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퀘이사(Quasar) 완벽 마스터: Vue 프론트 웹을 빠르게 만들고 싶다면! (Based Vue3)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vue와 해당강의 결제하고 조망간 스터디시작하고 실무에 토이 프로젝트 및admin정도 실무에 적용해보려하는데요.grid 와 editor는 혹시 어떤 제품이 좋은지 가이드좀 주실수있을지요(무료/유료)그리고 목적에따라 다를거같긴한데 아직 잘몰라서next를 사용하는것에 대해서는 의견이 어떠신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언어
배열 const
const int NUM_DAYS = 365; char my_chars[] = "Hello World"; int daily_temperature[NUM_DAYS]; double stock_prices_history[NUM_DAYS]; printf("%zd\n", sizeof (stock_prices_history)); printf("%zd\n", sizeof (double) * NUM_DAYS); printf("%zd\n", sizeof(stock_prices_history[0])); xcode로 프로그램을 작성 하고있는데const는 런타임때 작동해서 오류가 뜬다고 하셨는데xcode에서는 왜 const로 배열선언이 되는건가용?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처음으로 혼자 풀었어요 + 질문
http://boj.kr/1b020a2dc9ba4a3a9350e79277dcd361C문법만 배우고 바로 알고리즘 뛰어들었는데1-A부터 1-K까지 혼자서 100%풀어본 적이 한 번도 없었어요..로직은 혼자서 어느정도 구성한다 해도 스스로 조립을 못하는 경우도 많았고로직 자체도 집중하면서 30분넘게 생각해도 이상하게 설계하는 것도 많았는데..드디어 강의 보기전에 혼자서 완성을 시켰네요 ㅠㅠ 질문)교안에 있는거 다 이해는 했지만 주로 사용하는게 아니면 자꾸 까먹거나 응용을 못하는데그냥 문제에 나왔을 때 복습하면 안될까요? 교안을 100% 외워서 문제에 바로 적용시키는건 저한텐 너무 어려운 공부방법인것 같아요ㅠㅠ예를 들어 강의 듣기 전 로직을 설계할 때 여기선 map을 쓰면 될거같은데 map에 key가 앞인지 value가 앞인지 헷갈린다 싶을 때 복습하는 방식으로요!이렇게 해도 괜찮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이번 강의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아직 개인적으로 개발 공부 중인 저에게 너무 앞서가는 내용이 아닌가 싶기도 하고 실제로 Map 등 java에 관한 이해가 아직 부족해서 이 부분을 패스하고 나중에 필요할 때 다시 들어도 공부하는 틀에 큰 지장이 없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
미해결[왕초보편] 앱 8개를 만들면서 배우는 안드로이드 코틀린(Android Kotlin)
답변이 제대로 안 된 듯해서 다시 올립니다.
번거롭게 해서 죄송합니다.이렇게 뜨고 실행시키면이렇게 나타납니다.ㅠ
-
미해결[NarP Series] MVC 프레임워크는 내 손에 [나프1탄]
다시 질문드립니다.
mvc04 import 한 뒤 memberRegister.do 가 정상적으로 나오는데 이후 가입을 누르면이런 오류가 뜨게 됩니다.보니까 sql 문제인거 같기도 하고 자꾸 가입실패가 뜹니다. 어떤 점을 중점으로 봐야되나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vscode 확장 어떤거 사용하시나요?
vscode 강의랑 맞출려고하는데 확장 어떤거 사용하셨을까요?
-
미해결[왕초보편] 앱 8개를 만들면서 배우는 안드로이드 코틀린(Android Kotlin)
지금 버전에서는 Device Manager맞나요?
말씀하시는 게 없습니다.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save-result.jsp 404 에러
https://drive.google.com/file/d/1QG0d3geR9TiWbMjfYKgHT4F48Qmvl_lZ/view?usp=share_link 구글 드라이브 링크 입니다.. 잘 따라가고 있는데 틀린 코드가 없는거 같은데 회원가입 submit 하면 404에러가 나오네요.. save.jsp 경로를 못 찾는거 같은데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MVC 패턴 - 적용 16분 부분에서 나온겁니다..ㅠ
-
미해결구글 스프레드시트로 배우는 업무 자동화(직장인 코딩)
API강의문서 질문
API강의하는 word문서는 따로 제공하지않는걸까요?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2: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A star알고리즘 closed부분
여기서 continue; 부분에 브레이크를 걸고 계속 실행시켰는데 멈추지 않습니다 어떤 상황에 걸리는지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파이썬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코딩테스트 대비)
백준 10815번 list와 set차이
안녕하세요, 선생님항상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https://www.acmicpc.net/problem/10815 제가 백준을 푸는데, 이 10815번 문제가 list로 찾으면 시간 초과가 뜨고, set으로 바꿔서 찾으면 시간 초과가 안뜨더라고요..set이 순서가 없고, 중복이 안된다는것은 알고있습니다.하지만 왜 set으로 바꿔서 속도가 빨라지는건지 궁금합니다. list를 사용한 코드 - 시간 초과N = int(input()) a = list(map(int, input().split())) M = int(input()) b = list(map(int, input().split())) for i in b: if i in a: print(1) else: print(0) set을 사용한 코드N = int(input()) a = set(map(int, input().split())) M = int(input()) b = set(map(int, input().split())) for i in b: if i in a: print(1) else: print(0)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JdbcTemplate 단건 숫자조회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섹션2 - JdbcTemplate 정리의 단건조회 - 숫자조회 부분에서 int rowCount = jdbcTemplate.queryForObject("select count(*) from t_actor", Integer.class);부분에서 NamedParameterJdbcTemplate의 queryForObject에는 위처럼 SQL문과 자료형만 넣는 메서드를 찾을 수 없었고 중간에 Collections.emptyMap()을 넣거나, 아니면 query 메서드를 사용해야 하는 것으로 보이는데이 부분은 NamedParameterJdbcTemplate에서는 그대로 사용할 수 없고 그냥 JdbcTemplate을 사용할 때만 실행가능한 코드인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
sentence transformer tokenizer 학습 필요성
sentence transformer tokenizer에 대해서 찾아보고 있던 차에 허깅페이스를 통해 사전학습된 모델을 로드하여 사용하려고 하는데요.AutoTokenizer.from_pretrained('sentence-transformers/stsb-xlm-r-multilingual')위의 코드를 통해 토크나이저를 로드하는데 궁금한 것이 생겼습니다.해당 코드를 통해서 토크나이저를 로드 후에 한국어, 영어 모두 토큰화 시에 둘다 이상없이 토큰화가 진행되는데 구글링 하다보니 토크나이저를 한국어.txt 파일을 가져와서 따로 학습(train)하는 과정을 거치는 경우가 많더라구요.그래서 궁금한 점을 정리하자면로드한 외국어 모델인 경우에 로드되는 토크나이저는 한국어를 토크나이징할 때 사용하면 안될까요?(혹은 위처럼 한국어 corpus를 사용해서 학습을 거치고 사용하는게 좋은지?)허깅페이스에서 사전학습된 모델에 대한 설명은 있더라도 그 모델이 가진 토크나이저 정보는 없는데 보는 방법이 따로 있나요?예시와 같이 multiingual 모델은 학습된 여러가지 외국어에 대해서는 학습이 되어 있으니 언어에 상관없이 그냥 사용하는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3-C 제가 처음 풀었던 방식입니다
http://boj.kr/52e2462c48d9428b8fed65ba1be10f27먼저 문제보고 혼자 풀어본 후에 큰돌님꺼 보는식으로 공부하고 있습니다bfs 이용해서 테스트케이스 모두 통과했었는데 4%에서 틀렸다고 뜨네용..혹시 반례나 제가 놓치고 있는 부분이 있을까요?
-
해결됨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안녕하세요. 강의 블로그를 정리했는데 괜찮을지 여쭤봅니다..
안녕하세요. 강의를 보고 블로그에 정리해보았는데 괜찮을지 여쭤봅니다.정리한지는 꽤 되었지만.. 최근 문제가 될 것 같다는 댓글을 받아서 여쭤봅니다.https://azurealstn.tistory.com/123#comment14716519위 글은 강의를 보고 정리한 글입니다.이상한 요지가 조금이라도 발견하시면 바로 비공개로 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언어
boolean
int True = 1;int False = 0;이렇게 안하고 boolean을 사용 하는 이유가정수인지 true, false인지 명확하게 구분 짓기 위해 boolean을 사용 한다고 하셨는데명확하게 구분 지으면 무슨 이점이 있는건가요??컴퓨터 안에서는 그냥 0 아니면 1로만 인식 하는거 아닌가요??
-
미해결Slack 클론 코딩[실시간 채팅 with React]
POST http://localhost:3090/api/users net::ERR_INTERNET_DISCONNECTED
제로초님, 코드는 정확히 따라 한 거 같은데, 무엇이 문제인지 판단이 안되네요...리액트 v18, 타입스크립트 v18, axios는 1.2.3 입니다. webpackimport path from 'path'; import ReactRefreshWebpackPlugin from '@pmmmwh/react-refresh-webpack-plugin'; import webpack, { Configuration as WebpackConfiguration } from "webpack"; import { Configuration as WebpackDevServerConfiguration } from "webpack-dev-server"; interface Configuration extends WebpackConfiguration { devServer?: WebpackDevServerConfiguration; } import ForkTsCheckerWebpackPlugin from 'fork-ts-checker-webpack-plugin'; const isDevelopment = process.env.NODE_ENV !== 'production'; const config: Configuration = { name: 'sleact', mode: isDevelopment ? 'development' : 'production', devtool: !isDevelopment ? 'hidden-source-map' : 'eval', resolve: { extensions: ['.js', '.jsx', '.ts', '.tsx', '.json'], alias: { '@hooks': path.resolve(__dirname, 'hooks'), '@components': path.resolve(__dirname, 'components'), '@layouts': path.resolve(__dirname, 'layouts'), '@pages': path.resolve(__dirname, 'pages'), '@utils': path.resolve(__dirname, 'utils'), '@typings': path.resolve(__dirname, 'typings'), }, }, entry: { app: './client', }, module: { rules: [ { test: /\.tsx?$/, loader: 'babel-loader', options: { presets: [ [ '@babel/preset-env', { targets: { browsers: ['IE 10'] }, debug: isDevelopment, }, ], '@babel/preset-react', '@babel/preset-typescript', ], env: { development: { plugins: [['@emotion', { sourceMap: true }], require.resolve('react-refresh/babel')], }, production: { plugins: ['@emotion'] } }, }, exclude: path.join(__dirname, 'node_modules'), }, { test: /\.css?$/, use: ['style-loader', 'css-loader'], }, ], }, plugins: [ new ForkTsCheckerWebpackPlugin({ async: false, // eslint: { // files: "./src/**/*", // }, }), new webpack.EnvironmentPlugin({ NODE_ENV: isDevelopment ? 'development' : 'production' }), ], output: { path: path.join(__dirname, 'dist'), filename: '[name].js', publicPath: '/dist/', }, devServer: { historyApiFallback: true, // react router port: 3090, devMiddleware: { publicPath: '/dist/' }, static: { directory: path.resolve(__dirname) }, proxy: { '/api/': { target: 'http://localhost:3095', changeOrigin: true, }, }, }, }; if (isDevelopment && config.plugins) { config.plugins.push(new webpack.HotModuleReplacementPlugin()); config.plugins.push(new ReactRefreshWebpackPlugin()); } if (!isDevelopment && config.plugins) { } export default config; index.tsximport useInput from "@hooks/useInput"; import React, { useCallback, useState } from "react"; import { Form, Label, Input, LinkContainer, Button, Header, Error} from './styles' import axios from "axios"; const SignUp = () => { const [email, onChangeEmail] = useInput('');//useInput은 커스텀 훅 const [nickname, onChangeNickName] = useInput(''); const [password, setPassword] = useState(''); const [passwordCheck, setPasswordCheck] = useState(''); const [mismatchError, setMismathError] = useState(false); const onChangePassword = useCallback((e: any) => { setPassword(e.target.value); setMismathError(e.target.value !== passwordCheck); // 함수 기준으로 외부 변수만 deps에 적어줌 내부 변수는 x }, [passwordCheck]); const onChangePasswordCheck = useCallback((e: any) => { setPasswordCheck(e.target.value); setMismathError(e.target.value !== password) }, [password]); const onSubmit = useCallback((e: React.FormEvent) => { e.preventDefault(); if(!mismatchError && nickname){ console.log('서버로 회원가입하기'); axios.post('/api/users', { email, nickname, password, }) .then((response) => { console.log(response); })//요청이 성공하면 실행 .catch((error) => { console.log(error.response); })//요청이 실패하면 실행 .finally(() => {});//성공하든 실패하든 실행시키고 싶은 것 } console.log(email, nickname, password, passwordCheck) }, [email, nickname, password, passwordCheck, mismatchError]); return ( <div id="container"> <Header>Sleact</Header> <Form onSubmit={onSubmit}> <Label id="email-label"> <span>이메일 주소</span> <div> <Input type="email" id="email" name="email" value={email} onChange={onChangeEmail} /> </div> </Label> <Label id="nickname-label"> <span>닉네임</span> <div> <Input type="text" id="nickname" name="nickname" value={nickname} onChange={onChangeNickName} /> </div> </Label> <Label id="password-label"> <span>비밀번호</span> <div> <Input type="password" id="password" name="password" value={password} onChange={onChangePassword} /> </div> </Label> <Label id="password-check-label"> <span>비밀번호 확인</span> <div> <Input type="password" id="password-check" name="password-check" value={passwordCheck} onChange={onChangePasswordCheck} /> </div> {mismatchError && <Error>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습니다.</Error>} {!nickname && <Error>닉네임을 입력해주세요.</Error>} {/* {signUpError && <Error>{signUpError}</Error>} */} {/* {signUpSuccess && <Success>회원가입되었습니다! 로그인해주세요.</Success>} */} </Label> <Button type="submit">회원가입</Button> </Form> <LinkContainer> 이미 회원이신가요? <a href="/login">로그인 하러가기</a> </LinkContainer> </div> ); }; export default SignUp;이렇게 따라 한 후에 회원 가입 누르면 아래 같은 화면이 뜹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하나의 작업을 여러 서비스 계층에서 나눠서 할때 트랜잭션 처리
예를들면 하나의 게시글을 처음 작성하며 여러 태그도 함께 붙이는 내용을 구현할 때 게시글 관련해서 PostService, 태그 관련해서 TagService로 처리를 한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public ResponseEntity(@RequestBody PostRequest postRequest) {Post post = postService.post(postRequest.toPost());tagService.addTag(postRequest.toTag());return ResponseEntity ...;}이런 형태이고 post() 메서드를 통해 게시글을 저장하고addTag() 메서드를 통해 태그를 저장한다고 할때 서로 다른 서비스 클래스의 메서드에 @Transactional 이 걸려있어서 만약 Post 엔티티를 저장한 후 Tag 엔티티를 저장해야 하는 상황에서 중간에 문제가 발생한다면 Tag는 저장이 안되었지만 Post는 저장이 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간단하게 상황 설명만을 위해 작성한 예시라 내용이 이상하지만 이런 상황에서 트랜잭션을 한번에 처리할 방법이 있을까요? 결국 하나의 트랜잭션에서 처리해야할것 같아서 위 예시의 경우 postService에서 TagService의 addTag를 호출하는 형태로 하면되지 않을까 고민해 봤습니다.보통 이런식으로 한번에 처리해야 하는 로직이 여러 서비스 계층에 나누어 있는 경우? 처리를 어떤식으로 하는지 어떤 방법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파이썬 입문 (Inflearn Original)
인터프리터 설정 할 때 이렇게 뜹니다
인터프리터 누르니까 이렇게 뜹니다3.8.6 선택해도 말씀하신 것처럼 왼쪽 아래에 버전이 뜨지 않고 0표시만 있네요어떻게 해야 하나요?이상태로 수업 받아도 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