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MySQL on Docker
HA Fail-over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평소 궁금했던 내용들이어서 강의 정말 잘 듣고있습니다.HA Fail-over 강의에서 "시스템 장애"라는 상황을 가정해서 실습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제가 궁금한 부분은 "시스템 장애"라는 문제를 간략하게 "MasterDB 작동이 중지되었다(실습에서 강제로 중지시키는 부분)." 것으로 시스템 장애 상황을 대체해서 설명해주셨습니다. 해당 부분에서 제가 생각했을 때, "시스템 장애"가 DB가 멈춘 것 외에도 다양하게 있을 것 같습니다.(경험이 없어 정확한 비유일지는 모르겠으나)예를 들어, DB와 서버간의 IO connection이 받쳐주지 못해서 DB에 데이터를 저장하지 못한다던지..? 혹은 DB rollback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던지? 혹시 "시스템 장애"에 대해 사례가 있다면 답변해 주시면 더 공부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부족한 질문이지만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오류(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No DataSource specified)
강의와 똑같이 한 것 같은데 "No DataSource specified" 오류가 뜹니다ㅠㅠ
-
미해결[신규 개정판] 이것이 진짜 크롤링이다 - 실전편 (인공지능 수익화)
네이버 금융 크롤링 질문
안녕하세요. 네이버 금융 크롤링 강의 중 질문이 있어서, 글 남깁니다. 우선 강의를 보면 아래와 같이, 코딩되어있습니다.soup.select() 코드 중 "onmouseover%" 이 부분 통해서 필요한 정보를 가지고 오고 있습니다.다만, 제가 실습할때는 참고할 수 있는 값들이 좀 달랐습니다.(아래 캡쳐 화면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제가 작성한 코드는 가장 아래 코드 참고 부탁드립니다.우선, 아래와 같이 정보를 가져옵니다.trs = soup.select("table.type_5 > tbody")-> 이 경우 trs값은 [] 빈 리스트로 찍히고 있는데, 제가 혹시 잘못 가져온걸까요? 그 이후, 빈칸의 경우 td[colspan]값으로 확인해서, 아래 코드로 해당 정보는 지우도록 하였습니다.td_cols = tr.select("td[colspan]") for td_col in td_cols: td_col.decompose() import requests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url = "https://finance.naver.com/sise/field_submit.naver?menu=lastsearch2&returnUrl=http://finance.naver.com/sise/lastsearch2.naver&fieldIds=per&fieldIds=roe&fieldIds=pbr&fieldIds=reserve_ratio" response = requests.get(url) html = response.text soup = BeautifulSoup(html, "html.parser") ## 변경 코드 ## trs = soup.select("table.type_5 > tbody") #trs = soup.select("table.type_5") print("================================") print(trs) print("================================") for tr in trs: print("Sdsd") """td_cols = tr.select("td[colspan]") for td_col in td_cols: td_col.decompose() """ # nth-child 사용하는 방법 name = tr.select_one('td:nth-child(2)').text per = tr.select_one('td:nth-child(7)').text roe = tr.select_one('td:nth-child(8)').text pbr = tr.select_one('td:nth-child(9)').text reserve_ratio = tr.select_one('td:nth-child(10)').text print(name, per, roe, pbr, reserve_ratio) 위 말씀드린 과정을 통해서 코드 수행 시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데, 관련해서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이펙티브 자바 완벽 공략 1부
객체 소멸에 관한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를 듣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 드려요.Stack 클래스에 pop메서드가 기존에 배열 해당 참조값을 리턴해 주는 역할을 할 뿐 배열 자체에는 여전히 참조하는 값이 남아있어서 while 문을 돌려서 pop메서드로 다 꺼내도 가비지 컬렉션 대상이 아닌 것은 이해가 갔습니다.그러면 혹시 Stack 클래스를 사용하는 메서드가 끝나게 되면 Stack을 참조하고 있던 지역 변수가 해제가 되면서 Stack 인스턴스가 가비지 컬렉션 대상이 되고 참조하고 있던 elements 배열도 같이 가비지 컬렉션 대상이 되는 건가요?제가 이해하기론 Stack을 참조하는 지역변수 참조 관계가 끊어졌다고 하더라도 Heap 영역에 존재하는 elements 배열 내부에는 여전히 다른 Object들을 참조하는 강 결합으로 이어져 있기 때문에 가비지 컬렉션이 가비지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다 쓴 참조를 여전히 가지고 있기 때문에 메모리 영역을 차지하여 다 쓴 객체 참조를 해제하라고 이해하였습니다.다른 곳에서 가비지 컬렉션 대상이 되는 객체들을 보았는데 Heap 영역 내에서 참조를 하고 있는 관계이면 강 결합이어도 가비지 대상이 된다는 글을 봐서 혹시 제가 잘못 이해한 것인지 궁금합니다.질문이 너무 두서없는 것 같지만 제가 본 글 링크를 남겨 놓습니다.https://d2.naver.com/helloworld/329631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MySQL on Docker
CRUD와 Replication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드리기에 앞서 강의 정말 잘 보고 있습니다.소중한 강의 너무 감사합니다.강의 수강 중에 CRUD와 Replication 사이에 대해서 궁금증이 생겨 질문 남깁니다.현재 강의내용을 보면 Docker 환경에서 여러개의 MySQL을 띄우고, 각각 관계(Mater-Slave)를 설정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그렇다면, 실제 DB에 저장되는 Create, Update, Delete, Read는 서버단에서 구현해서 데이터를 다루면 되는걸까요? Question 1. Spring-MySQL 환경에서 Create, Update는 MasterDB 설정(port로)으로 저장하고, Read는 SlaveDB에서 불러오는 방식으로 Spring에서 구현하면 되는 건지 궁금합니다.Question 2. 만약 CRUD마다 접근하는 DB가 다르다면, 데이터 동기화는 따로 mysql.conf 설정과 같은 곳에서 지정해야하는 걸까요? Question 3. 현재 강의에서 Replication을 설정한 것으로 Master-Slave의 데이터는 동기화되나요?조금 부족한 질문이지만 만약 답변 해주신다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긴 질문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중급편] 코인 가격 모니터링 앱 제작 (Android Kotlin)
raw/coin.json 파일 질문!
수업잘보고 있습니다^^하나 궁금한게, 인트로화면에서 돈튀기는 애니메이션 사용할때 raw/coin.json 이 파일로 사용하는거 같은데이런 애니매이션 파일(coin.json)은 내가 원하는 애니메이션으로 만드는 방법이 어떻게 될까요? 예를들면 기차가 지나가는 애니메이션을 만들고 싶은데 json 파일을 어떻게 만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리액트 A-Z[19버전 반영]
[React.memo] useState의 setState는 변경되지 않는가요?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React.memo로 렌더링 최적화 강의를 듣다가 질문이 생겼습니다.React.memo는 props가 변하지 않으면 다시 렌더링 하지 않는다고 알고 있는데요. App.js에서 useState의 결과물인 setState(setTodoData 등)가 List.js의 props로 내려가는데, 이는 변화로 보지 않는 것으로 보았습니다.아래의 단순화된 useState의 구현을 보면 useState로 나온 state는 클로저를 통해 값이 변경되지 않으면 useState가 같은 값?참조?를 내려주는 것 같은데, setState는 매번 새로 생성되어 참조가 바뀔 것 같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그래서 React.memo가 매번 새로 생성되는 setState를 보고 props가 바뀌는 것으로 인식하여 렌더링을 해주어야 하지 않을까 했는데... 실제로는 그렇지 않더라고요물론 단순화된 구현이고 실제 리액트의 구현은 복잡한 과정을 거쳐 같은 참조를 내려줄 것 같다고 생각이 드는데요.이 마법같은 과정이나 원리, 키워드에 대해서 아무리 찾아도 찾을 수가 없어서 도움을 청하고자 질문을 남깁니다...감사합니다. const MyReact = (function() { let _val // hold our state in module scope return { render(Component) { const Comp = Component() Comp.render() return Comp }, useState(initialValue) { _val = _val || initialValue function setState(newVal) { _val = newVal } return [_val, setState] } } })()출처: https://medium.com/hcleedev/web-usestate%EC%9D%98-%EB%8F%99%EC%9E%91-%EC%9B%90%EB%A6%AC%EC%99%80-%ED%95%A8%EC%A0%95-7b4825c16b9
-
해결됨설계독학맛비's 실전 FPGA를 이용한 HW 가속기 설계 (LED 제어부터 Fully Connected Layer 가속기 설계까지)
9장 timescale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맛비님!9장 axi 를 이용한 led점등 프로젝트를 수행하던 중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제공해주신 코드가 1ns/1ps 의 timescale 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는데,vitis terminal 을 통하여 넘긴 100,000,000 과 같은 수는 0.1s (==100,000,000ns) 이므로 0.1s 마다 깜빡거려야하는 것 아닌가요??기본적인 내용이지만 조금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detach, remove의 차이
안녕하세요 수업을 듣다 궁금한 게 생겨 질문합니다!!detach와 remove 메서드를 비교하면서 헷갈리는 부분이 생겨났습니다!!원래는 persist가 호출된 시점에 SQL 쓰기지연 저장소에 insert 쿼리가 저장되는 것으로 이해했지만 detach()가 호출됐을 때 insert문이 나가지 않는 것을 보고 저는 persist가 호출됐을 때 SQL 쓰기지연 저장소에 insert 쿼리가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flush를 호출할 때 1차 캐시에서의 변경사항(스냅샷 비교 또는 새로운 엔티티 등록)으로 인해 insert 쿼리가 나가는 것이 아닌가로 생각했습니다.하지만 remove를 호출했을 때 insert문이 나가고 delete문이 따로 나가는 것을 보고 헷갈리기 시작했습니다. 만약 변경 감지 기능이라는 것이 기존의 1차 캐시에 저장된 엔티티와 스냅샷을 비교하여 다른 부분을 update 쿼리를 자동으로 실행해주는 기능이라 생각한다면 위의 remove 실행 시 DB로 보내진 쿼리가 이해가 됩니다. 새로 등록한 것과 삭제하는 것은 스냅샷으로 비교할 수 없기 때문에 persist나 remove 호출 시점에 따로 SQL 쓰기지연 저장소에 쿼리를 저장할 수 밖에 없다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생각했을 경우 위의 detach 실행 시 쿼리가 이해가 안됩니다.. 제가 어디서 헷갈리고 있는 걸까요??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FPGA를 이용한 HW 가속기 설계 (LED 제어부터 Fully Connected Layer 가속기 설계까지)
Code 질문입니다. (FSM)
안녕하세요 맛비님.위 코드에서 read 용 FSM과, write 용 FSM을 구분하신 이유가 있을까요?c_state, n_state로 o_read, o_write를 구하는 방법과의 차이가 있을까요? (register를 더 사용해서)또 다른 이유가 있으시다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언어
6.1 scanf 반환값
int main(){ int num = 0,red=0, sum = 0; int status; printf("Enter an integer (q to quit) :"); status= scanf("%d %d", &num, &red); while (status >= 1) { sum = sum + num + red; printf("Enter next integer (q to quit) : "); status = scanf("%d %d", &num, &red); } printf("Sum = %d", sum); return 0;}여기서 정수를 입력받은 변수의 갯수로 scanf의 반환값이 status라는 변수에 저장되는 것으로 이해했는데요 변수 num red에 각각 순서대로 1 2 / 3 4 / q 5를 넣으며 디버거로 확인해봤는데요. 세번째 scanf에 5라는 정수를 입력해서 status 값이 1이 나올거라 생각했는데 왜 status값이 0으로 나올까요? num에 숫자가 아닌 문자를 넣어서 red에도 영향을 주는건가요??/5 q 순서로 바꿔서 넣어봤을때는 status값이 1이 나와 4번째 scanf를 입력하려 했지만 그냥 그대로 끝이나고 sum도 4가 중복돼서 10과 19로 값이 다르더라고요. 문자를 입력하면 뒤에 변수에도 영향을 주는거 같은데 확실하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파이썬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코딩테스트 대비)
동전교환 효율성
안녕하세요동전교환문제에서 저는 부분집합을 만들고 계산은 마지막에 하는 방식으로 풀어봤습니다.효율성 방식에서 상태트리로 쭉 나가는 강사님 방식이랑 비교하면 뭐가 더 나은가요?def DFS(L): money= m global minn cnt=0 if L==n: #계산은 여기서 for i in range(0,n): if ch[i]==1: cnt+=(money//p[i]) money%=p[i] if cnt<minn and money==0: minn=cnt else: # 깊이탐색해서 경우의 수 만들기 ch[L]=0 DFS(L+1) ch[L]=1 DFS(L+1)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Facade를 controller 에서의 사용
안녕하세요 동시성 관련된 수업을 너무 잘 들었습니다. 위와 같이 만들어진 facade의 decrease 메서드를 controller에서 바로 사용하면 동시성 문제가 해결되는걸까요?
-
미해결캐글 설문조사로 데이터 분석 입문하기
12강 질문
12강에서 Q26에 대한 내용에 질문이 있습니다.A,B로 나뉘어진 문항이라 두 개를 따로 그릴 수 있는 건 이해했는데요, 처음에 그냥 show_plot_by_qno('Q26')로 그렸을 때 검은 선으로 표시되는 부분에 대해 더 자세한 설명이 듣고 싶습니다. 분명 각각 출력하면 둘 다 막대그래프인데 왜 그렇게 표시되는 건가요?
-
해결됨독하게 되새기는 C 프로그래밍
buffered-io가 사용하는 버퍼메모리에 대한 질문있어요
먼저 항상 특별한 강의 잘 듣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1. buffered-io의 buffer 메모리는 어플리케이션 메모리죠?제가 이해하기로는buffered-io방식으로 write를 한다면 호출시 바로바로 write시스템콜을 호출하는게아니라, 버퍼라고 부르는 어플리케이션메모리에 내용을 써놨다가 일정 byte이상 차게되면 실제 write시스템콜을 호출함으로써 시스템콜을 줄일 수 있는게 핵심이라고 이해했는데 맞을까요?결국에 이때 buffer라는 memory는 어플리케이션의 메모리를 말하는거죠? (커널의 메모리가 아니구요)2. read(input)에서의 buffered-io시스템콜을 한방에 하기위해서 최대한 뒤로 미루는 버퍼방식의 write와 비교해서read의 경우에는 일단 시스템콜을 호출해야할것같은데 맞나요? 따라서 read에서의 buffered-io는 모아서 시스템콜을 한다기보다는 buffer라는 chunk단위로 한방에 읽을 수 있는걸 buffered-io한다고 이해하면 맞을까요?제가 이해하기로는 buffered-io에서의 buffering방식이 read시에, write시에 다르게 느껴져서요.
-
미해결
nodeJS 교과서 git chat에서 mongoDB 사용한 이유
gif chat 예제에서 mySQL이 아니라 mongoDB를 사용하신 이유가 혹시 따로 있을까요?아니면 단순히 mongoDB를 이용한 예제를 보여주기 위함인가요?
-
해결됨최신 딥러닝 기술 Vision Transformer 개념부터 Pytorch 구현까지
비전 트랜스포머 - 최신 모델 강의에서 positional embedding
안녕하세요!비전 트랜스포머 - 최신 모델 강의에서예시로 설명해주신 R^65*128에 Epos 인 positional embedding을 더하는데도 R^65*128의 크기에는 변화가 없나요?? 이전에 클래스 정보를 더했을 때는 64에서 +1해서 65가 되었는데 positional embedding을 했을 때는 값에 변화가 없나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HomeController가 선택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수업과 같이 코드를 다 작성하고, HelloStringApplication을 실행하고나서localhost:8080을 들어가면 왜 3개의 컨트롤러중 home컨트롤러가 실행되어 home.html이 화면에 출력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6: 웹 서버
Startup.cs 파일생성방법
지난번 1월 16일차로 Startup.cs 파일이 없어서 문의 드렸습니다만, 답변이 없으셔서 다시 글을 남깁니다.현재 Part6: 웹 서버Blazor 미니프로젝트 #1 강의 수강중인데요RankingApp Blazor 서버웹 프로젝트 생성하였습니다Blazor 미니프로젝트 #1 강의 2분24초쯤의 강의 캡처사진과 제 개인프로젝트 사진을 비교해서 보내드립니다.(강의 수강중 캡처) (개인 프로젝트 캡처) 위의 캡처사진과 같이 Startup.cs 파일이 자동생성되지않아서 강의를 따라갈 수 없습니다.현재 .NET CORE 3.1이 더이상 지원이되지않아서 비쥬얼스튜디오 2022로 다시설치후.NET CORE 6.0 으로 실행 >> HelloRazor, HelloWebAPI, HelloEmpty 등의 파일을 생성하였습니다만, Startup.cs 파일이 자동생성되지않았습니다.Startup.cs 파일생성관련해서 어떻게해야 생성이되는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최신 딥러닝 기술 Vision Transformer 개념부터 Pytorch 구현까지
비전 트랜스포머 - 최신 모델' 강의에서 B*N*K 와 1*K*D 를 연산
안녕하세요! 항상 좋은 강의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비전 트랜스포머 - 최신 모델' 강의에서 B*N*K 와 1*K*D 를 연산하면 B*N*D 가 된다고 하셨는데 어떤 연산을 통해서 어떻게 B*N*D로 변환되는지 궁금합니다. 그냥 B*N*K에서 단순히 K의 형태를 바꾸는 연산만 하면 안되는 건가요?? 어떤 원리로 연산을 통해 변환이 되는 건지 궁금해서 질문 드립니다.그리고 연산에서 R^N*D 에서 기호 R은 무엇을 뜻하는지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