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처음 만난 리액트(React)
(실습) Context를 사용하여 테마 변경 기능 만들기 에서 테마 변경이 안 돼요.
테마 변경 버튼을 눌러도 테마 색 변경이 안 됩니다. 이전에 카드 만들기 실습에서도 색이 안 나오는 걸 보면 제 습관적인 실수인데... 제 실수를 못 찾겠습니다...
-
미해결캐글 설문조사로 데이터 분석 입문하기
이중리스트에 대한 질문
선생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복습 중에 궁금한 것이 생겨 다시 질문 하나 드립니다.11강 9:00쯤 아래와 같이 미국의 데이터만 불러오셨는데요. 이때 인자가 하나인데 왜 isin("United States of America") 가 아니라, isin(["United States of America"])처럼 리스트를 또 씌워주는지 궁금합니다. 이전 강의에서 여러 개를 집어넣을 때 리스트를 씌워줘야 한다고 하신 건 기억하는데, 이 경우에는 한 개뿐인데도 씌우는 것이 의아하여 여쭤봅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혹시 테스트 결제 잘 되나요??
여러 방면으로 시도 중인데,error_code: "NOT_READY"error_msg: "등록된 사용자가 아니거나, 아임포트 관리자 페이지에 설정된 PG정보가 없습니다."해당 에러가 뜨면서 계속 실패하네요;;혹시 하신 분들은 어떻게 성공하셨는지 궁금합니다.일단 제가 예상한 것으로는 강의 화면이랑 제 구 관리자콘솔의 시스템 관리 탭이 다른 점에 눈이 가는데, 이걸 어떻게 처리해야되는지 어디를 찾아봐도 안나오네요...강의에서는 여러 탭이 있는데 저는 두 개의 탭 밖에 보이지 않습니다. 해결 방법을 찾고 싶어도 어디서 찾아야 되는 지 감이 안잡히네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order저장 시 OrderStatus.ERROR일 때 Item의 stockQuantity를 감소시키지 않게 하기 질문이요
Order가 저장할 때 OrderStatus.ERROR 일 때는 Order만 db에 저장되고Item의 재고(stockQuantity)는 감소가 안되게 하고 싶습니다.즉, Order는 OrderStatus.ERROR 여부와 상관없이 저장이 되고OrderStatus.ERROR일때만 Item의 재고(stockQuantity)는 감소가 안되게 하고 싶습니다.(ERROR니까 재고가 감소안되게 하려고합니다) 저는 주문(order)하다가 에러가 발생하면 throw로 Exception을 던지지 않고OrderStatus만 ERROR로 변경해 주려고 합니다.즉 ERROR 발생했을때 OrderStatus의 값을 order.setStatus(OrderStatus.ERROR)를 통해 에러를 발생시키지만 주문자체는 db에 저장되고Item의 재고(stockQuantity)를 줄여주지 않으려고합니다.물론 ERROR가 발생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면 Item의 재고도 정삭적으로 줄어 들겠죠 다음은 Order 엔터티입니다. 강의와 조금 다르게 TimeStapmed를 상속받았는데 질문과는 상관없습니다.@Entity @Table(name = "orders")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 extends TimeStamped{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Member member; @OneToMany(mappedBy = "order", cascade = CascadeType.ALL) List<OrderItem> orderItems = new ArrayList<>(); @OneToOne(fetch = FetchType.LAZY, cascade = CascadeType.ALL) private Delivery delivery; @Enumerated(EnumType.STRING) private OrderStatus status; private long orderTotalPrice; public void addOrderItem(OrderItem orderItem){ orderItems.add(orderItem); orderItem.setOrder(this); } public static Order createOrder(Member member, Delivery delivery, OrderItem... orderItems){ Order order = new Order(); order.setMember(member); order.setDelivery(delivery); for (OrderItem orderItem : orderItems){ order.orderTotalPrice += orderItem.getTotalPrice(); order.addOrderItem(orderItem); } order.setStatus(OrderStatus.CREATED); return order; } } 그래서 제가 해준 방법은 우선 특정 조건일 때 setStatus(OrderStatus.ERROR) 으로 에러를 발생시킵니다. (길어져서 코드에는 안적었는데 디버깅상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그냥 특정조건일 때 에러 발생시키는 겁니다.)그리고 Order 엔터티에 있는@OneToOne(fetch = FetchType.LAZY, cascade = CascadeType.ALL) 을@OneToOne(fetch = FetchType.LAZY, cascade = CascadeType.DETACH) 로 수정한다음에OrderService에서 order를 save한 후 OrderStatus.ERROR 일때만 flush를 발동 시켰는데orderRepository.save(order); if (order.getStatus() == OrderStatus.ERROR){ orderRepository.flush(); } orderItem만 저장이 안되고 Item의 stockQuantity는 줄어드는군요그래서 OrderItem에 있는@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item_id") private Item item; 위 코드에 cascade = CascadeType.DETACH 를 추가해도 소용이 없더군요 어떻게하면order는 OrderStatus의 ERROR 여부와 상관없이 order는 저장이 되고OrderStatus.ERROR 일때만 Item의 stockQuantity가 저장이 안되게 할 수 있을까요? 혹시몰라서 OrderItem과 Item의 코드도 올립니다.OrderItem엔터티의 코드@Entity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Item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order_item_id") private Long id;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item_id") private Item item; @JsonIgnore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order_id") private Order order; private Integer orderPrice; private Integer quantity; // ... createOrderItem ... // ... getTotalPrice ... } Item엔터티의 코드입니다.@Entity @Inheritance(strategy = InheritanceType.SINGLE_TABLE) @DiscriminatorColumn(name = "dtype") @Getter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public abstract class Item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item_id")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eger price; private Integer stockQuantity; public Item(String name, Integer price,Integer stockQuantity){ this.name = name; this.price = price; this.stockQuantity = stockQuantity; } public void removeStock(Integer quantity) { Integer restStock = this.stockQuantity - quantity; if(restStock < 0) { throw new EApplicationException(ErrorCode.NOT_ENOUGH_STOCK, String.format("Out of Stock")); } this.stockQuantity = restStock; } } 감사합니다.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2-S 질문드립니다
https://www.acmicpc.net/source/54668095인접행렬로 풀 때 메모리 초과가 나서 변경하였는데 시간초과가 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어드민 페이지 문의
안녕하세요~ 궁금한게 있어 문의 드립니다. 강의랑은 살짝 관련없지만 관련있는 문의 입니다. 혹시 플러터 앱을 제작 후 (쇼핑몰) 웹에서 별도 어드민 페이지를 만들어서 플러터 앱과 json으로 연동하는 방법이 있을까요?그리고 admin페이지 역시 플로터로 개발하는게 좋을지 아니면 장고나 스프링이나 다른 언어에 프레임워크로 연결이 될런지 궁금해서 문의드립니다!
-
미해결
스프링부트 3.0 query dsl 에러
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0.0'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0' } group = 'study' version = '0.0.1-SNAPSHOT' sourceCompatibility = '17'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hymeleaf' implementation 'nz.net.ultraq.thymeleaf:thymeleaf-layout-dialect'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implementation 'mysql:mysql-connector-java' implementation 'org.mapstruct:mapstruct:1.4.2.Final'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mapstruct-binding:0.2.0' annotationProcessor "org.mapstruct:mapstruct-processor:1.4.2.Final"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developmentOnl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 Querydsl 추가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5.0.0:jakarta' annotationProcessor 'com.querydsl:querydsl-apt:5.0.0:jakarta' annotationProcessor "jakarta.annotation:jakarta.annotation-api" annotationProcessor "jakarta.persistence:jakarta.persistence-api"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 위와 같이 설정 후 build - clean, other - compileJava 하여 Q파일 생성까지는 잘 됩니다. 하지만 프로젝트 실행하려고 하면 아래와 같이 오류가 발생하네요Description: A component required a bean of type 'jakarta.persistence.EntityManagerFactory' that could not be found. Action: Consider defining a bean of type 'jakarta.persistence.EntityManagerFactory' in your configuration. Deprecated Gradle features were used in this build, making it incompatible with Gradle 8.0. You can use '--warning-mode all' to show the individual deprecation warnings and determine if they come from your own scripts or plugins. See https://docs.gradle.org/7.5.1/userguide/command_line_interface.html#sec:command_line_warnings 그래서 Q파일.java를 확인해보니 아래와 같이 javax를 기반으로 @Generated 어노테이션이 생성된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거 잡고 몇일째인지 모르겠네요 ㅜㅜ 혹시 원인을 아시는 분 계실까요??(혹시 몰라서 config파일까지 첨부합니다.)
-
미해결팀 개발을 위한 Git, GitHub 입문
안녕하세요 강의자료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번에 이직을하게되어 svn에서 git으로 형상관리툴이 변경되어 강의를 수강하게 되었습니다. 강의 자료 요청드립니다!stylealist@gmail.com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포스트맨 실습 진행 시 undefined 오류
같은 코드를 이용해 포스트맨 호출 시, 다음 에러가 발생합니다.TypeError: Cannot read property 'moneyService' of undefined at buyProduct (file:///home/xxx/%EB%B0%94%ED%83%95%ED%99%94%EB%A9%B4/codecamp-backend-online/class/12/12-01-express-with-DI-IoC/mvc/controllers/product.controller.js:11:31) at Layer.handle [as handle_request] (/home/xxx/바탕화면/codecamp-backend-online/node_modules/express/router/layer.js:95:5) at next (/home/xxx/바탕화면/codecamp-backend-online/node_modules/express/lib/router/route.js:144:13) at Route.dispatch (/home/xxx/바탕화면/codecamp-backend-online/node_modules/express/lib/router/route.j4:3) at Layer.handle [as handle_request] (/home/xxx/바탕화면/codecamp-backend-online/node_modules/express/router/layer.js:95:5) at /home/xxx/바탕화면/codecamp-backend-online/node_modules/express/lib/router/index.js:284:15 at Function.process_params (/home/xxx/바탕화면/codecamp-backend-online/node_modules/express/lib/routedex.js:346:12) at next (/home/xxx/바탕화면/codecamp-backend-online/node_modules/express/lib/router/index.js:280:10) at jsonParser (/home/xxx/바탕화면/codecamp-backend-online/node_modules/body-parser/lib/types/json.js:7) at Layer.handle [as handle_request] (/home/xxx/바탕화면/codecamp-backend-online/node_modules/express/router/layer.js:95:5)이 때, app.post 미들웨어 함수 부분에 bind()로 엮어주어야만 정상 작동하는데 이유가 무엇일까요?코드는 아래 첨부합니다.import express from "express"; import {ProductController} from "./mvc/controllers/product.controller.js"; import {CouponController} from "./mvc/controllers/coupon.controller.js"; import {CashService} from "./mvc/controllers/services/cash.service.js"; import {ProductService} from "./mvc/controllers/services/product.service.js"; import {PointService} from "./mvc/controllers/services/point.service.js"; const app = express(); app.use(express.json()); const cashService = new CashService(); const productService = new ProductService(); const pointService = new PointService(); // 상품 API const productController = new ProductController(cashService, productService); app.post("/products/buy", productController.buyProduct) app.post("/products/refund", productController.refundProduct) // 쿠폰 구매하기 const couponController = new CouponController(pointService); app.post("/coupons/buy", couponController.buyCoupon); app.listen(3000, () => { console.log("3000번 포트에서 연결 중..."); })index.jsexport class ProductController { constructor(moneyService, productService) { // DI (IoC) this.moneyService = moneyService; this.productService = productService; } buyProduct(req, res){ // 지불 금액 검증 const hasMoney = this.moneyService.checkValue(); // 재고 검증 (재고 있으면 구매) const isSoldOut = this.productService.checkSoldOut(); // 상품 구매 코드 if (hasMoney && !isSoldOut) { res.send("상품 구매 완료"); } } refundProduct(req, res){ // 재고 검증 (재고 없으면 환불) (구매 코드와 중복) const isSoldOut = this.productService.checkSoldOut(); // 환불 코드 if (isSoldOut) res.send("환불 완료"); } }ProuductControllerexport class CouponController{ constructor(moneyService) { this.moneyService = moneyService; } buyCoupon(req, res){ const hasMoney = this.moneyService.checkValue(); // 쿠폰 구매 코드 if (hasMoney){ res.send("쿠폰 구매 완료"); } } }CouponControllerexport class ProductService{ checkSoldOut(){ console.log("판매 완료 검증."); // 재고 검증 } }ProductServiceexport class PointService{ checkValue(){ console.log("포인트 검증."); // 지불 금액 검증 } }PointServiceexport class CashService{ checkValue(){ console.log("현금 검증.") // 지불 금액 검증 } }CashService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선생님들 도와주세요~
package com.example.demo; import org.junit.jupiter.api.Assertions;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annotation.Rollback; import javax.transaction.Transactional; @SpringBootTest @Transactional(rollbackOn = {Exception.class}) class Repository_CookerTest { @Autowired Service_Cooker Service_Cooker; @Autowired Repository_Cooker repositoryCooker; @Test @Rollback(value = false) void 테스트(){ Cooker cooker=new Cooker(); cooker.setId(123L); cooker.setExp(1); cooker.setName("123"); cooker.setAge(23); Long id=Service_Cooker.save(cooker); Assertions.assertEquals(cooker,repositoryCooker.find_one(id)); } } package com.example.demo;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Repository; import javax.persistence.EntityManager; @Repository public class Repository_Cooker { @Autowired private EntityManager entityManager; public void save(Cooker cooker){ entityManager.persist(cooker); } public Cooker find_one(Long id){ return entityManager.find(Cooker.class,id); } }package com.example.demo;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Service; @Service public class Service_Cooker { @Autowired Repository_Cooker repository_Cooker; public Long save(Cooker cooker){ repository_Cooker.save(cooker); return cooker.getId(); } } org.springframework.dao.InvalidDataAccessApiUsageException: detached entity passed to persist: com.example.demo.Cooker; nested exception is org.hibernate.PersistentObjectException: detached entity passed to persist: com.example.demo.Cooker insert into cooker (cooker_id, age, exp, name) values (null, 23, 1, '123');안녕하세요 영한 선생님덕분에 쑥쑥 자라나고 있는 코린이입니다.질문은 아이디 없이테스트를 돌리면 통과가 되는데요아이디를 설정하고 돌리면 에러가 납니다.왜 그런건지 어디가 잘못된 건지 알고싶어요 ~도와주세요~
-
미해결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코루틴의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강사님, 강의 내용에는 코루틴이 없어 학습중에 궁금한 점이 있어서 문의드립니다.아래 코드의 실행 순서를 제가 정리 해봤습니다.제가 코루틴의 suspend, resume을 잘 이해한게 맞나 궁금해서요.물어볼 곳이 없어서, 죄송스럽게도 강사님께 문의를 하게 되었습니다.강의 내용과는 관련이 없어 답변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지만, 답변이 안달리다도 괜찮습니다.감사합니다. println("Coroutine Outer") 이 실행된다.A 코루틴에서 delay를 만나, B 코루틴으로 실행권을 넘겨간다.B 코루틴도 delay를 만나, A 코루틴으로 실행권을 넘겨준다.1초가 지나고 A코루틴의 println("Coroutine A, Si")을 실행한다.반복문에 의하여 A코루틴의 2번째 delay를 만나, 다시 B 코루틴으로 실행권을 넘겨준다.B 코루틴도 1초가 지난 상태여서, 바로 println("Coroutine B, Si")을 실행한다.반복문에 의하여 B코루틴의 2번째 delay를 만나, 다시 A 코루틴으로 실행권을 넘겨준다.그 다음 4~7을 반복문이 끝날 때 까지 반복 후 코루틴이 종료된다.fun main() = runBlocking { // A 코루틴 launch { repeat(5) { i -> delay(1000L) println("Coroutine A") } } // B 코루틴 launch { repeat(5) { i -> delay(1000L) println("Coroutine B") } } println("Coroutine Outer") } fun <T> println(msg: T) { kotlin.io.println("$msg [${Thread.currentThread().name}]") }
-
미해결[개정판] 딥러닝 컴퓨터 비전 완벽 가이드
Soft max Class score 질문입니다!
오른쪽 처럼 car: 0.8 이라고 되어있는데 이는 vgg/resnet 학습시에 label 데이터와의 대조를 통하여 산출한 값인가요?현업에서쓰는 label 데이터는 주로 어떤걸 쓰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쿠키와 세션
쿠키랑 세션이랑 다른거잖아요둘다 인증에 사용되는 작은 저장소같은거예요저는 둘이 다르다고해서어떤로그인에는 전과정에 쿠키만 쓰이고 어떤과정에는 전과정에 세션만쓰이고이런건줄알았는데 이 그림을 보니로그인이라는건 세션+쿠키가 둘다쓰이는 작업인거네요..?로그인을 하면 항상 sessionid를 발급해줘야하니까 세션이 쓰이고클라이언트 측에서는 그정보를 저장하고있어야하니 sessionid를 담은쿠키가 생성되는거구요.제 말이 맞나요?https://sjparkk-dev1og.tistory.com/12. 쿠키정보는 항상 서버에 전송되기때문에 네트워크 트래픽이 유발돼요근데 쿠키는 웹브라우저에 있는 작은저장소예요 이말은 곧 서버의 자원을 활용하지 않는다는얘기죠근데 서버에 항상 전송돼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유발하는게 서버의 자원을 쓰는것과 다른얘기인가요?자꾸 요청이 오면 그거 처리하느라 자원을 써야하는거아닌가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NestJS
update를 repository로 빼서 작성했는데 오류가 나옵니다
boards.service.ts 코드입니다.import { Injectable, NotFoundException } from '@nestjs/common'; import { InjectRepository } from '@nestjs/typeorm'; import { BoardStatus } from './board-status.enum'; import { Board } from './board.entity'; import { BoardRepository } from './board.repository'; import { CreateBoardDto } from './dto/create-board.dto'; @Injectable() export class BoardsService { constructor( @InjectRepository(Board) private boardRepository: BoardRepository, ) {} createBoard(createBoardDto: CreateBoardDto): Promise<Board> { return this.boardRepository.createBoard(createBoardDto); } async getBoardById(id: number): Promise<Board> { console.log(id, 'ididid'); return this.boardRepository.getBoardById(id); } async deleteBoard(id: number): Promise<void> { const result = await this.boardRepository.delete(id); if (result.affected == 0) { throw new NotFoundException(`Can't find Board with id ${id}`); } } async updateBoardStatus(id: number, status: BoardStatus): Promise<Board> { const board = await this.getBoardById(id); board.status = status; await this.boardRepository.save(board); return board; } } board.repository.ts 코드입니다import { Injectable, NotFoundException } from '@nestjs/common'; import { InjectRepository } from '@nestjs/typeorm'; import { BoardStatus } from './board-status.enum'; import { Board } from './board.entity'; import { BoardRepository } from './board.repository'; import { CreateBoardDto } from './dto/create-board.dto'; @Injectable() export class BoardsService { constructor( @InjectRepository(Board) private boardRepository: BoardRepository, ) {} createBoard(createBoardDto: CreateBoardDto): Promise<Board> { return this.boardRepository.createBoard(createBoardDto); } async getBoardById(id: number): Promise<Board> { console.log(id, 'ididid'); return this.boardRepository.getBoardById(id); } async deleteBoard(id: number): Promise<void> { const result = await this.boardRepository.delete(id); if (result.affected == 0) { throw new NotFoundException(`Can't find Board with id ${id}`); } } async updateBoardStatus(id: number, status: BoardStatus): Promise<Board> { const board = await this.getBoardById(id); board.status = status; await this.boardRepository.save(board); return board; } } [Nest] 12296 - 2023. 01. 26. 오후 4:25:43 ERROR [ExceptionsHandler] this.boardRepository.getBoardById is not a functionTypeError: this.boardRepository.getBoardById is not a function at BoardsService.getBoardById (C:\Users\lgh38\Desktop\GH\nest-board-app\src\boards\boards.service.ts:22:33) at BoardsService.updateBoardStatus (C:\Users\lgh38\Desktop\GH\nest-board-app\src\boards\boards.service.ts:33:30) at BoardsController.updateBoardStatus (C:\Users\lgh38\Desktop\GH\nest-board-app\src\boards\boards.controller.ts:44:31)오류 내용은 위와 같습니다. 자세히 보면 this.boardRepository.getBoardById is not a function이라고 나오는데 제가 생각 했을 땐 처음 service의 updateBoardStatus 함수에서 getBoardById 함수로 넘겨주고 또 getBoardById 함수가 repository 안에 있는 getBoardById 함수에게 값을 넘겨서 두 번 리턴 받아서 해결 될 줄 알았는데 에러가 나오더라구요..오히려 분리를 안 시켰을 땐 오류가 안 나옵니다 무슨 이유일까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문법 관련 질문있습니다.
0:08:30 쯤에 설명하신 this 키워드에 관해 질문있습니다.영상에서 설명하신 내용은 이해가 됐습니다.제가 영상과는 다르게 객체 내의name과 members 생성자를 다른 임의의 문자열과 리스트로 정의하고Idol생성자를Idol(this.name, this.members);로 바꾸고 출력해 봤습니다.이때, Idol 생성자의 변수가 클래스 내의 생성자 갑과는 무관하게 파라미터의 값을 받는것 같습니다.왜 파라미터안에 this를 선언했음에도 왜 클래스 내의 생성자 값을 받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언어
putchar() getchar()
char ch; ch = getchar(); while (ch != '\n') { putchar (ch); ch = getchar (); } putchar (ch); 위쪽에 있는 ch = getchar();를 통해 qwer의 문자를 입력 받았다고 하면 putchar()에서 한문자씩 출력이 되서 처음에는 q값이 출력이 되면그 다음 코드인 ch = getchar();를 만나는데 여기서 다시 ch의 값을 다시 입력해줘달라는 코드 아닌가요? 처음 ch = getchar();에서는 입력을 받았는데 왜 while문 안에있는 ch = getchar();에서는 입력을 다시 안하는 건가요??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배열 합치기 다른 방법
안녕하세요 강사님 배열 합치기 문제에서제가 먼저 풀었을때는 아래와 같이 풀어서 accept가 떴긴 했는데 강사님이 강의해주신 코드와 제 코드 시간 비교를 해보니 10ms 정도 차이가 나더라고요 (제 코드가 조금 더 running time이 깁니다.)혹시 아래 코드를 코딩테스트에서 사용해도 딱히 무방한가요???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public ArrayList<Integer> solution(int n, int[] arr1, int m, int[] arr2) { ArrayList<Integer> answer = new ArrayList<>(); for (int x : arr1) answer.add(x); for (int x : arr2) answer.add(x); Collections.sort(answer); return answ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ain T = new Main(); Scanner kb = new Scanner(System.in); int n = kb.nextInt(); int[] arr1 = new int[n]; for (int i = 0; i < n; i++) { arr1[i] = kb.nextInt(); } int m = kb.nextInt(); int[] arr2 = new int[m]; for (int i = 0; i < m; i++) { arr2[i] = kb.nextInt(); } for (int x : T.solution(n, arr1, m, arr2)) { System.out.print(x + " "); } } }
-
미해결
spring pet-clinic 빌드 오류
Execution default of goal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maven-plugin:3.0.1:build-info failed: Unable to load the mojo 'build-info' in the plugi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maven-plugin:3.0.1' due to an API incompatibility: org.codehaus.plexus.component.repository.exception.ComponentLookupException: org/springframework/boot/maven/BuildInfoMojo has been compiled by a more recent version of the Java Runtime (class file version 61.0), this version of the Java Runtime only recognizes class file versions up to 59.0 검색해봤더니 자바 버전 차이래서 프로젝트 밑 환경변수설정까지 해서 자바 11로 맞추었는데 빌드조차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ㅜㅜ 그리고 git clone했는데 저는 의존성에서 wro4j가 보이지 않는데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시스템엔지니어가 알려주는 리눅스 실전편 Bash Shell Script
VSCode나 Putty로 서버에 원격접속하려면 어떻게 환경을 구성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먼저, vagrant를 사용할 수 없어 N. vagrant를 사용하지 않고 구축할 수 있는 실습환경을 참고하여 실습환경을 구축했습니다.하지만 제가 리눅스 서버로 원격 접속하여 과제를 한 경험이 많아서 이번에도 그렇게 하고 싶은데 configuration에서 애를 먹는 중이에요.VSCode에서 ssh 원격접속을 위해서는 ~/. ssh/config 파일에 host를 새로 추가해야하는데HostName을 cent1의 경우 192.168.56.1로 하는게 맞는지 확실하지가 않습니다. 주석 친 172.18.1.91로는 connection timed out이 뜹니다.그리고 개인 비밀키인 IdentityFile은 https://github.com/bashbomb/VWS_vagrant_script/blob/master/CONF/ssh/id_rsa 에서 받았는데깃허브의 authorized_keys와 cent1 vm의 authorized_keys가 서로 달라서 깃허브의 ssh 설정이 제 로컬 환경에서 그대로 사용가능한 것인지 모르겠습니다.VSCode terminal로 원격접속을 시도하면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나옵니다. 아마 IdentityFile로 지정한 개인 키가 vm 서버의 authorized_keys 공개키로 검증이 되지 않는 것 같은데 그렇다면 어떤 개인 키를 사용해야될까요? 혼자서 해결이 되지 않아 도움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데이터 분석 SQL Fundamentals
dbeaver에 연결한 dbms에 따라 쿼리를 다르게 써야 하나요?
수업은 디비버에 postgre를 연결시켜서 쓰고 있는데, 만일 mysql을 디비버에 연결하면 mysql에 맞는 문법으로 쿼리를 적용해야 하는건가요?각 dbms마다 조금씩 문법이 다른걸로 알고 있어서 문의드립니다그리고, 수업에서 배우는 쿼리문은 posrgre에서만 사용할수 있는 문법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