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리액트 A-Z[19버전 반영]
Nextjs gh-pages 배포
안녕하세요~Nextjs 강의 부분까지 수업을 마쳤습니다.선생님께서 nextjs & typescript로 제작하신 블로그 부분을 gh-pages를 사용해서 배포해보려는데 디렉토링 부분이나 렌더되는 부분이 기존의 react 부분과 달라 질문 드립니다. baseurl 설정은 어디서 해야할까요?deploy 방식은 동일한 건가요?혹시 위의 질문 말고도 다른점이 있을까요?
-
해결됨쉽게 배우고, 포트폴리오로 만드는 반응형 웹! #설화수
안녕하세요 visual slide 질문이 있습니다.
방금전 선생님의 강의를 완강하고 복습중인데슬라이드 부분에 대해 질문이 있어서요.강의하신내용에 vosual 슬라이드부분을 왼쪽으로 부드럽게 animate로 넘기고 싶은데아직 제가 가진 지식으로는 혼자 작성해도 검색해보고 찾아봐도 안되서 질문드립니다.코드 어떤부분을 고쳐야 하는지 여쭤봅니다.ㅜㅜ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memberRepository가 다른 이유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memberRepository가 다르게 나와서 다른 분들의 질문 답변을 보고 해결했습니다.Appconfig의 memberRepository가 static으로 선언되어 있기 때문이더라구요. 그래서 궁금한점이, 왜 static으로 선언되면 singleton이 되지 않나요?항상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ㅎㅎ
-
해결됨Next.js 시작하기(feat. 지도 서비스 개발)
SSG 설명에서 나온 Disable cache 의 다른 렌더링방식들과 비교
안녕하세요!SSG 관련 설명해주실 때 개발자도구에서 Disable cache를 하면서static 데이터가 이미 들어와있고 etag가 여전히 그대로인 것으로 캐시와 상관 없이 해당 static 데이터가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해주셨는데요. 그렇다면 SSR, CSR에서 Disable cache 했을시 위의 현상과 다른게 있나요 ... ?SSR은 서버에서 계속 보낼테니 cache랑 상관 없을 것 같고 ... CSR도 JS 파일을 들고 있을테니 이 역시 상관 없을 것 같아서요...!혹시 CSR 특징에서 언급해주신 'JS 캐시 가능' 과 관련이 있다면 브라우저가 JS 캐시를 어떻게 활용하는지도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Do It! 장고+부트스트랩: 파이썬 웹개발의 정석
포스트 목록 페이지 수정하기2 중에서 막히는 부분이 있습니다. (미분류)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열심히 듣고 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아래와 같이 미분류 카운트가 입력되지 않아 오류가 발생하는 부분때문에 계속 찾아보았으나,답답한 마음에 질문글을 남깁니다.우선 카테고리 분류에서프로그래밍, 문화&예술 까진 카운트가 잘 입력됩니다.그렇지만 "미분류" 부분은 계속 () 으로 표시됩니다.분명 미분류 부분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카운트가 되지 않는 건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도저히 알기가 어렵습니다. 혹시 확인이 가능할까요?^^;; test.py 실행시 오류화면미분류() 카운트 부분을 주석처리하면 테스트는 잘 완료됩니다.총 4개의 페이지에 대한 코드를 올려봅니다.test.pybase.htmlviews.pypost_list.html test.pyfrom django.test import TestCase, Client from django.contrib.auth.models import User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from .models import Post, Category # Create your tests here. class TestView(TestCase): def setUp(self): self.client = Client() # 방문하는 사람의 브라우저다 Client() self.user_trump = User.objects.create_user( username='trump', password='somepassword' ) self.user_obama = User.objects.create_user( username='obama', password='somepassword' ) self.category_programming = Category.objects.create( name='programming', slug='programming' ) self.category_music = Category.objects.create( name='music', slug='music' ) self.post_001 = Post.objects.create( title='첫 번째 포스트입니다.', content='Hello, world, we are the world', category=self.category_programming, author=self.user_trump, ) self.post_002 = Post.objects.create( title='두 번째 포스트입니다.', content='1등이 전부는 아니잖아요. 저는 개발을 좋아할겁니다.', category=self.category_music, author=self.user_obama, ) self.post_003 = Post.objects.create( title='세 번째 포스트입니다.', content='Category 가 없을 수도 있죠.', author=self.user_obama, ) def navbar_test(self, soup): navbar = soup.nav self.assertIn('Blog', navbar.text) self.assertIn('about_me', navbar.text) logo_btn = navbar.find('a', text='Do it Django') self.assertEqual(logo_btn.attrs['href'], '/') home_btn = navbar.find('a', text='Home') self.assertEqual(home_btn.attrs['href'], '/') blog_btn = navbar.find('a', text='Blog') self.assertEqual(blog_btn.attrs['href'], '/blog/') about_me_btn = navbar.find('a', text='about_me') self.assertEqual(about_me_btn.attrs['href'], '/about_me/') def category_card_test(self, soup): categories_card = soup.find('div', id='categories-card') self.assertIn('Categories', categories_card.text) self.assertIn( f'{self.category_programming} ({self.category_programming.post_set.count()})', categories_card.text ) self.assertIn( f'{self.category_music} ({self.category_music.post_set.count()})', categories_card.text ) self.assertIn( f'미분류 ({Post.objects.filter(category=None).count()})', categories_card.text ) def test_post_list_with_posts(self): self.assertEqual(Post.objects.count(), 3) # 1.1 포스트 목록 페이지 (post_list)를 연다. response = self.client.get('/blog/') # 1.2 정상적으로 페이지가 로드된다. self.assertEqual(response.status_code, 200) # 1.3 페이지 타이틀에 Blog 라는 문구가 있다. soup = BeautifulSoup(response.content, 'html.parser') self.assertIn('Blog', soup.title.text) self.navbar_test(soup) self.category_card_test(soup) # 3-2. 포스트 목록 페이지를 새로 고침 했을 때, response = self.client.get('/blog/') soup = BeautifulSoup(response.content, 'html.parser') # 3-3. 메인영역에 포스트 2개의 타이틀이 존재한다. main_area = soup.find('div', id='main-area') self.assertNotIn('아직 게시물이 없습니다.', main_area.text) post_001_card = main_area.find('div', id='post-1') self.assertIn(self.post_001.title, post_001_card.text) self.assertIn(self.post_001.category.name, post_001_card.text) post_002_card = main_area.find('div', id='post-2') self.assertIn(self.post_002.title, post_002_card.text) self.assertIn(self.post_002.category.name, post_002_card.text) post_003_card = main_area.find('div', id='post-3') self.assertIn(self.post_003.title, post_003_card.text) self.assertIn('미분류', post_003_card.text) self.assertIn(self.post_001.author.username.upper(), main_area.text) self.assertIn(self.post_002.author.username.upper(), main_area.text) self.assertIn(self.post_003.author.username.upper(), main_area.text) def test_post_list_without_post(self): Post.objects.all().delete() self.assertEqual(Post.objects.count(), 0) response = self.client.get('/blog/') self.assertEqual(response.status_code, 200) soup = BeautifulSoup(response.content, 'html.parser') self.navbar_test(soup) self.assertIn('Blog', soup.title.text) # 2-2. 메인영역에 "아직 게시물이 없습니다." 라는 문구가 나온다. main_area = soup.find('div', id='main-area') self.assertIn('아직 게시물이 없습니다.', main_area.text) def test_post_detail(self): self.assertEqual(Post.objects.count(), 3) # 1.2 그 포스트의 url은 '/blog/1/' 이다. self.assertEqual(self.post_001.get_absolute_url(), '/blog/1/') #.2. 첫 번째 포스트의 상세 페이지 테스트 # 2-1. 첫 번째 포스트의 url로 접근하면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status code : 200). response = self.client.get(self.post_001.get_absolute_url()) self.assertEqual(response.status_code, 200) soup = BeautifulSoup(response.content, 'html.parser') # # 2-2. 포스트 목록 페이지와 똑같은 네비게이션 바가 있다. self.navbar_test(soup) # 2-3. 첫 번째 포스트의 제목이 웹 브라우저 탭 타이틀에 들어있다. self.assertIn(self.post_001.title, soup.title.text) # 2-4. 첫 번째 포스트의 제목이 포스트 영역에 있다. main_area = soup.find('div', id='main-area') post_area = main_area.find('div', id='post-area') self.assertIn(self.post_001.title, post_area.text) # # 2-5. 첫 번째 포스트의 작성자(author)가 포스트 영역에 있다. (아직 구현할 수 없음) self.assertIn(self.user_trump.username.upper(), post_area.text) # # 2-6. 첫 번째 포스트의 내용(content)이 포스트 영역에 있다. self.assertIn(self.post_001.content, post_area.text) base.html<!DOCTYPE html> {% load static %} <html> <head> <title>{% block head_title %} Blog | 하도영 웹사이트 {% endblock %}</title> <link href="{% static 'blog/bootstrap/bootstrap.min.css' %}" rel="stylesheet" type="text/css"> <!-- <link href="./practice.css" rel="stylesheet" type="text/css"> --> <!-- 주석처리 키 ctrl + / --> <script src="https://kit.fontawesome.com/c1d4d1ab30.js" crossorigin="anonymous"></script> </head> <body> {% include 'blog/navbar.html' %} <div class="container"> <!-- 블로그 리스트 페이지 만들기 강의 5:04 blog 글자 부분 container 클래스에 의해 do it django 와 같은 간격으로 맞춰짐 --> <!-- 이 아래는 9:3, 좁을때는 8:4 로 나눌거임 --> <div class="row my-3"> <div class="col-md-8 col-lg-9", id="main-area"> {% block main_area %} {% endblock %} </div> <div class="col-md-4 col-lg-3"> <!-- Search widget--> <div class="card mb-4"> <div class="card-header">Search</div> <div class="card-body"> <div class="input-group"> <input class="form-control" type="text" placeholder="Enter search term..." aria-label="Enter search term..." aria-describedby="button-search" /> <button class="btn btn-primary" id="button-search" type="button">Go!</button> </div> </div> <!-- Categories widget--> <div class="card mb-4", id="categories-card"> <div class="card-header">Categories</div> <div class="card-body"> <div class="row"> <ul> {% for category in categories %} <li> <a href="#!">{{ category.name }} ({{ category.post_set.count }})</a> </li> {% endfor %} <!-- views.py 에 def get_context_data(self, **kwargs): 를 참고한다. --> <li> <a href="#!">미분류 ({{ no_category_post.count }})</a> </li> </ul> </div> </div> </div> </div> </div> </div> {% include 'blog/footer.html' %} <script src="https://cdn.jsdelivr.net/npm/jquery@3.5.1/dist/jquery.slim.min.js" integrity="sha384-DfXdz2htPH0lsSSs5nCTpuj/zy4C+OGpamoFVy38MVBnE+IbbVYUew+OrCXaRkfj" crossorigin="anonymous"></script> <script src="https://cdn.jsdelivr.net/npm/bootstrap@4.6.2/dist/js/bootstrap.bundle.min.js" integrity="sha384-Fy6S3B9q64WdZWQUiU+q4/2Lc9npb8tCaSX9FK7E8HnRr0Jz8D6OP9dO5Vg3Q9ct" crossorigin="anonymous"></script> </body> </html> views.pyfrom django.shortcuts import render from django.views.generic import ListView, DetailView from .models import Post, Category class PostList(ListView): model = Post # template_name = 'blog/post_list.html' ordering = '-pk' def get_context_data(self, **kwargs): context = super(PostList, self).get_context_data() context['categories'] = Category.objects.all() context['no_category_post.count'] = Post.objects.filter(category=None).count() # 미분류인 애들이 몇개인지 확인한다. filter기능을 이용해 none 인 애를 확인하고 count() 에 숫자를 담아 no_category_post.count에 넣어준다. return context class PostDetail(DetailView): model = Post template_name = 'blog/post_detail.html' # def index(request): # posts = Post.objects.all().order_by('-pk') # # pk는 순서대로 -pk 는 역순으로 최신 쓰레드가 위로 나오도록 조회 # return render( # request, # 'blog/index.html', # { # 'posts': posts, # } # ) # def single_post_page(request, pk): # post = Post.objects.get(pk=pk) # # return render( # request, # 'blog/single_page.html', # { # 'post': post, # } # ) post_list.html{% extends 'blog/base.html' %} {% block main_area %} <h1> Blog </h1> {% if post_list.exists %} {% for p in post_list %} <!-- Blog Post --> <div class="card mb-4", id="post-{{ p.id }}"> {% if p.head_image %} <img class="card-img-top" src="{{ p.head_image.url}}" alt="{{ p.title }}" /> {% else %} <img class="card-img-top" src="https://picsum.photos/seed/{{ p.id }}/600/200" alt="{{ p.title }}" /> {% endif %} <div class="card-body"> <!-- <div class="small text-muted">January 1, 2022</div>--> {% if p.category %} <span class="badge badge-secondary float-right">{{ p.category }} </span> {% else %} <span class="badge badge-secondary float-right">미분류</span> {% endif %} <h2 class="card-title h4">{{ p.title }}</h2> {% if p.hook_text %} <h5 class="text-muted">{{ p.hook_text }}</h5> {% endif %} <p class="card-text">{{ p.content | truncatewords:45 }}</p> <a href="{{ p.get_absolute_url }}" class="btn btn-primary">Read more →</a> </div> <div class="card-footer text-muted"> Posted on {{ p.created_at }} by <a href="#">{{ p.author | upper }}</a> </div> </div> {% endfor %} {% else %} <h1> 아직 게시물이 없습니다. </h1> {% endif %} <!-- Pagination--> <ul class="pagination justify-content-center my-4"> <li class="page-item"> <a class="page-link" href="#!">← Older</a> </li> <li class="page-item disabled"> <a class="page-link" href="#!">Newer →</a> </li> </ul> {% endblock %}
-
해결됨CAN 통신 - 자동차 신입이 알아야 할 모든 것
안녕하세요. 강의 시 보여주시는 자료 건
안녕하세요.좋은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강의를 보면서 느끼는 점인데강의 시에 사용하시는 PPT 자료 혹은 참고하시는 자료 경로 등을 알 수 있을까해서문의를 남깁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1: C# 기초 프로그래밍 입문
10진수에서 15는 어떻게 표기하나요?
그냥 11 12 13 14 15 이렇겐가요? 만약 세자리가 나와도 그냥 100 101... 158 이런식인가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순수한 자바 테스트 코드
필드 주입을 사용하면 생기는 문제점에 관한 내용을 보다가 궁금한 것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스프링의 @Autowired 가 동작하지 않는 순수한 자바 테스트 코드에서, @Autowired가 붙은 필드, setter함수, 생성자는 @Autowired가 없는 순수 자바 코드로 동작한다고 생각하면 되나요? 예를 들어,OrderServiceImpl 클래스에는 필드 or setter 함수 or 생성자에 @Autowired 가 붙어있는데,OrderServiceTest 클래스에서는 순수한 자바 코드만으로 테스트를 수행하려고 할 때, OrderServiceImpl 클래스의 필드 or setter or 생성자를 @Autowired가 없다고 생각하고 갖고와서 쓸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또, 이 상황에서 테스트코드에서 따로 @Autowired에 의해서 발생하는 오류는 없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실행할 때마다 테이블 drop, create 가 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소스 실행할 때마다 테이블이 drop 되었다가 create가 되어서 member 테이블에 있던 데이터가 전부 사라져서 update가 안되는것 같은데.. 이거 어떻게 하면 될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현업에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자동 생성 기능을 운영 장비에서 사용하지 않는 이유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자동 생성 부분 강의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강의에서 생성된 DDL은 개발 장비에서만 사용해야 하며, 운영 장비에서는 사용하면 안 된다. 라고 말씀해주셨습니다. 그리고, 생성된 DDL은 운영서버에서는 사용하지 않거나, 적절히 다듬 은 후 사용 이라고 강의 자료에 나와 있는데요.그렇다면, 실제 현업에서는 운영 서버에 새로운 테이블을 create 하거나, 기존 테이블을 update(칼럼 추가 혹은 변경 등...) 하는 경우에 어떻게 하는지 궁금합니다. 강의 내용 + 서칭에 따르면, 로컬에서 DB 스키마 자동 생성 -> 검증 및 정제 -> 최종 스키마를 DB 툴을 이용해서 추출 -> 최종 스키마인 "create table ~~"을 테스트 DB에 적용(이 때, JPA 를 통해서가 아닌, 스키마 자체를 적용해야 함) -> QA 진행 , 검증 및 정제 -> 최종 스키마를 DB 툴을 이용해서 추출 -> 최종 스키마인 "create table ~~"을 테스트 DB에 적용(이 때, JPA 를 통해서가 아닌, 스키마 자체를 적용해야 함)을 운영 장비에 적용 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걸까요? (물론, 여건에 따라, 테스트 서버도 JPA DB 스키마 자동 생성 기능으로 처리할 수도 있을 듯 합니다.)create 뿐만 아니라, update 또한 운영서버에 적용하면 안되며, update 또한 테스트서버에 적용하는 것은 지양한다고 하셨습니다. 운영 서버의 소스코드가 (JPA DB 자동 스키마 생성기능을 통해) 테스트 서버, 운영 서버의 DB create, update 권한을 가진다는 것 자체에 대해 우려하시는 건가요? 아니면, DB 관련하여 컨트롤하는 기능 중, JPA 에서 설정하지 못하는 것이 있어서 그런건가요? 말씀해주신 결과적인 사건들을 통해 위험하다 는 것은 알겠는데, 그 구체적인 이유를 설명하라고 한다면, 아직 정확하게 말 할 수 없을 듯 하여, 질문 남깁니다.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윈도우 cmd창에서 gradlew build 오류
안녕하세요 현재 윈도우 쓰고있는 학생입니다. 빌드하고 실행하기 단계에서 cmd창을 열어서 gradlew.bat과 강의상에 나와있는 clean build 을 입력해도 사진첨부해드린거와 같이 계속 오류가 나는데 무엇이 문제일까요 ㅠㅠ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MemberServiceIntegrationTest 오류 질문드립니다.
antlr.NoViableAltException: unexpected token:generatedAlias0org.hibernate.hql.internal.ast.QuerySyntaxException: unexpected token: generatedAlias0 near line 1, column 8 [select generatedAlias0 from...] 이 부분에서 계속 에러가 뜨는데 이유를 모르겠어서 질문드려요!참고로 이와 비슷한 문의 글도 인프런과 stackoverflow에서 봤지만, 마땅한 오타가 없어서 여기에 글 올립니다! // MemberServiceIntegrationTest import org.assertj.core.api.Assertions;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annotation.Commit;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import with.younghan.kim.domain.Member; import with.younghan.kim.repository.MemberRepository;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ForClassTypes.assertThat; import static org.junit.jupiter.api.Assertions.assertThrows; @SpringBootTest @Transactional class MemberServiceIntegrationTest { @Autowired MemberService memberService; @Autowired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Test void 회원가입() { //given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Name("spring100"); //when Long saveId = memberService.join(member); //then Member findMember = memberService.findOne(saveId).get(); assertThat(member.getName()).isEqualTo(findMember.getName()); } @Test public void 중복_회원_예외() { //given Member member1 = new Member(); member1.setName("spring"); Member member2 = new Member(); member2.setName("spring"); //when memberService.join(member1); IllegalStateException e = assertThrows(IllegalStateException.class, () -> memberService.join(member2)); assertThat(e.getMessage()).isEqualTo("이미 존재하는 회원입니다."); } } // MemberService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import with.younghan.kim.domain.Member; import with.younghan.kim.repository.MemberRepository;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Optional; @Transactional public class MemberService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ublic MemberService(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 /** * 회원 가입 */ public Long join(Member member) { validateDuplicateMember(member); //중복 회원 검증 memberRepository.save(member); return member.getId(); } private void validateDuplicateMember(Member 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Name(member.getName()) .ifPresent(m ->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이미 존재하는 회원입니다."); }); } /** * 전체 회원 조회 */ public List<Member> findMembers() { return memberRepository.findAll(); } public Optional<Member> findOne(Long memberId) { return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Id); } } // JpaMemberRepository import with.younghan.kim.domain.Member; import javax.persistence.EntityManager;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Optional; public class JpaMemberRepository implements MemberRepository { private final EntityManager em; public JpaMemberRepository(EntityManager em) { this.em = em; } @Override public Member save(Member member) { em.persist(member); return member; } @Override public Optional<Member> findById(Long id) { Member member = em.find(Member.class, id); return Optional.ofNullable(member); } @Override public Optional<Member> findByName(String name) { List<Member> result = em.createQuery("select m from Member m where m.name = :name", Member.class) .setParameter("name", name) .getResultList(); return result.stream().findAny(); } @Override public List<Member> findAll() { return em.createQuery("select m from Member m", Member.class) .getResultList(); } } // Member import javax.persistence.*; @Entity public class Member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Long id) { this.id = id;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
미해결실전! 스프링부트 상품-주문 API 개발로 알아보는 TDD
재밌게 잘 보고있습니다.
1배속이지만 다른강의 2배속 느낌이네요.. 이게 실무인가 싶기도 하고 ㅎ_ㅎ 특정 메서드를 만들면, throw new 이후 나오는 건 따로 설정을 하신거려나요?
-
해결됨토비의 스프링 부트 - 이해와 원리
`@ConditionalOnClass`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강의에서 한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ConditionalOnClass 어노테이션에서 XmlMapper.class 는 빨간 줄로 나와서 찾아보니import com.fasterxml.jackson.dataformat.xml.XmlMapper;가 resolve 되지 못하는 것으로 추측되었습니다. 이런 경우는 빌드가 되지 않아야 하는 것이 아닌가 싶어서 제가 무엇을 놓치고 있는 것인지 알고 싶어 문의드립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로그인 및 권한관리 관련한 부분을 다루신 강의가 있나요??
기능들 구현하는 부분을 따라해보면서 공부하고 있는 시작 단계입니다. 로그인과 권한관리를 다루고 구현하는 기능들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느꼈는데 해당 강의에서는 위의 기능은 배제한다고 하셔서 해당부분에 대해 강사님께서 다루신 관련 강의가 있나요??
-
해결됨IT 기업 취업을 위한: 코딩테스트 혼자서 정복하기 (C/C++)
입력함수 출력함수 관련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수업 중 코드 작성 부분을 보면 #include <iostream>을 하지만입력 함수로는 scanf 출력 함수로는 printf 를 사용하십니다.혹시 왜 그런지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C++로 작성한다면 cin, cout 등이 있음에도 왜 C에서 사용하는 입출력 스트림을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HAL, CubeMX, TrueSTUDIO를 이용한 STM32F4 무료 강좌
pwm 주기 강의 질문드립니다.
PWM 3번째 강의 10분 39초 내용 질문 드려봐요~ARR 대신 프리스케일러를 변경하여 PWM을 바꾸는 내용이 이해가 잘 안되는데요. TIM2->CCR1 = ARR레지스터 값 / 2를 ARR값이 바뀌지 않는다고 지우셨는데 while문 전에 초기화에서는 ARR /2를 CCR레지스터에 설정 해줘야하지않나요?그래야 50% 토글이 될 것 같아서요.추가적으로 CubeMX에서 PWM 설정을 할 때 Internal clock을 선택해주는데내부 클락은 정확도가 떨어진다고 들었는데 Internal clock 으로밖에 못하는건가요?아니면 PWM 정확도와 내부 클락 선택 여부와는 관계가 없는건가요??감사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static SingletonService getInstance() 질문입니다.
다른 사람분 질문 답변중에public class SingletonService { //1. static 영역에 객체를 딱 1개만 생성해둔다. private static final SingletonService instance = new SingletonService(); //2. public으로 열어서 객체 인스터스가 필요하면 이 static 메서드를 통해서만 조회하도록 허용한다. public static SingletonService getInstance() { return instance; } //3. 생성자를 private으로 선언해서 외부에서 new 키워드를 사용한 객체 생성을 못하게 막는다. private SingletonService() { } public void logic() { System.out.println("싱글톤 객체 로직 호출"); } }이 코드의 static SingletonService getInstance()에 대한 글을 읽고 궁금한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안녕하세요, lsj59285 님! 공식 서포터즈 codesweaver 입니다. 우선 멤버변수 instance 가 private 접근 제어자 이기에 외부에서 이 멤버변수에 직접 접근할 수 없습니다. 게다가 생성자도 private 이기에 객체를 생성하여 사용할 수도 없지요. instance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데 그게 getInstance() 메서드 입니다.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않고 접근해야 하니 static 이어야 하고요. 그리고 getInstance() 에서 멤버변수 instance 에 접근하는데요 이 때, static 영역에서 instance (힙 영역)을 참조할 수 없습니다. static 은 프로그램에서 유일한 영역이고, 인스턴스는 N개로 늘어날 수 있습니다. 즉 1:N 관계를 갖습니다. 그래서 인스턴스가 static 영역을 참조할 순 있으나, static이 인스턴스를 참조할 순 없습니다. (어떤 인스턴스를 지칭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그래서 instance 도 static 영역에 두어 getInstance() 메서드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getInstance()가 static 메서드라서 instance 도 static 영역에 두었다고 하셨는데 instance는 공유할 수 있도록 static 영역으로 먼저 보냈 게 아닌가요??...getInstance()를 static영역으로 보낸건 생성자가 private니까 객체생성이 안되서 인스턴스 메서드를 사용을 못하니까 그런거 아닌가요??...답변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OrderService와 MemberService는 왜 서로 다른MemoryMemberRepository를 사용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AppConfig에서 다음과 같이 각각 MemberService와 OrderService를 생성자에서 각각 따로MemoryMemberRepository를 새로 생성하는데 이렇게 하면 클라이언트는 같은 리포지토리를 공유를 안하지 않나요?? 서로다른 서비스가 같은 리포지토리를 공유하여 사용하는게 아니고 각각의 리포지토리를 사용한다고 생각하니 의문이 들어서 질문드립니다!!아니면 우선 DIP를 지키기 위한 코드를 보여주려고 이렇게 짜신건 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스프링부트 빈 이름 조회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스프링부트에선 강의에서처럼 ac를 통한 조회를 못하는데 빈 이름을 어떻게 조회할 수 있을까요?