-mock-maker. This will no longer work in future releases of the JDK. Please add Mockito as an agent to your build what is described in Mockito's documentation: https://javadoc.io/doc/org.mockito/mockito-core/latest/org/mockito/Mockito.html#0.3WARNING: A Java agent has been loaded dynamically (C:\Users\zzamp\.gradle\caches\modules-2\files-2.1\net.bytebuddy\byte-buddy-agent\1.15.11\a38b16385e867f59a641330f0362ebe742788ed8\byte-buddy-agent-1.15.11.jar)WARNING: If a serviceability tool is in use, please run with -XX:+EnableDynamicAgentLoading to hide this warningWARNING: If a serviceability tool is not in use, please run with -Djdk.instrument.traceUsage for more informationWARNING: Dynamic loading of agents will be disallowed by default in a future releaseHibernate: select t1_0.tno,t1_0.complete,t1_0.content,t1_0.due_date,t1_0.title from tbl_todo t1_0 where t1_0.tno=?No value presentjava.util.NoSuchElementException: No value present at java.base/java.util.Optional.orElseThrow(Optional.java:377) at org.zerock.apiserver.service.TodoServiceImpl.get(TodoServiceImpl.java:24) at org.zerock.apiserver.service.TodoServiceTests.testGet(TodoServiceTests.java:20) at java.base/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80) 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96) 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96)Java HotSpot(TM) 64-Bit Server VM warning: Sharing is only supported for boot loader classes because bootstrap classpath has been appended> Task :testTodoServiceTests > testGet() FAILED java.util.NoSuchElementException at TodoServiceTests.java:20타깃 VM에서 연결 해제되었습니다. 주소: 'localhost:4408', 전송: '소켓'2025-02-11T11:29:32.264+09:00 INFO 2836 --- [apiserver] [ionShutdownHook] j.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 : Closing JPA EntityManagerFactory for persistence unit 'default'2025-02-11T11:29:32.265+09:00 INFO 2836 --- [apiserver] [ionShutdownHook]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hutdown initiated...2025-02-11T11:29:32.268+09:00 INFO 2836 --- [apiserver] [ionShutdownHook]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hutdown completed.> Task :test FAILED1 test completed, 1 failedFAILURE: Build failed with an exception.* What went wrong:Execution failed for task ':test'.> There were failing tests. See the report at: file:///C:/Users/zzamp/Desktop/apiserver/apiserver/build/reports/tests/test/index.html* Try:>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BUILD FAILED in 36s5 actionable tasks: 5 executed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트랜잭션 내에서 엔티티를 저장하는 경우. (+ Unique 제약 조건)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현재 JPA 강의를 수강하고, 프로젝트를 진행중인데 의문점이 들어서 질문 드립니다.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public UserService { @Transactional public void loginExample(String phoneNumber) { // 저장 Member member = memberRepository.save(Member.from(phoneNumber)); // JWT Logic. // // return; } }코드가 위와 같을때, Member Entity의 id 생성 전략이 IDENTITY 인 경우, save 호출 시점에 DB에 조회를 발생시켜 아이디를 가져오는 것으로 이해하였습니다. 만약 동일한 핸드폰번호로 동시에 요청이 들어오게 된다면,(핸드폰 번호는 Unique 제약 조건을 갖고 있습니다.)특정 트랜잭션 A에서 save 까지만 성공한 후, 컨텍스트 스위칭이 발생하여 트랜잭션 B에서 save 함수를 새로 호출하게 되는 시점에 트랜잭션 A가 아직 Commit 되지 않았는데 어떻게 충돌을 감지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save 이후에 예외를 반환해도 Rollback이 되지 않고, 그대로 Row가 남아있는걸로 보아선, JPARepository.save 메서드는 부모 트랜잭션과 별개의 트랜잭션으로 동작하는 것일까요? 따라서, ID의 GenerationType 이 AUTO(IDENTITY)인 경우에 save 메서드는 부모 트랜잭션에 종속되지 않은 독립된 트랜잭션인 것인지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하이버네이트 프록시객체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영한 님 강의를 들으며 공부하던 중 findAll 메서드를 통해 가져온 List<Member> members의 각 Member들이 team 필드에 프록시 객체를 들고 있다고 말씀하셨는데, 해당 프록시 객체의 값을 디버깅해 본 결과 그 안에 이미 값이 존재 했습니다. console을 확인해보니 아직 db에 쿼리를 날리기 전인데(쿼리를 날리기 전인지 p6spy에 들어오기 전인지는 확인하지 못한 점 죄송합니다.) members의 각 Member들의 team필드에 프록시 객체가 존재하지만 그 안에 이미 team의 값이 들어있는데 em.clear()를 통해 영속성콘텍스트마저 비워줬는데 어떻게 이미 알고 있는 건가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섹션 4 영속성 관리 - 내부 동작 방식' 관련 내용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처음에 Member 테이블이 비어있는 상태입니다.아래 코드를 첫번째 실행할때는 insert, insert, update 총 3번의 쿼리가 날아가고,두번째 실행할때는 insert, insert 총 2번의 쿼리가 날아가게 됩니다. 왜 첫 번째 실행시에는 update 쿼리가 날아가지만, 동일한 코드를 두 번째 실행할때는 update 쿼리가 날아가지 않는지 궁금합니다.둘다 persist시에 영속성 컨텍스트의 1차캐시에 PK가 150L인 엔티티가 저장되고, find시에 DB가 아닌 해당 1차 캐시에서 가져오는 것이라고 이해했습니다. 그렇다면 두 코드 모두 변경 감지(Dirty Checking)에 의해 update가 날아가야하는 것 아닌가요?public class Jpa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ntityManagerFactory emf = 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hello"); EntityManager em = emf.createEntityManager(); EntityTransaction tx = em.getTransaction(); tx.begin(); try { // 트랜잭션을 지원하는 쓰기 지연 Member member1 = new Member(150L, "A"); Member member2 = new Member(160L, "B"); em.persist(member1); em.persist(member2); System.out.println("================"); // 변경 감지 Member member = em.find(Member.class, 150L); member.setName("ZZZ"); tx.commit(); } catch (Exception e) { tx.rollback(); } finally { em.close(); } emf.clos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